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8Y1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Google Patents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258Y1 KR200400258Y1 KR20-2005-0023959U KR20050023959U KR200400258Y1 KR 200400258 Y1 KR200400258 Y1 KR 200400258Y1 KR 20050023959 U KR20050023959 U KR 20050023959U KR 200400258 Y1 KR200400258 Y1 KR 2004002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screen
- sludge
- filter drum
- opening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76 nuclear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Abstract
본 고안은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가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동시에 슬러지의 탈수 및 이송을 거쳐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탈수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잔류챔버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여과공이 잔류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여과드럼스크린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잔류챔버와 연통되는 하측 개구된 유입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의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투입구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으로 탈수될 슬러지를 안내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주변을 감싸면서 여과드럼스크린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여과공을 통과하면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수액이 집수되도록 하는 집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챔버의 일측에는 탈수액이 배출되는 탈수액배출구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의해 여과된 탈수액을 집수하여 특정위치로 배출하는 집수프레임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설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의 하부에 직경이 하측으로 진행되면서 확개되는 콘형상의 경사밀착부가 일정구간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및 경사밀착부의 외주연에는 이송스크류가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가압 탈수함과 동시에 여과드럼스크린에 잔류된 슬러지케익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탈수이송스크레퍼와;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잔류챔버 하측 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가압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를 회전 시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레퍼회전수단과;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잔류량 또는 무게에 따라 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여과드럼스크린의 하단부 입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내부의 슬러지케익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슬러지케익의 배출이 완료된 여과드럼스크린 하단부 입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린개폐수단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부착된 이 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수단과;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가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동시에 슬러지의 탈수 및 이송을 거쳐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탈수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그리고 가축의 분뇨나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은 일차적으로 각 가정이나 축산장소 및 산업체에 설치된 오수 정화시설 또는 정화조 등에서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 또는 오폐수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런데, 오수, 분뇨 등의 처리 대상물(이하 '오수'라 통칭함)은 다량의 수분에 협잡물이나 부유물 및 슬러지(이하 '슬러지'라 통칭함)와 같은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고형물을 분리 제거하지 않고는 오수의 정화 처리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짖 못함으로, 오수 정화 처리 공정 중에서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종래에 2매의 엔드리스 여과포 밸트가 다수의 롤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포 사이에 슬러지가 투입 이송되면서 롤러에 의해 가압되면서 슬러지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밸트프레스 방식과;
외주연에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코운축이 여과 통체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운축의 직경이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면서 탈수실의 용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체에 슬러지가 투입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서서히 압축되어 슬러지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류 프레스 방식으로 크게 대별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밸트 프레스 방식이나 스크류 프레스 방식은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 하는 방식임으로 장치가 복잡화, 대형화되어 제작비가 많이 들고 탈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수 효과가 낮아서 배출되는 케이크에 많은 수분이 잔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가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동시에 슬러지의 탈수 및 이송을 거쳐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탈수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잔류챔버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여과공이 잔류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여과드럼스크린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잔류챔버와 연통되는 하측 개구된 유입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의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투입구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으로 탈수될 슬러지를 안내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주변을 감싸면서 여과드럼스크린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여과공을 통과하면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수액이 집수되도록 하는 집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챔버의 일측에는 탈수액이 배출되는 탈수액배출구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의해 여과된 탈수액을 집수하여 특정위치로 배출하는 집수프레임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설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의 하부에 직경이 하측으로 진행되면서 확개되는 콘형상의 경사밀착부가 일정구간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및 경사밀착부의 외주연에는 이송스크류가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가압 탈수함과 동시에 여과드럼스크린에 잔류된 슬러지케익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탈수이송스크레퍼와;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의 잔류챔버 하측 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가압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를 회전 시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레퍼회전수단과;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잔류량 또는 무게에 따라 개폐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여과드럼스크린의 하단부 입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내부의 슬러지케익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슬러지케익의 배출이 완료된 여과드럼스크린 하단부 입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린개폐수단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에 부착된 이 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수단과;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의 주요부인 스크린개폐수단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100)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잔류챔버(11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여과공(112)이 잔류챔버(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여과드럼스크린(110)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잔류챔버(111)와 연통되는 하측 개구된 유입챔버(12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121)의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투입구(122)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탈수될 슬러지를 안내하는 설치프레임(120)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주변을 