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993A -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993A
KR20070081993A KR1020060025119A KR20060025119A KR20070081993A KR 20070081993 A KR20070081993 A KR 20070081993A KR 1020060025119 A KR1020060025119 A KR 1020060025119A KR 20060025119 A KR20060025119 A KR 20060025119A KR 20070081993 A KR20070081993 A KR 2007008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drum
sludge
dehydration
cater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카와타 엠에프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타 엠에프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와타 엠에프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탈수 도중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오니(55)를 탈수하는 제1 탈수부(13)와, 제1 탈수부(1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제1 탈수부(13)에 의해 탈수된 오니(55)를 탈수하는 제2 탈수부(14)를 구비하고, 제1 탈수부(13)로 오니(55)를 반송하는 제1 여과포(32)와, 제1 여과포(3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우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양극판(22)과, 제1 여과포(3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좌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캐터필러(29)를 설치하고, 제2 탈수부(14)로 오니(55)를 반송하는 제2 여과포(52)와, 제2 여과포(5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좌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양극판(42)과, 제2 여과포(5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우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캐터필러(49)를 설치한다.
오니, 탈수부, 여과포, 양극판, 캐터필러

Description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ELECTROOSMOTIC DEHYDRATOR}
도1은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제1 탈수부의 상부의 확대 정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제2 탈수부의 상부의 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2 : 공급부
3 : 탈수 유닛
4 : 배출부
5 : 호퍼부
6 : 컨베이어부
7 : 호퍼 공급구
8 : 공급 구동 롤러
9 : 공급 종동 롤러
10 : 무단 벨트
11 : 게이트
12, 62 : 스크레이퍼
13, 14 : 탈수부
15, 35 : 드럼부
16, 36 : 캐터필러부
17, 37 : 여과포부
18, 38 : 회전부
19, 39 : 전극부
20, 40 : 드럼축
21, 41 : 드럼
22, 42 : 양극판
23, 43 : 음극판
24, 44 : 절연판
25, 45 : 모터
26, 46 : 구동 기어
27, 47 : 종동 기어
28, 48 : 캐터필러 체인
29, 49 : 캐터필러
30, 50 : 스퀴지
31, 51 : 종동 롤
32, 52 : 여과포
33 : 중계판
34 : 케이싱
53 : 배출판
54 : 오니 수용기
55 : 오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219050호 공보 참조
본 발명은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수 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니(슬러지)를 탈수 처리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로서, 전기장의 작용에 의해 오니 중의 물을 탈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양극(+)에 인가된 드럼과, 드럼과 일정 공간부를 두고 설치되어 음극(-)에 인가된 캐터필러와, 드럼과 캐터필러 사이에 슬러지의 이송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2개의 여과포 벨트를 구비하는 전기 침투 탈수기이며, 슬러지는 2개의 여과포 벨트 사이로 유입되어 드럼에 수반하여 이송되고, 드럼으로부터 캐터필러를 향해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슬러지 중의 수분이 드럼[양극(+)]측으로부터 캐터필러[음극(-)]측으로 이동하여 탈수되는 전기 침투 탈수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5-21905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2005-219050호 공보에 기재되는 전기 침투 탈수기에서는 슬러지 중의 수분이 양극측으로부터 음극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탈수가 어느 정도 진행된 슬러지에서는 양극측 근방의 함수율이 음극측 근방의 함수율보다 저하되므로, 슬러지에 있어서의 함수율이 불균일해진다. 그로 인해, 통전되는 전류량이 저하되어 탈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탈수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때에 양극과 음극을 서로 반전하는 것, 즉 드럼을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절환하고, 캐터필러를 음극으로부터 양극으로 절환함으로써 슬러지 중의 수분을 드럼측(음극측)으로 이동시키고, 일단 함수율이 저하된 드럼측 근방의 슬러지의 함수율을 높여 통전되는 전류량 및 탈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검토된다.
그러나, 탈수 도중에 전기 침투 탈수기의 양극 및 음극을 반전하면 탈수된 물이 드럼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회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탈수 도중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는 탈수 대상물을 탈수하는 제1 탈수부와, 상기 제1 탈수부에 대한 탈수 대상물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탈수 대상물을 탈수하는 제2 탈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을 반송하는 제1 반송 띠와,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양극 부재와,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음극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을 반송하는 제2 반송 띠와,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양극 부재와,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음극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 따르면,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양극 부재로부터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1 음극 부재를 향해 전압이 인가되므로 탈수 대상물에는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통전되고, 탈수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의 일방측의 함수율이 타방측의 함수율보다 저하된다.
한편, 제2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양극 부재로부터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2 음극 부재를 향해 전압이 인가되므로 탈수 대상물에는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통전되고, 탈수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에서는 제1 탈수부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지 않은 탈수 대상물의 타방측의 수분을, 제 1 탈수부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는 일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탈수부와 제2 탈수부에서 탈수 대상물의 함수율을 평균화할 수 있고, 탈수 도중에 있어서 탈수 대상물에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 따르면, 탈수 대상물에 대해 일방측 및 타방측의 극성이 제1 탈수부로부터 제2 탈수부로 반송되었을 때에 반전(역전)하므로, 탈수 도중에 전극 자체를 조작하여 서로 극성을 반전시킬 필요가 없어, 장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 간이한 조작으로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상기 제1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압박 수단과,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탈수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띠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서 상기 제1 반송 수단에 대해 탈수 대상물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박 수단과,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탈수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띠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서, 상기 제2 반송 수단에 대해 탈수 대상물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 따르면,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압박 수단이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통전되는 탈수 대상물을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 즉 통전 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압박한다. 그 로 인해, 제1 탈수부에 있어서의 통전과 압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탈수 대상물을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압박 수단이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통전되는 탈수 대상물을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 즉 통전 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압박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에 있어서의 통전과 압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탈수 대상물을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수부에서는 제1 압박 수단이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탈수 대상물을 압박하므로, 탈수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의 일방측의 함수율이 타방측의 함수율보다 저하된다.
