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719B1 - 협잡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협잡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719B1
KR102082719B1 KR1020190138426A KR20190138426A KR102082719B1 KR 102082719 B1 KR102082719 B1 KR 102082719B1 KR 1020190138426 A KR1020190138426 A KR 1020190138426A KR 20190138426 A KR20190138426 A KR 20190138426A KR 102082719 B1 KR102082719 B1 KR 10208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erforated
perforated screen
line
pres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민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성도메카텍(주)
최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도메카텍(주), 최동민 filed Critical 성도메카텍(주)
Priority to KR102019013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타공스크린을 보강하면서 유기성 슬러지의 이송에 의한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상기 타공스크린이 분리 및 구분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뛰어난 분쇄력에 의해 협잡물의 압축 및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세척 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협잡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모터(5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00)가 구비되며, 일측부 상부에 투입구(101)가 형성되어 외주면이 원형 또는 슬릿형태의 구멍(102)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슬러지를 탈수하는 테이퍼형상의 타공스크린(100)과,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 그리고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척라인(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협잡물 처리기{WASTE DISPOSAL MACHINE}
본 발명은 협잡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타공스크린을 보강하면서 유기성 슬러지의 이송에 의한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배출되며, 상기 타공스크린이 분리 및 구분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뛰어난 분쇄력에 의해 협잡물의 압축 및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세척 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협잡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를 위한 기술로서, 폐수처리장치에 의해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원심력 또는 압착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처리장치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체 내에 폐수를 공급하여 원심력 또는 압착력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 각각 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오수, 분뇨, 오니 등의 처리 대상물들은 다량의 수분과 고형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슬러지)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다.
또한, 여기에는 다수의 이물질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의미로 '협잡물(挾雜物, adulteration)이라 한다.
따라서, 정화 처리 공정 중에는 탈수과정을 거쳐 수분과 슬러지, 즉 협잡물을 분리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탈수방식으로는 로울러를 통과하는 여과포나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직접 가압하여 수분을 분리하는 벨트 프레스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장치가 복잡하고 대형화되기 때문에 제작비가 많이 들고, 탈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수 효율이 낮아 배출되는 케이크에 많은 수분이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의 기술 일예로 협잡물(슬러지)을 중공 회전축 내부로 투입하여 수집커버 내부에서 배출구멍을 통해 회전하는 여과통체 내부로 배출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여과통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래퍼로 배출된 협잡물을 이송하면서 여과통체를 통해 탈수 혹은 농축을 행하도록 한 것을 기본으로 하여 스크래퍼 부위의 개선을 통해 탈수시 마찰소음을 줄이면서 탈수효율도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예는 협잡물을 투입하는 투입수단이 중공 회전축의 중공을 통해서만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출하는 배출수단도 오로지 배출구멍 하나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해 처리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협잡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로 인해 중공 회전축의 중공은 물론 배출구멍이 쉽게 막히게 되어 처리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수리를 위해 장치의 가동을 정지하게 되면 그만큼 생산성이 하락하는 단점도 있으며, 상기 협잡물 인입측 여과통체의 단부와 상기 배출구멍 사이의 공간에 잔류된 협잡물은 쉽게 스크래핑되지 못하고 오랜시간 동안 동일 지점에 잔류하게 되는 처리불량의 문제도 있다.
