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172A -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172A
KR20150015172A KR1020130090852A KR20130090852A KR20150015172A KR 20150015172 A KR20150015172 A KR 20150015172A KR 1020130090852 A KR1020130090852 A KR 1020130090852A KR 20130090852 A KR20130090852 A KR 20130090852A KR 20150015172 A KR20150015172 A KR 2015001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livestock wastewater
solid
liquid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649B1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김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택 filed Critical 김성택
Priority to KR102013009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6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using drying or composting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액분리부와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탈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탈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탈수부의 케이싱 및 스크류를 상협하광의 테이퍼 구조 및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와 처리수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Livestock wastewater pretreatm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vestock wastewater}
본 발명은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액분리부와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탈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탈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탈수부의 케이싱 및 스크류를 상협하광의 테이퍼 구조 및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와 처리수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돈농가의 대형화추세에 따라 사육과정에서 많은 량의 축산폐수가 발생되는 바, 이로 인해 지하수나 하천의 오염이 심화되고 있고 심한 악취로 인해 쾌적한 주거환경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축산폐수를 정부차원에서 관리처리하기 위해 축사에서 수거된 축산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축산폐수정화 처리시설을 전국 각 지역에 설치·가동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축산농가에서 발생된 축산폐수의 BOD농도는 20,000~25,000ppm 범위가 되기 때문에 실제로 공공 시설인 축산폐수처리시설의 가동시 과부하로 인해 축산폐수처리시설을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의 가동을 위하여 처리기준 혹은 환경기준 이내로 2∼3차 고도처리시설을 더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그 일예로 기존에는 폐수저류시설에 수거된 액상의 축산폐수와 반고체상태의 슬러지를 분리한 뒤 슬러지는 퇴비화하고, 액상의 폐수는 BOD농도를 낮추어 정화처리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축산폐수를 액상과 슬러지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원심탈수기와 벨트 프레스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처리방법들은 부유물질 제거율이 40∼50%에 불과하여 현실적으로 실효성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개발되고 시도되고 있는 축산폐수를 액상의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응집제를 혼합시킨 축산폐수를 탈수장치로 이송시켜 탈수탱크내에 설치된 여과장치에 의해 액상의 폐수는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별도로 처리하고, 탈수된 슬러지는 퇴비화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서 축산폐수를 혼합탱크로 이송시켜 그 속으로 응집제(폴리머)를 투여한 뒤 수시간 동안 교반하여 응집제와 폐수를 고르게 혼합시킨 뒤 이를 상기한 탈수장치로 보내 탈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응집제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폴리아크릴 아미드,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염의 공중합체를 기초로 한 합성고분자 화합물을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장치에서는 많은 축산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탱크의 용량을 크게 설계해야 함으로 혼합장치의 설치시 그에 상응하는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또한 혼합탱크내서 응집제와 폐수가 효과적으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에어를 불어넣는 폭기장치 혹은 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함으로 많은 시설투자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해 혼합장치는 축산폐수가 발생되는 현장에 설치하지 못하고 발생되어진 축산폐수는 임시로 폐수저장탱크에 저장·보관한 뒤 일정량이 채워지면 이것을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로 운반하여 처리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217호에는 폐수저류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펌핑하여 파이프를 따라 이송시키되 이송되는 폐수속으로 응집제 주입관을 통해 적정량의 응집제를 함께 주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파이프(P)를 통해 유입된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단계에서 배출된 축산폐수가 채워지는 탱크를 구비하되 양측으로 대칭되게 폐수를 통과시키고 슬러지를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구비하는 액상의 폐수를 탈수하는 탈수단계로 이루어진 축산폐수 전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수저류탱크와 탈수장치 사이에 설치하되, 내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다이야프램을 구비하는 라인형 믹서를 설치하여 투입된 폐수와 응집제가 상기 믹서의 다이야프램에 부딪히도록 하여 혼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응집제와 폐수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라인형 믹서의 입구측에 에어를 주입하여 폐수에 응집제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축산폐수의 