한편, 제2 탈수부에서는 제2 압박 수단이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으로 탈수 대상물을 압박하므로, 탈수 대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에서는 제1 탈수부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지 않은 탈수 대상물의 타방측의 수분을 제1 탈수부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는 일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탈수부의 제1 압박 수단과 제2 탈수부의 제2 압박 수단으로 탈수 대상물의 함수율을 평균화시키면서 탈수할 수 있고, 탈수 도중에 있어서 탈수 대상물에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은 그 축 선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드럼이고, 상기 제1 드럼은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상단부 영역 및 제1 하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이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이 상기 제1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 영역을 향해 반송되고, 상기 제2 압박 수단은 그 축선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드럼이고, 상기 제2 드럼은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상단부 영역 및 제2 하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이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2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이 상기 제2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하단부 영역을 향해 반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은 제1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제1 하단부 영역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탈수되고, 제1 하단부 영역에 도달하면 함수율이 저하되어 그 용적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1 하단부 영역에서는 제1 드럼과 탈수 대상물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 탈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제1 드럼의 자중이 수직 방향 하방을 향해 작용하므로, 제1 하단부 영역에 있어서 그와 같은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제1 드럼이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탈수 대상물을 통전시켜 압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탈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은 제2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제2 하단부 영역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탈수되고, 제2 하단부 영역에 도달하면 함수율이 저 하되어 그 용적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2 하단부 영역에서는 제2 드럼과 탈수 대상물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 탈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제2 드럼의 자중이 수직 방향 하방을 향해 작용하므로, 제2 하단부 영역에 있어서 그와 같은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제2 드럼이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탈수 대상물을 통전시켜 압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탈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가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보다도 빠른 것이 적합하다.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에서는, 제1 탈수부에 공급되는 탈수 대상물은 아직 탈수되어 있지 않고, 비교적 높은 함수율을 가지므로 탈수되기 쉽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에 있어서 제1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1 반송 띠에 의한 탈수 대상물의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탈수 대상물을 시간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다.
한편, 제2 탈수부에 공급되는 탈수 대상물은 이미 제1 탈수부에 의해 탈수되어 있고, 비교적 낮은 함수율을 가지므로 탈수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에 있어서,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 제2 반송 띠에 의한 탈수 대상물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탈수 대상물을 시간을 들여 확실하게 탈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제1 탈수부의 상부의 확대 정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의 제2 탈수부의 상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지면(紙面) 우측을「우측」, 지면 좌측을「좌측」, 지면 상측을「상측」, 지면 하측을「하측」, 지면 전방측을「전방측」, 지면 내측을「내측」이라 한다. 또한, 도2 및 도3에 있어서 오니(55)는 생략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는 공급부(2)와, 탈수 유닛(3)과, 배출부(4)와, 이들을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34)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부(2)는 케이싱(34)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고, 호퍼부(5)와, 컨베이어부(6)와, 도시하지 않은 공급 모터와, 게이트(11)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부(5)는 탈수 대상물로서의 오니(55)를 일시 저류하여 컨베이어부(6)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이 호퍼부(5)에는 그 하측에 호퍼 공급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호퍼부(5)는 저류하는 오니(55)를 호퍼 공급구(7)로부터 컨베이어부(6)에 공급하고 있다.
컨베이어부(6)는 오니(55)를 탈수 유닛(3)으로 반송하기 위한 것이며, 호퍼(5)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공급 구동 롤러(8)와, 공급 구동 롤러(8)의 우측 경사 상측에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공급 종동 롤러(9)와, 공급 구동 롤러(8) 및 공급 종동 롤러(9)에 권취되어 있는 무단 벨트(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부(6)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 모터가 공급 구동 롤러(8)에 구동력을 입력함으로써 공급 구동 롤러(8)가 회전 구동되고, 무단 벨트(10)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공급 종동 롤러(9)는 공급 구동 롤러(8)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된다.
게이트(11)는 공급 구동 롤러(8)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11)는 무단 벨트(10)에 부착된 오니(5)가 긁혀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11)에는 게이트(11)에 있어서의 오니(55)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하, 오니(55)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하류측」, 오니(55)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상류측」이라 함]이고, 후술하는 제1 드럼(21)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제1 스크레이퍼(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크레이퍼(12)는 컨베이어부(6)로부터 반송되어, 무단 벨트(10)에 있어서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오니(55)가 제1 드럼(21) 상에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미 탈수되어 제1 드럼(21)에 잔존하여 부착되는 오니(55)가 긁혀 떨어지고 있다.
그리고, 공급부(2)에 있어서, 오니(55)는 호퍼부(5)의 호퍼 공급구(7)로부터 공급되어 컨베이어부(6)의 무단 벨트(10) 상에 적재되면, 도시하지 않은 공급 모터에 의해 공급 구동 롤러(8)가 회전 구동되고, 무단 벨트(10)가 주위 방향으로 회전되어 무단 벨트(10)의 하류측 단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오니(55)는 무단 벨트(10)로부터 낙하하고 게이트(11)를 통과하여 탈수 유닛(3)에 공급되고, 다음에 서술하는 탈수 유닛(3)의 제1 드럼부(15)와 제1 캐터필러부(16) 사이로 진입된다. 또한, 무단 벨트(10)에 부착된 오니(55)는 게이트(11)에 의해 긁혀 떨어지고, 제1 드럼부(15)와 제1 캐터필러부(16) 사이로 안내된다.
탈수 유닛(3)은 케이싱(34)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오니(55)를 탈수하는 제1 탈수부(13)와, 제1 탈수부(13)에 의해 탈수된 오니(55)를 더 탈수하는 제2 탈수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탈수부(13)는 탈수 유닛(3)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1 드럼부(15)와, 제1 캐터필러부(16)와, 제1 여과포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럼부(15)는 공급부(2)의 하방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18)와, 제1 회전부(18)에 설치되는 제1 전극부(19)(도2 참조)와, 제1 회전부(18)에 설치되는 제1 스퀴지(3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부(18)는 제1 드럼축(20)과, 제1 압박 수단으로서의 제1 드럼(21)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럼축(20)은 그 축선 방향이 안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에 제1 드럼(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드럼(21)은 원통형을 이루고,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드럼(21)은 공급 구동 롤러(8)의 하측에서, 공급 구동 롤러(8) 사이에서 게이트(11)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럼(21)은 후술하는 제1 반송 띠로서의 제1 여과포(3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 즉 제1 드럼(21)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 (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우측에,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드럼(21)은 제1 상단부 영역(56)과, 제1 하단부 영역(57)과,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이 오니(55)와 접촉한다.
