KR20100103674A -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674A
KR20100103674A KR1020107017681A KR20107017681A KR20100103674A KR 20100103674 A KR20100103674 A KR 20100103674A KR 1020107017681 A KR1020107017681 A KR 1020107017681A KR 20107017681 A KR20107017681 A KR 20107017681A KR 20100103674 A KR20100103674 A KR 20100103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filter cloth
roll
liquid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081B1 (ko
Inventor
도모키 혼마
다카시 히가미
슈지 이와사키
도시아키 다치카와
노부타카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6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14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8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1462B1/ja
Application filed by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9/05444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119295A1/ja
Publication of KR2010010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whereby the filtration and squeezing-out take place between at least two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30B9/246The material being conveyed around a drum between pressing ba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분리롤; 및 이 분리롤의 외주에 중첩되도록 감겨지고,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무단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를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서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고, 또한 상기 각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이 탈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SOLID-LIQUID SEPARATOR, FILTER, AND SOLID-LIQUID S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특히 복수의 롤에 감겨져 주행하는 여과포 상에 공급된 피처리물을 여과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드럼식 진공 여과 장치 및 기계 압착(壓搾) 탈수 기구만의 벨트 프레스 탈수기와 같은 여과 장치의 2차 탈수 기구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고액 분리 장치, 이 고액 분리 장치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78286호,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66484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78408호를 기초 출원으로 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이러한 여과 장치 중,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는, 일반적으로, 진공 트레이 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주행하는 여과포 상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며, 이 여과포를 통하여 진공 트레이에 의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여과한다. 또한, 드럼식 진공 여과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조 내의 피처리물 슬러리 중에 침지된 여과포를 사이에 둔 진공실에 의해 진공 흡인함으로써 여과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대기압보다도 큰 차압을 작용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여과된 케이크의 도달 함액률(含液率)이 목표값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 이 여과 장치의 후단(後段)에 이와는 별도로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의 2차 탈수 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특허문헌 1, 2에 있어서, 이러한 진공 트레이에 의해서만 여과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의 후단에, 여과된 케이크를 향하여 진퇴 가능한 프레임형 또는 환형의 시일재를 갖는 시일 수단과, 이 시일재의 개구면 내측에서 가압판이나 압력 유체(에어 등)에 의해 케이크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가 마련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고액 분리 장치를 마련한 수평식 여과 장치에서는, 여과포의 주행에 의해 이동해 온 케이크에 시일재를 밀착시키고, 그 내측에서 가압 수단에 의해 케이크를 가압하여 탈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73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83117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마련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에 있어서도, 피처리물의 조성이나 성상(性狀)에 따라서는, 가압판이나 가압롤에 의한 여과포에 대한 수직 방향의 면압 또는 선압만으로는, 케이크의 함액률을 충분한 목표값에 달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포의 주행에 의해 후단으로 이동한 케이크에 시일재를 전진시켜서 밀착시키고 가압하는 고액 분리 장치는, 여과포가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이러한 여과 장치의 2차 탈수 기구로서 이용하여, 피처리물(케이크)의 함액률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연속적인 고액 분리가 가능한 고액 분리 장치, 이 고액 분리 장치를 2차 탈수 기구로서 구비한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분리롤; 이 분리롤의 외주에 중첩되도록 감겨지고,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무단(無端)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를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서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고, 또한 상기 각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이 탈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은,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분리롤의 외주에, 무단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를 중첩되도록 감고,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며,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한 피처리물을,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서 이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 압착하고, 또한 상기 각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함으로써 탈수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서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피처리물이 공급되어 끼워지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져 밀어붙여짐으로써 압착된다. 이 때문에, 분리롤의 회전이나,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분리 여과포의 주행이 간헐적인 경우는 물론, 연속적인 경우라도, 공급된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밀어붙여질 때에, 피처리물은, 이 분리롤의 직경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피처리물을 사이에 두고 내주의 분리롤측의 분리 여과포와 반대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의 주행 속도의 차, 즉 주속(周速)의 차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도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압착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압착된 피처리물은, 분리롤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시킴으로써 액분(液分)이 하나의 분리 여과포를 통해 분리되기 때문에, 여과포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면압이나 선압 및 가압만으로는 충분한 함액률의 저하가 곤란하였던 피처리물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액분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진 피처리물을, 분리롤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함으로써 탈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분리롤의 내부에 통기를 위한 에어 등을 공급하여 직경 방향 외주측으로 분출하도록 통기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분리롤의 내측에 복수의 통기 챔버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피처리물을 사이에 둔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분리롤에 감겨진 범위에서 통기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범위 이외의 탈수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서도 통기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분리롤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감겨진 범위 중,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에 형성된 상기 각 관통 구멍만을 통해 통기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통기를 위한 에어 등의 공급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탈수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처리물을 분리롤의 직경 방향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통기한 경우에는, 분리된 액분은,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이 분리롤의 외주측에 감겨지는 분리 여과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롤은 원기둥 형상이기 때문에, 배출된 액분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측을 타고 다시 이 분리 여과포를 통해 탈수된 피처리물에 스며들어, 함액률의 저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이 외측의 분리 여과포로부터 제거하는 액분 제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롤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이렇게 해서 탈수된 액분이 다시 피처리물에 스며들기 전에 회수하여 함액률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액분 제거 수단으로서, 하나로는, 상기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면 상의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긁어내도 된다.
이에 따라, 이 액분이 피처리물에 다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별도로, 또는 이것과 함께, 다른 하나로서,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흡인해도 된다.
이에 따라,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회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복수의 롤; 이들 복수의 롤에 감겨져 주행하는 여과포; 이 여과포 상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 이 공급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여과 수단; 이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청구항 1 또는 7에 기재된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상기 피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롤 중 상기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위치하는 롤이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분리롤이고, 상기 여과포를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컨대 전술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장치에서는, 이 여과 수단보다도 주행 방향측의 여과 장치의 롤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로 하고, 또한 여과 장치의 여과포를 고액 분리 장치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하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 수단에 의해 여과된 여과포 상의 피처리물은, 그대로 이 여과 수단보다도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 즉 여과 수단의 후단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와의 사이에 끼워져 분리롤에 감겨짐으로써 압착되며 통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탈수된다.
