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471B1 - 벨트 프레스용 롤러 - Google Patents

벨트 프레스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471B1
KR101613471B1 KR1020150107098A KR20150107098A KR101613471B1 KR 101613471 B1 KR101613471 B1 KR 101613471B1 KR 1020150107098 A KR1020150107098 A KR 1020150107098A KR 20150107098 A KR20150107098 A KR 20150107098A KR 101613471 B1 KR101613471 B1 KR 10161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roller
belt press
sludge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에프
Priority to KR102015010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pervious for fil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가압하며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여과포를 지지하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로서,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에 고정된 내측 드럼; 상기 내측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떨어진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개방면으로 하는 복수의 격실들; 및 상기 격벽들의 외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포와 맞닿고, 상기 여과포로부터 스며나온 여액을 상기 격실들로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된 외측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 프레스용 롤러{ROLLER FOR BELT PRESS}
본 발명은 벨트 프레스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가압하며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상부 여과포 및 하부 여과포를 지지하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들 중 하나인 탈수기는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작동 원리에 따라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원심 탈수기, 전기침투 탈수기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벨트 프레스는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상하부 여과포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하면서 상기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장치이다. 상하부 여과포는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 채 주행한다. 상하부 여과포 사이의 슬러지는 상하부 여과포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탈수되어 슬러지 케이크로 된다. 슬러지 케이크는 스크래퍼에 의해 여과포로부터 분리되고, 여과포는 세정되어 재회전한다. 이러한 벨트 프레스의 일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1180094호(벨트 프레스 탈수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114225호(슬러지 탈수기)에 개시되어 있다.
상하부 여과포를 지지하는 상기 롤러들을 타공 롤러로 구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 타공 롤러는 외주면에 타공들을 갖는데,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후 상하부 여과포를 통과한 여액은 상기 타공들을 통해 롤러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타공 롤러를 갖는 벨트 프레스가 등록특허공보 제10-0776339호(슬러지 케이크의 탈수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005224호(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0094호(벨트 프레스 탈수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114225호(슬러지 탈수기) 등록특허공보 제10-0776339호(슬러지 케이크의 탈수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05224호(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타공 롤러를 감아 도는 여과포를 통과한 모든 여액이 타공들을 통해 타공 롤러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 여액 중 일부는 타공 롤러의 양 측면으로 배수되고 나머지는 타공 롤러의 내부에서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며 계속하여 고여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타공 롤러 내부에 고인 여액이 타공 롤러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하부 여과포 사이에 끼인 슬러지로 스며들게 되므로, 결국 탈수 효율의 저하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를 가압하며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여과포를 지지하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로서,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에 고정된 내측 드럼; 상기 내측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떨어진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개방면으로 하는 복수의 격실들; 및 상기 격벽들의 외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포와 맞닿고, 상기 여과포로부터 스며나온 여액을 상기 격실들로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된 외측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부재는 복수의 타공들을 갖는 드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외측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진 상태로 상기 격벽들의 외측단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여과포 접촉판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포 접촉판은 상기 격벽의 두께보다 긴 폭을 갖고, 상기 격실의 좌측면부터 우측면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이 모두 벨트 프레스용 롤러의 외부로 배출되지 그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특히 상기 롤러의 위쪽 및 옆쪽에 위치하는 여과포 사이에 끼인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은 격벽에 막혀 상기 롤러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 근처로는 아예 도달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내부에 고인 여액이 롤러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 사이에 끼인 슬러지로 스며들어 탈수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용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벨트 프레용 롤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용 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용 롤러(100)는 벨트 프레스의 상부 여과포(10) 및 하부 여과포(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 여과포(10)와 하부 여과포(20)는 자신들 사이에 끼인 슬러지(30)를 가압하며 연속적으로 주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슬러지(30)의 탈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 프레스용 롤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드럼(110)과, 복수의 격실들(120)과, 외측 부재(130, 130a)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드럼(110)은 여과포(10, 20)의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12)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 드럼(110)은 회전축(112)과 별개로 제조된 후 회전축(1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회전축(112)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내측 드럼(110)의 외주면은 모두 막힌 형태(타공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마련되므로, 여액은 내측 드럼(110)의 외주면을 통과할 수 없다.
상기 격실들(120)은 회전축(1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복수의 격벽들(12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격벽들(122)은 내측 드럼(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내측 드럼(110)의 좌측단부터 우측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격실들(120)은 회전축(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는데, 이 좌우측면은 여액의 배출을 위해 개방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6개의 격벽(122)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격벽(122)의 개수는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외측 부재(130, 130a)는 격벽들(122)의 외측단에 고정된 것으로서, 여과포(10, 20)와 맞닿는 부재이다. 외측 부재(130, 130a)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상부 여과포(10)와 맞닿을 수도 있고, 하부 여과포(20)와 맞닿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외측 부재(130, 130a)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여과포(20)와 맞닿은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외측 부재(130, 130a)는 하부 여과포(20)로부터 스며나온 여액을 격실들(120) 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그러면 상부 여과포(10) 및 하부 여과포(20)의 가압에 의해 슬러지(30)로부터 분리된 여액이 하부 여과포(20) 및 외측 부재(130, 130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격실들(120)로 유입된다. 그리고 격실들(120)로 유입된 여액은 모두 격실들(120)의 개방 좌우측면을 통해 격실(120)의 외부로 유출되고, 격실들(120)에 잔류하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슬러지(30)로부터 분리된 여액 중 일부가 타공 롤러의 내부에 소정의 수위를 유지하며 잔류하였고, 이 때문에 잔류 여액이 타공 롤러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하부 여과포 사이에 끼인 슬러지로 스며드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프레스용 롤러(100)에서는 슬러지(30)로부터 분리된 여액이 모두 롤러(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그 내부에 잔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롤러(100)의 위쪽 및 옆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0, 20) 사이에 끼인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은 격벽(122)에 막혀 상기 롤러(10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여과포(10, 20) 근처로는 아예 도달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외측 부재(130, 130a)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부재(130, 13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들(132)을 외주면에 갖는 드럼(13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들(122)의 외측단은 드럼(13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외측 부재(130, 13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여과포 접촉판들(130a)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여과포 접촉판들(130a)은 격벽들(122)의 외측단에 각각 고정되고, 회전축(1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진 상태로 나열된다. 또한, 여과포 접촉판들(130a)은 격벽(122)의 두께보다 긴 폭(W)을 갖고, 격실(120)의 좌측면부터 우측면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형태의 외측 부재에서는 여과포 접촉판들(130a) 간 틈이 상기 드럼(130)의 타공들(132)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에는 여과포 접촉판들(130a)이 평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과포 접촉판들(130a)의 형태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휜 곡판이어도 좋다. 또한, 도 3에는 격벽(122) 및 여과포 접촉판(130a)이 6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격벽(122) 및 여과포 접촉판(130a)의 수는 이보다 적거나 많아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벨트 프레스용 롤러 110 : 내측 드럼
112 : 회전축 120 : 격실
122 : 격판 130 : 드럼
130a : 여과포 접촉판 132 : 타공
10 : 상부 여과포 20 : 하부 여과포
30 : 슬러지