이 제1 드럼부(15)에서는, 후술하는 제1 캐터필러(29)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오니(55)를 제1 드럼(21)측(일방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29)측(타방측)을 향해 압박하고 있다.
제1 전극부(19)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양극 부재로서의 제1 양극판(22)과, 제1 음극판(2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양극판(22)은 제1 드럼(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모서리부에서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에 걸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1 양극판(22)은 그 전극면이 제1 드럼(21)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제1 드럼(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드럼(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음극판(23)은 제1 드럼(2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1 양극판(22)의 축선 방향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1 양극판(22)에 대해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절연판(24)을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1 음극판(23)은 그 전극면이 제1 음극 부재인 제2 압반송 수단으로서의 제1 캐터필러(29)에 있어서의, 제1 드럼(21)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제 1 캐터필러(2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극부(19)에서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축선 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제1 음극판(23)과, 제1 절연판(24)과, 제1 양극판(22)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음극판(23)과 제1 캐터필러(29)의 접속에 의해 제2 캐터필러(49)를 음극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전극부(19)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2)과 제1 음극판(23) 사이에서 전압이 인가되고, 공급부(2)로부터 제1 드럼(21)과 제1 캐터필러(29) 사이로 공급된 오니(55)에 제1 드럼(21)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29)측을 향해 통전하여 전기 침투에 의해 오니(55)를 탈수한다.
제1 스퀴지(3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드럼(21)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최하류측의 제1 종동 기어(27)보다도 더 하류측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제1 드럼(21)의 원주면에 접촉하여 제1 드럼(21)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스퀴지(30)는 이미 탈수되어 제1 드럼(21)에 부착되는 오니(55)와 제1 드럼(21)을 분리하여 박리하고 있다.
제1 캐터필러부(16)는 게이트(11) 및 제1 스퀴지(30)가 배치되는 동안에 있어서 제1 드럼부(15)를 주위 방향을 따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제1 모터(25)와, 제1 구동 기어(26) 및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와, 제1 캐터필러 체인(28)(도2 참조)과, 제1 캐터필러(2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모터(25)는 제1 구동 기어(26)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것이며, 제1 탈수부(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기어(26) 및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는 제1 드럼(2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기어(26)는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에 대해 최상류측에 설치되어 제1 모터(25)와 접속되어 있고, 제1 모터(25)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제1 구동 기어(26)는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의 약간 상류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하류측의 제1 종동 기어(27)는,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의 약간 하류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캐터필러 체인(28)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기어(26)와 최하류측의 제1 종동 기어(27)와의 사이에 권취되고, 제1 구동 기어(26) 및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에 맞물리고, 또한 제1 캐터필러(29)를 거쳐서 제1 드럼(21)의 외주[제1 드럼(21)의 우측을 제외한 원호 영역]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캐터필러(29)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무단 벨트로, 제1 캐터필러 체인(28)의 외주에 인접하여 접합되고,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1 드럼(21)으로부터 돌출되는 대략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캐터필러(29)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여과포(3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 즉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좌측에,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기어(26)가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 및 최하류측의 제1 종동 기어(27)가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의 하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 제1 캐터필러(29)는 제1 드럼(21)의 외주[제1 드럼(21)의 우측을 제외한 원호 영역], 즉 제1 상단부 영역(56)과 제1 하단부 영역(57)과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에 대향하여 제1 캐터필러(29)측으로부터 제1 드럼(21)측을 향해 압박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캐터필러부(16)에서는 제1 모터(25)의 구동력에 의해 제1 구동 기어(26)가 회전 구동되고, 제1 캐터필러 체인(28) 및 제1 캐터필러(29)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는 제1 캐터필러 체인(28)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된다. 그로 인해, 제1 드럼(21)은 제1 캐터필러 체인(28) 및 제1 캐터필러(29)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위 방향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제1 여과포부(17)는 제1 캐터필러부(16)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제1 종동 롤(31)과, 제1 종동 롤(31)에 의해 주위 회전 이동되는 제1 여과포(3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종동 롤(3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구동 기어(26) 및 복수의 제1 종동 기어(27)와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종동 롤(3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하류측의 제1 종동 롤(31)에는, 또한 그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중계판(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계판(33)은 최하류측의 제1 종동 롤(31)로부터 반송되는 오니(55)가 후술하는 제2 탈수부(14)로 안내되고, 후술하는 제2 드럼부(35)와 제2 캐터필러부(36) 사이로 진입되도록 배치된다.
제1 여과포(32)는 오니(55)를 반송하는 무단 시트이며, 부직포 등의 수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포(32)는 제1 캐터필러(29)와 복수의 제1 종동 롤(31) 사이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제1 여과포(32)는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오니(55)에 대한 타방측에, 즉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좌측에,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여과포(32)는 제1 캐터필러(29)에 대해 오니(55)와 동일한 측, 즉 제1 캐터필러(29)에 대한 일방측, 바꾸어 말하면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의 좌측 영역에 있어서는 제1 캐터필러(29)의 우측에,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에 있어서는 제1 캐터필러(29)의 하측에,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는 제1 캐터필러(29)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여과포(32)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에 있어서 오니(55) 및 제1 캐터필러(29)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오니(55)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 (58)에 있어서 제1 드럼(21) 및 제1 여과포(32)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제1 여과포(32)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그 길이가 제1 드럼(21)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여과포부(17)에서는 제1 캐터필러(29)의 회전에 추종하여, 제1 여과포(32)가 그 주위 방향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주위 회전 이동된다[즉, 제1 드럼(2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는 제1 여과포(32)가 제1 드럼(21)을 기준으로 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주위 회전 이동됨]. 또한, 복수의 제1 종동 롤(31)은 제1 여과포(32)의 추종 이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1 여과포부(17)에서는 제1 여과포(32)가 제1 캐터필러(29)의 회전을 기초로 하는 제1 여과포(32)의 주위 회전 이동에 의해, 오니(55)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제1 드럼부(15)의 제1 드럼(21)과 제1 캐터필러부(16)의 제1 캐터필러(29) 사이로 진입되는 오니(55)는, 제1 캐터필러(29)의 회전과 함께 제1 여과포(32)의 주위 회전 이동 및 제1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제1 드럼(21) 및 제1 캐터필러(29)의 대향 부분에 있어서, 제1 드럼(21)과 제1 캐터필러(29) 사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된다.