이에,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폐수에 하수 찌꺼기 등과 같은 고형물이 포함된 협잡물의 경우, 이러한 협잡물을 제대로 압축 및 탈수 처리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은 고형물이 포함된 협잡물을 제대로 공급받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협잡물에 포함된 큰 경도와 크기를 가진 고형물을 계속적으로 분쇄 및 압축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 인해 고형물이 포함된 협잡물의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 및 탈수의 후속 공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후속 공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491호(발명의 명칭 : 스크류 프레스형 협잡물 처리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9772호(발명의 명칭 : 유기성 폐기물의 협잡물 처리장치 및 협잡물 제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분쇄에 의한 협잡물의 압축과 탈수 효율을 높이고, 이로 인해 압축 및 탈수된 협잡물의 후속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협잡물의 이송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중 타공스크린의 구멍 막힘현상을 세척과정을 통해 해결하면서 협잡물 처리 후 타공스크린의 청결한 유지상태를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공스크린의 분리 및 구분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어 견고한 조립구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가 구비되며, 일측부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외주면이 원형 또는 슬릿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슬러지를 탈수하는 테이퍼형상의 타공스크린과,
상기 타공스크린의 하부 양측 그리고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척라인으로 구성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세척라인은 타공스크린 일측부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일단에 세척수공급부가 연결되면서 타공스크린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하부라인과, 상기 세척수공급부에 근접한 제1하부라인의 일면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의 일측 하부를 세로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의 타단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의 일측부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타공스크린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하부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의 일단과 근접한 제1하부라인의 타면에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상부라인과, 상기 제1상부라인 일단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하부라인의 일면에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상부라인 및, 상기 제1하부라인, 제2하부라인, 제1상부라인 및 제2하부라인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의 분사방향이 타공스크린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타공스크린은 일측부 단부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1타공부와, 상기 제1타공부에 이웃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2타공부 및, 상기 제2타공부의 노출된 자유단에 연결되어 압착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관형의 배출부로 구성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타공부 단부와 제2타공부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타공부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1타공부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1밀착부와 상기 제1밀착부에 단부에 연결되어 외향으로 절곡된 제1가압부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1가압체와,
상기 제2타공부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2타공부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2밀착부와 상기 제2밀착부에 단부에 연결되면서 제1가압부와 마주하도록 외향으로 절곡된 제2가압부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2가압체와,
상기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의 외주가 삽입 결합하며, 상기 제1가압체의 제1가압부와 제2가압체의 제2가압부를 수용하도록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원주형의 단속홈과 양측면 각각의 외주에 단속홈으로 관통되면서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볼트공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제1볼트공을 통해 단속홈에 수용된 제1가압체의 제1가압부와 제2가압체의 제2가압부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하도록 가압볼트가 포함되는 결합부재가 더 포함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가압체의 제1밀착부와 제2가압체의 제1밀착부 각각의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 각각의 제1끼움홈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타공부와 제2타공부의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탭이 형성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가압체의 제1밀착부와 제2가압체의 제1밀착부 각각이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가 연결된 일측 외주단에서 타측 외주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가압체의 제1밀착부와 제2가압체의 제1밀착부 각각의 자유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된 보조가압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의 양측면에 각각 원주형으로 배치되어 지지체의 제1볼트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볼트공이 형성되면서 보조가압편을 끼움 결합되도록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2끼움홈이 형성된 보조지지체가 더 포함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체의 제2끼움홈을 기준으로 보조지지체 내주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가압탭 중 상기 제2끼움홈에 위치한 보조가압편 내측면에 면접한 가압탭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협잡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에 의하면, 분쇄에 의한 협잡물의 압축과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축 및 탈수된 협잡물의 후속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한 협잡물 처리의 범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세척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타공스크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의 세척라인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제1타공부와 제2타공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제1, 2가압체, 지지체 및 가압볼트의 단면 분리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제1타공부와 제2타공부 사이를 결합된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제1, 2가압체, 지지체 및 가압볼트의 단면 결합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A”부위의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결합부재의 지지체 단면구조도(a)와 제1가압체의 단면구조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제1타공부의 걸림탭에 제1가압체의 제1끼움홈이 결합되는 분리도(a)와 제1타공부의 단부에 제1가압체가 결합시 제1가압체의 제1밀착부 두께 차이를 나타낸 도면(b)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제1타공부와 제2타공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제1, 2가압체, 지지체, 보조지지체 및 가압볼트의 단면 분리 결합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제1타공부와 제2타공부 사이를 결합된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제1, 2가압체, 지지체, 보조지지체 및 가압볼트의 단면 결합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B”부위의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처리기에서 