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51B1 -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 Google Patents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51B1
KR102423451B1 KR1020210041131A KR20210041131A KR102423451B1 KR 102423451 B1 KR102423451 B1 KR 102423451B1 KR 1020210041131 A KR1020210041131 A KR 1020210041131A KR 20210041131 A KR20210041131 A KR 20210041131A KR 102423451 B1 KR102423451 B1 KR 10242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filter body
circular
compression chamber
ju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점구
Original Assignee
(주)세븐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븐스타 filed Critical (주)세븐스타
Priority to KR102021004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기대의 일측에는 모터와 감속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대의 타측에는 감속기에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회전축의 끝단을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와 축지지부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재료투입구와, 하부가 개방된 재료압축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와 재료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재료투입구로 투입되는 재료를 재료압축실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절단 및 분쇄 압축하는 압축스크류와 상기 재료압축실의 배출구를 탄력적으로 개폐조절하는 배출조절판을 받쳐주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기의 재료압축실 내부에는 회전축과 압축스크류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이에 대하여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는 분리 가능하게 결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 각각에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에 이동가능하게 조립설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밀착되는 상태로 결착 설치하거나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Juicer with dehyd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야채, 과실 등 각종 농산물에서 즙을 짜내는 착즙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각종 음식점 등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 전통시장 및 농·수산물 위판장 등에서 나오는 농·수산물 쓰레기 등을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농산물에서 즙을 짜내거나 또는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재료압축실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 양파와 같은 야채 및 사과, 배와 같은 과실 등에서 즙을 짜내는 용도로는 착즙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음식물쓰레기나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 등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용도로는 탈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착즙기는 주로 일반 가정에서 야채나 과실 등의 각종 농산물에서 즙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또한 소형으로 제작된 착즙기는 일반 가정에서 즙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한 후에는 즙을 짜내는 착즙실 내부를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착즙실 내부의 압착스크류 등의 구성요소를 대부분을 분해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나 전통시장 및 농·수산물 위판장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에는 탈수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탈수기의 종류로는 원심탈수기, 벨트프레스 탈수기, 필터프레스 탈수기, 스크류 탈수기 등이 있다.
상기한 탈수기들은 각종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전통시장 및 농·수산물 위판장 등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각종 쓰레기 폐기물을 탈수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크기가 큰 대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야채, 과실 등에서 즙을 짜내는데 사용되는 착즙기와,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탈수기는 사용 용도가 서로 다를 뿐 아니라 크기 및 구조가 전혀 다른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착즙기와 탈수기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종래 건강원 등에서 야채, 과실 등을 재료로 하여 각종 야채즙이나 과실즙을 대량으로 짜내어 각종 즙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착즙기는 야채나 과실 등을 압축하여 즙을 짜내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와는 달리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탈수기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나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물기를 탈수하는데에만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요즈음에는 건강원 등에서 야채, 과실 등의 재료에서 즙을 짜내는 착즙기를 이용하여 탈수 가능한 재료의 부피를 대폭 감축시키는 탈수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착즙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413호(2014. 09. 17.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0-2020-0111077호(2020. 09. 28.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823408호(2018. 01. 30.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4678호(2020. 03. 