즉, 제1 드럼(21)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는, 오니(55)는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을 포함하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을 제1 상단부 영역(56)으로부터 제1 하단부 영역(57)을 향해 반송된다.
제1 드럼(21)과 제1 캐터필러(29) 사이로 반송되는 오니(55)는 제1 드럼(21)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29)측을 향해 제1 드럼(21)이 압박하는 압박력을 기초로 하는 기계적인 압착력에 의해 탈수되고, 또한 오니(55)에 대한 제1 양극판(22)으로 부터 제1 캐터필러(29)를 향하는 통전을 기초로 하는 전기 침투에 의해 탈수된다.
오니(55)로부터 탈수된 물은 제1 여과포(32)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수용기에 수취되어 회수된다. 탈수된 오니(55)는 제1 드럼(21)의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의 최하류측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시에, 제1 스퀴지(30)에 의해 제1 드럼(21)과 분리되어 박리되고, 또한 제1 여과포(32)의 최하류측 부분에 도달하여 중계판(33)의 안내에 의해 제2 탈수부(14)에 공급된다.
또한, 제1 드럼(21)에 잔존하여 부착되는 오니(55)는 제1 스크레이퍼(12)에 의해 긁혀 떨어진다.
제2 탈수부(14)는 탈수 유닛(3)의 우측 하부에서 제1 탈수부(13)에 대한 하류측에 설치되고, 제2 드럼부(35)와, 제2 캐터필러부(36)와, 제2 여과포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드럼부(35)는 제1 탈수부(13)의 제1 드럼부(15)의 우측 방향 경사 하방에 설치되고, 제2 회전부(38)와, 제2 회전부(38)에 설치되는 제2 전극부(39)(도3 참조)와, 제2 회전부(38)에 설치되는 제2 스퀴지(50)와, 제2 스크레이퍼(6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회전부(38)는 제2 드럼축(40)과, 제2 압박 수단으로서의 제2 드럼(41)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드럼축(40)은 그 축선 방향(수평 방향)이 안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에 제2 드럼(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드럼(41)은 제1 드럼(21)과 동일 형상 및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드럼(41)은 중계판(33)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드럼(41)은 후술하는 제2 반송 띠로서의 제2 여과포(5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 즉 제2 드럼(41)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의 도중의 우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좌측에,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제2 드럼(41)의 제2 하단부 영역(60)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드럼(41)은 제2 상단부 영역(59)과, 제2 하단부 영역(60)과,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의 도중의 우측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이 오니(55)와 접촉한다.
이 제2 드럼부(35)에서는, 후술하는 제2 캐터필러(49)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오니(55)를 제2 드럼(41)측(타방측)으로부터 제2 캐터필러(49)측(일방측)을 향해 압박하고 있다.
제2 전극부(39)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양극 부재로서의 제2 양극판(42)과, 제2 음극판(43)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양극판(42)은 제2 드럼(4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모서리부에서,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에 걸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2 양극판(42)은 그 전극면이 제2 드럼(41)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제2 드럼(4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2 드럼(41)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음극판(43)은 제2 드럼(4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2 양극판(42)의 축 선 방향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2 양극판(42)에 대해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절연판(44)을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2 음극판(43)은 그 전극면이 제2 음극 부재인 제2 압반송 수단으로서의 제2 캐터필러(49)에 있어서의, 제2 드럼(41)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제2 캐터필러(4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전극부(39)에서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축선 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제2 음극판(43)과, 제2 절연판(44)과, 제2 양극판(42)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음극판(43)과 제2 캐터필러(49)의 접속에 의해 제2 캐터필러(49)를 음극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전극부(39)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양극판(42)과 제2 음극판(43) 사이에서 전압이 인가되고, 제1 탈수부(13)로부터 제2 드럼(41)과 제2 캐터필러(49) 사이에 공급된 오니(55)에 제2 드럼(41)측으로부터 제2 캐터필러(49)측을 향해 통전하여 전기 침투에 의해 오니(55)를 탈수한다.
제2 스퀴지(5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드럼(41)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최하류측의 제2 종동 기어(47)보다도 더 하류측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제2 드럼(41)의 원주면에 접촉하여 제2 드럼(41)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스퀴지(50)는 이미 탈수되어 제2 드럼(41)에 부착되는 오니(55)와 제2 드럼(41)을 분리하여 박리하고 있다.
제2 스크레이퍼(62)는 제2 스퀴지(5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제2 드럼(41)의 원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스크레이퍼(62)는 제2 스퀴지(50)에 의해 오니가 분리되어 박리된 제2 드럼(41)에 아직 박리되지 않고 잔존하여 부착되는 오니(55)가 긁혀 떨어지고 있다.