결합부재의 보조가압편이 형성된 제1가압체 단면구조도(a)와 보조지지체의 단면구조도(b)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기(10)에 대한 일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모터(5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00)가 구비되며, 일측부 상부에 투입구(101)가 형성되어 외주면이 원형 또는 슬릿형태의 구멍(102)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슬러지를 탈수하는 테이퍼형상의 타공스크린(100)과,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 그리고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척라인(300)으로 구성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공스크린(100)은 테이퍼형상으로서 일측부의 내부에서 타측부 내로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이며, 일측부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01)에 슬러지가 유입되어 타공스크린(100)의 내부에 배치된 이송스크류(200)의 회전으로 슬러지가 압착되면서 탈수되어 이동되면서 타측부로 압착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외주면 전체에 다수 개의 구멍(102)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형태는 원형 또는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구멍(102)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이때 상기 타공스크린(100) 하부에 배치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구멍(102)을 통해 탈수된 배출수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하우징(600)이 포함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공스크린(100) 내부에 배치된 이송스크류(200)는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일단이 더 연장되어 노출되며, 연장된 이송스크류(200)의 일단에 기어(201)가 배치되어 상기 기어(201)와 이격 마주하도록 배치된 모터(500)에 벨트 등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모터(500)의 구동으로 이송스크류(200)가 회전함에 따라 타공스크린(100)의 직경이 큰 곳에서 직경이 작은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송시켜 압착력을 높여 슬러지의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구멍(102)은 탈수 시작시 이송스크류(200)의 회전에 따라 타공스크린(100) 내부의 슬러지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슬러지의 배출수가 타공스크린(100)에 형성된 구멍(102)을 통하여 타공스크린(100)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하우징(600)을 통하여 포집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타공스크린(100) 외주면 전체의 구멍(102)들 통하여 점성을 가진 유기성 슬러지의 탈수되는 배출수의 배수가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타공스크린(100) 타측부에 연결된 원통형의 배출부(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함수량을 낮추어 수질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구멍(102)이 형성되어 점성을 가진 유기성 슬러지의 탈수 여액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스크류(200)는 타공스크린(10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스크류축(210)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날개(220)가 타공스크린(100)의 내경변화에 대응되는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즉 스크류날개(220)의 외주단이 타공스크린(100)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면접되는 형태를 가지어 스크류축(210)의 일단에 연결된 모터(500)의 동력에 따라 타공스크린(100)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슬러지를 압착시켜 슬러지로부터 고형분과 배출수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라인(300)은 이송스크류(200)의 회전으로 슬러지가 이송되면서 압착과정 중 발생되는 타공스크린(100)의 구멍에 막힘현상 또는 슬러지 압착 후 타공스크린(100)을 청소하기 위해 설치되며, 그 위치는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 그리고 상부 양측에 일체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형성되는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수평의 가로길이로 형성되며, 그 위치는 타공스크린(100)의 원주형태에서 하부 양측에 한 쌍 그리고 상부 양측에 한 쌍이 일체의 연결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라인(300)의 연결구조는 타공스크린(100) 일측부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일단에 세척수공급부(311)가 연결되면서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하부라인(310a)과, 상기 세척수공급부(311)에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a)의 일면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100)의 일측 하부를 세로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라인(320)과, 상기 연결라인(320)의 타단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하부라인(310b)과, 상기 연결라인(320)의 일단과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a)의 타면에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상부라인(330a)과, 상기 제1상부라인(330a) 일단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하부라인(310b)의 일면에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상부라인(330b) 및, 상기 제1하부라인(310a), 제2하부라인(310b), 제1상부라인(330a) 및 제2하부라인(330b)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노즐(340)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340)의 분사방향이 타공스크린(10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세척라인(300)은 내부에 세척수가 이송되는 관로형태로서,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에 가로길이로 이격 배치된 제1하부라인(310a)과 제2하부라인(310b),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상부 양측에 가로길이로 이격 배치된 제1상부라인(330a)과 제2상부라인(330b), 그리고 상기 제1하부라인(310a) 단부와 제2하부라인(310b) 단부를 연결 및 연통하는 연결라인(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라인(310a)은 일단에 세척수공급부(311)가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공급부(311)는 외부로부터의 이송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제1하부라인(310a)으로 강제로 이송하는 펌프 및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라인(310a)과 제2하부라인(310b)은 서로 이격되게 좌우 마주하는 형태로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일단이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 하부 또는 타공스크린(100) 일측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이송스크류(200)의 일단 하부에 배치되면서 각각의 타단은 밀폐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라인(320)은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 하부 또는 이송스크류(200)의 일단이 위치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라인(320)의 일단은 제2하부라인(310b)의 일단에 연결되어 세척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되며, 상기 연결라인(320)의 타단은 세척수공급부(311)로부터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b) 일부 일면에 연결되면서 세척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에, 상기 연결라인(320)이 제2하부라인(310b)의 타단에 연결되어 세로길이로 제1하부라인(310a)와 함께 서로 연결되어 제1하부라인(310a)을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의 이동을 연결라인(320)을 통해 제2하부라인(310b)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라인(330a)과 제2상부라인(330b)은 서로 이격되게 좌우 마주하는 형태로 타공스크린(10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이때 제1상부라인(330a)은 제1하부라인(310a)과 상하 마주하면서 제2상부라인(330b)은 제2하부라인(310b)과 상하 마주하게 된다.