감싸면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을 통과하면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수액이 집수되도록 하는 집수챔버(131)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챔버(131)의 일측에는 탈수액이 배출되는 탈수액배출구(132)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의해 여과된 탈수액을 집수하여 특정위치로 배출하는 집수프레임(130)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설치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141)의 하부에 직경이 하측으로 진행되면서 확개되는 콘형상의 경사밀착부(142)가 일정구간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41) 및 경사밀착부(142)의 외주연에는 이송스크류(143)가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가압 탈수함과 동시에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잔류된 슬러지케익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탈수이송스크레퍼(140)와;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잔류챔버(111) 하측 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가압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플레이트(150)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를 회전 시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레퍼회전수단(160)과;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잔류량 또는 무게에 따라 개폐플레이트(150)를 승강시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내부의 슬러지케익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슬러지케익의 배출이 완료된 여과드럼스크린(110) 하단부 입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린개폐수단(170)과;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 및 그 주변에 부착된 이 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수단(180)과;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이어 결합되는 집수프레임(130)과 여과드럼스크린(110)과 설치프레임(120)의 결합부위에는 각각 체결공(191a)을 갖는 조립브라켓(191)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일치되는 조립브라켓(191)의 체결공(191a)에는 조립볼트(192)가 체결되어, 상기 집수프레임(130)과 여과드럼스크린(110)과 설치프레임(120)이 상호 결합분리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수프레임(130)과 여과드럼스크린(110)과 설치프레임(120)의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프레임(130)은 지지대(193)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상단부는 지지브라켓(194)에 의해 설치프레임(120)의 상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다.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이송스크류(143) 단부에는 여과드럼스크린(110)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걸린 슬러지케익을 용이하게 긁어내면서 하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댐퍼(144)가 교체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된다.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은 다수의 바(113)가 원형띠(114)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원통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바(113)와 바(113) 사이에 여과공(1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레퍼회전수단(160)은 전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1)와, 상기 모터(161)의 구동력을 가감하여 출력하는 감속기(162)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161)의 축(도시않됨)은 감속기(162)의 입력축(도시않됨)과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162)의 출력축(도시않됨)은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상단과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모터(161)의 구동에 의해 탈수이송스크레퍼(1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개폐수단(170)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샤프트(14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중공부(171)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중공부(171)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개폐플레이트(150)에 지지 결합된 승강로드(172)와, 상기 설치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172)의 상단부와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게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개폐피스톤(173)이 구비된 개폐실린더(174)와, 상기 회전되는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부에서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는 슬러지의 잔류량을 감지하도록 설치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잔류량감지센서(175)와, 상기 잔류량감지센서(175)의 신호에 따라 개폐실린더(174)를 작동시켜 승강로드(172)에 의해 개폐피스톤(173)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개폐플레이트(150)가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하는 제어부(176)로 구성된다.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하단부에는 스토퍼가이드(145)가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폐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스토퍼가이드(14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공(151)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개폐수단(170)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플레이트(150)가 스토퍼가이드(145)를 따라 이송되면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입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단(180)은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을 감싸면서 집수프레임(13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흐르는 세척수안내파이프(181)와,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에 연통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의 세척수를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분사하여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부착된 이 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노즐(182)과,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를 승강시키도록 집수프레임(130) 또는 지지대(193)에 지지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승강피스톤(183)이 구비된 승강실린더(184)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퍼회전수단(160)의 모터(161)와 세척수단(180)의 승강실린더(184)는 스크린개폐수단(170)의 제어부(176) 신호에 따라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와 세척수단(180)과 개폐플레이트(150)가 상호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작동되면서 슬러지의 탈수 및 이송과 배출이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프레임(120)의 슬러지투입구(122)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저류챔버 및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이송스크류(143) 초입에 지속적으로 떨어져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물은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을 통해 집수프레임(130)의 집수챔버(131)로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세척수단(18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표면이 세척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가 스크레퍼회전수단(16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이송스크류(143)가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을 통해 물이 배출되고 있는 상태의 슬러지를 밀어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측으로 이송시켜 모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를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개폐플레이트(150)에 밀착시켜 압축하면서 슬러지를 탈수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내부에 탈수된 슬러지케익이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이를 스크린개폐수단(170)의 잔류량감지센서(175)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76)로 인가하게되고, 상기 제어부(176)는 개폐실린더(174)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드(172)에 의해 개폐실린더(174)의 개폐피스톤(173)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개폐플레이트(150)를 하강시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탈수된 슬러지케익을 외부로 배출시키게되며, 이때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는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잔류되어 있던 슬러지케익을 긁어 외부로 배출시키게된다.
