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15B1 -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15B1
KR100781315B1 KR1020060136065A KR20060136065A KR100781315B1 KR 100781315 B1 KR100781315 B1 KR 100781315B1 KR 1020060136065 A KR1020060136065 A KR 1020060136065A KR 20060136065 A KR20060136065 A KR 20060136065A KR 100781315 B1 KR100781315 B1 KR 10078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hydration
casing
storage case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Priority to KR102006013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시간당 탈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리 진입구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 통체와; 상기 슬러지 진입구측의 상기 케이싱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의 일측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지수단과; 상기 슬러지 공급구측의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의 타측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지수단과; 상기 탈수액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탈수액 저장 케이스와; 상단은 상기 탈수액 배출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 배관과;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배관상에 각각 설치되는 진공배출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 탈수, 중력

Description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Gravity Type Preliminary Dehydration Device}
도 1은 고액 분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시선 A-A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지시선 B-B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여과 통체의 외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인 세척수 분사관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싱
110 : 슬러지 진입구
120 : 슬러지 공급구
130 : 탈수액 배출구
200 : 여과 통체
300 : 제1 방지수단
400 : 제2 방지수단
500 : 탈수액 저장 케이스
510 : 연결 배관
520,521 : 진공배출펌프
530,540 : 배출 배관
541 : U자형 트랩
본 발명은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시간당 탈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분뇨 또는 가축의 분뇨나 축산 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는바, 오수, 분뇨, 오니 등 처리 대상물은 다량의 수분과 고형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 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으므로, 정화 처리 공정 중에는 응집제 등의 약품에 의해 처리 대상물 중에 부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처리 공정과, 응집된 슬러지 를 탈수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고액 분리공정을 수행하는 고액 분리장치로는 로울러를 통과하는 여과포나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수분을 분리하는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과, 회전하는 여과 통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만이 여과통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심력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고액 분리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프레임(1)과;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2)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슬러지 투입구 (3b)를 통해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3a)을 통해 여과 통체(2)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3)과; 여과 통체(2)를 감싸도록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5b)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5)와; 중공 회전축(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4a)에 스프링(4b)을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4c)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4)로 구성되며, 여과 통체(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수분만이 여과 통체(2)의 여과망을 통 과한 후 탈수액 배출구(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수분이 분리된 탈수 슬러지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탈수슬러지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응집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 중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고액 분리장치 내부로 투입하는 경우, 고액 분리를 통과하여 배출된 탈수 케익에 수분이 잔류하는 등 탈수 효과가 저조하며, 탈수 케익을 건조시키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등 고액 분리 공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조로부터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6a)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6b) 사이에 여과망(6c)을 설치하고, 여과망(6b)의 하부에는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액 배출구(6d )를 설치하여, 슬러지 중의 수분을 중력에 의해 일차로 제거하여 고액 분리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예비 탈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는 고액 분리장치에 투입되는 슬러지중의 수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액 분리장치의 탈수효율 및 운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여과망이 평면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소요로 하는 여과 면적을 얻기 위해서는 장치를 길게 대형으로 형성해야 했으며, 여과망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과망 위를 통과하는 슬러지 중의 고형 성분이 여과망과의 마찰력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며, 따라서 많은 양의 고형성분이 여과망 위에 잔류하여 수분의 원활한 배출을 저해하게 되므로, 슬러지 중의 수 분이 충분히 여과되지 못한 채 고액 분리장치로 공급되며, 여과망의 눈메꿈 현상 또한, 급속히 진행되므로, 장치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를 설치하거나 고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여과망을 빈번히 세척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망 위를 통과하는 슬러지중의 고형 성분이 원활하게 유동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고액 분리장치에 공급되는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를 2005년 3월 4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출원(출원번호20-2005-5826호)하였다.