제2 캐터필러부(36)는 중계판(33) 및 제2 스퀴지(50)가 배치되는 동안에 있어서 제2 드럼부(35)를 주위 방향을 따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제2 모터(45)와, 제2 구동 기어(46) 및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와, 제2 캐터필러 체인(48)(도3 참조)과, 제2 캐터필러(4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모터(45)는 제2 구동 기어(46)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것이며, 제2 탈수부(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 기어(46) 및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는 제2 드럼(4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 기어(46)는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에 대해 최상류측에 설치되어 제2 모터(45)와 접속되어 있고, 제2 모터(45)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동 기어(46)는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의 약간 상류측(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하류측의 제2 종동 기어(47)는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드럼(41)의 제2 하단부 영역(60)의 약간 하류측(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캐터필러 체인(48)은,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 기어(46)와 최하류측의 제2 종동 기어(47) 사이에 권취되고, 제2 구동 기어(46) 및 복 수의 제2 종동 기어(47)에 맞물리고, 또한 제2 캐터필러(49)를 거쳐서 제2 드럼(41)의 외주[제2 드럼(41)의 좌측을 제외한 원호 영역]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캐터필러(49)는 제1 캐터필러(29)와 동일 재료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단 벨트이고, 제2 캐터필러 체인(48)의 외주에 인접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2 캐터필러(49)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여과포(52)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 즉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의 도중의 우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우측에,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제2 드럼(41)의 제2 하단부 영역(60)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2 구동 기어(46)가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 및 최하류측의 제2 종동 기어(47)가 제2 드럼(41)의 제2 하단부 영역(6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 때문에, 이 제2 캐터필러(49)는 제2 드럼(41)의 외주[제2 드럼(41)의 좌측을 제외한 원호 영역], 즉 제2 상단부 영역(59)과 제2 하단부 영역(60)과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의 도중의 우측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에 대향하고, 제2 캐터필러(49)측으로부터 제2 드럼(41)측을 향해 압박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캐터필러부(36)에서는 제2 모터(45)의 구동력에 의해 제2 구동 기어(46)가 회전 구동되고, 제2 캐터필러 체인(48) 및 제2 캐터필러(49)가 주위 방향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는 제2 캐터필러 체인(48)의 회전 구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된다. 그로 인해, 제2 드럼(41)은 제2 캐터필러 체인(48) 및 제2 캐터필러(49)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위 방향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종동 회전한다.
제2 여과포부(37)는 제2 캐터필러부(36)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제2 종동 롤(51)과, 제2 종동 롤(51)에 의해 주위 회전 이동되는 제2 여과포(5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2 종동 롤(5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2 구동 기어(46) 및 복수의 제2 종동 기어(47)와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종동 롤(5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최하류측의 제2 종동 롤(51)에는 하류측에 배출판(53)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판(53)은 최하류측의 제2 종동 롤(51)로부터 반송되는 오니(55)가 배출부(4)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배치된다.
제2 여과포(52)는 오니(55)를 반송하는 무단 시트이며, 제1 여과포(32)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여과포(52)는 제2 캐터필러(49)와 복수의 제2 종동 롤(51) 사이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제2 여과포(52)는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 오니(55)에 대한 일방측에, 즉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의 도중의 우측 영역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우측에,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에 있어서는 오니(55)의 상측에, 제2 드럼(41)의 제2 하단부 영역(60)에 있어서는 오니(55)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여과포(52)는 제2 캐터필러(49)에 대해 오니(55)와 동일측, 즉 제2 캐터필러(49)에 대한 타방측, 바꾸어 말하면 제1 상단부 영역(56) 및 제1 하단부 영역(57)의 도중에 있어서는 제2 캐터필러(49)의 좌측에, 제1 드럼(21)의 제1 상단부 영역(56)에 있어서는 제2 캐터필러(49)의 하측에, 제1 드럼(21)의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는 제2 캐터필러(49)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여과포(52)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에 있어서 오니(55) 및 제2 캐터필러(49)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오니(55)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에 있어서 제2 드럼(41) 및 제2 여과포(52)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제2 여과포(52)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그 길이가 제2 드럼(41)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여과포부(37)에서는 제2 캐터필러(49)의 회전에 추종하여, 제2 여과포(52)가 그 주위 방향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위 회전 이동된다[즉, 제2 드럼(4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는, 제2 여과포(52)가 제2 드럼(41)을 기준으로 하는 시계 방향으로 주위 회전 이동됨]. 또한, 복수의 제2 종동 롤(51)은 제2 여과포(52)의 추종 이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2 여과포부(37)에서는 제2 여과포(52)가 제2 캐터필러(49)의 회전을 기초로 하는 제2 여과포(52)의 주위 회전 이동에 의해 오니(55)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 제2 드럼부(35)의 제2 드럼(41)과 제2 캐터필러부(36)의 제2 캐터필러(49) 사이로 진입되는 오니(55)는 제2 캐터필러(49)의 회전과 함께, 제2 여과포(52)의 주위 회전 이동 및 제2 드럼(41)의 회전에 의해 제2 드럼(41) 및 제2 캐터필러(49)의 대향 부분에 있어서, 제2 드럼(41)과 제2 캐터 필러(49) 사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된다.
즉, 제2 드럼(41)의 원주면 상에 있어서는, 오니(55)는 제2 드럼(41)의 제2 상단부 영역(59) 및 제2 하단부 영역(60)을 포함하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을 제2 상단부 영역(59)으로부터 제2 하단부 영역(60)을 향해 반송된다.
제2 드럼(41)과 제2 캐터필러(49) 사이를 반송되는 오니(55)는 제2 드럼(41)측으로부터 제2 캐터필러(49)측을 향해 제2 드럼(41)이 압박하는 압박력을 기초로 하는 기계적인 압착력에 의해 탈수되고, 또한 오니(55)에 대한 제2 양극판(42)으로부터 제2 캐터필러(49)를 향하는 통전을 기초로 하는 전기 침투에 의해 탈수된다.
오니(55)로부터 탈수된 물은 제2 여과포(52)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수용기에 수취되어 회수된다. 탈수된 오니(55)는 제2 드럼(41)의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의 최하류측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시에, 제2 스퀴지(50)에 의해 제2 드럼(41)과 분리되어 박리되고, 또한 제2 여과포(52)의 최하류측 부분에 도달하여 배출판(53)의 안내에 의해 후술하는 배출부(4)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드럼(41)에 잔존하여 부착되는 오니(55)는 제2 스크레이퍼(62)에 의해 긁혀 떨어진다.