상기 제1상부라인(330a)은 연결라인(320)의 일단과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a)의 타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제1하부라인(310a)을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연통되면서 타단은 밀폐된 막힘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2상부라인(330b)은 제1상부라인(330a) 일단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하부라인(310b)의 일면에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제2하부라인(310b)을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연통되면서 타단은 밀폐된 막힘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노즐(340)은 제1하부라인(310a), 제2하부라인(310b), 제1상부라인(330a) 및 제2하부라인(330b) 각각을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가 노즐(340)의 노즐공(미도시)을 통해 분산되며, 이때 상기 노즐(340)의 노즐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타공스크린(10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노즐(34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타공스크린(100)이 세척,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구획된 분리형태로 상호 결합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공스크린(100)은 일측부 단부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1타공부(110a)와, 상기 제1타공부(110a)에 이웃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2타공부(110b) 및, 상기 제2타공부(110b)의 노출된 자유단에 연결되어 압착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관형의 배출부(120)로 구성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타공스크린(100)은 상부의 일부에 투입구(101)가 형성된 제1타공부(110a), 상기 제1타공부(110a)에 결합되는 제2타공부(110b) 및 상기 제2타공부(110b)에 결합되는 배출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타공부(110a)는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타공부(110b)는 제1타공부(110a)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1타공부(110a)의 최소 내경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면서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즉 타공스크린(100)의 타측부가 제2타공부(110b)의 타측에 해당된다.
상기 배출부(120)는 원통형의 관로형태로서 내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이송스크류(200)의 단부가 제2타공부(110b)의 타측에 위치하여 배출부(120) 내부는 빈 공간이 상하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송스크류(200)의 회전으로 이송된 슬러지 고형분이 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다.
또한,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제1타공부(110a)와 제2타공부(110b) 사이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무용접으로 결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합부재(400)의 구조가 더 포함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타공부(110a) 단부와 제2타공부(110b)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1밀착부(411a)와 상기 제1밀착부(411a)에 단부에 연결되어 외향으로 절곡된 제1가압부(412a)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1가압체(410a)와,
상기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2밀착부(411b)와 상기 제2밀착부(411b)에 단부에 연결되면서 제1가압부(412a)와 마주하도록 외향으로 절곡된 제2가압부(412b)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2가압체(410b)와,
상기 제1가압체(410a)와 제2가압체(410b)의 외주가 삽입 결합하며,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를 수용하도록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원주형의 단속홈(421)과 양측면 각각의 외주에 단속홈(421)으로 관통되면서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볼트공(422)이 형성된 지지체(420)와,
상기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을 통해 단속홈(421)에 수용된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하도록 가압볼트(430)가 포함되는 결합부재(400)가 더 포함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0)는 제1타공부(110a)와 제2타공부(110b)가 서로 면접되면서 면접된 제1, 2타공부(110a)(110b)의 외주에 가압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호 좌우대칭구조를 가진 제1가압체(410a)와 제2가압체(410b), 상기 제1, 2가압체(410a)(410b)를 결합하는 지지체(420) 및 지지체(420)에 결합된 제1, 2가압체(410a)(410b)를 가압 체결하는 가압볼트(430)로 구성된다.
