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943B1 -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 Google Patents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943B1
KR102232943B1 KR1020200030022A KR20200030022A KR102232943B1 KR 102232943 B1 KR102232943 B1 KR 102232943B1 KR 1020200030022 A KR1020200030022 A KR 1020200030022A KR 20200030022 A KR20200030022 A KR 20200030022A KR 102232943 B1 KR102232943 B1 KR 10223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utlet
dehydrator
discharge pip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678A (ko
Inventor
김록희
Original Assignee
김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희 filed Critical 김록희
Priority to KR102020003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9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two or more screws or worms
    • B30B9/163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two or more screws or worms working in different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 또는 가축분뇨와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고형물의 여액을 분리하는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웨지와이어 타입의 스크린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1 스크류에 의하여 고형물이 압착 탈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면 제2 스크류에 의해 압송되어는 스크류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프레스 탈수기{SCREW PRESS DEHYDRATOR}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 또는 가축분뇨와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고형물의 여액을 분리하는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웨지와이어 타입의 스크린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1 스크류에 의하여 고형물을 압착 탈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면 제2 스크류에 의해 토출배관으로 이송되고 이송배관으로 압송되는 스크류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고형물의 여액을 분리하는 탈수기에는 원심탈수기, 벨트프레스 탈수기, 필터프레스 탈수기 등이 있으나, 원심탈수기의 경우,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한 여액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컴팩트하고, 밀폐형 구조라 악취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고속회전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크고, 유지보수비용 높고, 동력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벨트프레스 탈수기는 동력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물 사용량이 많고, 탈수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필터프레스는 탈수효율은 우수한 편이나 제품가격이 비싸고, 운전조작 불편하고, 연속운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스크류프레스 탈수기는 컴팩트한 밀폐형 구조로 탈수 효율이 우수하며, 동력소요가 적고,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스크류프레스 탈수기의 경우,
배출구에서 나오는 탈수된 고형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거나 수집하여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도1과 같은 중국특허 CP201310396104A 나선압착기(螺旋壓搾機)가 있다. 상기 나선압착기의 경우, 투입구에서 유입된 고형물이 원통형 타공판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고, 나선압착기(스크류)와 일축인 배출구로 밀어내면서 압밀력으로 탈수하는 방식이라 별도의 컨베이어 없이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도4와 같이 압력조절판(14)을 사용할 수 없어 탈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도2와 같이 국내특허 10-1438684호 탈수기가 있다.
상기 탈수기는 가압실(500)을 가지고 있어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회전익(620)으로 압송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다. 하지만, 슬러지와 같은 입자가 작은 고형물의 경우에는 배출구(120a, 120b)로 배출되지만,
협잡물과 같은 비교적 큰 입자의 고형물의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120a,120b)로는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도3의 배출구(120b)의 경우에는 물티슈 등의 엉킨 협잡물이 회전익(620)을 감싸아 배출구(120b)를 막아 배출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1 스크류(12)에 의해 1차로 가압 탈수되어 배출구(16)로 나온 고형물을 제2 스크류(17)를 통해 토출배관(18)과 이송배관(23)으로 고형물을 이송하면서 압밀력으로 2차 탈수하여 탈수 효율을 극대화하고 이송을 용이하게 고안하여 별도의 이송 컨베이어가 필요 없는 고효율 탈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프레스 탈수기는,
상부에 투입구(10)와 하부에 탈수여액 배수부(15a)를 가진 외부 케이싱(20), 상기 케이싱 내부에 원통형 물빠짐 통공을 가진 스크린(13a), 상기 스크린 내부에는 회전축(11a)과 일체의 제1 스크류(12), 상기 제1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2a), 상기 제1 스크류 회전축은 스프라켓(21a)이 있는 구동부(22a)와 연결되고, 제1 스크류의 후단에는 압력조절판(14)이 프레임(24)에 설치되어 배출구(16)와 서로 대항하여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16) 아래에는 제 2의 스크류(17)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축(11b)은 일단으로 스프라켓(21b)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은 제1 스크류 회전축(11a)에 있는 스프라켓(21a)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 되어지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타단으로는 원통형 타공판 또는 원통형 Ÿ‡지와이어 스크린(13)을 내장한 토출배관(18)으로 연결되고 이송배관(23)으로 이송된다.