고액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충분한 탈수 내지 여과를 시키기 위해서는 축산폐수를 수차례에 걸쳐 탈수장치에 통과시켜야 하거나, 또는 탈수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액분리부와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탈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탈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부의 케이싱 및 스크류를 상협하광의 테이퍼 구조 및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와 처리수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형 급속응집장치 복수 개, 예를 들어 3개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축산폐수의 응집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산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집처리단계을 통해 응집시킨 축산폐수를 탈수시켜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전처리과정을 함으로써, 후처리단계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축산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는 축산폐수를 수용하는 축산폐수집수조와; 상기 축산폐수를 응집하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주입관과; 상기 축산폐수집수조 및 응집제주입관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상기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면서 이송시키는 응집장치와; 상기 급속응집장치에서 이송된 축산폐수를 수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고액분리부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 및 처리수 배출관이 형성된 외통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탈수부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 및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보다 상기 슬러지배출구 측이 더 높은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슬러지에서 분리된 처리수이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케이싱 및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에서 상기 슬러지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집수조에 저장된 축산폐수를 펌핑하여 파이프를 따라 이송시키되 이송되는 폐수 속으로 응집제 주입관을 통해 적정량의 응집제를 함께 주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는 응집처리단계; 및 상기 응집제와 혼합된 축산폐수를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부에서 상기 축산폐수를 상기 슬러지 및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와, 상기 1차로 분리된 슬러지를 압착하여 탈수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응집처리단계는 내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다이아프램을 구비하는 라인형 급속응집장치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의 혼합 및 응집이 이루어지되, 상기 라인형 급속응집장치는 3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1차 고액분리단계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 및 처리수 배출관이 형성된 외통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의 고액분리부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고액분리단계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고액분리부 내지 탈수부를 통해 분리된 처리수은 미생물을 투입하고 폭기하여 처리하고,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퇴비화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고액분리부와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탈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탈수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탈수부의 케이싱 및 스크류를 상협하광의 테이퍼 구조 및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와 처리수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라인형 급속응집장치 복수 개, 예를 들어 3개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축산폐수의 응집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응집처리단계을 통해 응집시킨 축산폐수를 탈수시켜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전처리과정을 함으로써, 후처리단계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응집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고액분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응집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고액분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축산폐수 전처리장치는 크게 축산폐수집수조(10)와, 응집제주입관(12)과, 응집장치(30)와, 고액분리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산폐수집수조(10)는 축산폐수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축산폐수집수조와 상기 고액분리장치(20) 사이에는 배관파이프(P)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배관파이프(P) 상에 펌프(11)와 응집장치(30)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펌프(11)는 축산폐수집수조(10) 내의 축산폐수를 고액분리장치(20)로 펌핑시킨다.
이때 상기 응집장치(30)의 입구측 배관 파이프(P)에는 응집제주입관(12)이 설치되어 축산폐수 속에 응집제를 주입한다.
상기 응집장치(30)는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여 축산폐수를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라인형 급속응집장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축산폐수와 함께 응집장치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응집제와 축산폐수는 다이아프램(31)에 부딪히면서 그 충돌압에 의해 서로 혼합된다. 상기 다이아프램(31)은 지그재그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축산폐수와 응집제가 수평, 수직 운동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동안에 방향이 전환될 때 응집제와 축산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라인형 급속응집장치(30)를 통과하면서 혼합된 축산폐수는 고액분리장치(20)로 공급된다.