도 7과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410a)는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는 원주형의 링형태로서, 상기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1밀착부(411a)와 상기 제1밀착부(411a)에 단부에 연결되어 외향으로 절곡된 제1가압부(412b)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압체(410b)는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는 원주형의 링형태로서, 상기 제1가압체(410a)의 형태에 좌우 대칭의 형태를 가진 제2가압체(410b)를 형성하되, 상기 제1가압체(410a)의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진 제2가압체(410b)를 가진다.
상기 제2가압체(410b)는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2밀착부(411b)와 상기 제2밀착부(411b)에 단부에 연결되면서 제1가압부(412a)와 마주하도록 외향으로 절곡된 제2가압부(412b)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에 제1가압체(410a)가 삽입 그리고 상기 제1타공부(110a)의 단부에 마주하는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에 제2가압체(410b)가 삽입되어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가 서로 마주하게 각각의 제1, 2타공부(110a)(110b)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7과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20)는 좌우 관통된 내부를 가진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체(410a)와 제2가압체(410b)의 외주가 내부로 삽입 결합하며,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를 수용하도록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원주형의 단속홈(421)과 양측면 각각의 외주에 단속홈(421)으로 관통되면서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볼트공(422)이 원호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공(422)은 수평길이로 관통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지지체(420)의 내부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단속홈(421)이 형성되며, 이때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가 단속홈(421)에 수용 결속되며, 상기 단속홈(421)에 결속된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 사이는 서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420) 내부의 단속홈(421)을 경계로 내주면 양측이 제1내주(401-1)와 제2내주(401-2)로 구분되어 상기 제1내주(401-1)에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 상부의 일부가 면접되면서 제1밀착부(411a) 타부가 제1내주(401-1)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내주(401-2)에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상부의 일부가 면접되면서 제2밀착부(411b) 타부가 제2내주(401-2)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지지체(420) 제1내주(401-1)의 면(面)경사도는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 면경사도에 대응되는 면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420) 제2내주(401-2)의 면(面)경사도는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면경사도에 대응되는 면경사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체(420) 제1내주(401-1)의 면(面)경사도는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 면경사도보다 작은 면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420) 제2내주(401-2)의 면(面)경사도는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면경사도보다 작은 면경사도를 가진다.
이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20)의 단속홈(421)에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 및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양측면 각각에 단속홈(421)으로 관통된 제1볼트공(422)으로 가압볼트(430)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서 제1, 2가압부(412a)(412b)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 가압하면서 제1, 2밀착부(411a)(411b)가 지지체(420)의 내주면을 따라 긴밀히 이동하여 제1, 2밀착부(411a)(411b)가 지지체(420)의 내부를 가압함과 동시에 대응 배치된 제1, 2타공부(110a)(110b) 단부 외주를 밀착 가압하여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지지체(420)의 단속홈(421)에 배치된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가압부(412a)(412b)가 가압볼트(430)로부터 가압되면서 제1, 2가압부(412a)(412b)가 서로 밀착되며, 이때 가압볼트(430)가 수평길이의 제1볼트공(422)을 수평으로 이동되어 제1, 2가압부(412a)(412b)를 가압함에 따라 제1, 2가압부(412a)(412b)의 하부로 집중된 가압력을 가지게 되어 제1, 2가압부(412a)(412b)의 하부에 위치한 제1, 2타공부(110a)(110b)의 외주면을 강하게 가압 밀착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의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1끼움홈(4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부(411a)와 제2밀착부(411b) 각각의 제1끼움홈(41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타공부(110a)와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탭(111)이 형성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 2타공부(110a)(110b) 단부 외주에 각각 형성된 걸림탭(111)에 상기 제1, 2밀착부(411a)(411b) 내부면에 각각 형성된 제1끼움홈(411-1)이 결합됨으로서, 상기 가압볼트(430)로 지지체(420)의 단속홈(421)에 배치된 제1, 2가압부(412a)(412b)를 가압 밀착하면서 제1, 2밀착부(411a)(411b)의 