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261B1 -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261B1
KR100926261B1 KR1020090044745A KR20090044745A KR100926261B1 KR 100926261 B1 KR100926261 B1 KR 100926261B1 KR 1020090044745 A KR1020090044745 A KR 1020090044745A KR 20090044745 A KR20090044745 A KR 20090044745A KR 100926261 B1 KR100926261 B1 KR 10092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ctrode plate
lower frame
slud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직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4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운전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극판을 세척하여 전극판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텐션롤러로 이루어진 여과포이송롤러(120)와, 상기 여과포이송롤러에 걸려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러지와 함께 공급이송되도록 설치된 여과포(130)와, 상기 여과포의 상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감량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감량수단(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설치된 여과포(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141)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안착설치된 하부절연부재(142)와, 상기 하부절연부재의 상부에 밀착설치된 - 극 전극판(143)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수단(144)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절연부재(145)와, 상기 상부절연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극 전극판(146)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41)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에 의해 하부프레임(141)이 일정길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여과포(130)와 상기 - 극 전극판(143)이 일정 간격 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110)에서 - 극 전극판(143)의 상부로 노즐파이프(1270)가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 극 전극판(143)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장치(12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44745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하부프레임승강수단, 전극판, 세척장치

Description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ELECTRODE PLATE WASHING DEVICE OF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
본 발명은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운전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전극판을 세척하여 전극판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폐수 및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오니)들은 물의 정화를 위해 고분자응집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응집된 상태의 슬러지는 여간해서는 탈수시키기가 곤란하다. 슬러지의 탈수율에 따라 슬러지의 폐기비용 및 재활용 범위 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발생하게 되고, 또한 슬러지가 갖는 함수율을 현저하게만 줄일 수 있다면 폐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슬러지의 고형성분들을 연료로도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단순 압착식 탈수장치로는 폐수 슬러지 의 탈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슬러지의 탈수에 탈수효율이 좋은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종래 일본 특개 소 56-60604호 및 국내 특허출원 1993-0010856호에는 전기 침투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전기침투식 탈수장치는 슬러지와 결합된 물을 이온이동성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양극전극을 겸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통수성(通水性)의 압착(프레스)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의 탈수영역 표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여과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기 침투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드럼과 압착벨트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장 속에서 대전된 물이 전기 영동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슬러지 입자가 띠고 있는 전하와 반대 전극 측으로 이동하여 수분이 분리되어 짐으로써 슬러지로부터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 특개 소 56-60604호 및 국내 특허출원 1993-0010856호의 탈수장치는 회전드럼에 전기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공정이 어렵고, 또 제작비가 많이 들어 가며, 고용량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드럼을 제작시 대형화되어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전기화학적 반응의 단계적 조절이 곤란하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39471호에는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삼상교류를 각 상(R, S, T)별로 정류하여 직류 전압펄스로 변환한 다음 위상차에 의한 순차적인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탈수되는 과정동안 전압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항상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탈수성능을 증대시킨 전기침투 탈수식 탈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2821호에는 슬러지를 중력에 압착력 및 전기침투 방식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탈수함으로써 탈수 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가압벨트의 지속적인 세척이 가능하고, 전기침투드럼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벨트와 드럼의 양측에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탈수장치의 가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탈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2821호의 탈수장치는 중력탈수, 가압탈수, 전기탈수라는 다단탈수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중력탈수와 