이 때문에, 이 여과 장치의 후단에, 이 여과 장치와는 별도로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의 2차 탈수 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함액률이 적은 피처리물을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이다. 그 결과, 이렇게 해서 탈수된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는 경우 등에 이용하는 건조 장치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과 장치의 여과포 및 롤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 여과포 및 분리롤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그리고, 고액 분리 장치가 피처리물의 연속적인 공급에도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여과포가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드럼식 진공 여과 장치 및 벨트 프레스 탈수기와 같은 여과 장치에서도 확실한 피처리물의 함수율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는,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감겨지고,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와 함께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압착 벨트를 더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및 상기 압착 벨트에 의해 압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은,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압착 벨트를 감고,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와 상기 압착 벨트를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시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및 상기 압착 벨트에 의해 압착하여도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있어서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의 사이에 피처리물이 공급되어 끼워지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감겨져 압박되며, 또한 그 외주로부터 압착 벨트가 마찬가지로 분리롤의 회전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감겨져 밀어붙여짐으로써 압착된다. 이 때문에, 분리롤의 회전이나,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분리 여과포의 주행이 간헐적인 경우는 물론, 연속적인 경우라도, 공급된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회전하는 분리롤의 외주에 밀어붙여질 때에, 피처리물은, 이 분리롤의 직경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피처리물을 사이에 두고 내주의 분리롤측의 분리 여과포와 반대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의 주행 속도의 차, 즉 주속의 차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도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압착된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압착된 피처리물은, 또한 분리롤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시킴으로써 액분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를 통해 분리되기 때문에, 여과포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면압이나 선압 및 가압만으로는 충분한 함액률의 저하가 곤란하였던 피처리물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액분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는 압착 벨트가 감겨져 있고, 이것에 의해 분리 여과포 및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분리롤측에 밀어붙일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탈액 능력을 올리기 위해서 통기 압력을 높게 한 경우라도,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압착 벨트의 면압을,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하는 통기 가스압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분리 여과포가 부상(浮上)하는 것에 의해 압력 유체(통기 가스)가 분산되어 버려 통기에 의한 탈액 효과가 오히려 손상되거나, 분리 여과포의 폭 방향의 양측이나 주행 방향의 전후로부터 케이크가 분출하여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한층 확실하게 탈액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착 벨트는, 분리 여과포를 통한 피처리물로부터의 탈액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압착 벨트가 상기 분리 여과포보다도 통기도가 높아도 된다. 이와 같이 통기도가 높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 가스압보다도 큰 면압을 발생시키는 장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압착 벨트는 여과포여도 되고, 또는 철망이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벨트,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카본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지는 수지 벨트, 또는 고무 벨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복수의 롤; 이들 복수의 롤에 감겨져 주행하는 여과포; 이 여과포 상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 이 공급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여과 수단; 이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청구항 1 또는 7에 기재된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상기 피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롤 중 상기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위치하는 롤이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분리롤이고, 상기 여과포는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컨대 전술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장치에서는, 그 여과 수단보다도 주행 방향측의 이 여과 장치의 롤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로 하고, 또한 여과 장치의 여과포가 고액 분리 장치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하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 수단에 의해 여과된 여과포 상의 피처리물은, 그대로 이 여과 수단보다도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 즉 여과 수단의 후단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와의 사이에 끼워져 압착 벨트와 함께 분리롤에 감겨지며, 압착되고 통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탈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롤에 감겨진 한 쌍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압착 벨트가 감겨져 있기 때문에, 통기에 의한 분리롤과 분리 여과포의 마찰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분리 여과포를 충분한 면압으로 분리롤에 밀어붙여 확실하게 분리롤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이, 상기 여과포를 주행시키는 구동롤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그 구동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여과포의 안정된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여과 장치의 후단에, 이 여과 장치와는 별도로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의 2차 탈수 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함액률이 적은 피처리물을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이고, 이렇게 해서 탈수된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는 경우 등에 이용하는 건조 장치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과 장치의 여과포 및 롤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 여과포 및 분리롤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그리고, 고액 분리 장치가 피처리물의 연속적인 공급에도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여과포가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드럼식 진공 여과 장치 및 벨트 프레스 탈수기와 같은 여과 장치에서도 확실한 피처리물의 함수율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따르면, 회전하는 분리롤에 중첩되도록 감겨지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피처리물이 끼워짐으로써, 이 분리롤의 직경 방향에 의한 압박력에 더하여, 둘레 방향으로의 전단력을 작용시켜 피처리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고, 또한 이 직경 방향으로 통기함으로써 액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 장치에 따르면,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2차 탈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보다 낮은 함액률의 피처리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단의 건조 설비에 제품을 반송할 때에 벨트 컨베이어,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반송 기기에의 부착에 기인하는 반송 트러블 등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따르면, 회전하는 분리롤에 감겨지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피처리물이 끼워지고, 또한 그 외주에 압착 벨트가 감겨져, 분리롤의 회전과 함께 그 회전 방향으로 주행됨으로써, 이 분리롤의 직경 방향에 의한 압박력에 더하여, 둘레 방향으로의 전단력을 작용시켜 피처리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직경 방향으로의 통기에 의해 분리 여과포가 분리롤로부터 부상하거나 분리 여과포의 단부로부터 케이크가 비산하는 것을 압착 벨트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피처리물의 액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에 따르면,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2차 탈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보다 낮은 함액률의 피처리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단의 건조 설비에 제품을 반송할 때에 벨트 컨베이어,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반송 기기에의 부착에 기인하는 반송 트러블 등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기에 의한 분리롤과 분리 여과포의 마찰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압착 벨트에 의해 확실하게 분리 여과포를 분리롤의 회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분리롤을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장치의 구동롤로 하고, 분리 여과포를 이 여과 장치의 여과 수단에 이용하는 여과포로 해도, 이 여과포의 안정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과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에 이용되는 고액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2B)을 도시하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4a는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리롤(2B) 하측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의 변형예의 흡인관(12A)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리롤(2B) 하측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여과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샘플 A∼D에서의 에어 압력과 케이크 함액률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여과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에 이용되는 고액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를 도 9의 우측에서 본 일부 파단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이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여과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 실시형태에서의 여과 장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의 구성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단 형상의 여과포(1)가, 중심 축선을 수평으로 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2)에 감겨져 주회(周回)하도록 걸쳐져 있다. 이 중 하나를 구동롤(2A)로 하여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여과포(1) 중 장치 상부에 수평으로 걸쳐진 수평부(1A)가 화살선 F로 나타내는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주행 가능해진다. 이 수평부(1A)의 주행 방향 F 후방측에 배치된 공급 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P)이, 그 직주행 방향 F측의 구동롤(2A)과의 사이에 배치된 여과 수단(4)에 의해 여과포(1)를 통하여 여과된다.
구동롤(2A)은, 수평부(1A)의 주행 방향 F측의 단부에 위치하여,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연속적, 또는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여과포(1)를 주행시킨다. 또한, 여과 수단(4)에 있어서 피처리물(P)은, 수평부(1A)에서 여과포(1)를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트레이에 의해 액분이 여과포(1)를 통해 흡인되어 여과된다. 그리고, 또한 이 여과 수단(4)보다도 주행 방향 F측에,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향 T를 향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분리롤(2B)의 외주에, 무단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가 중첩되도록 감겨지면서 회전 방향 T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롤(2B)을, 여과 장치에서의 롤(2) 중, 주행 방향 F에서 구동롤(2A)의 다음에 위치하는 롤로 하고, 또한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 중 하나를, 여과 장치의 여과포(1)가 그대로 이 분리롤(2B)에 감겨진 것으로 하고 있다.
