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244B1 -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244B1
KR100616244B1 KR1020060042744A KR20060042744A KR100616244B1 KR 100616244 B1 KR100616244 B1 KR 100616244B1 KR 1020060042744 A KR1020060042744 A KR 1020060042744A KR 20060042744 A KR20060042744 A KR 20060042744A KR 100616244 B1 KR100616244 B1 KR 10061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guide
plate
fix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4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가 돌출형성되고, 모터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선단에 구동기어가 체결되는 사각통체인 상부몸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이맞춤되는 회동기어가 형성되고, 회동기어가 축결합된 회동축에 축결합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된 메쉬통체로 철부 선단에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scraper)가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여과통체와; 하부에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외측하부에서 내측상부로 사면결합공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내측에 상부몸체의 하단이 삽입되어 체결고정되고, 다수개의 걸림봉이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된 상광하협의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되어, 일단이 선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슬러지 진입구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어 안내하다가 상부 내측으로 여과통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가 타격되는 타원형의 타격요부를 형성하며 타단이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체인 상부전방가이드를 갖고, 일단이 후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전방가이드 타단과 밀착되는 판체인 전방지지판을 갖는 가이드뚜껑과; 일단은 슬러지 진입구 하단에 연장고정되는 곡면형상의 메쉬철망인 하부여과판이 형성되고, 여과통체의 하부를 감싸면서 스크레이퍼가 통과하는 절개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사면결합공 상측에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와; 일단은 상부전방가이드 타격요부의 우측단에 밀착되어 하부로 동일궤적으로 곡면형성된 메쉬철망인 전방여과판이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상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상부전방가이드 하단과 전방지지판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단턱이 외측상부로 돌출형성되고, 단턱 하부 외측에 하부몸체 상단과 체결고정되는 체결판이 돌출형성되며, 단턱 상부까지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전방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요철부로 형성된 여과망체의 스크레이퍼로 여과망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파쇄시키면서 동시에 타격요부로 급격히 타격시킴으로써, 슬러지 중의 고형성분에서 수분을 보다 고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몸체, 가이드뚜껑, 하부몸체, 여과통체, 전방하부가이드, 하부가이드

Description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Dehydration device of gravity type for manage waste water institu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통체 11 : 회동축
12 : 회동기어 13 : 요부
14 : 철부 15 : 스크레이퍼(scraper)
15a : 체결볼트 15b : 브라켓
16 : 구동기어 17 : 모터
18 : 구동축 20 : 하부가이드
21 : 하부여과판 22 : 절개홈
30 : 전방하부가이드 31 : 전방여과판
32 : 단턱 33 : 체결판
40 : 상부몸체 41 : 슬러지 진입구
42 : 축공 50 : 가이드뚜껑
51 : 상부전방가이드 52 : 타격요부
53 : 전방지지판 60 : 하부몸체
61 : 사면결합공 62 : 걸림봉
63 : 탈수액 배출구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부로 형성된 여과망체의 스크레이퍼로 여과망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파쇄시키면서 동시에 타격요부로 급격히 타격시킴으로써, 슬러지 중의 고형성분에서 수분을 보다 고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분뇨 또는 가축의 분뇨나 축산 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오수, 분뇨, 오니 등 처리 대상물은 다량의 수분과 고형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정화 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수행 될 수 없으므로, 정화 처리 공정 중에는 응집제 등의 약품에 의해 처리 대상물 중에 부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처리 공정과,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고액 분리공정을 수행하는 고액 분리장치로는 로울러를 통과하는 여과포나 스크류에 의해 슬러지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수분을 분리하는 벨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과, 회전하는 여과 통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만이 여과통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심력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의 고액 분리장치로,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로 투입된 슬러지 중의 수분을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여과 통체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여과 통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슬러지 투입구를 통해 중공부 내부로 공급된 슬러지를 배출공을 통해 여과 통체 내부로 공급하는 중공 회전축과; 여과 통체를 감싸도록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 통체를 통해 배출되는 탈수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중앙 하부에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하부에는 여과 통체의 후방 개방부로부터 탈락되는 탈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탈수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집 커버와; 중공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에 경사 방향으로 고정되어, 중공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이 여과 통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과 통체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여과 통체의 내벽에 부착된 탈수 슬러지를 긁어내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되며, 여과 통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수분만이 여과 통체의 여과망을 통과한 후 탈수액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수분이 분리된 탈수 슬러지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탈수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응집 처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 중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고액 분리장치 내부로 투입하는 경우, 고액 분리를 통과하여 배출된 탈수 케익에 수분이 잔류하는 등 탈수 효과가 저조하며, 탈수 케익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등 고액 분리 