상기 고액분리장치(20)는 상기 급속응집장치(30)에서 이송된 축산폐수를 수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21)와, 상기 고액분리부(21)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부(2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액분리부(21)는 하부에 배출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213)이 형성된 내통(210)과, 상기 내통(210)의 관통홀(213)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231) 및 처리수 배출관(233)이 형성된 외통(230)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3)은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크기 및 개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탈수부(25)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2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252)가 형성되는 케이싱(250)과, 상기 케이싱(25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50) 및 스크류(255)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251) 측보다 상기 슬러지배출구(252) 측이 더 높은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255)에 의해 이송되는 슬러지에서 분리된 처리수이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유입구 측으로 모인 처리수은 처리수 배출관(253)을 통해 배출되어 후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50) 및 스크류(255)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251) 측에서 상기 슬러지배출구(25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응집된 축산폐수를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일차적으로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를 한 후, 탈수부에서 이차적으로 탈수를 함으로써 고액분리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부에서 케이싱과 스크류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스크류를 통해 슬러지는 올라가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고, 탈수된 처리수은 흘러내려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과 스크류를 상협하광 구조, 다시 말해 상기 케이싱의 단면적이 좁아드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착에 의해 탈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고액분리부(21)의 배출구(211)에는 개폐장치(245)와, 교반장치(2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장치(245)는 배출구(211)를 개폐하여 슬러지 내지 처리수가 탈수부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장치(245)를 통해 상기 내통 내지 외통에 어느 정도 수위의 축산폐수가 찰 때까지는 배출구를 막고, 축산폐수에서 처리수이 관통홀과 처리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후에는 개방하게 된다.
이때, 처리수이 배출되어 대부분 슬러지 상태이므로, 개폐장치(245)를 개방하더라도 슬러지가 배출구(211)를 막고 있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반장치(240)를 이용하여 배출구(211)에 있는 슬러지를 교반시켜 원활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다만, 도면 상에는 개폐장치(245)가 스크류회전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슬러지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른 방식으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축산폐수 전처리장치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집수조에 저장된 축산폐수를 펌핑하여 파이프(P)를 따라 이송시키되 이송되는 폐수 속으로 응집제 주입관(12)을 통해 적정량의 응집제를 함께 주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파이프(P)를 통해 유입된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는 응집처리단계 및 상기 응집제와 혼합된 축산폐수를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처리단계는 내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다이아프램(31)을 구비하는 라인형 급속응집장치(30)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의 혼합 및 응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형 급속응집장치(30a, 30b, 30c)는 3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인형 급속응집장치를 복수 개로 연결함으로써 응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후에 이루어지는 탈수과정에서 탈수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부(21)에서 상기 축산폐수를 상기 슬러지 및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와, 상기 1차로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부에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탈수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고액분리단계는 하부에 배출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213)이 형성된 내통(210)과, 상기 내통(210)의 관통홀(213)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231) 및 처리수 배출관(233)이 형성된 외통(230)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의 고액분리부(2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고액분리단계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2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252)가 형성되는 케이싱(250)과, 상기 케이싱(25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255)를 포함하는 탈수부(25)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도 3a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고액분리부 내지 탈수부를 통해 분리된 처리수은 미생물을 투입하고 약 8시간 동안 폭기하여 처리하고,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수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바이오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 처리한 후, 하천 등으로 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러지도 상술한 방법 이외에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축산폐수집수조 P : 배관파이프
11 : 펌프 12 : 응집제주입관
20 : 고액분리장치 21 : 고액분리부
210 : 내통 211 : 배출구
213 : 관통홀 230 : 외통
231 : 처리수수용공간 233 : 처리수 배출관
235 : 밸브 25 : 탈수부
250 : 케이싱 251 : 슬러지 유입구
252 : 슬러지배출구 253 : 처리수 배출관
254 : 밸브 255 : 스크류
257 : 스크류 회전축 30 : 응집장치
31 : 다이아프램

Claims (9)

  1. 축산폐수를 수용하는 축산폐수집수조와;
    상기 축산폐수를 응집하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주입관과;
    상기 축산폐수집수조 및 응집제주입관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상기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면서 이송시키는 응집장치와;
    상기 급속응집장치에서 이송된 축산폐수를 수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부와, 상기 고액분리부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부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 및 처리수 배출관이 형성된 외통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개폐장치 및 교반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 및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보다 상기 슬러지배출구 측이 더 높은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슬러지에서 분리된 처리수이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및 스크류는 상기 슬러지 유입구 측에서 상기 슬러지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되는 슬러지의 압착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6. 집수조에 저장된 축산폐수를 펌핑하여 파이프를 따라 이송시키되 이송되는 폐수 속으로 응집제 주입관을 통해 적정량의 응집제를 함께 주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단계와;
    상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축산폐수와 응집제를 혼합하는 응집처리단계; 및
    상기 응집제와 혼합된 축산폐수를 슬러지와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액분리단계는,
    고액분리부에서 상기 축산폐수를 상기 슬러지 및 처리수으로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와, 상기 1차로 분리된 슬러지를 압착하여 탈수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처리단계는,
    내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다이아프램을 구비하는 라인형 급속응집장치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의 혼합 및 응집이 이루어지되,
    상기 라인형 급속응집장치는 3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액분리단계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을 수용하는 처리수수용공간 및 처리수 배출관이 형성된 외통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의 고액분리부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고액분리단계는,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송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를 이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부 내지 탈수부를 통해 분리된 처리수은 미생물을 투입하고 폭기하여 처리하고, 상기 탈수부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퇴비화하는 후처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방법.