분리롤(2B)은, 구동롤(2A)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서로의 둘레면끼리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동롤(2A) 및 분리롤(2B) 이외의 여과 장치의 롤(2)은, 이 구동롤(2A) 및 분리롤(2B)보다도 충분히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들 롤(2) 중 주행 방향 F에 있어서 분리롤(2B)의 다음의 롤(2C)은, 분리롤(2B)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또한 역시 평면에서 보아 서로의 둘레면끼리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분리롤(2B)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원통면 부분에는 이 분리롤(2B)의 중심 축선 방향에서 여과포(1)의 폭의 범위보다도 내측에, 다수의 관통 구멍(6)이 개구되어 있다. 한편, 분리롤(2B)의 대략 중공으로 된 내부에는,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그 중심 축선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면 부분에 이르는 복수의 칸막이판(7)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또한 관통 구멍(6)이 형성된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칸막이판(7)의 중심 축선 방향 양단부는 각각 원형의 단부판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한쪽의 단부판에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칸막이판(7) 사이의 공간에 각각 연통하도록, 칸막이판(7)과 같은 수의 통기 배관(8)이 접속되어 있다.
분리롤(2B)의 내부에는, 이 통기 배관(8)을 통해 관통 구멍(6)에 연통하는 통기 챔버(9)가, 칸막이판(7) 및 통기 배관(8)과 같은 수로, 서로 이격되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통기 배관(8)에 공급된 에어(압축 공기)(A)나 스팀 등의 통기 유체가 이 통기 챔버(9)를 통해 관통 구멍(6)으로부터 분리롤(2B)의 외주로 분출하여 통기된다. 또한, 이들 통기 배관(8)에 공급되는 에어(A)는,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로터리 조인트 또는 다단 회전 이음부를 통해, 회전하는 분리롤(2B)에 고정된 통기 배관(8)에 공급된다. 이 로터리 조인트 등과 각 통기 배관(8) 사이에는, 분리롤(2B)의 둘레 방향으로 분리 여과포(1, 5)가 감겨진 범위(도 2에서의 부호 E의 범위) 중, 또한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챔버(9)에만, 에어(A)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도시되지 않은 밸브 기구가 개재되어 있다. 분리롤(2B)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챔버(9)는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 중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5)는, 여과포(하나의 분리 여과포)(1)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고, 분리롤(2B)의 외주에서는 이 여과포(1)의 내측에 감겨지며, 구동롤(2A)과 롤(2C)의 외주에서는 여과포(1)의 외측에 감겨진다. 또한, 이 분리 여과포(5)는, 이들 구동롤(2A) 및 롤(2C)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며 상호 간격을 구동롤(2A)과 롤(2C)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한 한 쌍의 롤(10)에 감겨져 무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리 여과포(5)는, 여과포(1)와 함께 감겨진 부분에서는 이 여과포(1)의 주행 방향 F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구동롤(2A) 이외의 롤(2, 10)은, 분리롤(2B)을 비롯하여 모두 구동 수단에 연결되지 않는 종동롤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중 분리롤(2B)을 제외한 여과 장치의 롤(2)과 고액 분리 장치의 롤(10)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에는, 이 롤(2, 10)을 다른 롤(2, 1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예컨대 압박하여 여과포(1)와 분리 여과포(5)의 장력을 소정의 강도로 제어하는 장력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고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분리롤(2B)의 하방에는 수용 접시(11)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여과 장치에 있어서, 여과 수단(4)에 의해 여과된 처리물(P)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롤(2A)의 외주로부터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 사이에 끼워져 고액 분리 장치에 공급되고, 이들 분리 여과포(1, 5)와 함께 분리롤(2B)에 감겨진 후, 롤(2C)에서 분리 여과포(5)가 떨어지며, 또한 주행 방향 F에 있어서 롤(2C)의 다음의 롤(2)에서 여과포(1)로부터 박리되어 회수된다.
상기 구성의 고액 분리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의 제1 실시형태에서, 피처리물(P)은, 분리롤(2B)의 외주에서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 사이에 끼워지고, 특히 이 피처리물(P)의 외측에 감겨진 여과포(1)에 장력 제어 수단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어 있음으로써, 분리롤(2B)의 직경 방향 내주측에서 압박력을 받아 압착된다. 또한, 이 분리롤(2B)에서는, 통기 배관(8)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여과포(1, 5)가 감겨진 범위 중, 또한 소정의 회전 위치의 범위의 통기 챔버(9)를 통해 에어(A)가 관통 구멍(6)으로부터 연속해서 분출되어 분리 여과포(5), 피처리물(P) 및 분리 여과포(1)를 통하여 분리롤(2B)의 직경 방향 외주측으로 통기되고 있고, 따라서 피처리물(P)로부터 압착된 액분은, 분리 여과포(1)를 통해 이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되고, 수용 접시(11)에 적하되어 회수된다.
또한, 이 피처리물(P)을 끼워 넣어 분리롤(2B)에 감겨진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는, 피처리물(P)의 두께분만큼 분리롤(2B)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다. 또한, 하나의 분리 여과포(1)가 구동롤(2A)에 직접 감겨져 주행되는 데 비하여,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5)는 상기 하나의 분리 여과포(1)와 피처리물(P)을 통해 종동적으로 주행된다. 이 때문에, 분리롤(2B)의 외주에서는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에 주속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주속차에 의해 피처리물(P)에는, 피처리물을 둘레 방향으로 전단하려고 하는 전단력이 작용하고, 이 전단력과 압박력에 의해 피처리물(P)은 효율적으로 압착된다. 또한, 통기에 의해서도 탈수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충분한 고액 분리가 곤란하였던 피처리물(P)에 대해서도 충분한 함액률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포(1)의 주행에 따라 종동적으로 회전하는 분리롤(2B)의 외주에 있어서 피처리물(P)의 탈수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여과 장치에 있어서 이 여과포(1)의 주행이 연속적인 것이어도, 간헐적인 것이어도, 압박력과 전단력과 통기에 의해 효율적인 탈수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2A)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여과포(1)를 주행시키는 경우는 물론, 예컨대 여과포(1)를 클램프하여 소정의 스트로크로 주행 방향 F로 간헐 이동시켜 주행시키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에도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상기 구성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는, 여과 수단(4)보다도 주행 방향 F측의 구동롤(2A)의 다음의 롤(2)이, 고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분리롤(2B)이 된다. 또한, 여과 수단(4)에 있어서 피처리물(P)을 여과하는 여과포(1) 자체를 고액 분리 장치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여과 수단(4)에 의해 여과된 여과포(1) 상의 피처리물(P)을, 그대로 여과포(1)의 주행에 의해 고액 분리 장치에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여과 장치의 여과 수단(4)에 의해 여과한 피처리물(P)을 이 여과 장치로부터 일단 회수하여, 이것과는 별개의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의 2차 탈수 장치에 의해 탈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예컨대 기설(旣設)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장치에도, 다소의 개조를 가하는 정도로 적용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함액률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액분이 분리된 피처리물(P)을 후단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시키거나 하는 경우에도, 이 건조 장치에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단의 건조 장치에 제품을 반송할 때에도, 벨트 컨베이어나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반송 기기에 액분이 많은 피처리물(P)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트러블 등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분리롤(2B)의 내부에, 관통 구멍(6)을 통해 분리롤(2B)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하는 복수의 통기 챔버(9)가, 서로 이격되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피처리물(P)을 사이에 둔 한 쌍의 분리 여과포(1, 5)가 분리롤(2B)에 감겨진 범위 E 이외의, 탈수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도 통기가 행해지기 때문에, 통기를 위한 에어(A)가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범위 E의 통기 챔버(9)에 의해 집중적으로 피처리물(P)을 통기할 수 있다.