3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용도에 따라 야채, 과실 등에서 즙을 짜내고자 할 때에는 착즙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탈수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대의 일측에는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대의 타측에는 감속기에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회전축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와 축지지부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재료투입구와, 하부가 개방된 재료압축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와 재료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재료투입구로 투입되는 재료를 재료압축실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절단 및 분쇄 압축하는 압축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료압축실과 축지지부 사이에는 재료압축실의 배출구를 탄력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배출조절판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기의 재료압축실 내부에는 회전축과 압축스크류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이에 대하여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는 분리 가능하게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 각각에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에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밀착되는 상태로 결착 설치하거나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의 상,하부 착탈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조립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에 도움이 되는 배즙이나 칡즙을 취급하는 건강원 등에서는 배를 재료로 하여 배즙을 짜내거나 칡뿌리에서 칡즙을 짜내고자 할 때에는 착즙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판매장 등에서 배출되는 농·수산물 쓰레기 등에서 수분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탈수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즙기의 재료압축실을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에서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가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체인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간편하고 수월하게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에서 일정간격 떨어지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상기 착즙기를 이용하여 짜내고자 하는 각기 다른 과실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향이나 맛이 섞이지 않게 착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여러 즙제품을 각 종류별로 구분하여 우수한 품질의 즙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재료압축실의 전면덮개 일부를 절개하여 여과통체의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구성상태를 나타낸 착즙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착즙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착즙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착즙기의 재료압축실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작동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착즙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착즙기의 여과통체를 세척하기 위하여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착즙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착즙기(1)는 기대(2)의 일측에는 동력원인 모터(3)와 감속기(3a)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의 기대(2) 타측에는 축지지부(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3a)와 축지지부(4) 사이에는 재료투입구(5)와 재료압축실(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료투입구(5)와 재료압축실(6)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3)에는 워엄축(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3a)에는 워엄축(3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워엄휠(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3a)의 워엄휠(32)에는 회전축(33)이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워엄휠(32)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은 회전축(33)의 타단은 재료투입구(5)와 재료압축실(6)을 관통하여 축지지부(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3)에는 재료투입구(5)와 재료압축실(6)을 관통하는 부위에 스크류날개(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3)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날개(34)는 재료투입구(5)로 투입되는 야채, 과실 등의 농산물 재료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 각종 쓰레기를 재료압축실(6)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재료압축실(6)에는 재료투입구(5)에서 투입되어 스크류날개(34)의 회전작동으로 이송되는 야채, 과실 등의 농산물 재료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들을 절단 및 압축시 발생하게 되는 즙이나 물기 등의 착즙액과 압축찌꺼기를 분리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여과통체(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통체(7)는 재료투입실(6)에 고정 형성되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 분리 가능하게 결착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역과통체(7b) 각각은 복수의 조립볼트(71)와 너트(72)를 사용하여 원형으로 결합하거나 반원형으로 대칭되도록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 각각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과 상,하부 착탈프레임(75)(76)에는 복수의 조립볼트(71)가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공(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통체(7)를 구성하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은 재료압축실(6)의 좌,우 양측에 고정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의 상,하부 착탈프레임(75)(76)은 재료압축실(6)의 좌,우 양측에서 분리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의 조립볼트(71)에 의하여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에 결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 각각은 미세한 메쉬망체로 구성되는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와 다수의 큰 구멍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반원형 타공판재(78a)(78b)로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재료압축실(6)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통체(7)는 야채, 과실 등의 농산물을 재료로 하여 즙을 짜낸 