여기서, 상기 선행기술은 실용신안출원 당시 고안자와 실용신안권자가 모두 동일하게 출원한 것으로, 현재 2005년 5월 18일자로 등록되어 등록번호 20-385230호를 부여받았으며, 2006년 11월 22일자로 최초 실용신안권자로부터 본 출원인으로 권리를 전부 이전한 상태입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선행 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11)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12)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0)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싱(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주면이 케이싱의 슬러지 진입구의 내측 하부면(11a)과 슬러지 공급구의 내측 하부면(12a)과 접촉상태로 회전되고, 그 양측부는 케이싱의 측벽과 접촉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 케이싱의 내부를, 슬러지 진입구로부터 상기 슬러지 공급구까지 연장되는 상부의 슬러지 통과부(A)와 탈수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부의 탈수액 배출부(B)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여과 통체(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식 예비 탈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 전단에 설치되어 슬러지 중의 수분을 중력에 의해 일차로 제거함으로써 고액 분리장치의 탈수 효율 및 운전 비용을 절감시키게 되는 데, 응집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가 슬러지 진입구(11)를 통해 진입되어 여과 통체(2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면, 여과 통체(20)는 유동 슬러지의 마찰력 및 유동 압력에 의해 슬러지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하게 되며, 슬러지 중의 고형 성분(31)은 점성 마찰 유동보다는 여과 통체의 회전에 의해 슬러지 공급구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된 후, 슬러지 공급구 내측 하부면(12a)과의 접촉부에서 여과 통체(20)로부터 분리되어 슬러지 공급구(12)를 통해 배출되어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로 투입되며, 이 과정 중 슬러지 중의 수분(32)은 자체 중량 즉 중력에 의해 여과 통체(20)의 미세여과공을 통과한 후, 하부의 탈수액 배출부(B)를 거쳐 탈수액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 통체 외주의 고형 성분이 여과 통체 회전 및 스크레이핑 작용에 의해 자체적으로 정화되어, 슬러지 진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여과 통체의 외주에는 고형 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슬러지중의 수분이 잔류 고형 성분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여과 통체를 통과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고액 분리장치에 공급되는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 기술은 슬러지중의 수분이 여과통체에서 걸러진 후 탈 수액 배출구(13)를 통해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투입되는 슬러지중의 수분을 제거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위 시간당 탈수를 위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단위 시간당 탈수를 위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과통체를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더라도 슬러지 공급구(12)로 배출되는 슬러지는 완전히 탈수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선출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단위 시간당 탈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는,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리 진입구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 통체와; 상기 슬러지 진입구측의 상기 케이싱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의 일측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지수단과; 상기 슬러지 공급구측의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의 타측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지수단과; 상기 탈수액 배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탈수액 저장 케이스와; 상단은 상기 탈수액 배출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 배관과;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배관상에 각각 설치되는 진공배출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시선 A-A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지시선 B-B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여과 통체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인 세척수 분사관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는, 케이싱(100)과, 여과 통체(200)와, 제1 방지수단(300)과, 제2 방지수단(400)과,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와, 연결 배관(510)과, 배출 배관(530)(540)과상에 각각 설치되는 진공배출펌프(520)(5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지시선 "C"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리 진입구(110)와, 하부측에 고액 분리장치 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120)와, 하부측에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 통체(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여과 통체(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210)과, 이 원판(210)의 외면 중앙에 형성되어 케이싱(100)의 일측벽(101)으로 일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구동 모터(미도시)의 모터축(미도시)과 연결되는 회전축(220)과, 상기 원판(210)으로 일정 폭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원형 고리 형상의 회전 지지부재(230)와, 상기 회전 지지부재(230)와 원판(210)을 둘러싸는 여과공(241)을 형성하는 망체(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 통체(200)를 구성하는 원판(210)과 회전 지지부재(230)의 이격 거리는 케이싱(100)의 일측벽(101)과 이와 마주하는 타측벽(102) 사이의 폭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 통체(200)의 설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에 여과 통체(200)의 전체 외경보다 더 큰 구멍을 갖는 삽입공(102a)을 형성하고, 케이싱(100)의 일측벽(101)에 상기 여과 통체(200)의 회전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회전 지지공(101a)을 형성한다.
이후, 본 발명의 여과 통체(200)의 회전축(220)을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의 삽입공(102a)에 마주보도록 하여, 이 삽입공(102a)내로 여과 통체(200) 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여과 통체(200)의 회전축(220)은 케이싱(100)의 일측벽(101)에 형성된 회전 지지공(101a)을 관통하여 일측벽(101)의 외부로 돌출 상태가 됨과 아울러 회전축(220) 반대편의 여과 통체(200)의 끝단부인 회전 지지부재(230)는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의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망체(241)는 원판(210)과 회전 지지부재(230)의 가장자리부를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부재(242)와, 이 가로부재(24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이 가로부재(242)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형 고리 형상의 세로부재(243)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부재(242)와 세로부재(243) 사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여과공(241)의 역활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의 외측면에 돌출된 상기 회전 지지부재(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150)을 볼트(154)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하여 체결한다.