분리 여과포(1, 5)가 감겨진 범위 E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챔버(9) 모두에 에어(A)를 공급해도 된다. 그러나, 에어(A)의 공급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전력 등의 운전 비용이나 설비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챔버(9)에만 에어(A)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즉, 밸브 기구에 의해 통기 챔버(9)를 선택하여 통기를 행함으로써,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는 분리롤(2B)의 회전에 상관없이 항상 연속해서 통기가 행해져 탈수가 도모된다. 한편, 이 이외의 위치에서는 통기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어(A) 등의 소비를 한층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 분리롤(2B)의 외주에서 압착된 피처리물(P)은, 그 내주측의 분리롤(2B) 외주면에서의 관통 구멍(6)으로부터 통기되는 에어(A) 등의 통기 유체에 의해 액분이 분리되어 탈수된다. 이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된 액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접시(11)에 적하되어 회수된다. 그러나, 특히 동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롤(2B)의 하측에 분리 여과포(1, 5) 및 피처리물(P)이 감겨지기 때문에, 분리된 액분이 수용 접시(11)에 적하되지 않고 이 분리롤(2B)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 외주측에 위치하는 분리 여과포(1)를 통해 다시 피처리물(P)에 스며듦으로써, 피처리물(P)의 함액률의 저하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용 접시(11)를 대신하여, 또는 수용 접시(11)와 함께, 도 4a나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1)의 외주측에,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1)로부터 제거하는 액분 제거 수단을 배치하면 된다.
도 4a에 있어서 이 액분 제거 수단은,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흡인하여 회수하는 흡인 수단(12)이다. 이 흡인 수단(12)은, 예컨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관 형상의 흡인관(12A)에, 이 흡인관(12A)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12B)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또한 이 중심선 방향으로는 간격을 두고 1열로 형성한 것이다. 이 흡인관(12A)의 일단은 폐색되고, 타단에는 에어(A)를 흡인하는 도시되지 않은 펌프 등의 흡인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액분 제거 수단[흡인 수단(12)]에서는, 이러한 흡인관(12A)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선을 분리롤(2B)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하여, 슬릿(12B)을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1)에 대향시키거나, 또는 접하도록, 분리롤(2B)의 하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분리롤(2B)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간 액분은, 이 흡인 수단(12)에서의 흡인관(12A)의 슬릿(12B)으로부터 에어(A)와 함께 흡입되어 회수된다. 이 때문에, 이 액분이 분리 여과포(1)를 통해 다시 피처리물(P)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피처리물(P)의 함액률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흡인 수단(12)으로 이루어지는 액분 제거 수단을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함께,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1)의 외주측에,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이 분리 여과포(1)로부터 긁어내어 제거하는 긁어내기 수단(13)을 액분 제거 수단으로서 배치해도 된다. 이 긁어내기 수단(13)은, 예컨대 고무판 등의 탄성을 갖는 직사각형 판재(板材)로 이루어지는 스크레이퍼(13A)이며, 그 일측 가장자리를 휘게 해서 분리 여과포(1)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이러한 스크레이퍼(13A)가, 분리롤(2B)의 중심 축선 바로 아래보다도 약간 분리 여과포(1)의 주행 방향 F 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일측 가장자리가 이 주행 방향 F 후방측으로 휘어지도록 해서 분리 여과포(1) 외주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액분 제거 수단[긁어내기 수단(13)]에 있어서도, 분리롤(2B)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간 액분은, 분리 여과포(1)의 주행에 따라 이 긁어내기 수단(13)의 스크레이퍼(13A)에서 긁어내어져 이 분리 여과포(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며, 스크레이퍼(13A)를 타고 적하한다. 그 때문에, 이것을 수용 접시(11) 등에 의해 회수함으로써, 이 액분이 다시 피처리물(P)에 스며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하나의 긁어내기 수단(1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긁어내기 수단(13)을 분리롤(2B)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해도 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에서는, 구동롤(2A)이 여과 수단(4)의 직주행 방향 F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다음의 롤(2)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2B)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와 같이, 여과 수단(4)의 주행 방향 F측에 위치하여 여과포(1)의 수평부(1A)를 형성하는 롤(2)을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2B)로 하고, 구동롤(2A)을 이것과는 별도로, 예컨대 고액 분리 장치보다도 주행 방향 F측에서 공급 수단(3)보다도 주행 방향 F 전방측의, 여과포(1)가 여과 장치의 하부를 주회하는 위치에 마련해도 된다. 즉,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와 같이, 복수의 롤(2)에 감겨진 여과포(1) 상에 피처리물(P)이 공급되어 여과 수단(4)에 의해 여과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는, 여과된 피처리물(P)이 여과포(1) 상에 있는 범위에서는, 어떠한 롤(2)을 분리롤(2B)로 해도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도 6에 도시한 경우에는, 여과 수단(4)에 있어서 피처리물(P)을 여과하는 여과포(1)는 내주측의 분리 여과포로서 분리롤(2B)에 접하여 감겨지고,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 여과포(5)가 외주측의 분리 여과포로서 피처리물(P)을 사이에 두고 분리롤(2B)의 외주측에 감겨진다.
구동롤(2A)과 분리롤(2B)을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와 같이 분리롤(2B)의 외주면으로부터 에어(A)를 분출하여 통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분리롤(2B)과 여과포(1)의 마찰이 저감해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여과포(1)를 확실하게 소정의 속도나 피치로 주행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여과포(1)를 주행시키는 구동롤(2A)과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2B)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예컨대 충분한 압착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여과포(1)의 주행을 위한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할 수 있으면, 이와 같이 구동롤(2A)과 분리롤(2B)을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떠한 롤(2)을 분리롤(2B)로 해도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그 효과를 실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P)을, 이 여과 장치에 구비된 상기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 공급하여 액분을 분리하고, 그 때에 분리롤(2B)로부터 통기하는 에어(A)의 압력을 변화(증대)시켜, 이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해 탈수된 케이크의 함액률을 측정하였다. 피처리물(P)은, 고형물의 입자 직경이 2.5 ㎛∼30 ㎛인 4종(샘플 A∼D)이고, 여과 수단(4)에서 진공 탈수에 의해서만 여과한 함액률이 상이한 케이크이다.