또한,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의 제1 모터(25)의 제1 구동 기어(26)로의 입력 및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의 제2 모터(45)의 제2 구동 기어(46)로의 입력은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가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보다도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캐터필러(29)의 반송 속도(V1)가 100 %인 경우,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가, 예를 들어 4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 로는, 제1 캐터필러(29)의 반송 속도(V1)가, 예를 들어 0.02 내지 0.07 m/s,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 m/s, 제2 캐터필러(49)의 반송 속도(V2)가, 예를 들어 0.008 내지 0.06 m/s,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0.03 m/s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여과포(32)에 의한 오니(55)의 반송 속도(V3)는 제1 여과포(32)가 제1 캐터필러(29)의 회전에 추종하기 때문에,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와 동일한 반송 속도이다. 또한, 제2 여과포(52)에 의한 오니(55)의 반송 속도(V4)는 제2 여과포(52)가 제2 캐터필러(49)의 회전에 추종하기 때문에, 제2 캐터필러(49)의 반송 속도(V2)와 동일한 반송 속도이다.
배출부(4)는 탈수 유닛(3)의 제2 탈수부(14)의 배출판(53)의 수직 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오니 수용기(5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오니 수용기(54)는 트레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부(4)는 탈수 유닛(3)의 제2 탈수부(14)의 배출판(53)으로부터 배출되고, 이미 탈수된 오니(55)를 오니 수용기(54)에 의해 수취하여 일시 저류하고, 적절하게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 의해 오니(55)를 탈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부(2)에 있어서, 호퍼부(5)의 도시하지 않은 호퍼로 저류하는 오니(55)를 호퍼부(5)의 호퍼 공급구(7)로부터 공급시키고, 컨베이어부(6)의 무단 벨트(10) 상에 적재시킨다. 계속해서, 공급 모터의 공급 구동 롤러(8)로의 구동력의 입력을 기초로 하는 공급 구동 롤러(8)의 회전 구동에 의해 미리 무단 벨트(10)를 회전시키고, 적재된 오니(55)를 무단 벨트(10)의 하류측 단부로 반송시킨다. 계속해서, 오니(55)를 무단 벨트(10)로부터 낙하시키고, 게이트(11)를 통과시켜 탈수 유닛(3)으로 공급시킨다.
그 후, 탈수 유닛(3)의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오니(55)를 제1 드럼부(15)와 제1 캐터필러부(16) 사이로 진입시킨다. 오니(55)는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제1 여과포(32)와 제1 드럼(21)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전극부(19)에 있어서의 제1 양극판(22)과 제1 음극판(23) 사이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오니(55)를 제1 드럼(21)측(일방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29)측(타방측)을 향해[즉, 오니(55)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통전시켜 전기 침투에 의해 오니(55)를 탈수한다.
또한, 이 통전에 의한 오니(55)의 탈수와 함께, 이 오니(55)를 제1 드럼(21)이 제1 드럼(21)측(일방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29)측(타방측)을 향해[즉, 오니(55)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압박하여 오니(55)를 탈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오니(55)를 탈수하면서 제1 캐터필러부(16)에 있어서의 제1 모터(25)의 구동력을 기초로 하는 제1 구동 기어(2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오니(55)를 제1 캐터필러(29)의 주위 회전 이동, 제1 여과포(32)의 주위 회전 이동 및 제1 드럼(21)의 회전과 함께, 제1 드럼(21)의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시킨다. 그 후, 제1 탈수부(13)에 의해 탈수된 오니(55)를 제1 드럼(21)의 제1 대략 반원호 영역(58)의 최하류측 부분으로부터 배출시키고, 중계판(33)을 거쳐서 제2 탈수부(14)로 공급시킨다.
그 후, 탈수 유닛(3)의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 오니(55)를 제2 드럼부(35) 와 제2 캐터필러부(36) 사이로 진입시킨다. 오니(55)는 제2 탈수부(33)에 있어서 제2 여과포(52)와 제2 드럼(41)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전극부(39)에 있어서의 제2 양극판(42)과 제2 음극판(43) 사이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오니(55)를 제2 드럼(41)측(타방측)으로부터 제2 캐터필러(49)측(일방측)을 향해[즉, 오니(55)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통전시켜 전기 침투에 의해 오니(55)를 탈수한다.
또한, 이 통전에 의한 오니(55)의 탈수와 함께, 이 오니(55)를 제2 드럼(41)이 제2 드럼(41)측(타방측)으로부터 제1 캐터필러(49)측(일방측)을 향해[즉, 오니(55)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압박하여 오니(55)를 탈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오니(55)를 탈수하면서, 제2 캐터필러부(36)에 있어서의 제2 모터(45)의 구동력을 기초로 하는 제2 구동 기어(4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오니(55)를 제2 캐터필러(49)의 주위 회전 이동, 제2 여과포(52)의 주위 회전 이동 및 제2 드럼(41)의 회전과 함께, 제2 드럼(41)의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반송시킨다. 그 후, 제2 탈수부(33)에 의해 탈수된 오니(55)를 제2 드럼(41)의 제2 대략 반원호 영역(61)의 최하류측 부분으로부터 배출시키고, 배출판(53)을 거쳐서 배출부(4)로 배출시킨다.
그 후, 배출부(4)에 있어서 배출된 오니(55)를 오니 수용기(54)에 의해 수취하여 저류하고, 적절하게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의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 따르면, 제1 탈수부(13)에서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우측)에 배치되는 제1 양극판(22)으로부터 타방측(좌측)에 배치되는 제1 캐터필러(29)를 향해 전압이 인가되므로, 오니(55)에는 일방측(우측) 으로부터 타방측(좌측)을 향해 통전되어 오니(55)에 포함되는 수분이 일방측(우측)으로부터 타방측(좌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13)에서는 오니(55)의 일방측(우측)의 함수율이 타방측(좌측)의 함수율보다 저하된다.