공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집조로부터 배출되는 응집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 사이에 여과망을 설치하고, 여과망의 하부에는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수액 배출구를 설치하여, 슬러지 중의 수분을 중력에 의해 일차로 제거하여 고액 분리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예비 탈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는 고액 분리장치에 투입되는 슬러지 중의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시킴으로써 고액 분리장치의 탈수효율 및 운전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과망이 평면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소요로 하는 여과 면적을 얻기 위해서는 장치를 길게 대형으로 형성해야 했으며, 여과망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과망 위를 통과하는 슬러지 중의 고형 성분이 여과망과의 마찰력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며, 따라서 많은 양의 고형성분이 여과망 위에 잔류하여 수분의 원활한 배출을 저해하게 되므로, 슬러지 중의 수분이 충분히 여과되지 못한 채 고액 분리장치로 공급되며, 여과망의 눈메꿈 현상 또한, 급속히 진행되므로, 장치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를 설치하거나 고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여과망을 빈번히 세척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와, 고액 분리장치의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구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주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슬러지 진입구의 내측 하부면과 상기 슬러지 공급구의 내측 하부면과 접촉 상태로 회전되고, 그 양측부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과 접촉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상기 슬러지 진입구로부터 상기 슬러지 공급구까지 연장되는 상부의 슬러지 통과부와 상기 탈수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부의 탈수액 배출부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여과 통체를 구비하고, 케이싱의 외부에는 상기 여과 통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여과 통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베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슬러지 진입구의 내측 하부면과 상기 슬러지 공급구의 내측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탄성 재질의 격판을 매개로 상기 여과 통체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가 2005년 5월 25일자 실용신안등록 제385230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킨 탈수 케익에 수분이 잔류하는 등 탈수 효율이 저조하고, 탈수 케익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보다 효율적인 탈수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는 당위성이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철부로 형성된 여과망체의 스크레이퍼로 여과망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파쇄시키면서 동시에 타격요부로 급격히 타격시킴으로써, 슬러지 중의 고형성분에서 수분을 보다 고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가 돌출형성되고, 모터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선단에 구동기어가 체결되는 사각통체인 상부몸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이맞춤되는 회동기어가 형성되고, 회동기어가 축결합된 회동축에 축결합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된 메쉬통체로 철부 선단에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scraper)가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여과통체와;
하부에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외측하부에서 내측상부로 사면결합공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내측에 상부몸체의 하단이 삽입되어 체결고정되고, 다수개의 걸림봉이 일정간격으로 고정 결합된 상광하협의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되어, 일단이 선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슬러지 진입구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어 안내하다가 상부 내측으로 여과통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가 타격되는 타원형의 타격요부를 형성하며 타단이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체인 상부전방가이드를 갖고, 일단이 후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전방가이드 타단과 밀착되는 판체인 전방지지판을 갖는 가이드뚜껑과;
일단은 슬러지 진입구 하단에 연장고정되는 곡면형상의 메쉬철망인 하부여과판이 형성되고, 여과통체의 하부를 감싸면서 스크레이퍼가 통과하는 절개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사면결합공 상측에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와;
일단은 상부전방가이드 타격요부의 우측단에 밀착되어 하부로 동일궤적으로 곡면형성된 메쉬철망인 전방여과판이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상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상부전방가이드 하단과 전방지지판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단턱이 외측상부로 돌출형성되고, 단턱 하부 외측에 하부몸체 상단과 체결고정되는 체결판이 돌출형성되며, 단턱 상부까지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전방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중력식 탈수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는, 가이드뚜껑(50)이 안착되고 여과통체(10)가 축고정되며 일측으로 슬러지가 투입되는 상부몸체(40)와, 타격요부(52)와 하부여과판(21) 및 전방여과판(31) 중심측에 축고정되어 회동되면서 슬러지를 파쇄하고 타격요부(52)측으로 타격시켜 수분을 제거시키는 여과통체(10)와, 상부몸체(40) 하부에서 하부가이드(20)와 전방하부가이드(30)를 체결고정시켜 탈수액 배출구(63)로 수분을 배출시키는 하부몸체(60)와, 상부몸체(40) 상단에 결합되어 여과통체(10)에 의해 타격된 슬러지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뚜껑(50)과, 여과통체(10)의 하부를 받히면서 탈수액 배출구(63)로의 수분배출을 유도하는 하부가이드(20)와, 전방측 하부에서 여과통체(10)를 받혀주면서 탈수액 배출구(63)로의 수분배출을 유도하는 전방하부가이드(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40)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 일측에는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41)가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의 사면으로 돌출형성되고, 타측에는 모터(17)의 구동축(18)이 삽입되는 축공(42)이 형성되어 상부몸체(40) 내측에서 구동축(18) 선단에 구동기어(16)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여과통체(10)는 슬러지가 얹혀져서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를 분쇄하고 타격시킴으로써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쉬통체로, 일측단에는 상기 구동기어(16)에 이맞춤되는 회동기어(12)가 축결합되고, 회동기어(12)가 축결합된 회동축(11)에 축결합되어 회동된다. 그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요부(13)와 철부(14)가 일전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철부(14) 선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삼각형상인 다수개의 스크레이퍼(scraper)(15)가 체결볼트(15a)에 의해서 완강히 고정결합된다.