후에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세척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분리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는 중량체이므로 작업자 한사람의 힘으로는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들고 이동 및 옮기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 각각에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하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8)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의 상,하부 착탈프레임(75)(76)에는 상기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8)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조립공(81)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여과통체(7)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한 후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8)에서 수평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깨끗하게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통체(7)에는 재료투입구(5)로 투입되어 회전축(33)에 형성된 스크류날개(34)에 의하여 강제 이송되는 재료(배, 과실 등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를 절단하기 위한 복수의 상,하부 파쇄돌기(79a)(79b)가 서로 대칭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3)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날개(34)에는 상,하부 파쇄돌기(79a)(79b)에 걸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부(3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 착즙기(1)의 재료압축실(6)에 형성된 배출구(61)는 여과통체(7)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통체(7)에서 파쇄 및 압축되어 즙이나 물기가 거의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는 압축찌꺼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61)는 축지지부(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공압실린더(9)에 형성된 피스톤로드(91)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진퇴작동을 하는 배출조절판(92)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9)의 피스톤로드(91) 선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있는 개폐작동간(93)은 그 중간부분이 축지지부(4)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지지간(94)의 선단을 관통하는 회전핀축(9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작동간(93)의 하단 양측에는 배출조절판(92)를 밀어주도록 구성된 복수의 원형밀판(96)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9)는 축지지부(4)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압조절레버(97)를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킴에 따라 피스톤로드(91)를 출몰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압실린더(9)의 피스톤로드(91)가 몰입되는 작동으로 개폐작동간(93)을 도 1의 도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폐작동간(93)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원형밀판(96)은 배출조절판(92)이 배출구(61)를 밀폐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대(2)에는 재료압축실(6)에서 압축되는 야채, 과실 등의 재료에서 발생하는 즙이나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재료가 압축될 때 발생하게 되는 물기와 상기 재료압축실(6)의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찌꺼기를 따로따로 분리 배출하는 즙/물기 배출호퍼(21)와 압축찌꺼기 배출호퍼(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즙/물기 배출호퍼(21)의 배출통로(21a)로 배출되는 착즙액은 즙/물기 저장용기(23)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찌꺼기 배출호퍼(22)의 배출통로(22a)로 배출되는 압축찌꺼기는 찌꺼기저장용기(24) 등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즙기(1)는 재료압축실(6)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재료압축실(6)의 전,후에 형성되어 있는 전면덮개(6a) 및 후면덮개(6b)가 개폐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즙기(1)를 이용하여 건강원 등에서 배나 칡을 재료로 하여 즙은 짜내 즙/물기 저장용기(23)에 저장하고, 압축찌꺼기는 배출구(61)로 배출하여 찌꺼기저장용기(24)에 저장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착즙기(1)로 배, 칡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즙을 짜내고자 할 때 배의 경우에는 일정량씩 통채로 재료투입구(5)로 투입하는 한편, 칡의 경우에는 일정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일정량씩 투입하면서 즙을 짜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착즙기(1)의 모터(3)를 구동시키게 되면 워엄축(31)이 감속기(3a)의 워엄휠(32)을 감속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워엄휠(32)의 중심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33)이 감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즙기(1)의 재료투입구(5)로 투입되는 재료는 회전축(33)과 같이 회전하는 스크류날개(34)에 의하여 재료압축실(6)측으로 강제 이송되는데, 상기 재료압축실(34)로 강제 이송되는 재료는 회전하는 스크류날개(34)에 의해 여과통체(7) 속으로 진입하여 강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에서 여과통체(7)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파쇄돌기(79a)(79b)에 의해 절단되면서 배출구(61)측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구(6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공압실린더(9)에 형성된 피스톤로드(91)의 몰입작동에 의하여 배출조절판(92)이 재료압축실(6)의 배출구(61)를 막고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여과통체(7) 속으로 강제 이송되는 재료는 복수의 상,하부 파쇄돌기(79a)(79b)에 의하여 절단되면서 상기 스크류날개(34)의 계속되는 회전작동에 의해 강제 이송되면서 배출구(61)를 막고있는 배출조절판(92)에 의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날개(34)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여과통체(7) 속으로 강제 이송되는 작동으로 복수의 상,하부 파쇄돌기(79a)(79b)에 의해 절단되면서 압축되는 재료에서 나오는 착즙액은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 및 외측 반원형 타공판재(78a)(78b)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 및 외측 반원형 타공판재(78a)(78b)로 배출되는 착즙액은 즙/물기 배출호퍼(21)의 배출통로(21a)를 통해 즙/물기 저장용기(23)에 저장된다.
