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40Y1 -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 Google Patents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40Y1
KR200412540Y1 KR2020060001134U KR20060001134U KR200412540Y1 KR 200412540 Y1 KR200412540 Y1 KR 200412540Y1 KR 2020060001134 U KR2020060001134 U KR 2020060001134U KR 20060001134 U KR20060001134 U KR 20060001134U KR 200412540 Y1 KR200412540 Y1 KR 200412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belt
filter cloth
rol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직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1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러지를 가압한 후 여과포와 고압벨트 및 수분흡착휄트가 분리시 여과포 및 슬러지에 있는 여액을 탈수력 및 흡수력이 좋아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도록 된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프레임(1100)과, 상부여과포(1200)와 하부여과포(1300) 및,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설치된 고압탈수부를 포함하는 벨트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고압탈수부(1400)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회전이송하는 상부여과포의 궤적내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의 사이에 가압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탈수타공관(1411)에 하상부여과포 및 수분흡착부(1420)의 수분흡착휄트(1421)와 고압벨트부의 고압벨트(1412)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고압밸트부를 구성하는 고압롤러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롤러를 가압하여 수분흡착휄트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14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프레스, 슬러지, 여과포, 고압벨트, 수분흡착휄트

Description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BELT PRES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요부인 고압탈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압탈수부를 구성하는 고압탈수타공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고압탈수부를 구성하는 고압롤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0 벨트프레스 1100 프레임
1200 상부여과포 1300 하부여과포
1400 고압탈수부 1410 고압벨트부
1420 수분흡착부
본 고안은 벨트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가압한 후 여과포와 고압벨트 및 수분흡착휄트가 분리시 여과포 및 슬러지에 있는 여액을 탈수력 및 흡수력이 좋아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도록 된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탈수기는 산업폐수 처리시설과 하수/오수 처리시설 및 농/축산 등의 환경 폐수처리 시설의 운전중에 발생된 가공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가공 슬러지에는 대략 97 내지 99,3% 범위내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고, 그 수분은 인체 및 생체 등에 유해한 성분을 갖고 있는 것이어서, 이 상태 그대로 지표면이나 하천으로 유입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종래의 일반형 슬러지 탈수장치는 주로 벨트프레스 타입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벨트프레스는 지지프레임 챔버내에 다단계로 가압롤러를 배치하고 그 외면에 탈수벨트를 권치하여 탈수벨트사이로 슬러지를 투입하여 탈수시키는 더블밸트 프레스형 탈수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수장치는 먼저 전처리과정으로서 처리될 각종의 슬러지를 정량공급소에 공급하여 저장시키면서 여액은 배수하고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교반탱크에 고분자 응집제와 함께 공급하여 교반기로 교반시키면서 탈수에 적합한 상태가 형성되도록하여 슬러지를 이송시켜 1차적인 수분을 제거하는 중력부와 중력부를 거쳐 양측 벨트를 가압하여 슬러지내의 수분을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찌꺼기를 배출하는 슬러지탈수 장치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가압과정에서 착출된 수분이 슬러지에 다시흡수되므로 탈수효과가 낮은 불편이 있었다.