이때, 여과통체(10)의 철부(14) 내측에는 체결볼트(15a)가 삽입되어 체결지지되는 브라켓(15b)이 형성되되, 브라켓(15b)은 매쉬통체에 직접걸림고정되어 스크레이퍼(15)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메쉬통체 외측에서 스크레이퍼(15)를 체결볼트(15a)로 고정지지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하부몸체(60)는 상부몸체(40)의 하부에 위치되어 슬러지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하부로 유출시키고, 고형의 슬러지는 우측으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상과하협의 통체로, 하부에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자중에 의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63)가 형성되고, 우측 중심에는 외측하부에서 내측상부로 하부가이드(20)와 전방하부가이드(30)의 하단이 결합되어 수분이 이탈된 고형의 슬러지만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사면결합공(61)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내측에 상부몸체(40)의 하단이 삽입되어 체결고정되고, 다수개의 걸림봉(62)이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뚜껑(50)은 상기 상부몸체(40)의 상단에 밀폐결합되어, 여과통체(10)에 의해 타격된 고형상의 슬러지를 하부로 유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가이드뚜껑(50)의 선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슬러지 진입구(41)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어 안내하다가 상부 내측으로 여과통체(10)의 원심력에 의해 고형상의 슬러지가 타격되는 타원형의 타격요부(52)를 형성하며, 타단은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체인 상부전방가이드(51)가 설치된다. 상부전방가이드(51)의 후방측에는 일단이 후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전방가이드(51) 타단과 밀착되어 타격요부(5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판체인 전방지지판(53)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가이드(20)는 일단이 상부몸체(40)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분은 하부로 유도하고 고형상의 슬러지는 외부로 유출시키는 판체로, 슬러지 진입구(41) 내측 하단에는 연장되어 고정되는 여과통체(10)의 하부를 감싸는 곡면형상의 메쉬철망인 하부여과판(21)이 형성되고, 여과통체(10)의 하부를 감싸면서 다수개의 스크레이퍼(15)가 통과하는 절개홈(22)이 다수개 형성되며, 타단은 하부몸체(60)의 사면결합공(61)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외부로 연장돌출되되, 하부몸체(60)의 사면결합공(61)을 기준으로 그 상측으로는 수분만이 자중에 의해서 탈수액 배출구(63)로 유출되는 메쉬철망으로 형성시키고, 그 하측으로는 고형상의 슬러지를 외부로 유출유도하는 판체로 형성시킨다.
상기 전방하부가이드(30)는 하부가이드(20) 맞은편에 대응설치되어 고형상인 슬러지를 외부로 유출유도하기 위한 메시철망과 판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단에는 가이드뚜껑(50)의 상부전방가이드(51) 타격요부(52)의 우측단에 밀착되어 하부로 동일궤적으로 곡면형성된 메쉬철망의 전방여과판(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하부몸체(60)의 사면결합공(61) 상단에 체결고정되어 외부로 연장돌출되되, 상부전방가이드(51) 하단과 전방지지판(53)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단턱(32)이 외측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단턱(32) 하부 외측에 하부몸체(60) 상단과 체결고정되는 체결판(33)이 돌출형성되며, 단턱(32) 상부까지는 수분이 유출되도록 메쉬철망으로 형성시키고, 그 하부로는 고형상의 판체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판체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7)를 작동시켜, 구동축(18)을 통해 구동기어(16)가 회동되고, 구동기어(16)는 이맞춤된 회동기어(12)를 구동시킴에 따라 회동축(11)은 축회동되며, 이로서 여과통체(1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몸체(40)의 슬러지 진입구(41)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가 투입되면, 수분이 함유된 고형상의 슬러지는 하부가이드(20)의 하부여과판(21)과 상부전방가이드(51) 사이 또는 하부가이드(20) 하부여과판(21)의 절개홈(22)에서 여과통체(10)의 철부(14)에 고정된 다수개의 스크레이퍼(15)에 의해 분쇄되면서 그 내부에 함유된 수분이 하부가이드(20)의 메쉬철망인 하부여과판(21)을 통해서 하부몸체(60)의 탈수액 배출구(63)를 통해서 수분이 배출된다.