단,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한 분리 여과포(1, 5)는 통기도가 0.5 ㏄/sec/㎠∼5 ㏄/sec/㎠인 것이고, 분리롤(2B)은 원통면 부분에 직경 5 ㎜의 관통 구멍(6)이 8 ㎜ 피치로 천공된 것이다. 또한, 고액 분리 장치에서의 케이크 두께는 3 ㎜∼10 ㎜, 탈수 시간은 10 sec∼30 sec이고, 압착 압력은 0.1 MPaG∼0.3 MPaG였다.
그 결과를, 각 샘플 A∼D마다 진공 탈수만의 함액률과 아울러 다음의 표 1∼표 4에 나타낸다. 또한, 도 7에는, 샘플 A∼D를 통합하여, 에어 압력과 케이크 함수율의 관계와 그 경향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이들 표 1∼표 4 및 도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탈수만의 케이크보다도 함액률이 저하되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샘플 D에 이르러서는 케이크 함액률이 진공 탈수만과 비교하여 절반 가까이까지 저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에어 압력을 크게 함에 따라 케이크 함액률도 크게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함액률의 저하율은 샘플에 따라 상이하며, 또한 쓸데없이 에어 압력을 크게 해도 케이크를 통과하는 에어량이 많으면 전체의 에너지 효율이 나빠지기도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이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여과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 실시형태에서의 여과 장치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의 구성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단 형상의 여과포(101)가, 중심 축선을 수평으로 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102)에 감겨져 주회하도록 걸쳐져 있다. 이 중 하나를 구동롤(102A)로 하여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여과포(101) 중 장치 상부에 수평으로 걸쳐진 수평부(101A)가 화살선 F로 나타내는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주행 가능해진다. 이 수평부(101A)의 주행 방향 F 후방측에 배치된 공급 수단(103)으로부터 공급된 피처리물(P)이, 그 직주행 방향 F측의 구동롤(102A)과의 사이에 배치된 여과 수단(104)에 의해 여과포(101)를 통해 여과된다.
구동롤(102A)은, 수평부(101A)의 주행 방향 F측의 단부에 위치하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등의 구동 수단(105)에 의해 가변 감속기(106)를 통해 회전됨으로써,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여과포(101)를 주행시킨다. 또한, 여과 수단(104)에 있어서 피처리물(P)은, 수평부(101A)에 있어서 여과포(101)를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트레이에 의해 액분이 여과포(101)를 통해 흡인되어 여과된다. 그리고, 이 여과 수단(104)보다도 주행 방향 F측에, 도 8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향 T를 향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분리롤(107)의 외주에, 무단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를, 여과 수단(104)에 의해 여과된 피처리물(P)을 사이에 끼워 넣게 중첩되도록 감겨지면서 회전 방향 T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분리 여과포(101, 108)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과 장치에 있어서 롤(102) 중의 구동롤(102A)을 분리롤(107)로 하고, 또한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중 하나를, 여과 장치의 여과포(101)가 그대로 이 분리롤(107)에 감겨진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분리롤(107)[구동롤(102A)]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원통면 부분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분리롤(107)의 중심 축선 방향에서 여과포(101)의 폭의 범위보다도 내측에, 또한 둘레 방향으로는 분리롤(107)의 전체 둘레에 걸쳐, 다수의 관통 구멍(109)이 개구되어 있다. 한편, 분리롤(107)의 내부에는, 이들 관통 구멍(109)에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통기 가스 챔버(110)가, 중심 축선 방향으로는 관통 구멍(109)이 형성된 범위와 대략 동일한 범위이며, 또한 둘레 방향으로는 분리롤(107)의 전체 둘레에 걸쳐 이 분리롤(107)의 내부를 대략 등간격으로 호상(弧狀)으로 구획하도록 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분리롤(107)의 내부에는, 중심 축선 방향 일단측(도 10에서의 우측)으로부터 통기 가스 챔버(110)와 같은 수의 통기 배관(111)이 삽입 관통되어 있고, 각각 각 통기 가스 챔버(110)와 접속되어 있다. 각 통기 배관(111)에 공급된 에어(압축 공기)나 스팀 등의 통기 가스(A)가, 이 통기 가스 챔버(110)를 통해 관통 구멍(109)으로부터 분리롤(107)의 외주로 분출하여 통기된다. 또한, 통기 가스(A)는,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로터리 조인트 또는 다단 회전 이음부(112)를 통해, 회전하는 분리롤(107)에 고정된 통기 배관(111)에 공급된다.
이 로터리 조인트(112)에 접속된 분리롤(107)측의 통기 가스 분기 챔버(112A)와 각 통기 배관(111) 사이에는, 각 통기 배관(111)마다 자동 밸브(11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 자동 밸브(113)의 개폐 조작은, 분리롤(107)에 부착되어 각 통기 가스 챔버(110)의 회전 위치에 따라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113A)에 의해, 통기 가스 분기 챔버(112A)로부터의 통기 가스(A)가 신호 가스로서 공급 배관(113B)을 통해 이 자동 밸브(113)에 공급 또는 비공급의 상태가 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제어되는 자동 밸브(113)에 의해, 동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롤(107)의 둘레 방향으로 분리 여과포(101, 108)가 감겨진 범위에 있는 통기 가스 챔버(110) 중,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가스 챔버(110)에만, 통기 가스(A)가, 분리롤(107)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환되면서 연속해서 공급된다. 즉, 통기 가스 챔버(110)가 이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자동 밸브(113)가 개방되어 항상 통기 가스(A)가 통기 가스 챔버(110)에 공급되고 관통 구멍(109)으로부터 분출되는 한편, 이 소정의 회전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는, 자동 밸브(113)가 폐쇄되어 통기가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한편,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중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는, 여과포(하나의 분리 여과포)(101)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고, 분리롤(107)의 외주에 있어서는 여과포(101)의 외측에 감겨져 분리롤(107)[구동롤(102A)]의 회전 방향 T를 향하여 여과포(101)와 일체적으로 주행 방향 F와 동일한 주행 방향 G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주행 방향 G에서 분리롤(107)의 다음에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가 감겨지는 롤(102B)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과포(101)가 감겨진 롤(102)과 공통으로 하고 있고, 이 롤(102B)로부터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는 하방을 향하여 여과포(101)와 반대측으로 인출되어 이격되며, 복수의 롤(114)에 감겨져 다시 분리롤(107)의 외주에 이르도록 무단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가 중첩되도록 감겨진 분리롤(107)의 외주에는,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의 외주에 압착 벨트(115)가 감겨져 있고, 이 압착 벨트(115)도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와 함께 분리롤(107)의 외주에서는 그 회전 방향 T를 따라 주행 방향 F, G와 동일한 주행 방향 H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압착 벨트(115)는, 분리 여과포(101, 108)와 동일한 여과포, 또는 철망이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벨트, 또는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카본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지는 수지 벨트, 또는 고무 벨트에 의해 구성되고, 단 그 통기도는 분리 여과포(101, 108)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 압착 벨트(115)는, 동 실시형태에서 분리 여과포(101, 108)보다는 폭이 넓게 되어 있고, 그 폭 방향의 양단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 여과포(101, 108)의 폭 방향의 양단을 각각 넘어 분리 여과포(101, 108)에 덧씌워지도록 분리롤(107)에 감겨져 있다. 단, 압착 벨트(115)의 가로폭은,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는 피처리물(P)인 케이크 폭보다도 넓으면, 분리 여과포(101, 108)보다도 폭이 넓어야 할 필요는 없고, 즉 분리 여과포(101, 108)와 대략 동일한 폭이거나, 이것보다 좁은 폭으로 해도 된다. 