또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내에 잔류되었던 슬러지케익의 배출이 완료되면, 이를 스크린개폐수단(170)의 잔류량감지센서(175)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76)로 인가하게되고, 상기 제어부(176)는 개폐실린더(174)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드(172)에 의해 개폐신린더의 개폐피스톤(173)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개폐플레이트(150)를 상승시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유입된 슬러지가 회전되는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재 이송 및 가압되면서 탈수 될 수 있도록 하게된다.
한편,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을 통과하여 집수프레임(130)의 집수챔버(131)에 집수된 탈수액 및 상기 세척수단(18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에서 떨어진 이 물질 등은 탈수액배출구(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재처리되거나 방류되며,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서 탈수되어 배출된 슬러지케익은 재처리 및 재활용되거나 또는 건조 후 소각되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는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가 슬러지투입구를 통해 여과드럼스크린 및 탈수이송스크레퍼 초입에 지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및 회전되는 탈수이송스크레퍼에 의해 슬러지가 탈수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케익이 여과드럼스크린에 어느 정도 적제되어 채워지게되면 여과드럼스크린의 하단부 입구를 밀폐하고 있던 개폐플레이트가 개방되면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 내부에서 탈수되어 적재된 슬러지케익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비교적 많은 량의 슬러지를 단시간 내에 탈수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오수 정화 작업에 대한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의 주요부인 스크린개폐수단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110 : 여과드럼스크린 111 : 잔류챔버
112 : 여과공 113 : 바
114 : 원형띠 120 : 설치프레임
121 : 유입챔버 122 : 슬러지투입구
130 : 집수프레임 131 : 집수챔버
132 : 탈수액배출구 140 : 탈수이송스크레퍼
141 : 샤프트 142 : 경사밀착부
143 : 이송스크류 144 : 밀착댐퍼
145 : 스토퍼가이드 150 : 개폐플레이트
151 : 안내공 160 : 스크레퍼회전수단
161 : 모터 162 : 감속기
170 : 스크린개폐수단 171 : 중공부
172 : 승강로드 173 : 개폐피스톤
174 : 개폐실린더 175 : 잔류량감지센서
176 : 제어부 180 : 세척수단
181 : 세척수안내파이프 182 : 세척노즐
183 : 승강피스톤 184 : 승강실린더
191 : 조립브라켓 191a : 체결공
192 : 조립볼트 193 : 지지대
194 : 지지브라켓
Claims (4)
-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잔류챔버(11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여과공(112)이 잔류챔버(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여과드럼스크린(110)과;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잔류챔버(111)와 연통되는 하측 개구된 유입챔버(12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챔버(121)의 일측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투입구(122)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탈수될 슬러지를 안내하는 설치프레임(120)과;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주변을 감싸면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여과공(112)을 통과하면서 슬러지에서 분리된 탈수액이 집수되도록 하는 집수챔버(131)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챔버(131)의 일측에는 탈수액이 배출되는 탈수액배출구(132)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의해 여과된 탈수액을 집수하여 특정위치로 배출하는 집수프레임(130)과;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설치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샤프트(141)의 하부에 직경이 하측으로 진행되면서 확개되는 콘형상의 경사밀착부(142)가 일정구간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41) 및 경사밀착부(142)의 외주연에는 이송스크류(143)가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가압 탈수함과 동시에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잔류된 슬러지케익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탈수이송스크레퍼(140)와;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의 잔류챔버(111) 하측 입구를 개폐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가압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플레이트(150)와;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를 회전 시켜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유입된 슬러지가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레퍼회전수단(160)과;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에서 탈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케익의 잔류량 또는 무게에 따라 개폐플레이트(150)를 승강시켜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 내부의 슬러지케익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슬러지케익의 배출이 완료된 여과드럼스크린(110) 하단부 입구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린개폐수단(170)과;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부착된 이 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수단(180)과;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회전수단(160)은 전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1)와, 상기 모터(161)의 구동력을 가감하여 출력하는 감속기(162)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161)의 축은 감속기(162)의 입력축과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162)의 