상기 착즙기(1)를 배나 칡 등의 재료에서 즙을 짜내는 용도로 사용하는 건강원 등에서는 상기 여과통체(7)에서 압축하여 짜낸 착즙액이 즙/물기 배출호퍼(21)의 배출통로(21a)를 통해 즙/물기 저장용기(23)에 저장되는 착즙액은 별도의 병이나 용기에 일정량씩 담아 보관 및 판매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통체(7)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날개(34)에 의해 절단되면서 배출구(61) 쪽으로 압축 이송되는 과정에서 즙액이 거의 배출된 압축찌꺼기는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구(61)에 집중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축지지부(4)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공압조절레버(97)를 조작하여 공압실린더(9)의 피스톤로드(91)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개폐작동간(93)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원형밀판(96)이 도 5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우측 부분(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출조절판(92)은 배출구(61)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상기 배출구(61) 쪽으로 압축 이송되는 압축찌꺼기는 개방되는 배출구(61)로 배출되어 압축찌꺼기 배출호퍼(22)의 배출통로(22a)를 통해 배출되어 찌꺼기 저장용기(24)에 저장되며, 이렇게 찌꺼기 저장용기(24)에 저장되는 압축찌꺼기는 전량 수거하여 퇴비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착즙기(1)는 건강원 등에서 배나 칡 등을 재료로 하여 배즙이나 칡즙을 생산하고자 할 때는 착즙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착즙기(1)를 착즙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재료압축실(6)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는 반원형 착탈통체(7b)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여과통체(7)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재료압축실(6)의 전,후면을 커버하고 있는 전면덮개(6a)와 후면덮개(6b)를 개방시키고, 이어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원형으로 나사조립하고 있는 조립볼트(71)와 너트(72)를 나사풀림으로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분리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는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 각각에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8)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수평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 각각의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 및 외측 반원형 타공판재(78a)(78b)에 부착되어 있는 압축찌꺼기 등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즙기(1)를 이용하여 건강원 등의 업소에서 배나 칡 등의 재료들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이용하여 즙을 짜낸 후에는 상기 여과통체(1)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즙을 짜낼 수 있으므로 한대의 착즙기(1)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재료로 착즙액 제품을 생산하게 될 때 각 재료가 지니고 있는 특유의 향과 맛이 섞이지 않은 한가지 재료의 향과 맛을 내는 착즙액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착즙기(1)는 각종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배출되는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쓰레기에서 물기(수분)를 탈수하는 탈수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착즙기(1)는 각종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판매장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쓰레기에 80~90% 정도 포함되어 있는 많은 양의 물기(수분)를 탈수하여 폐수처리하는 반면에, 부피가 최대한으로 축소된 압축쓰레기를 수거하여 폐기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폐기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쓰레기를 탈수처리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각종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저장하는 쓰레기 집하장이나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배출되는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쓰레기 저장소 등에 상기 착즙기(1)를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 농·수산물 쓰레기를 탈수처리하여 부피를 최대한으로 축소시켜서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의 폐기처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즙기(1)를 각종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탈수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쓰레기를 재료투입구(5)에 일정량씩 투입하게 되면 모터(3)의 회전동력에 의해 감속회전하는 회전축(33)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날개(34)가 상기 재료투입구(5)로 투입되는 쓰레기를 재료압축실(6)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통체(7) 속으로 강제 이송시키게 되며, 상기 여과통체(7) 속으로 강제 이송되는 쓰레기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의 상,하부 고정프레임(73)(74)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상,하부 파쇄돌기(79a)(79b)에 부딪치면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되는 동시에 압축되는 작용에 의해 쓰레기에서 수분이 탈수되는데, 이때 상기 여과통체(7) 속으로 강제 이송되는 쓰레기가 복수의 파쇄돌기(79a)(79b)에 의해 절단되는 쓰레기는 압축이 잘되어지며, 또 압축이 잘되는 쓰레기에서는 수분 탈수가 잘 이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통체(7) 속에서 절단되는 동시에 압축되는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물기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 및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 각각의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77a)(77b)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반면에, 상기 반원형 그물망체(77a)(77b)를 빠져나가지 못하는 압축찌꺼기는 압축된 상태로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어 찌꺼기 저장용기(24)에 별도 저장되며, 상기 여과통체(7)로 배출되는 물기는 즙/물기 배출호퍼(21)의 배출통로(21a)를 통해 즙/물기 저장용기(23)에 저장되어 별도의 페수처리시설을 이용하여 폐수처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착즙기(1)를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처리하는 탈수기 용도로 사용할 경우, 상기 착즙기(1)를 수시로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재료압축실(6)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에서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하여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및 