KR1020130090852A 2013-07-31 2013-07-31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KR10158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2A KR101588649B1 (ko) 2013-07-31 2013-07-31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52A KR101588649B1 (ko) 2013-07-31 2013-07-31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72A true KR20150015172A (ko) 2015-02-10
KR101588649B1 KR101588649B1 (ko) 2016-01-28

Family

ID=5257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852A KR101588649B1 (ko) 2013-07-31 2013-07-31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2258A (zh) * 2017-05-25 2017-09-15 上海林海生态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粪污水固液两级分离的设备联动控制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19A (ko) * 2002-12-03 2003-01-14 서명준 2단각 원심 분리기
KR20040045707A (ko) * 2002-11-25 2004-06-02 김성택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616244B1 (ko) * 2006-05-12 2006-08-28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JP2006334455A (ja) * 2005-05-31 2006-12-14 Ebara Jitsugyo Co Ltd 回転ドラム式固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707A (ko) * 2002-11-25 2004-06-02 김성택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4219A (ko) * 2002-12-03 2003-01-14 서명준 2단각 원심 분리기
JP2006334455A (ja) * 2005-05-31 2006-12-14 Ebara Jitsugyo Co Ltd 回転ドラム式固液分離装置
KR100616244B1 (ko) * 2006-05-12 2006-08-28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2258A (zh) * 2017-05-25 2017-09-15 上海林海生态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粪污水固液两级分离的设备联动控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649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517B1 (en) Method for treatment of agricultural waste
KR101399506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연속형 고효율 비료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1851988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1057388B1 (ko) 응집을 이용한 폐수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2009452B1 (ko) 하폐수 처리공정의 슬러지 농축 및 탈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334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중의 유기물질, 질소 및 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20180118032A (ko) 축산폐수 정화 처리장치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101081302B1 (ko) 오, 폐수내의 인 및 부유물 연속 제거방법 및 장치
JP6239327B2 (ja) 有機性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化成肥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588649B1 (ko)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
CN210620578U (zh) 集成污水物化处理与污泥脱水的净化装置
KR100844503B1 (ko) 하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313231B1 (ko) 정수장배출수처리장치
JP2015039671A (ja) 排水処理設備
KR101999329B1 (ko) 하폐수 처리공정의 슬러지 농축 및 탈수 시스템 및 이의 성능유지관리 방법
KR101152815B1 (ko) 가축분뇨 처리공정
KR20100059094A (ko) 농축 슬러지의 탈수방법 및 장치
CN205500914U (zh) 一种改良型内循环厌氧反应器
JP6164878B2 (ja) 有機性廃水処理方法
CN213012436U (zh) 一种煤炭及矿石堆场废水处理装置
KR101872079B1 (ko)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의 농축농도 조절방법 및 그 장치
CN217578614U (zh) 一种牧场废水叶绿素去除系统
KR101528329B1 (ko) 축산 분뇨 처리시스템
CN219279609U (zh) 一种污水混凝沉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