출력축은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상단과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개폐수단(170)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샤프트(14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중공부(171)와, 상기 탈수이송스크레퍼(140)의 중공부(171)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부가 개폐플레이트(150)에 지지 결합된 승강로드(172)와, 상기 설치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172)의 상단부와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게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개폐피스톤(173)이 구비된 개폐실린더(174)와, 상기 회전되는 탈수이송스크레퍼(140)에 의해 여과드럼스크린(110) 내부에서 탈수 및 이송이 이루어지는 슬러지의 잔류량을 감지하는 잔류량감지센서(175)와, 상기 잔류량감지센서(175)의 신호에 따라 개폐실린더(174)를 작동시켜 승강로드(172)에 의해 개폐피스톤(173)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개폐플레이트(150)가 여과드럼스크린(110)의 하단부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하는 제어부(17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180)은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을 감싸면서 집수프레임(13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흐르는 세척수안내파이프(181)와,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에 연통되게 지지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의 세척수를 여과드럼스크린(110)으로 분사하여 상기 여과드럼스크린(110)에 부착된 이 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노즐(182)과,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를 승강시키도록 집수프레임(130)에 지지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안내파이프(181)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승강피스톤(183)이 구비된 승강실린더(1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3959U KR200400258Y1 (ko) | 2005-08-19 | 2005-08-19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3959U KR200400258Y1 (ko) | 2005-08-19 | 2005-08-19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58Y1 true KR200400258Y1 (ko) | 2005-11-03 |
Family
ID=4370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3959U KR200400258Y1 (ko) | 2005-08-19 | 2005-08-19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258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295B1 (ko) | 2007-01-29 | 2008-02-05 | 유한회사 세원산업 |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슬러지 부유물 정제장치 |
KR101118560B1 (ko) | 2011-12-06 | 2012-03-16 |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 국소 전기인가장치와 두께조절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이송장치 |
KR101209468B1 (ko) | 2012-05-11 | 2012-12-07 | 김선미 | 축산분뇨 탈수장치 |
KR101212425B1 (ko) | 2011-05-26 | 2012-12-13 | 배희동 |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및 슬러지 탈수기 연결장치 |
-
2005
- 2005-08-19 KR KR20-2005-0023959U patent/KR2004002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295B1 (ko) | 2007-01-29 | 2008-02-05 | 유한회사 세원산업 |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슬러지 부유물 정제장치 |
KR101212425B1 (ko) | 2011-05-26 | 2012-12-13 | 배희동 |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및 슬러지 탈수기 연결장치 |
KR101118560B1 (ko) | 2011-12-06 | 2012-03-16 |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 국소 전기인가장치와 두께조절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이송장치 |
KR101209468B1 (ko) | 2012-05-11 | 2012-12-07 | 김선미 | 축산분뇨 탈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30042193A1 (en) | Horizontal solids recycler | |
KR101851988B1 (ko) | 슬러지 탈수장치 | |
CN201713368U (zh) | 浓缩絮凝脱水一体机 | |
CN109853656A (zh) | 一种环保清淤装置 | |
KR200400258Y1 (ko) |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 |
KR100625211B1 (ko) | 탈수차량 시스템 | |
KR101244211B1 (ko) |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 |
KR101233808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0620438B1 (ko) |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 |
KR200420116Y1 (ko) |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 |
KR20160070643A (ko) | 오폐수 필터링 장치 | |
KR101437908B1 (ko) |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 |
RU2349367C2 (ru) | Ленточ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 |
KR101345389B1 (ko) | 수처리용 탈수장치 | |
KR101458499B1 (ko) |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장치 | |
RU9329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 |
KR100998074B1 (ko) |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 |
KR101379344B1 (ko) |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 |
WO2008132288A1 (en) | Screenings washer | |
CN108751591A (zh) | 一种印染废水处理方法及系统 | |
KR102025926B1 (ko) |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이용한 협잡물 처리방법 | |
KR200220293Y1 (ko) | 축산농가의 배출물 여과장치 | |
KR102266589B1 (ko) | 협잡물 처리장치 | |
KR100403796B1 (ko) |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 |
KR200201220Y1 (ko) | 스크류프레스가 부설된 탈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