상기 수직 지지판(150)의 좌우측면중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리브(151)가 돌출 형성되는 바, 이 지지리브(151)는 여과 통체(200)의 회전 지지부재(230)의 내면에 접촉되어, 전체적으로 여과 통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 지지판(150)의 양측면중 케이싱(100)의 타측벽(102)에 대응되는 측면 중앙, 즉 지지리브(151)의 중심에는 세척수 분사공(152a)이 구비된 세척수 분사관(152)이 돌출 형성되며, 이 세척수 분사관(152)의 길이는 여과 통체(200)의 원 판(210)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관(152)이 형성된 반대편의 수직 지지판(150)의 외측면에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도입되는 세척수 도입구(153)가 수직 지지판(150)을 관통하여 세척수 분사관(15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세척수는 고압으로 세척수 분사관(152)의 세척수 분사공(152a)을 통해서 분사됨으로써, 여과 통체(200)의 망체(240)에 형성된 여과공(241)이 슬러지에 의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방지수단(300)은, 상기 슬러지 진입구(110)측의 상기 케이싱(100)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200)의 일측 외주면(210)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지수단(400)은, 상기 슬러지 공급구(130)측의 상기 케이싱(100)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200)의 타측 외주면(220)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방지수단(400)은 탄성력을 갖는 러버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는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배관(510)은, 그 상단은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진공배출펌프(520)(521)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배관(530)(540)상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 배관(540)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배관(540)중 상기 진공배출펌프(521)의 전단에는 "U"자형 트랩(541)이 설치된다.
여기서, U자 트랩(541)을 사용하는 이유는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내에 저장된 탈수액의 양이 증가하여 배출 배관(540)으로 넘쳐 흐를 경우, 진공배출펌프(521)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 가동시 진공흡입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U자 트랩(541)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내의 탈수액을 진공배출펌프(521)를 이용하여 배출하게 되면,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내에 탈수액이 많이 고여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내에 탈수액이 미량이 고여있을 경우 진공 흡입력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배출 배관(530)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 배관(530)(540)은 단독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바, 배출 배관(530)만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진공배출펌프(520)만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 배관(540)만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진공배출펌프(540)만이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탈수액의 강제 배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출 배관(530)(540) 둘 다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공배출펌프(520)(540)가 모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시된 구동 모터(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여과 통체(2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 통체(200)를 회전시키고 나서, 케이싱(100)의 상부측에 형성된 슬러지 진입구(110)를 통해 다량의 슬러지를 강제 진입시키면, 진입된 슬러지는 제1 방지수단(300)과 제2 방지수단(400)에 의해 상부로 노출된 여과 통체(200)의 외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여과 통체(200)의 외면에 도달한 슬러지는 회전 상태로 작동되는 여과 통체(200)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고액 분리장치(미도시)의 슬러지 투입구(미도시)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120)로 공급된다.
이때, 여과 통체(200)의 상면에 위치한 슬러지중에 포함된 수분은 중력에 의해 자중으로 낙하되어 여과 통체(200)의 여과공(241)을 통해 탈수된다.
이렇게 탈수된 탈수액은 케이싱(100)의 탈수액 배출구(130)를 통해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내로 저장된다.