가압탈수 및 전기탈수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벨트프레스 형식으로만 적용이 가능하여 회전드럼에 전기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공정이 어렵고, 또 제작비가 많이 들어 가며, 고용량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드럼을 제작시 대형화되어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전기화학적 반응의 단계적 조절이 곤란한 점은 개선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제10-0894266호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바,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공급이송되도록 설치된 여과포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탈수를 가압과 전기분해 수평이송방식으로 슬러지 감량수단이 구성되어, 처리용량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게 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하부절연판과, - 극 전극판이 구비되고, 프 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다수열로 배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절연판과, 상기 상부절연판의 하부에 고정된 삼상 +극 전극판이 설치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슬러지 감량수단에서 배출된 오수를 모아서 하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호퍼와 드레인 부재 및 프레임의 상부에 슬러지 감량수단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에어덕트가 구비되어 작업환경이 깨끗하게 되며,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여과포에 붙은 케익이 떨어지도록 프레임에 설치한 스크레퍼와, 텐션롤러쪽으로 이송되는 여과포를 세척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세척노즐이 설치되어 여과포의 오수 배출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는 전극판에 형성된 상하 관통구멍에는 연속적인 탈수처리 과정에서 작은 입자형태로 슬러지가 남아 있게 되고, 작은 입자의 슬러지는 전기 탈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전극판 관통구멍에 조금씩 건조되어 고착하게 되며, 지속적인 운전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관통구멍의 여과 면적은 점점 줄어 들게 되고, 이러한 관통구멍의 면적 감소는 슬러지의 물빠짐 속도를 길어지게 만들게 되고 종국에는 전체적인 탈수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 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프레임승강수단에 의해 하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키고, 여과포와 - 극 전극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프레임에서 - 극 전극판의 상부로 노즐파이프가 수평이동하면서 소정의 운전시간마다 주기적으로 - 극 전극판을 세척하여, 전극판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승강수단의 구동수단이 작동되면 기어박스와 연결축이 회전하면서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는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이 작동되면 체인이 이송될 때 지지부재와 고정된 노즐파이프가 함께 이송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므로 -극 전극판의 구멍이 막히지 않아 탈수효율이 우수하도록 된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텐션롤러로 이루어진 여과포이송롤러와, 상기 여과포이송롤러에 걸려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러지와 함께 공급이송되도록 설치된 여과포와, 상기 여과포의 상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감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감량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수평하게 설치된 여과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안착설치된 하부절연부재와, 상기 하부절연부재의 상부에 밀착설치된 - 극 전극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절연부재와, 상기 상부절연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극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승강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에 의해 하부프레임이 일정길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여과포와 상기 - 극 전극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에서 - 극 전극판의 상부로 노즐파이프가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 극 전극판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장치가 더 설치되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개의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양단이 끼워져 회전하도록 된 복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된 회전수단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끼워져 회전축과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려서 회전하도록 된 체인과, 상기 체인에 양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고정되어 상기 장공으로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노즐구멍이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클램프로 설치된 노즐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에 연결된 각각의 연결축과,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에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와, 상기 기어박스중의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과 감속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프레임승강수단에 의해 하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키고, 여과포와 - 극 전극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프레임에서 - 극 전극판의 상부로 노즐파이프가 수평이동하면서 소정의 운전시간마다 주기적으로 - 극 전극판을 세척하여, 전극판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승강수단의 구동수단이 작동되면 기어박스와 연결축이 회전하면서 스크류를 회전시켜 하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이 작동되면 체인이 이송될 때 지지부재와 고정된 노즐파이프가 함께 이송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므로 -극 전극판의 구멍이 막히지 않아 탈수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텐션롤러로 이루어진 여과포이송롤러(120)와, 상기 여과포이송롤러에 걸려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러지와 함께 공급이송되도록 설치된 여과포(130)와, 상기 여과포의 