상기 토출배관(18)은 제1 스크류에 의해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에 의해 토출배관으로 압송되어, 이송배관으로 이송될 때 제2 스크류와 이송배관 속 협잡물의 압밀력으로 2차 탈수된 여액을 배출하는 배수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스크류와 압력조절판(14)에 의해 1차 탈수되어지고,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가 토출배관(18)속으로 고형물을 압송하므로서 이송 배관에서 2차 탈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고효율 탈수가 가능하며, 별도의 이송 컨베이어 없이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스크류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배출구(16) 아래에 제2 스크류(17)가 설치되고, 제2 스크류를 구동하는 구동부(22b)를 프레임(24)의 외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구동부(22b)로 제2 스크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스크류와 압력조절판을 통하여 고형물을 1차 탈수하고, 탈수된 고형물을 제2 스크류와 토출배관 속 고형물의 압밀력으로 2차 탈수 후 이송배관을 통해 가압 이송함으로서 탈수효율이 매우 높고, 별도의 이송 컨베이어 설치가 필요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한 설치의 제약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종래 기술(중국특허) 나선압착기 도면
도 2. 또 다른 종래 기술(국내특허) 탈수기에 포함된 가압실 및 회전날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종래 국내특허인 탈수기의 가압실 및 회전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프레스탈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설치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부에 투입구(10)와 하부에 탈수여액 배수부(15a)를 가진 외부 케이싱(20), 상기 케이싱 내부에 웨지와이어로 형성된 원통형의 스크린(13a), 상기 스크린 내부에는 회전축과 일체의 제1 스크류(12), 상기 제1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2a), 상기 제1 스크류 회전축(11a)은 스프라켓(21a)이 있는 구동부(22a)와 연결되고, 제1 스크류의 타단에는 압력조절판(14)이 배출구(16)와 대항하여 프레임(24)에 조립되고, 배출구(16) 아래에는 제 2의 스크류(17)가 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축(11b)은 일단으로 스프라켓(21b)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은 제1 스크류 회전축(11a)에 있는 스프라켓(21a)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 되어지고, 상기 제2 스크류의 후단으로는 원통형 타공판 또는 원통형 Ÿ‡지와이어 스크린(13b)을 내장한 토출배관(18)으로 연결되고 이송배관(23)으로 이송된다.
상기 토출배관은 제1 스크류에 의해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를 통해 토출배관으로 압송될 때 이송배관속의 협잡물과의 압밀력으로 2차 탈수된 여액을 배출하는 배수부(13b)가 형성되고 이송배관(23)으로 이송된다.
제2 스크류의 또 다른 설치방법으로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구(16) 아래에 제2 스크류(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를 구동하는 구동부(22b)는 프레임(24)의 외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구동부(22b)로 제2 스크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 스크류(12)와 압력조절판(14)에 의해 1차 탈수되어지고,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가 토출배관(18)속으로 고형물을 압송하므로서 2차 탈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고효율 탈수가 가능하며, 별도의 이송 컨베이어 없이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투입구
11a, 11b 회전축
12 제1 스크류
13a, 13b 스크린
14 압력조절판
15a, 15b 배수부
16 배출구
17 제2 스크류
18 토출배관
20 외부케이싱
21a, 21b 스프라켓
22a, 22b 구동부
23 이송배관
24 프레임

Claims (3)

  1. 상부에 투입구(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여액 배수부(15a)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싱(20); 상기 외부 케이싱(20)의 내부에 물빠짐 통공이 구비된 원통형의 스크린(13a); 상기 스크린(13a)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1a) 일체의 제1 스크류(12);가 구비되는 탈수기로서,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축(11a)은 스프라켓(21a)이 결합된 구동부(22a)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류의 후단으로 배출구(16)가 형성되되, 압력조절판(14)이 상기 배출구(16)와 대항하여 작동하게 프레임(24)에 설치되는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6) 아래에는 제 2의 스크류(17)가 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스크류(17)의 회전축은 제1 스크류(12) 회전축에 결합된 스프라켓(21a)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되어 고형물을 토출배관(18)으로 압송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스크류 후단 배출구(16)의 아래에 설치된 제2 스크류(17)의 일측으로 물빠짐 통공을 위한 원통형 타공판 또는 원통형 Ÿ‡지와이어 스크린(13b)을 내장한 토출배관(18)이 설치되며, 상기 토출배관(18)에는 제1 스크류(12)에 의해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17)를 통해 토출배관(18)과 이송배관(23)으로 압송될 때 발생하는 압밀력에 의해 탈수된 여액을 배출하는 배수부(1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