또한, 주행 방향 H에서 분리롤(107)의 다음에 압착 벨트(115)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가 감겨진 공통의 롤(102B)에 감겨지고, 이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롤(107)과 롤(114)에 감겨진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와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롤(116)에 순차적으로 감겨진 후, 분리롤(107)에 이르기 직전에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가 감겨지는 롤(114A)에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와 함께 감겨지고, 다시 분리롤(107)의 외주에 이르도록 무단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이 압착 벨트(115)가 감겨지는 롤(102A, 114A, 116)은, 분리 여과포(101, 108)만이 감겨지는 다른 롤(102, 114)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고, 분리롤(107)보다는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롤(116) 중 하나는, 지지축(117A)을 중심으로 실린더 장치(117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 압착 벨트 긴장 장치(117)의 아암(117C)에 부착되어 있고, 이렇게 해서 아암(117C)을 회동시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함으로써, 압착 벨트(115)에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롤(116) 중 다른 하나는, 그 적어도 일단이, 역시 실린더 장치(118A)에 의해 압착 벨트(115)의 주행 방향 H를 향하여 진퇴하는 압착 벨트 사행(蛇行) 수정 장치(118)의 브래킷(118B)에 부착되어 있고, 이렇게 해서 브래킷(118B)을 주행 방향 H로 진퇴시켜 이 주행 방향 H에 대한 이 롤(116)의 기울기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압착 벨트(115)의 주행에 사행이 발생했을 때에는, 이것을 수정하도록 되어 있다. 단, 이들 롤(116)을 비롯하여, 본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장치에서의, 구동롤(102A)[분리롤(107)] 이외의 모든 롤(102, 114, 116)은, 구동 수단에 연결되지 않는 종동롤로 되어 있다.
압착 벨트(115)의 주행 경로에는 압착 벨트 세정 장치(119)가,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의 주행 경로에는 분리 여과포 세정 장치(120)가 각각 마련되고, 하나의 분리 여과포(101)의 주행 경로에도 도시되지 않은 세정 장치가 마련되며, 또한 고액 분리 장치의 바닥부에는 수용 접시(1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롤(102B)의 하방에는, 이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해 고액 분리된 피처리물(P)의 케이크를 배출하는 배출구(122)가 마련되고, 이 롤(102B)로부터 각각 그 주행 방향 F를 향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져 가는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에 대해서는, 피처리물(P)과 접하고 있던 면에 접하도록 스크레이퍼(123)나 와이어 등이 배치된다. 또한, 분리롤(107)에 분리 여과포(101, 108) 및 압착 벨트(115)가 감겨진 부분의 외주측에는, 단면 원호 형상의 회수판(124)이 압착 벨트(115)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통기에 의해 분리된 액분을 회수하여 수용 접시(121)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 이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여과 장치 및 이 고액 분리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고액 분리 방법의 제2 실시형태에서, 여과 장치의 여과 수단(104)에 의해 여과된 피처리물(P)은, 이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107)의 외주에서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그 외주에 압착 벨트(115)가 높은 장력으로 감겨짐으로써, 분리롤(107)의 직경 방향 내주측에서 압박력을 받아 압착된다. 따라서, 이 고액 분리 장치에 의한 피처리물(P)의 고액 분리 공정의 후단에 건조 공정이 있는 경우라도, 이 건조 공정에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피처리물(P)을 끼워 넣어 분리롤(107)에 감겨진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는, 피처리물(P)의 두께분만큼 분리롤(10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다. 또한, 하나의 분리 여과포(101)가 분리롤(107)[구동롤(102A)]에 직접 감겨져 주행되는 데 비하여,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와 압착 벨트(115)는 하나의 분리 여과포(101)와 피처리물(P)을 통해 종동적으로 주행된다. 이 때문에, 분리롤(107)의 외주에서는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에 주속차가 발생하고, 이 주속차에 의해 피처리물(P)에는, 이것을 둘레 방향으로 전단하려고 하는 전단력이 작용하며, 이 전단력과 압박력에 의해 피처리물(P)은 효율적으로 압착된다.
분리롤(107)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가 감겨진 범위 중의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통기 배관(111)으로부터 통기 가스 챔버(110)를 통해 통기 가스(A)가 관통 구멍(109)으로부터 분출하고 분리 여과포(101), 피처리물(P), 분리 여과포(108) 및 압착 벨트(115)를 통하여 분리롤(107)의 직경 방향 외주측으로 통기된다. 따라서, 피처리물(P)로부터 압착된 액분은, 이 통기 가스(A)와 함께 분리 여과포(108) 및 압착 벨트(115)를 통해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되고, 회수판(124)에 적하되어 회수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충분한 고액 분리가 곤란하였던 피처리물(P)에 대해서도 충분한 함액률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해서 통기 가스(A)를 분출시켜 피처리물(P)로부터의 액분의 분리를 행해도, 분리롤(107)에 감겨진 외주측의 다른 하나의 분리 여과포(108)의 외주에는, 압착 벨트(115)가 감겨져 이 분리 여과포(108)와 함께 피처리물(P)을 밀어붙이고 있다. 그 때문에, 가령 탈액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통기 가스(A)의 압력을 크게 해도, 분리 여과포(101, 108)가 부상하여 압력 유체[통기 가스(A)]의 분산이 발생하거나, 또는 분리 여과포(101, 108)의 폭 방향 양단이나 주행 방향 F, G의 전후로부터 케이크가 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가스(A)에 의해 확실하게 액분을 제거할 수 있어 탈액 효과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동 실시형태의 고액 여과 장치에서는, 분리롤(107)의 내부에 복수의 통기 가스 챔버(110)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들 통기 가스 챔버(110)에 접속되어 통기 가스(A)를 공급하는 통기 배관(111)에는 자동 밸브(113)가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 여과포(101, 108)가 감겨진 범위에 있는 통기 가스 챔버(110) 중, 또한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통기 가스 챔버(110)에만, 통기 가스(A)가 연속해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피처리물(P)의 탈액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서 통기가 행해져 통기 가스(A)의 공급량이나 공급을 위한 동력, 운전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리 여과포(101, 108)의 주행 방향 F, G의 전후에서의 분리 여과포(101, 108)의 부상이나 케이크의 분출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탈액에 관여하는 부분에서는, 분리롤(107)의 회전에 따라 자동 밸브(113)의 개폐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면서, 통기 가스 챔버(110)의 회전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통기 가스(A)가 분출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층 효율적인 액분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통기 가스(A)에 의한 분리 여과포(101, 108)의 부상이나 케이크의 분출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리롤(107)에 감겨지는 압착 벨트(115)의 면압을, 이 분리롤(107)의 직경 방향으로 통기하는 통기 가스(A)의 압력(통기 가스압)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통기 가스압이 0.4 ㎫인 경우에는, 압착 벨트(115)의 면압을 0.5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구성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전술한 압착 벨트 긴장 장치(117)에 의해 압착 벨트(115)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이 면압도 소정의 크기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압착 벨트(115)의 통기도가 분리 여과포(101, 108)의 통기도보다 높게 되어 있어, 통기에 의해 피처리물(P)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신속히 배출하여 회수판(124)을 통해 수용 