제1끼움홈(411-1)에 단속된 제1, 2타공부(110a)(110b)가 서로 이동되면서 밀착되어 제1타공부(110a)의 단부와 제2타공부(110b)의 단부가 상호 긴밀한 밀착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2타공부(110a)(110b)의 걸림탭(111)에 제1, 2가압체(410a)(410b)가 단속됨으로서 가압볼트(430)에 의해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가압부(412a)(412b)를 강하게 가압함에 따라 제1, 2타공부(110a)(110b)로부터 제1, 2가압체(410a)(410b) 및 지지체(4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이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가 연결된 일측 외주단에서 타측 외주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상기제1, 2밀착부(411a)(411b)의 두께인 외주와 내주의 폭이 제1, 2가압부(412a)(412b)가 연결된 외주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어 가압볼트(430)에 의해 지지체(420)의 단속홈(421)에 배치된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가압부(412a)(412b)를 강하게 가압하면서 제1, 2밀착부(411a)(411b)가 지지체(420)의 내부를 점진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대응 배치된 제1, 2타공부(110a)(110b) 단부 외주를 점진적으로 밀착 가압하여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의 자유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된 보조가압편(4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양측면에 각각 원주형으로 배치되어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볼트공(441)이 형성되면서 보조가압편(411-2)을 끼움 결합되도록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2끼움홈(442)이 형성된 보조지지체(440)가 더 포함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가압편(411-2)은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의 자유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밀착부(411a)(411b)의 자유단 즉, 제1, 2가압부(412a)(412b) 각각에 연결되는 제1, 2밀착부(411a)(411b)의 외주단에 대면하는 외주단에 외향으로 절곡되는 보조가압편(4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의(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체(440)는 좌우 관통된 내부를 가진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체(420)의 양측면에 각각 원주형으로 배치되어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평길이로 관통된 제2볼트공(441)이 형성되면서 보조가압편(411-2)을 끼움 결합되도록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2끼움홈(4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2가압체(410a)(410b)와 지지체(420)가 결합시 지지체(420)의 양측으로 노출된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밀착부(411a)(411b) 단부로부터 각각 절곡된 보조가압편(411-2)이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42)으로 결속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에 연통된 보조지지체(440)의 제2볼트공(441)으로 가압볼트(430)를 나사 결합하여 지지체(420)의 단속홈(421)에 배치된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가압부(412a)(412b)를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함으로서 보조지지체(440)의 이동과 동시에 제1, 2가압체(410a)(410b)의 제1, 2밀착부(411a)(411b)가 이동되면서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20)에 결속된 보조가압편(411-2)을 가압 또는 단속하게 된다.
즉, 나사결합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는 가압볼트(430)의 체결로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에 배치된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20)에 결속한 제1가압체(410a)의 보조가압편(411-2)을 단속하여 지지체(420)로부터 제1가압체(410a)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에 배치된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20)에서 제2가압체(410b)의 보조가압편(411-2)을 가압 즉, 제2타공부(110b)의 외주면이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짐에 따라 보조지지체(440)가 제2가압체(410b)의 보조가압편(411-2)을 압박하여 지지체(420)로부터 제2가압체(410b)의 이탈방지 및 보조가압편(411-2)의 내주면이 제2타공부(110b) 외주면을 강하게 가압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20)을 기준으로 보조지지체(440) 내주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가압탭(443) 중 상기 제2끼움홈(420)에 위치한 보조가압편(411-2) 내측면에 면접한 가압탭(443)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협잡물 처리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지지체(440)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원주형의 가압탭(443) 중 제2끼움홈(442)에 위치한 보조가압편(411-2) 내측면에 면접한 가압탭(443)의 길이가 다른 가압탭(443)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즉, 제2끼움홈(422)에 위치한 보조가압편(411-2) 내측면에 면접한 가압탭(443)의 내경이 다른 가압탭(44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게 되어 가압볼트(430)의 체결로 제1, 2타공부(110a)(110b)의 단부 외주에 배치된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20)에 결속한 제1, 2가압체(410a)(410b)의 보조가압편(411-2)을 단속 및 가압하여 지지체(420)로부터 제1, 2가압체(410a)(410b)의 이탈 및 제1, 2타공부(110a)(110b)와 제1, 2가압체(410)(410b)의 긴밀한 밀착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협잡물 처리기 10 타공스크린 100 투입구 101