  2. 상부에 투입구(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여액 배수부(15a)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싱(20); 상기 외부 케이싱(20)의 내부에 물빠짐 통공이 구비된 원통형의 스크린(13a); 상기 스크린(13a)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1a) 일체의 제1 스크류(12);가 구비되는 탈수기로서,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축(11a)은 스프라켓(21a)이 결합된 구동부(22a)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류의 후단으로 배출구(16)가 형성되되, 압력조절판(14)이 상기 배출구(16)와 대항하여 작동하게 프레임(24)에 설치되는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후단 배출구(16) 아래에 제2 스크류(17)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를 구동하는 구동부(22b)를 프레임(24) 외벽에 설치하여 별도의 구동부(22b)로 제2 스크류(17)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스크류 후단 배출구(16)의 아래에 설치된 제2 스크류(17)의 일측으로 물빠짐 통공을 위한 원통형 타공판 또는 원통형 Ÿ‡지와이어 스크린(13b)을 내장한 토출배관(18)이 설치되며, 상기 토출배관(18)에는 제1 스크류(12)에 의해 1차 탈수된 고형물이 제2 스크류(17)를 통해 토출배관(18)과 이송배관(23)으로 압송될 때 발생하는 압밀력에 의해 탈수된 여액을 배출하는 배수부(1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
  3. 삭제
KR1020200030022A 2020-03-11 2020-03-11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KR10223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22A KR102232943B1 (ko) 2020-03-11 2020-03-11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22A KR102232943B1 (ko) 2020-03-11 2020-03-11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78A KR20200034678A (ko) 2020-03-31
KR102232943B1 true KR102232943B1 (ko) 2021-03-26

Family

ID=7000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22A KR102232943B1 (ko) 2020-03-11 2020-03-11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605B1 (ko) 2023-09-18 2024-02-05 주식회사터보젠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압축탈수기
KR102633476B1 (ko) 2023-09-18 2024-02-06 주식회사터보젠 압축탈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51B1 (ko) 2021-03-30 2022-07-20 (주)세븐스타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747A (ja) 2012-02-08 2013-08-19 Nishihara Environment Co Ltd 汚泥脱水システム
JP2016107227A (ja) * 2014-12-09 2016-06-20 水ing株式会社 汚泥脱水方法および汚泥脱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695A (ja) * 1996-02-14 1997-08-26 Yanagawa Giken:Kk スクリュープレス
KR20050041575A (ko) * 2003-10-31 2005-05-04 최인환 원심력을 이용하는 오니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747A (ja) 2012-02-08 2013-08-19 Nishihara Environment Co Ltd 汚泥脱水システム
JP2016107227A (ja) * 2014-12-09 2016-06-20 水ing株式会社 汚泥脱水方法および汚泥脱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605B1 (ko) 2023-09-18 2024-02-05 주식회사터보젠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압축탈수기
KR102633476B1 (ko) 2023-09-18 2024-02-06 주식회사터보젠 압축탈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78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943B1 (ko)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KR101312119B1 (ko) 전단판넬이 이격 형성된 스크류프레스 탈수장치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253302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수분 감량장치
CN110282847A (zh) 用于城市污水处理厂中污泥资源化的脱水干燥机
KR100760185B1 (ko) 유동링 진공가압식 고액분리장치
KR20080054853A (ko) 슬러리 탈수장치
KR102082719B1 (ko) 협잡물 처리기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JP2010075822A (ja) 生ごみ乾燥処理装置
WO2010044549A2 (ko) 폐기물 압축 탈수기
KR101443819B1 (ko)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CN211339241U (zh) 一种叠螺式压滤机设备
KR102369292B1 (ko) 슬러지 탈수 시스템
KR100989251B1 (ko) 농축 슬러지의 탈수방법 및 장치
CN209322692U (zh) 一种活性污泥脱水系统
CN2935043Y (zh) 真空脱水机
KR101458793B1 (ko) 탈수기
JP3185130U (ja) 濁水処理機
KR10137934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JP2002273400A (ja) 有機性廃棄物移送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143623B2 (ja) し渣分離脱水機の運転方法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KR201501333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01101168A (zh) 真空脱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