접시(121)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여과 수단(104)에 대하여 여과포(101)의 주행 방향 F측에 구비한 본 실시형태의 여과 장치에서는, 이 여과포(101)를 고액 분리 장치에서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중 하나로 하고, 분리롤(107)을 여과 장치의 복수의 롤(102)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여과 수단(104)에 의해 여과된 여과포(101) 상의 피처리물(P)을, 그대로 여과포(101)의 주행에 의해 고액 분리 장치에 공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여과 장치의 여과 수단(104)에 의해 여과한 피처리물(P)을 이 여과 장치로부터 일단 회수하여, 이것과는 별도의 원심 분리기나 필터 프레스 등의 2차 탈수 장치에 의해 탈수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예컨대 기설된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 등의 여과 장치에도, 다소의 개조를 가하는 정도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액분이 분리된 피처리물(P)을 후단의 건조 장치에서 건조시키는 경우라도, 이 건조 장치에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단의 건조 장치에 제품을 반송할 때에도, 벨트 컨베이어나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반송 기기에 액분이 많은 피처리물(P)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트러블 등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포(101)의 주행과 함께 회전하는 분리롤(107)의 외주에 있어서 피처리물(P)의 탈수가 행해지기 때문에, 여과 장치에서의 이 여과포(101)의 주행이 연속적인 것이어도, 간헐적인 것이어도, 압박력과 전단력과 통기에 의해 효율적인 탈수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롤(107)이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되어 여과포(101)가 주행하는 경우는 물론, 예컨대 여과포(101)를 클램프하여 소정의 스트로크로 주행 방향 F로 간헐 이동시킴으로써 주행시키는 수평식 진공 여과 장치에도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동 실시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에서는, 분리롤(107)에 감겨진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의 외주에 압착 벨트(115)가 감겨져 밀어붙여짐으로써, 여과포(101)를 분리롤(107) 외주에 강하게 밀착시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령 통기에 의해 이 마찰력이 저하되어도, 분리롤(107)과 분리 여과포(101) 사이에 미끄러짐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일체적으로 분리롤(107)을 회전 방향 T로 회전시키고 여과포(101)를 안정적으로 주행 방향 F로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액 분리 장치를 구비한 여과 장치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분리롤(107)을 이 여과 장치에서의 여과포(101)의 구동롤(102A)로 할 수 있는 것과, 한 쌍의 분리 여과포(101, 108) 중 하나를 여과 장치의 여과포(101)와 공용하는 것이 어우러져, 설비 비용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동롤(102A)은, 여과포(101)를 확실하게 주행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직경을 필요하게 되고, 분리롤(107)도, 그 내부에 통기 가스 챔버(110)가 형성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직경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을 공용함으로써 다른 롤(102, 114, 116)은, 이 구동롤(102A)이나 분리롤(107)보다도 소직경으로 할 수 있어, 한층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고액 분리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은, 여과 장치의 2차 탈수 기구로서 이용하여, 피처리물의 함액률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연속적인 고액 분리를 할 수 있다.
1: 여과포(분리 여과포)
2, 10: 롤
2A: 구동롤
2B: 분리롤
3: 공급 수단
4: 여과 수단
5: 분리 여과포
9: 통기 챔버
12: 흡인 수단
13: 긁어내기 수단
101: 여과포(분리 여과포)
102, 114, 116: 롤
102A: 구동롤
103: 공급 수단
104: 여과 수단
107: 분리롤
108: 분리 여과포
109: 관통 구멍
110: 통기 챔버
111: 통기 배관
113: 자동 밸브
115: 압착 벨트
117: 압착 벨트 긴장 장치
A: 통기 가스(에어)
P: 피처리물
F: 여과포(1), 여과포(101)의 주행 방향
G: 분리 여과포(108)의 주행 방향
H: 압착 벨트(115)의 주행 방향
T: 분리롤(107)의 회전 방향

Claims (13)

  1.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분리롤; 및
    이 분리롤의 외주에 중첩되도록 감겨지고,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무단(無端)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
    를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된 피처리물이,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서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져 압착(壓搾)되고, 상기 각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이 탈수되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의 내측에 복수의 통기 챔버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가 감겨진 범위 중, 둘레 방향에서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형성된 상기 각 관통 구멍만을 통해 통기되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이 외측의 분리 여과포로부터 제거하는 액분 제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롤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되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 제거 수단은, 상기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면 상의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긁어내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 제거 수단은, 상기 피처리물로부터 분리된 액분을 흡인하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감겨지고,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와 함께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압착 벨트를 더 구비한 고액 분리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및 상기 압착 벨트에 의해 압착되는 것인 고액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벨트는, 상기 분리 여과포보다도 통기도가 높은 것인 고액 분리 장치.
  9. 복수의 롤;
    이들 복수의 롤에 감겨져 주행하는 여과포;
    이 여과포 상에 피처리물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
    이 공급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여과 수단; 및
    이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배치된 제1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고액 분리 장치;
    를 구비한 상기 피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롤 중 상기 여과 수단보다도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측에 위치하는 롤이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분리롤이고, 상기 여과포가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여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 장치의 분리롤이, 상기 여과포를 주행시키는 구동롤인 것인 여과 장치.
  11.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분리롤의 외주에, 무단 형상의 한 쌍의 분리 여과포를 중첩되도록 감고,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며,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공급한 피처리물을,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서 이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사이에 끼워 압착하고, 상기 각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함으로써 탈수하는 것인 고액 분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압착 벨트를 감고, 이들 한 쌍의 분리 여과포와 상기 압착 벨트를 상기 분리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주행시켜,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및 상기 압착 벨트에 의해 압착하는 것인 고액 분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한 쌍의 분리 여과포 중 외측의 분리 여과포의 외주에 감겨진 상기 압착 벨트의 면압이,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통기하는 통기 가스압보다도 큰 것인 고액 분리 방법.