한편, 제1 방지수단(300)과 제2 방지수단(400)에 의해 상부로 노출된 여과 통체(200)의 외면 전체에는 슬러지로 덮어 씌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진공배출펌프(520)(521)를 선택적으로 또는 둘다 모두 작동시키면, 이 진공배출펌프(520)(521)의 진공 흡입력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강제로 탈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방지수단(300)과 제2 방지수단(400)에 의해 상부로 노출된 여과 통체(200)의 외면 전체에는 슬러지로 덮어 씌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제1 방지수단(300) 및 제2 방지수단(400) 하부 및 케이싱(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은 완전 밀폐 상태가 아니지만, 진공 흡입력이 작동되는 경우에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강제로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밀폐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단위 시간당 탈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단위 시간당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과 통체를 보다 빨리 회전시키더라도, 강제적으로 탈수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슬러지의 처리량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는 여과 통체(200)가 계속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제2 방지수단(400)을 타고 넘어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120)로 낙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시간당 탈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슬러지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리 진입구(110)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120)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130)가 형성된 케이싱(100)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 통체(200)와;
    상기 슬러지 진입구(110)측의 상기 케이싱(100)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200)의 일측 외주면(210)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지수단(300)과;
    상기 슬러지 공급구(130)측의 상기 케이싱(100)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이 상기 여과 통체(200)의 타측 외주면(220)에 접촉되되, 상기 여과 통체(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로 슬러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지수단(400)과;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와;
    상단은 상기 탈수액 배출구(13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 배관(510)과;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 배관(530)(540)상에 각각 설치되는 진공배출펌프(520)(5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배관(540)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바닥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배관(540)중 상기 진공배출펌프(521)의 전단에는 "U"자형 트랩(5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배관(530)은 상기 탈수액 저장 케이스(500)의 상부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20060136065A 2006-12-28 2006-12-28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78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65A KR100781315B1 (ko) 2006-12-28 2006-12-28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65A KR100781315B1 (ko) 2006-12-28 2006-12-28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15B1 true KR100781315B1 (ko) 2007-12-03

Family

ID=3913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65A KR100781315B1 (ko) 2006-12-28 2006-12-28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0B1 (ko) * 2009-01-29 2009-12-15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1276526B1 (ko) 2012-02-19 2013-06-18 김동욱 탈수성능이 향상된 수평스크린형 진공 드럼 농축기
KR101972575B1 (ko) 2018-10-10 2019-04-2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드럼 농축기의 슬러지 균등 공급 장치
CN115105887A (zh) * 2022-06-29 2022-09-27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石油开采用钻井泥浆过滤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40A (en) 1986-10-29 1992-11-03 Josef Merai Procedure for the dewatering of sewage sludge and plant for procedure execution
JP2002119998A (ja) 2000-08-09 2002-04-23 Okachu Shoji Kk 廃棄物脱水装置及び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050041572A (ko) * 2003-10-31 2005-05-04 김위성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KR200385230Y1 (ko) 2005-03-04 2005-05-25 김정근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40A (en) 1986-10-29 1992-11-03 Josef Merai Procedure for the dewatering of sewage sludge and plant for procedure execution
JP2002119998A (ja) 2000-08-09 2002-04-23 Okachu Shoji Kk 廃棄物脱水装置及び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050041572A (ko) * 2003-10-31 2005-05-04 김위성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KR200385230Y1 (ko) 2005-03-04 2005-05-25 김정근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0B1 (ko) * 2009-01-29 2009-12-15 주식회사 대협이앤지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1276526B1 (ko) 2012-02-19 2013-06-18 김동욱 탈수성능이 향상된 수평스크린형 진공 드럼 농축기
KR101972575B1 (ko) 2018-10-10 2019-04-2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드럼 농축기의 슬러지 균등 공급 장치
CN115105887A (zh) * 2022-06-29 2022-09-27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石油开采用钻井泥浆过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200385230Y1 (ko)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JP2008104952A (ja) 汚泥脱水処理装置および汚泥脱水処理装置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JP4072685B2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200409043Y1 (ko) 농축, 탈수라인을 갖는 슬러지 처리장치
KR20050115400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JP4487908B2 (ja) 汚泥等の濃縮装置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KR100625211B1 (ko) 탈수차량 시스템
KR100887938B1 (ko) 슬러지 응집 겸 농축장치
KR102355589B1 (ko) 미세드럼스크린부의 구조가 개선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JP4376427B2 (ja) 回転ドラム式濃縮装置および汚泥の処理方法
JP2008149272A (ja) 汚泥濃縮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JP2003126900A (ja) し渣移送脱水機
KR200353564Y1 (ko) 폐수 슬러지 농축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0931990B1 (ko)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200203076Y1 (ko) 협잡물 제거장치의 보조장치(2)
KR200367385Y1 (ko) 스크린 드럼을 구비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0345619B1 (ko) 찌꺼기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