Claims (4)

  1. 슬러지를 가압하며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여과포를 지지하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의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에 고정된 내측 드럼;
    상기 내측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떨어진 좌측면 전체 및 우측면 전체를 개방면으로 하는 복수의 격실들; 및
    상기 격벽들의 외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포와 맞닿고, 상기 여과포로부터 스며나온 여액을 상기 격실들로 통과시는 복수의 타공들을 갖는 드럼 형태로 마련된 외측 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프레스용 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7098A 2015-07-29 2015-07-29 벨트 프레스용 롤러 KR10161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98A KR101613471B1 (ko) 2015-07-29 2015-07-29 벨트 프레스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98A KR101613471B1 (ko) 2015-07-29 2015-07-29 벨트 프레스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471B1 true KR101613471B1 (ko) 2016-04-20

Family

ID=5591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98A KR101613471B1 (ko) 2015-07-29 2015-07-29 벨트 프레스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4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1953A (zh) * 2017-10-12 2018-01-09 浙江方远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陶粒造粒的对辊造粒机
CN110273185A (zh) * 2019-07-05 2019-09-24 杭州沃洱士科技有限公司 片式纤维压榨辊
KR102197690B1 (ko) * 2020-07-06 2021-01-04 주식회사 정도 벨트프레스 탈수기용 롤러
CN116606054A (zh) * 2023-07-21 2023-08-18 广东红海湾发电有限公司 一种基于发电系统的渣水脱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53B1 (ko) * 2005-01-06 2006-06-09 (주)보우엔테크 펠트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101192081B1 (ko) * 2008-03-25 2012-10-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53B1 (ko) * 2005-01-06 2006-06-09 (주)보우엔테크 펠트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101192081B1 (ko) * 2008-03-25 2012-10-17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1953A (zh) * 2017-10-12 2018-01-09 浙江方远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陶粒造粒的对辊造粒机
CN107551953B (zh) * 2017-10-12 2024-02-27 浙江方远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陶粒造粒的对辊造粒机
CN110273185A (zh) * 2019-07-05 2019-09-24 杭州沃洱士科技有限公司 片式纤维压榨辊
KR102197690B1 (ko) * 2020-07-06 2021-01-04 주식회사 정도 벨트프레스 탈수기용 롤러
CN116606054A (zh) * 2023-07-21 2023-08-18 广东红海湾发电有限公司 一种基于发电系统的渣水脱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71B1 (ko) 벨트 프레스용 롤러
KR101192081B1 (ko) 고액 분리 장치, 여과 장치 및 고액 분리 방법
WO2001026776A1 (fr) Machine filtrante rotative a compression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JP7022278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浸透圧脱水方法及び浸透圧脱水システム
JP2010104892A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2010162461A (ja) ろ布ベルト式脱水装置
KR100312612B1 (ko) 진공롤러및수분흡착벨트를이용한슬러지의고압탈수시스템
KR102082719B1 (ko) 협잡물 처리기
JP2008000769A (ja) 高脱水機構付スクリュープレス
WO2009119295A1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US3667614A (en) Filtering apparatus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KR101807199B1 (ko) 슬러지 처리장치
JP2009255028A (ja) 固液分離装置、濾過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5874983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JP6703765B2 (ja) ドラム型濃縮機
JP2004358549A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102197690B1 (ko) 벨트프레스 탈수기용 롤러
JP2020089857A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濾過装置
KR100216379B1 (ko) 산업용 진공 가압 탈수기
KR200412540Y1 (ko)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US3469704A (en) Slurry washing apparatus
JPH10263889A (ja) 節水型ベルトプレス脱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