상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감량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감량수단(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설치된 여과포(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141)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안착설치된 하부절연부재(142)와, 상기 하부절연부재의 상부에 밀착설치된 - 극 전극판(143)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수단(144)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절연부재(145)와, 상기 상부절연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극 전극판(146)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구성으로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41)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에 의해 하부프레임(141)이 일정길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여과포(130)와 상기 - 극 전극판(14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110)에서 - 극 전극판(143)의 상부로 노즐파이프(1270)가 수 평이동하면서 상기 - 극 전극판(143)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장치(1200)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에 의해 하부프레임(141)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키고, 상기 여과포(130)와 - 극 전극판(14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프레임(110)에서 - 극 전극판(143)의 상부로 노즐파이프(1270)가 수평이동하면서 소정의 운전시간마다 주기적으로 - 극 전극판(143)을 세척하여, 상기 -극 전극판(143)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은 도 1 내지 도 7과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어박스(1110)와, 이 기어박스에 연결된 각각의 연결축(1120)과,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1110)에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1130)와, 상기 기어박스중의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1140)과 감속기(115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1140)과 감속기(1150)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1150)와 최초의 기어박스(1110)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 기어박스에서 T자형태로 연결축(1130)이 연결되어 ㄴ자 형상의 기어박스(1110)와 연결되고, 이 ㄴ자 형상의 기어박스(1110)에서 연결축(1130)을 이용하여 일자로 상기 하부프레임(141)의 양측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어박스(111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141)의 양측면에 배치된 기어박스(1110)에서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 스크류(113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141)을 동기적으로 상승과 하 강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의 구동수단(1140)이 작동되면 기어박스(1110)와 연결축(1130)이 회전하면서 스크류(1130)를 회전시켜 하부프레임(141)을 수평상태로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2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개의 베어링(1210)과, 상기 베어링에 양단이 끼워져 회전하도록 된 복수개의 회전축(1220)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된 회전수단(1230)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끼워져 회전축과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프로킷(1240)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려서 회전하도록 된 체인(1250)과, 상기 체인에 양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장공(1261)이 형성된 지지부재(1260)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고정되어 상기 장공으로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노즐구멍(1271)이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클램프(1280)로 설치된 노즐파이프(12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1230)이 작동되면 체인(1250)이 이송될 때 지지부재(1260)와 고정된 노즐파이프(1270)가 함께 이송되면서 세척수가 분사되므로 -극 전극판(143)의 구멍이 막히지 않아 탈수효율이 우수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침투식 탈수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에서 슬러지감량장치의 승강수단에 의해 +극 전극판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침투식 탈수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8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하부프레임승강수단이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프레임 120 여과포이송롤러
130 여과포 140 슬러지 감량수단
141 하부프레임 142 하부절연부재
143 - 극 전극판 144 승강수단
145 상부절연부재 146 +극 전극판
1100 하부프레임승강수단 1110 기어박스
1120 연결축 1130 스크류
1140 구동수단 1150 감속기
1200 세척장치 1210 베어링
1220 회전축 1230 회전수단
1240 스프로킷 1250 체인
1260 지지부재 1270 노즐파이프

Claims (3)

  1.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및 텐션롤러로 이루어진 여과포이송롤러(120)와, 상기 여과포이송롤러에 걸려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러지와 함께 공급이송되도록 설치된 여과포(130)와, 상기 여과포의 상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감량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감량수단(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설치된 여과포(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141)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안착설치된 하부절연부재(142)와, 상기 하부절연부재의 상부에 밀착설치된 - 극 전극판(143)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수단(144)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부절연부재(145)와, 상기 상부절연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극 전극판(146)을 포함하는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41)을 선택적으로 일정길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에 의해 하부프레임(141)이 일정길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여과포(130)와 상기 - 극 전극판(14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110)에서 - 극 전극판(143)의 상부로 노즐파이프(1270)가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 극 전극판(143)을 세척하도록 된 세척장치(12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세척장치(1200)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개의 베어링(1210)과,