또한, 수분이 함유된 고형상의 슬러지는 회동되는 여과통체(10)의 다수개 스크레이퍼(15)에 의해서 타격요부(52) 측으로 타격되고, 이때 타격시의 충격으로 인 해서 고형상 슬러지 내부의 수분은 전방하부가이드(30)의 전방여과판(31)을 거쳐하부가이드(20)의 메쉬철망을 거쳐서 탈수액 배출구(63)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수분이 배출된 고형상의 슬러지는 전방측하부가이드(30)와 하부가이드(20)를 통해서 사면결합공(61)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요철부로 형성된 여과망체의 스크레이퍼로 여과망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파쇄시키면서 동시에 타격요부로 급격히 타격시킴으로써, 슬러지 중의 고형성분에서 수분을 보다 고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보다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일측에 슬러지가 진입되는 슬러지 진입구가 돌출형성되고, 모터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선단에 구동기어가 체결되는 사각통체인 상부몸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이맞춤되는 회동기어가 형성되고, 회동기어가 축결합된 회동축에 축결합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된 메쉬통체로 철부 선단에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scraper)가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여과통체와;
    하부에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탈수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외측하부에서 내측상부로 사면결합공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내측에 상부몸체의 하단이 삽입되어 체결고정되고, 다수개의 걸림봉이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된 상광하협의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밀폐되어, 일단이 선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슬러지 진입구의 연장선상으로 연장되어 안내하다가 상부 내측으로 여과통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가 타격되는 타원형의 타격요부를 형성하며 타단이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체인 상부전방가이드를 갖고, 일단이 후단하부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전방가이드 타단과 밀착되는 판체인 전방지지판을 갖는 가이드뚜껑과;
    일단은 슬러지 진입구 하단에 연장고정되는 곡면형상의 메쉬철망인 하부여과판이 형성되고, 여과통체의 하부를 감싸면서 스크레이퍼가 통과하는 절개홈이 다수 개 형성되며,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사면결합공 상측에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와;
    일단은 상부전방가이드 타격요부의 우측단에 밀착되어 하부로 동일궤적으로 곡면형성된 메쉬철망인 전방여과판이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몸체의 사면결합공 상단에 체결고정되어 연장되되, 상부전방가이드 하단과 전방지지판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단턱이 외측상부로 돌출형성되고, 단턱 하부 외측에 하부몸체 상단과 체결고정되는 체결판이 돌출형성되며, 단턱 상부까지는 메쉬철망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판체로 형성되는 전방하부가이드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1020060042744A 2006-05-12 2006-05-12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10061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744A KR100616244B1 (ko) 2006-05-12 2006-05-12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744A KR100616244B1 (ko) 2006-05-12 2006-05-12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244B1 true KR100616244B1 (ko) 2006-08-28

Family

ID=3760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744A KR100616244B1 (ko) 2006-05-12 2006-05-12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2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84B1 (ko) * 2007-02-16 2007-06-28 김운섭 폐수처리용 스크루 프레스 탈수장치
KR20150015172A (ko) * 2013-07-31 2015-02-10 김성택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KR200479774Y1 (ko) * 2014-06-13 2016-03-07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우수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처리장치
CN115282666A (zh) * 2022-08-09 2022-11-04 魏伟斌 一种污水净化系统及其除泥装置
CN115282666B (zh) * 2022-08-09 2024-06-04 中山市黄圃食品工业园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净化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30Y1 (ko) 2005-03-04 2005-05-25 김정근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30Y1 (ko) 2005-03-04 2005-05-25 김정근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84B1 (ko) * 2007-02-16 2007-06-28 김운섭 폐수처리용 스크루 프레스 탈수장치
KR20150015172A (ko) * 2013-07-31 2015-02-10 김성택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KR101588649B1 (ko) * 2013-07-31 2016-01-28 김성택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KR200479774Y1 (ko) * 2014-06-13 2016-03-07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우수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처리장치
CN115282666A (zh) * 2022-08-09 2022-11-04 魏伟斌 一种污水净化系统及其除泥装置
CN115282666B (zh) * 2022-08-09 2024-06-04 中山市黄圃食品工业园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99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200385230Y1 (ko)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JP4177248B2 (ja) し渣除去装置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KR200409043Y1 (ko) 농축, 탈수라인을 갖는 슬러지 처리장치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CN214612143U (zh) 一种带有搅拌絮凝装置的污泥脱水机
KR102355589B1 (ko) 미세드럼스크린부의 구조가 개선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353564Y1 (ko) 폐수 슬러지 농축장치
KR100317512B1 (ko) 싱크대용 개숫물 처리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02003U (ko) 싱크대설치식 음식물 탈수장치의 회전여과망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0702670B1 (ko) 슬러지 탈수 장치
KR200400257Y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KR200197005Y1 (ko) 싱크대용 오수처리장치
KR200188213Y1 (ko) 싱크대용 오수 처리장치
CN219636986U (zh) 一种造纸废水排污处理设备
KR200324931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213599Y1 (ko) 싱크대용 오수 처리장치
KR200194149Y1 (ko) 세척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