한편, 제2 탈수부(14)에서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좌측)에 배치되는 제2 양극판(42)으로부터 일방측(우측)에 배치되는 제2 캐터필러(49)를 향해 전압이 인가되므로, 오니(55)에는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을 향해 통전되고, 오니(55)에 포함되는 수분이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14)에서는 제1 탈수부(13)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지 않은 오니(55)의 타방측(좌측)의 수분을 제1 탈수부(13)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는 일방측(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탈수부(13)와 제2 탈수부(14)에서 오니(55)의 함수율을 좌우 방향(두께 방향)에 있어서 평균화시키면서 탈수할 수 있고, 탈수 도중에 있어서 오니(55)에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 따르면, 오니(55)에 대해 일방측(우측) 및 타방측(좌측)의 극성이 제1 탈수부(13)로부터 제2 탈수부(14)로 반송되었을 때에 반전(역전)한다. 즉,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일방측(우측)이 양극이고, 타방측(좌측)이 음극인 극성이,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 일방측(우측)이 음극이고, 타방측(좌측)이 양극인 극성으로 반전한다. 그로 인해, 탈수 도중에 전극 자체를 조작하여 서로 극성을 반전시킬 필요가 없어, 장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 간이한 조작으로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 따르면, 제1 탈수부(13)에서는 오니(55)에 대한 일방측(우측)에 배치되는 제1 드럼(21)이 일방측(우측)으로부터 타방측(좌측)을 향해 통전되는 오니(55)를 일방측(우측)으로부터 타방측(좌측), 즉 통전 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압박한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의 통전과 압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오니(55)를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탈수부(14)에서는, 오니(55)에 대한 타방측(좌측)에 배치되는 제2 드럼(41)이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을 향해 통전되는 오니(55)를,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 즉 통전 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압박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의 통전과 압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오니(55)를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수부(13)에서는 제1 드럼(21)이 일방측(우측)으로부터 타방측(좌측)으로 오니(55)를 압박하므로, 오니(55)에 포함되는 수분이 일방측(우측)으로부터 타방측(좌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13)에서는 오니(55)의 일방측(우측)의 함수율이 타방측(좌측)의 함수율보다 저하된다.
한편, 제2 탈수부(14)에서는 제2 드럼(41)이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으로 오니(55)를 압박하므로, 오니(55)에 포함되는 수분이 타방측(좌측)으로부터 일방측(우측)을 향해 이동하여 탈수된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14)에서는 제1 탈수부(13)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지 않은 오니(55)의 타방측(좌측)의 수분을, 제1 탈수부(13)에 의해 함수율이 저하되고 있는 일방측(우측)으로 이동시 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탈수부(13)의 제1 드럼(21)과 제2 탈수부(14)의 제2 드럼(41)으로 오니(55)의 함수율을 좌우 방향(두께 방향)에 있어서 평균화시키면서 탈수할 수 있고, 탈수 도중에 있어서 오니(55)에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탈수부(13)에서는, 오니(55)는 제1 상단부 영역(56)으로부터 제1 하단부 영역(57)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탈수되고, 제1 하단부 영역(57)에 도달하면 함수율이 저하되어 그 용적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1 하단부 영역(57)에서는 제1 드럼(21)과 오니(55)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 탈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서는 제1 드럼(21)의 자중이 수직 방향 하방을 향해 작용하므로, 제1 하단부 영역(57)에 있어서 그와 같은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제1 드럼(21)이 오니(55)와 접촉하고, 오니(55)를 통전시켜 압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탈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탈수부(14)에서는, 오니(55)는 제2 상단부 영역(59)으로부터 제2 하단부 영역(60)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탈수되고, 제2 하단부 영역(60)에 도달하면 함수율이 저하되어 그 용적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2 하단부 영역(60)에서는 제2 드럼(14)과 오니(55)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 탈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서는 제2 드럼(14)의 자중이 수직 방 향 하방을 향해 작용하므로, 제2 하단부 영역(60)에 있어서 그와 같은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제2 드럼(14)이 오니(55)와 접촉하고, 오니(55)를 통전시켜 압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탈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2)로부터 제1 탈수부(13)로 공급되는 오니(55)는 아직 탈수되어 있지 않아 비교적 높은 함수율을 가지므로 탈수되기 쉽다. 그로 인해, 제1 탈수부(13)에 있어서, 제1 모터(25)의 구동력의 입력에 의해 제1 캐터필러(29)의 반송 속도(V1)를 빠르게 하고, 제1 여과포(32)에 의한 오니(55)의 반송 속도(V3)를 빠르게 함으로써 오니(55)를, 시간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다.
한편, 제1 탈수부(13)로부터 제2 탈수부(14)로 공급되는 오니(55)는 이미 제1 탈수부(13)에 의해 탈수되어 있고, 비교적 낮은 함수율을 가지므로 탈수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제2 탈수부(14)에 있어서 제2 모터(45)의 구동력의 입력에 의해 제2 캐터필러(49)의 반송 속도(V2)를 느리게 하고, 제2 여과포(52)에 의한 오니(55)의 반송 속도(V4)를 느리게 함으로써 오니(55)를, 시간을 들여 확실하게 탈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과 같이,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는 탈수 유닛(3)이 제1 탈수부(13) 및 제2 탈수부(14)를 구비하므로, 제1 드럼(21)의 원주면의 약 1/2을 제1 대략 원호 영역(58)으로 하여 오니(55)와 접촉시키고, 통전 및 압박시킴으로써 탈수할 수 있고, 제2 드럼(41)의 원주면의 약 1/2을 제2 대략 원호 영역(61)으로 하여 오니(55)와 접촉시키고, 통전 및 압박시킴으로써 탈수할 수 있다. 결과 적으로, 제1 대략 원호 영역(58)과 제2 대략 원호 영역(61)을 합산하여 드럼의 약 전체 원주면(드럼 1 주분)을 탈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탈수 유닛이 탈수부를 1개 구비하는 종래의 단일 드럼 방식에서는 탈수된 물을 탈수된 오니로 다시 급수시키지 않도록 회수하기 위해, 또한 전압의 인가 시간을 길게 하기 때문에 많아도 드럼의 원주면의 약 3/4(드럼 3/4 주분)을 탈수에 제공한다.