종래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56095호 고안의 명칭 "펠트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바, 다수의 이송로울러를 따라서 회전운동하고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무한궤도 형상의 탈수벨트(1)(1a)를 상하로 배치하여 상호접촉부가 밀착회전되게 구성하되 하측탈수벨트(1a)와 상측탈수벨트(1)가 만나는 입구 외측에서 하측 탈수벨트(1a)가 외향으로 더 연장되는 궤도를 갖게 하여 슬러지(10)가 그위에 낙하하는 탈수이송부(120)와 상하탈수벨트(1)(1a)가 서로 만나는 투입구 내측에 6개의 압착로울러(111)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하탈수벨트(1)(1a)가 서로 밀착되어 압착로울러(160)(161)사이를 통과하는 가압이송고압탈수부(110)와 가압이송고압탈수부(110)의 배출부측 상하탈수벨트(1)(1a)외면에 상하탈수벨트(1)(1a)가 회전하는 궤도 내부에 위치하고 상하탈수벨트(1)(1a)의 외표면에 밀착되게 별도의 타공로울러(160)(161)외면에 권착되도록 펠트로 만든 고압탈수벨트(170)(171)를 중첩되게 설치하여 상측 타공로울러(160) 지지축(160c)에 가압대(105)를 설치하고 가압대의 가압부를 가압실린더(106)로 가압 할 수 있게한 고압이송고압탈수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측탈수벨트(1a)와 상측탈수벨트(1)가 만나는 입구 외측에서 하측탈수벨트(1a)가 외향으로 더 연장되게 하여 탈수이송부(120)를 구성했기 때문에 슬러지(10)의 내부 수분을 1차적으로 배출시켜서 탈수를 할 수 있고, 상하탈수벨트(1)(1a)가 서로 만나는 투입구 내측에 가압이송고압탈수부(110)가 설치되어서 압착러울러(111)의 협동으로 슬러지(10)에 잔존해 있는 수분을 강재 제거하며, 가압이송고압탈수부(110)외측에 고압이송고압탈수부(130)를 형성하여 상하탈수벨트(1)(1a) 외측에 펠트로된 고압탈수벨트(170)(171)를 중첩되게 설치 했기 때문에 상하탈수벨트(1)(1a)를 통해 착출된 슬러지(10)의 수분을 고압탈수벨트(170)(171)가 흡수하여 타공로울로(160)(161)를 통해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슬러지의 압착탈수 효과를 높힐수 있어 슬러지 함수율을 감소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탈수장치는 여액을 흡수하고 회전하게 되어 탈수력과 흡수력이 적게 되고, 또 상기 고압탈수벨트(170,171)는 여액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어 고압탈수벨트의 탈수력과 흡수력이 좋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압밸트부를 구성하는 제1,2고압롤러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롤러를 가압하여 수분흡착휄트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에 의해 휄트의 수분이 확실히 제거되어 슬러지의 함수율이 크게 적어지도록 된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라켓에 가압롤러와 텐션롤 및 벨트텐셔너등이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가압롤러와 텐션롤 및 벨트텐셔너등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 및, 상기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설치된 고압탈수부를 포함하는 벨트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고압탈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회전이송하는 상부여과포의 궤적내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의 사이에 가압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벨트부의 고압탈수타공관에 하부여과포와 상부여과포 및 수분흡착부의 수분흡착휄트와 고압벨트부의 고압벨트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압밸트부를 구성하는 제1,2고압롤러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2고압롤러를 가압하여 상기 수분흡착휄트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는, 고압밸트부는 상기 프레임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압롤러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고압탈수타공관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고압롤러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고압롤 러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텐션롤러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로드가 상기 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도록 된 실린더와, 상기 제1,2고압롤러와 고압텐션롤러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고, 상기 고압탈수타공관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상기 제1,2고압롤러와 고압텐션롤러 및 고압탈수타공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고압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는, 상기 수분흡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휄트텐션롤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이 구비되고, 상기 휄트텐션롤과 제2고압롤러, 제1고압롤러, 고압텐션롤러 및 가이드롤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탈수타공관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된 수분흡착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의 요부인 고압탈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 의 고압탈수부를 구성하는 고압탈수타공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고압탈수부를 구성하는 고압롤러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10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라켓(1110)에 가압롤러(1120)와 텐션롤(1130) 및 벨트텐셔너(1140)등이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가압롤러와 텐션롤 및 벨트텐셔너등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부여과포(1200)와 하부여과포(1300) 및, 상기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설치된 고압탈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압탈수부(1400)는 상기 프레임(1100)의 내측으로 회전이송하는 상부여과포(1200)의 궤적내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여과포(1200)와 하부여과포(1300)의 사이에 