구멍 102 제1타공부 110a 제2타공부 110b
걸림탭 111 배출부 120 이송스크류 200
세척라인 300 제1하부라인310a 제2하부라인 310b
연결라인 320 제1상부라인 330a 제2상부라인 330b
노즐 340 결합부재 400 제1가압체 410a
제2가압체 410b 제1밀착부 411a 제2밀착부 411b
제1끼움홈 411-1 보조가압편 411-2 제1가압부 412a
제2가압부 412b 지지체 420 단속홈 421
제1볼트공 422 가압볼트 430 보조지지체 440
제2볼트공 441 제2끼움홈 442 가압탭 443

Claims (8)

  1.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모터(5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00)가 구비되며, 일측부 상부에 투입구(101)가 형성되어 외주면이 원형 또는 슬릿형태의 구멍(102)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슬러지를 탈수하며, 일측부 단부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1타공부(110a)와, 상기 제1타공부(110a)에 이웃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진 테이퍼형상의 제2타공부(110b) 및, 상기 제2타공부(110b)의 노출된 자유단에 연결되어 압착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관형의 배출부(120)로 구성되는 타공스크린(100);과,
    상기 타공스크린(100)의 하부 양측 그리고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척라인(300); 및,
    상기 제1타공부(110a) 단부와 제2타공부(110b) 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1타공부(110a)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1밀착부(411a)와 상기 제1밀착부(411a)에 단부에 연결되어 외향으로 절곡된 제1가압부(412a)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1가압체(410a)와, 상기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가 삽입되어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진 제2밀착부(411b)와 상기 제2밀착부(411b)에 단부에 연결되면서 제1가압부(412a)와 마주하도록 외향으로 절곡된 제2가압부(412b)로 구성되는 일체의 제2가압체(410b)와, 상기 제1가압체(410a)와 제2가압체(410b)의 외주가 삽입 결합하며,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를 수용하도록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원주형의 단속홈(421)과 양측면 각각의 외주에 단속홈(421)으로 관통되면서 이격된 다수 개의 제1볼트공(422)이 형성된 지지체(420) 및, 상기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을 통해 단속홈(421)에 수용된 제1가압체(410a)의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가압부(412b)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하도록 가압볼트(430)가 포함되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300)은,
    상기 타공스크린(100) 일측부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일단에 세척수공급부(311)가 연결되면서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하부라인(310a)과,
    상기 세척수공급부(311)에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a)의 일면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100)의 일측 하부를 세로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라인(320)과,
    상기 연결라인(320)의 타단에 일단이 연통되어 타공스크린(100)의 일측부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하부라인(310b)과,
    상기 연결라인(320)의 일단과 근접한 제1하부라인(310a)의 타면에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상부라인(330a)과,
    상기 제1상부라인(330a) 일단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하부라인(310b)의 일면에 연통 연결되어 수직의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절곡되어 타공스크린(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2상부라인(330b) 및,
    상기 제1하부라인(310a), 제2하부라인(310b), 제1상부라인(330a) 및 제2상부라인(330b)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노즐(340)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340)의 분사방향이 타공스크린(10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의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1끼움홈(4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부(411a)와 제2밀착부(411b) 각각의 제1끼움홈(41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타공부(110a)와 제2타공부(110b)의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탭(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이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가 연결된 일측 외주단에서 타측 외주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410a)의 제1밀착부(411a)와 제2가압체(410b)의 제2밀착부(411b) 각각의 자유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된 보조가압편(4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420)의 양측면에 각각 원주형으로 배치되어 지지체(420)의 제1볼트공(422)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볼트공(441)이 형성되면서 보조가압편(411-2)을 끼움 결합되도록 내주면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요입된 제2끼움홈(442)이 형성된 보조지지체(4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체(440)의 제2끼움홈(442)을 기준으로 보조지지체(440) 내주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가압탭(443) 중 상기 제2끼움홈(442)에 위치한 보조가압편(411-2) 내측면에 면접한 가압탭(443)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처리기.