그로 인해,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의 탈수 유닛(3)은 종래의 단일 드럼 방식의 탈수부에 비해, 오니(55)를 약 1.3배의 넓은 면적으로 탈수할 수 있고, 오니(55)를 약 1.3배의 시간으로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탈수 유닛(3)에는 제1 모터(25) 및 제2 모터(45)의 모터를 2개 설치하였지만, 탈수 유닛(3)에 제1 모터(25)를 1개 설치하고, 제1 캐터필러부(16)의 제1 구동 기어(26) 및 제2 캐터필러부(36)의 제2 구동 기어(46)에 구동력을 입력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모터(25) 및 제1 구동 기어(26) 사이, 또는 제1 모터(25) 및 제2 구동 기어(46) 사이에 적절하게 변속기를 설치함으로써,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가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보다도 빨라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가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보다도 빨라지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와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캐터필러 체인(29)의 반송 속도(V1)가 제2 캐터필러 체인(49)의 반송 속도(V2)보다도 빨라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는 제1 탈수부(13) 및 제2 탈수부(14)를 구비하는 탈수 유닛(3)을 1개 설치하였지만, 탈수 유닛(3)과 제1 탈수부(13) 및 제2 탈수부(14)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탈수 유닛(3)을 복수개, 제1 탈수부(13) 또는 제2 탈수부(14)를 복수개 설치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이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에는 1개의 제1 탈수부(13) 및 1개의 제2 탈수부(14)를 구비하는 탈수 유닛(3)을 1개 설치한다. 이러한 탈수 유닛(3)을 1개 설치하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1)의 공급부(2)에 컨베이어부(6)를 설치하였지만, 오니(55)의 공급 형태에 따라서는 공급부(2)에 컨베이어부(6)를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한 실시 형태로서 제공하였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명백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탈수 도중에 있어서 통전되는 전류량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여 탈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탈수 대상물을 탈수하는 제1 탈수부와, 상기 제1 탈수부에 대한 탈수 대상물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탈수 대상물을 탈수하는 제2 탈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을 반송하는 제1 반송 띠와,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양극 부재와,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음극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을 반송하는 제2 반송 띠와,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양극 부재와,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음극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압박 수단과,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탈수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띠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서, 상기 제1 반송 수단에 대해 탈수 대상물과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탈수부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타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박 수단과,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탈수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띠는 탈수 대상물에 대한 일방측에서, 상기 제2 반송 수단에 대해 탈수 대상물과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 수단은 그 축선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드럼이고, 상기 제1 드럼은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상단부 영역 및 제1 하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대략 반원호 영역이 상기 제1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이 상기 제1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하단부 영역을 향해 반송되고,
    상기 제2 압박 수단은 그 축선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드럼이고, 상기 제2 드럼은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상단부 영역 및 제2 하단부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대략 반원호 영역이 상기 제2 반송 띠에 의해 반송되는 탈수 대상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2 탈수부에서는 탈수 대상물이 상기 제2 상단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하단부 영역을 향해 반송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가 상기 제2 반송 수단의 반송 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KR1020060025119A 2006-02-14 2006-03-20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KR20070081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6737A JP2007216098A (ja) 2006-02-14 2006-02-14 電気浸透式脱水装置
JPJP-P-2006-00036737 2006-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93A true KR20070081993A (ko) 2007-08-20

Family

ID=3849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119A KR20070081993A (ko) 2006-02-14 2006-03-20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16098A (ko)
KR (1) KR200700819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51B1 (ko) * 2011-02-11 2011-06-30 주식회사 화인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 및 처리가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KR101103625B1 (ko) * 2010-05-19 2012-01-09 강영범 2단양면건조방식 산업용탈수건조장치
WO2013002454A1 (ko) * 2011-06-27 2013-01-03 주식회사 화인 양극과 음극간의 좁은 간격으로 소요 전기가 절감되는 드럼식 전기 침투 탈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877B2 (ja) * 2009-09-29 2014-08-06 栗田工業株式会社 電気浸透脱水装置
CN103332842B (zh) * 2013-07-05 2014-05-14 浙江科力尔环保设备有限公司 电渗透污泥脱水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25B1 (ko) * 2010-05-19 2012-01-09 강영범 2단양면건조방식 산업용탈수건조장치
KR101045151B1 (ko) * 2011-02-11 2011-06-30 주식회사 화인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 및 처리가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WO2012108592A1 (ko) * 2011-02-11 2012-08-16 주식회사 화인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 및 처리가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WO2013002454A1 (ko) * 2011-06-27 2013-01-03 주식회사 화인 양극과 음극간의 좁은 간격으로 소요 전기가 절감되는 드럼식 전기 침투 탈수기
US9028665B2 (en) 2011-06-27 2015-05-12 Fine Inc. Drum-type electro-osmosis dehydrator capable of reducing electricity consumption by decreasing ga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16098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6030A (en) Filter press, particularly for dewatering sludge in sewage treatment plants
KR100812821B1 (ko) 중력 가압 전기 침투 탈수장치
KR20070081993A (ko) 전기 침투식 탈수 장치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JP4381462B1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100926261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KR101876342B1 (ko) 전기침투 탈수기용 습증기 배출 장치
JP4532722B2 (ja) スクリュウプレス
WO2009119295A1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CN211367370U (zh) 一种污泥压榨用烘干装置
JP2010149010A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2018008184A (ja) 電気浸透脱水装置
JP2010149012A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2017209655A (ja) 電気浸透脱水装置の被処理汚泥供給装置
JP2757178B2 (ja) 固液分離装置
KR20000031221A (ko) 롤러 집약형 슬러지 고압 탈수장치
KR101368959B1 (ko) 건조기능을 가지는 전기 침투 탈수장치
JPH0450120B2 (ko)
JPS6345604B2 (ko)
JP2014205179A (ja) ローラ式脱水装置
JPS5811016A (ja) ベルトプレス型脱水機
EP3228444A1 (en) Pressing unit for removing liquids
RU2182032C2 (ru) Фильтр-пресс
FI70802C (fi) Filterbandspress
JPH04689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