가압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탈수타공관(1411)에 하부여과포(1200)와 상부여과포(1300) 및 수분흡착부(1420)의 수분흡착휄트(1421)와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벨트(1412)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압밸트부(1410)를 구성하는 고압롤러(1413,1414)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롤러(1413,1414)를 가압하여 상기 수분흡착휄트(1421)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1421)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14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탈수타공관(1411)에 하부여과포(1200)와 상부여과포(1300) 및 수분흡착부(1420)의 수분흡착휄트(1421)와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벨트(1412)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압밸트부 (1410)를 구성하는 고압롤러(1413,1414)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롤러(1413,1414)를 가압하여 상기 수분흡착휄트(1421)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1421)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1416)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을 충분히 탈수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밸트부(14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10)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타공(1411a)이 형성된 고압탈수타공관(1411)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고압롤러(1413)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고압롤러(1414)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1418)과, 상기 아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텐션롤러(1415)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에 일단이 고정되고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로드(1419a)가 상기 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도록 된 실린더(1419)와, 상기 제1,2고압롤러(1413,1414)와 고압텐션롤러(1415)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고, 상기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상기 제1,2고압롤러(1413,1414)와 고압텐션롤러(1415) 및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고압벨트(1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압탈수타공관(1411)과, 제1고압롤러(1413)와, 제2고압롤러(1414)와, 고압텐션롤러(1415)가 실 린더(1419)의 작동에 의해 아암에 의해 회동하면서 고압벨트(141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압벨트(1412)는 일정한 크기의 폭으로 되어 롤러에 감긴 상태로 텐션을 받아 긴장된 상태로 걸리게 된다. 또 상기 고압텐션롤러(1415)는 도 3과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2고압롤러의 길이보다 아암을 설치하기 위해 양단의 길이가 좀더 길게 된다. 또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은 상기 프레임(1110)에 고정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상기 한쌍의 아암(1418)은 일단이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고압텐션롤러(1415)의 양단이 지지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실린더(1419)의 로드(1419a)에 힌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분흡착부(14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브라켓(111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휄트텐션롤(1422)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1423)이 구비되고, 상기 휄트텐션롤과 제2고압롤러, 제1고압롤러, 고압텐션롤러 및 가이드롤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된 수분흡착휄트(1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상기 휄트텐션롤과 제2고압롤러, 제1고압롤러, 고압텐션롤러 및 가이드롤의 외주면을 따라 수분흡착휄트(1421)가 회전이송되면서 상기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하여 상하부여과포에 의해 흡수한 수분을 흡수하여 함수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의 내측으로 회전이송하는 상부여과포의 궤적내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의 사이에 가압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벨트부의 고압탈수타공관에 하부여과포와 상부여과포 및 수분흡착부의 수분흡착휄트와 고압벨트부의 고압벨트가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압밸트부를 구성하는 제1,2고압롤러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롤러를 가압하여 상기 수분흡착휄트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에 의해 휄트의 수분이 확실히 제거되어 슬러지의 함수율이 크게 적어지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는, 휄트텐션롤과 제2고압롤러, 제1고압롤러, 고압텐션롤러 및 가이드롤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송됨과 더불어, 고압탈수타공관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된 수분흡착휄트에 의해 상하부여과포에 흡수된 수분을 흡착하여 여과포와 슬러지로부터 함수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는, 프레임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압롤러고정브라켓과, 고압탈수타공관과, 제1고압롤러와, 제2고압롤러와, 아암과, 고압텐션롤러와, 실린더와, 복수개 고압벨트로 이루어진 고압밸트부에 의해 상하부여과포에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슬러지를 더 한층 가압하여 수분을 짜내고, 이 수분이 상하부여과포에 의해 흡수되면 상기 수분흡착휄트에 의해 용이하게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압벨트에 의해 짜내게 되어 함수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브라켓(1110)에 가압롤러(1120)와 텐션롤(1130) 및 벨트텐셔너(1140)등이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가압롤러와 텐션롤 및 벨트텐셔너등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부여과포(1200)와 하부여과포(1300) 및,