    상기 베어링에 양단이 끼워져 회전하도록 된 복수개의 회전축(1220)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된 회전수단(1230)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끼워져 회전축과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스프로킷(1240)과,
    상기 스프로킷에 걸려서 회전하도록 된 체인(1250)과,
    상기 체인에 고정된 지지부재(1260)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고정되어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노즐구멍(1271)이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클램프(1280)로 설치된 노즐파이프(12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수단(1100)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어박스(1110)와, 이 기어박스에 연결된 각각의 연결축(1120)과, 상기 복수의 기어박스(1110)에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1130)와, 상기 기어박스중의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1140)과 감속기(115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3. 삭제
KR1020090044745A 2009-05-22 2009-05-22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KR10092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745A KR100926261B1 (ko) 2009-05-22 2009-05-22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745A KR100926261B1 (ko) 2009-05-22 2009-05-22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261B1 true KR100926261B1 (ko) 2009-11-12

Family

ID=4156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745A KR100926261B1 (ko) 2009-05-22 2009-05-22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2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29B1 (ko) 2010-02-23 2010-05-1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스크루잭을 구비한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0956613B1 (ko) 2009-08-18 2010-05-1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절연 안전성 강화 전극판을 갖춘 전기침투식탈수기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1291734B1 (ko) 2013-06-28 2013-07-3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529129A (zh) * 2014-12-31 2015-04-22 北京沃特林克环境工程有限公司 翻泥装置
CN107577118A (zh) * 2016-07-05 2018-01-12 萧秀吟 具有洗版功能的制版机
CN116747602A (zh) * 2023-08-22 2023-09-15 烟台核信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带式压滤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112A (ja) * 1987-04-13 1988-10-2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浸透式脱水機
KR100894266B1 (ko) * 2008-04-29 2009-04-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112A (ja) * 1987-04-13 1988-10-2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浸透式脱水機
KR100894266B1 (ko) * 2008-04-29 2009-04-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WO2010147364A3 (ko) * 2009-06-15 2011-04-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0956613B1 (ko) 2009-08-18 2010-05-1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절연 안전성 강화 전극판을 갖춘 전기침투식탈수기
KR100956329B1 (ko) 2010-02-23 2010-05-1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스크루잭을 구비한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1291734B1 (ko) 2013-06-28 2013-07-3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529129A (zh) * 2014-12-31 2015-04-22 北京沃特林克环境工程有限公司 翻泥装置
CN107577118A (zh) * 2016-07-05 2018-01-12 萧秀吟 具有洗版功能的制版机
CN116747602A (zh) * 2023-08-22 2023-09-15 烟台核信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带式压滤机
CN116747602B (zh) * 2023-08-22 2023-10-27 烟台核信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带式压滤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261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KR100894266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CN101848870B (zh) 脱水机
KR101137604B1 (ko) 계면전기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CN201648201U (zh) 电渗透污泥脱水机
CN103253841A (zh) 电渗透叠螺式污泥脱水机
CN101376073B (zh) 一种带固泥压榨辊的衬带式压滤机
US20190375663A1 (en) Combined dehydration device
CN211570438U (zh) 转鼓式污泥脱水机
KR101118560B1 (ko) 국소 전기인가장치와 두께조절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이송장치
JP5490232B2 (ja) 電気浸透式スラッジ減量装置
CN212476508U (zh) 一种曲面直流电场污泥干化脱水装置
CN210855766U (zh) 一种污泥磙压脱水机
CN216472791U (zh) 一种带式污泥干燥机自动上料结构
CN217868582U (zh) 一种化工工业废水用污泥处理装置
CN203123665U (zh) 一种脱水机
CN215559600U (zh) 一种高效带式压滤机
CN210085229U (zh) 阴极与压榨带一体化的污泥电渗透带式压滤装置
CN210945308U (zh) 一种废水处理中的淤泥回收装置
CN112851058A (zh) 一种交流电压辅助带式压滤设备及污泥高干度脱水方法
CN112607997A (zh) 一种污泥脱水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CN220223947U (zh) 一种污泥浓缩脱水机
CN115159794B (zh) 一种低压高频污泥破壁脱水装置
CN117466412B (zh) 水泥生产污水处理装置
CN216259298U (zh) 一种环保型生活垃圾焚烧炉渣污水处理用压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