KR1020107017681A 2008-03-25 2009-03-09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KR10119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8286 2008-03-25
JP2008078286 2008-03-25
JPJP-P-2008-266484 2008-10-15
JP2008266484A JP4381461B2 (ja) 2008-03-25 2008-10-15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2008278408A JP4381462B1 (ja) 2008-10-29 2008-10-29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JP-P-2008-278408 2008-10-29
PCT/JP2009/054449 WO2009119295A1 (ja) 2008-03-25 2009-03-09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674A true KR20100103674A (ko) 2010-09-27
KR101192081B1 KR101192081B1 (ko) 2012-10-17

Family

ID=4300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681A KR101192081B1 (ko) 2008-03-25 2009-03-09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63482B2 (ko)
KR (1) KR101192081B1 (ko)
CN (1) CN101925388B (ko)
TW (1) TWI36648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9482A (zh) * 2019-04-28 2019-06-28 北京国电龙源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提高真空皮带脱水机脱水效率的装置及安装方法
KR20200072284A (ko)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광물 탄산화 고액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7154B2 (en) * 2008-10-01 2012-08-21 Ze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toner
US8470183B2 (en) 2009-11-05 2013-06-25 Dari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sand from raw slurry material
US8926846B2 (en) 2009-11-05 2015-01-06 Dari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particulate from raw slurry material
KR102304049B1 (ko) * 2014-01-10 2021-09-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미분 슬러리의 고액 분리·건조 설비 및 그 방법
US10603611B2 (en) 2014-05-30 2020-03-31 Daritech, Inc.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for rotary screen separators
US10603675B2 (en) 2014-11-02 2020-03-31 Dari-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particulate from raw slurry material
KR101613471B1 (ko) * 2015-07-29 2016-04-20 주식회사 이앤에프 벨트 프레스용 롤러
JP7193326B2 (ja) * 2018-12-07 2022-12-20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および濾過装置
CN112999768A (zh) * 2021-04-09 2021-06-22 谭卫成 一种等离子烟气脱硫脱硝除尘一体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4006A (de) * 1972-04-07 1974-09-13 Heimerdinger & Staebler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photografischem entwicklungsgut.
JPS54106965A (en) 1978-02-08 1979-08-22 Saburou Sugawara Double filter cloth movement drum type filter
JPS54157383A (en) 1978-06-01 1979-12-12 Fuji Machine Mfg Cake pressurizing device in cake exfoliation preventive device of vacuum hydroextractor
JPS56124410A (en) 1980-03-06 1981-09-30 Ichikawa Keori Kk Dehydrator for sludge
JPS56147996A (en) 1980-04-18 1981-11-17 Tlv Co Ltd Transportation case serving for insulating valve
DE3105171C2 (de) 1981-02-13 1983-03-17 Kleinewefers Gmbh, 4150 Krefeld Schleppwalze zur Druckbehandlung von Warenbahnen
JPS57135016A (en) 1981-02-13 1982-08-20 Sueo Matsuo S-shaped filtering and dehydrating apparatus
JPS58181397A (ja) 1982-04-16 1983-10-24 Sony Corp スピ−カ保護回路
JPS58184275A (ja) 1982-04-19 1983-10-27 Sanyo Kinzoku Kk 自動車の古バツテリ−内の充填物自動脱離装置
JPS6039191A (ja) 1983-08-11 1985-02-28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Ζn−Fe−Co合金めつき鋼板
JPS6089990U (ja) 1983-11-24 1985-06-20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圧脱水機の濾過板
JPS6089991U (ja) 1983-11-29 1985-06-20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圧脱水機の濾過板
JPS621421A (ja) 1986-03-28 1987-01-07 Kubota Ltd 汚泥脱水装置
JPS63134013A (ja) 1986-11-26 1988-06-06 Ishigaki Kiko Kk 多段転着ロ−ル装置
FR2621496B1 (fr) 1987-10-07 1991-11-08 Gaudfrin Guy Filtre-presse a toiles filtrantes sans fin
JPH0344245A (ja) 1989-07-12 1991-02-26 Toshiba Corp しきい値設定装置
JP2876902B2 (ja) 1992-06-24 1999-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H078326B2 (ja) 1992-08-10 1995-02-01 山本工業株式会社 回転ドラム式脱水装置
JPH06297366A (ja) 1993-04-16 1994-10-25 Hitachi Ltd 産業用ロボット
JPH0783117A (ja) 1993-09-13 1995-03-28 Mitsubishi Heavy Ind Ltd Lng移送装置
US5456832A (en) * 1993-12-28 1995-10-10 Komline-Sanderson Engineering Corp. Apparatus for preparing a material for high pressure deliquification
US5700356A (en) * 1996-01-19 1997-12-23 Lefkowitz; Leonard R. Air permeable belt for dewatering web in press nip
JP3044245B2 (ja) 1996-10-28 2000-05-22 紀夫 渡辺 広告表示板照明装置
JPH11170093A (ja) * 1997-12-12 1999-06-29 Ebara Corp 汚泥脱水装置
ES2304941T3 (es) * 2000-02-03 2008-11-01 Salsnes Filter As Dispositivo depurador de aguas residuales.
TW553758B (en) 2002-12-25 2003-09-21 Ishigaki Corp Filter press
JP4597827B2 (ja) 2005-03-25 2010-12-15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522932B2 (ja) 2005-09-20 2010-08-11 月島機械株式会社 固液分離方法
JP5415783B2 (ja) 2009-02-27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84A (ko)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광물 탄산화 고액분리 장치
CN109939482A (zh) * 2019-04-28 2019-06-28 北京国电龙源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提高真空皮带脱水机脱水效率的装置及安装方法
CN109939482B (zh) * 2019-04-28 2023-08-29 国能龙源环保有限公司 一种提高真空皮带脱水机脱水效率的装置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6480B (en) 2012-06-21
CN101925388B (zh) 2013-03-06
US8663482B2 (en) 2014-03-04
US20110036769A1 (en) 2011-02-17
CN101925388A (zh) 2010-12-22
KR101192081B1 (ko) 2012-10-17
TW200946202A (en) 200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081B1 (ko)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JP4381462B1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970010548B1 (ko) 스크류 프레스
US62419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JP2014018767A (ja) ろ過方法及びろ過装置
KR100481628B1 (ko) 회전식 압축 여과기
JP6109587B2 (ja) 汚泥脱水システム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WO2009119295A1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597827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739401B2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381461B2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4677484B2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102197323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KR101613471B1 (ko) 벨트 프레스용 롤러
KR100880947B1 (ko) 필터의 연속 자동 세정이 가능한 원심식 고형물 탈수장치
JP5108163B1 (ja) ろ過方法及びろ過装置
KR20070081993A (ko)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KR101807199B1 (ko) 슬러지 처리장치
JP4493030B2 (ja) ろ過装置
EP3711838A1 (en)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and filtration device
KR102074689B1 (ko) 벨트프레스의 슬러지 탈수장치
US20190375178A1 (en) Device for continuously pressing liquid out of a suspension
KR200212022Y1 (ko) 협잡물 처리용 고액체 분리기
CN108721984B (zh) 一种立式悬吊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