    상기 상부여과포와 하부여과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설치된 고압탈수부를 포함하는 벨트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고압탈수부(1400)는 상기 프레임(1100)의 내측으로 회전이송하는 상부여과포(1200)의 궤적내에서 회전하면서 상부여과포(1200)와 하부여과포(1300)의 사이에 가압되는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도록 상기 프레임(1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탈수타공관(1411)에 하부여과포(1200)와 상부여과포(1300) 및 수분흡착부(1420)의 수분흡착휄트(1421)와 고압벨트부(1410)의 고압벨트(1412)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압밸트부(1410)를 구성하는 제1,2고압롤러(1413,1414)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2고압롤러(1413,1414)를 가압하여 상기 수분흡착휄트(1421)에 흡수된 수분을 수분흡착휄트(1421)로부터 탈수하여 분리하도록 된 수분분리롤러(14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밸트부(1410)는 상기 프레임(1110)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타공(1411a)이 형성된 고압탈수타공관(1411)과,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고압롤러(1413)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고압롤러(1414)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1418)과,
    상기 아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압텐션롤러(1415)와,
    상기 고압롤러고정브라켓(1417)에 일단이 고정되고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로드가 상기 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도록 된 실린더와,
    상기 제1,2고압롤러(1413,1414)와 고압텐션롤러(1415)의 외주면에 내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고, 상기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상기 제1,2고압롤러(1413,1414)와 고압텐션롤러(1415) 및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고압벨트(1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착부(1420)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휄트텐션롤(1422)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1423)이 구비되고,
    상기 휄트텐션롤과 제2고압롤러, 제1고압롤러, 고압텐션롤러 및 가이드롤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탈수타공관(1411)의 외주면에는 외측면이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된 수분흡착휄트(1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KR2020060001134U 2006-01-13 2006-01-13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KR200412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34U KR200412540Y1 (ko) 2006-01-13 2006-01-13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34U KR200412540Y1 (ko) 2006-01-13 2006-01-13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852A Division KR100634259B1 (ko) 2006-01-13 2006-01-13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40Y1 true KR200412540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34U KR200412540Y1 (ko) 2006-01-13 2006-01-13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884B1 (ko) 2022-05-06 2022-09-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리사이클을 통한 세척수 공급 및 슬러지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프레스 탈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884B1 (ko) 2022-05-06 2022-09-14 거림환경 주식회사 리사이클을 통한 세척수 공급 및 슬러지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프레스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259B1 (ko)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KR100312612B1 (ko) 진공롤러및수분흡착벨트를이용한슬러지의고압탈수시스템
KR200412540Y1 (ko) 고압벨트와 수분흡착휄트를 갖춘 벨트프레스
JP6756981B2 (ja) 吸水ベルト走行式ドラム型濃縮機
RU2349367C2 (ru)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KR200198031Y1 (ko) 수분 제거용 압착탈수 롤러가 장착된 케이크 이송장치
CN108929015A (zh) 一种污泥脱水处理装置
JP6703765B2 (ja) ドラム型濃縮機
KR200275511Y1 (ko) 탈수용 벨트프레스
KR101140747B1 (ko) 벨트프레스의 휄트 수분제거장치
KR100586053B1 (ko) 펠트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FI69327B (fi) Foer massa avsedd tvaettanordning med tvao filterband
KR100776339B1 (ko) 슬러지 케이크의 탈수장치
KR200365673Y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114506989B (zh) 一种具有防溢出功能的高干度污泥挤压装置
JP2501758Y2 (ja) 汚泥脱水装置
JPH0450120B2 (ko)
KR100216379B1 (ko) 산업용 진공 가압 탈수기
KR200200115Y1 (ko) 벨트프레스형 산업용탈수기
CN217972952U (zh) 一种污泥脱水装置
CN220959413U (zh) 一种肉皮成型脱水机
KR200356095Y1 (ko) 펠트 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CN219014833U (zh) 一种金银尾渣处理用洗涤脱水装置
KR102197690B1 (ko) 벨트프레스 탈수기용 롤러
KR20140005060U (ko) 협잡물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