KR1020190138426A 2019-11-01 2019-11-01 협잡물 처리기 KR10208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26A KR102082719B1 (ko) 2019-11-01 2019-11-01 협잡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26A KR102082719B1 (ko) 2019-11-01 2019-11-01 협잡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719B1 true KR102082719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426A KR102082719B1 (ko) 2019-11-01 2019-11-01 협잡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0849A (zh) * 2023-04-07 2023-05-12 河北绿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固废处理的分离装置
KR102534293B1 (ko) 2022-10-04 2023-05-26 이붕용 협잡물 탈수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896A (ja) * 2001-07-17 2003-02-04 Kubota Corp スクリュープレスの外胴構造
KR100414905B1 (ko) * 2003-04-08 2004-01-13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040065197A (ko) * 2004-06-26 2004-07-21 김동환 폐액 속에 함유된 미세 협잡물 처리기
JP2005233211A (ja) * 2004-02-17 2005-09-02 Cosmo Koki Co Ltd フランジ接合装置
JP2005233210A (ja) * 2004-02-17 2005-09-02 Cosmo Koki Co Ltd フランジ接合装置
KR101580491B1 (ko) 2015-02-10 2015-12-28 주식회사 마스타환경기계 스크류 프레스형 협잡물 처리기
KR101769772B1 (ko) 2017-02-08 2017-08-2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유기성 폐기물의 협잡물 처리장치 및 협잡물 제거방법
KR20180000147A (ko) * 2016-06-22 2018-01-02 이명희 협잡물 탈수장치
KR102051377B1 (ko) * 2019-05-22 2019-12-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스크류 이송식 슬러지 감량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896A (ja) * 2001-07-17 2003-02-04 Kubota Corp スクリュープレスの外胴構造
KR100414905B1 (ko) * 2003-04-08 2004-01-13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JP2005233211A (ja) * 2004-02-17 2005-09-02 Cosmo Koki Co Ltd フランジ接合装置
JP2005233210A (ja) * 2004-02-17 2005-09-02 Cosmo Koki Co Ltd フランジ接合装置
KR20040065197A (ko) * 2004-06-26 2004-07-21 김동환 폐액 속에 함유된 미세 협잡물 처리기
KR101580491B1 (ko) 2015-02-10 2015-12-28 주식회사 마스타환경기계 스크류 프레스형 협잡물 처리기
KR20180000147A (ko) * 2016-06-22 2018-01-02 이명희 협잡물 탈수장치
KR101769772B1 (ko) 2017-02-08 2017-08-24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유기성 폐기물의 협잡물 처리장치 및 협잡물 제거방법
KR102051377B1 (ko) * 2019-05-22 2019-12-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스크류 이송식 슬러지 감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93B1 (ko) 2022-10-04 2023-05-26 이붕용 협잡물 탈수기
CN116100849A (zh) * 2023-04-07 2023-05-12 河北绿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固废处理的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2082719B1 (ko) 협잡물 처리기
JPWO2015186612A1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型分離装置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KR101495906B1 (ko) 협잡물 탈수성능을 향상시킨 협잡물 처리기
JP4051395B1 (ja) 回転加圧脱水機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JP2010099643A (ja) 圧縮脱液装置
JP5531330B2 (ja) 回転加圧脱水機および回転加圧脱水機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KR102232943B1 (ko)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JP4702358B2 (ja) 濃縮機構付きスクリュープレス
KR100312612B1 (ko) 진공롤러및수분흡착벨트를이용한슬러지의고압탈수시스템
KR200339408Y1 (ko) 유입 폐수의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2099888B1 (ko) 스크류 프레스장치
JP6301541B1 (ja) 固液分離装置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JP3325215B2 (ja) 夾雑物除去装置
JP2008149272A (ja) 汚泥濃縮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H04131107A (ja) 汚泥水の固液分離装置
KR19980050103A (ko) 산업용 폐수 여과기
KR100710824B1 (ko) 슬러지 농축 탈수기
KR100963130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2416032B1 (ko) 자발적 유지관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