농·수산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소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즙기(1)는 야채, 과실 등의 각종 농산물에서 즙을 짜내는 착즙기의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 야채, 과실 등의 각 재료를 압축하여 즙을 짜내기 위한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서로 분리하여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재료를 취급하는 건강원 등에서 한대의 착즙기(1)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재료를 취급하여 즙제품을 생산하게 될 때 한가지의 재료를 압축하여 즙제품을 생산한 후에는 상기 여과통체(7)의 반원형 고정여과통체(7a)와 반원형 착탈여과통체(7b)를 분리시킨 상태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다른 재료를 압축하여 즙을 짜내는 방법으로, 한대의 착즙기(1)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즙제품을 생산하게 되더라도 즙제품 각각은 한가지의 재료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내는 즙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착즙기(1)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농·수산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처리하는 탈수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착즙기(1)는 건강원 등에서는 야채, 과실 등의 각종 재료에서 즙을 짜내는 착즙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착즙기(1)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거나 농·수산물 쓰레기를 처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수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착즙기 2 : 기대
21 : 즙/물기 배출호퍼 22 : 압축찌꺼기 배출호퍼
21a,22a : 배출통로 23 : 즙/물기 저장용기
24 : 찌꺼기 저장용기 3 : 모터
3a : 감속기 31 : 워엄축
32 : 워엄휠 33 : 회전축
34 : 스크류날개 34a : 절개부
4 : 축지지부 5 : 재료투입구
6 : 재료압축실 6a : 전면덮개
6b : 후면덮개 61 : 배출구
7 : 여과통체 7a : 반원형 고정여과통체
7b : 반원형 착탈여과통체 71 : 조립볼트
72 : 너트 73,74 : 상,하부 고정프레임
75,76 : 착탈프레임 77a,77b : 내측 반원형 그물망체
78a,78b : 와측 반원형 타공판재
79a,79b : 상,하부 파쇄돌기 8 : 왕복안내지지봉
81 : 조립공 9 : 공압실린더
91 : 피스톤로드 92 : 배출조절판
93 : 개폐작동간 94 : 고정지지간
95 : 회전핀축 96 : 원형밀판
97 : 고압조절레버

Claims (2)

  1. 기대의 일측에는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대의 타측에는 감속기에 연결되어 감속 회전하는 회전축의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와 축지지부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재료투입구와, 하부가 개방된 재료압축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와 재료압축실을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재료투입구로 투입되는 재료를 재료압축실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절단 및 분쇄 압축하는 압축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료압축실과 축지지부 사이에는 재료압축실의 배출구를 탄력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배출조절판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기의 재료압축실 내부에는 회전축과 압축스크류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이에 대하여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는 분리 가능하게 결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 각각에는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에 이동가능하게 조립설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를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와 밀착되는 상태로 결착 설치하거나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착탈여과통체의 상,하부 착탈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반원형 고정여과통체의 상,하부 고정프레임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왕복안내지지봉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조립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KR1020210041131A 2021-03-30 2021-03-30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KR102423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31A KR102423451B1 (ko) 2021-03-30 2021-03-30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31A KR102423451B1 (ko) 2021-03-30 2021-03-30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451B1 true KR102423451B1 (ko) 2022-07-20

Family

ID=8260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131A KR102423451B1 (ko) 2021-03-30 2021-03-30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07U (ko) * 2010-09-16 2012-03-27 최병한 스크루식 착즙기
KR200474413Y1 (ko) 2013-06-12 2014-09-17 서상운 농산물 착즙기
KR101823408B1 (ko) 2017-07-19 2018-01-30 주식회사 화인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기
KR20200034678A (ko) 2020-03-11 2020-03-31 김록희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KR20200111077A (ko) 2019-03-18 2020-09-28 타프기계공업(주) 착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07U (ko) * 2010-09-16 2012-03-27 최병한 스크루식 착즙기
KR200474413Y1 (ko) 2013-06-12 2014-09-17 서상운 농산물 착즙기
KR101823408B1 (ko) 2017-07-19 2018-01-30 주식회사 화인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기
KR20200111077A (ko) 2019-03-18 2020-09-28 타프기계공업(주) 착즙기
KR20200034678A (ko) 2020-03-11 2020-03-31 김록희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176A (en) Fruit and vegetable juice extractor
KR101971876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JP3687965B2 (ja) 食用植物料理品等の脱液乾燥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851832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20030004642A (ko) 과즙 추출장치
KR20160076090A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JP2004188241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8656603A (zh) 一种用于餐厨垃圾脱水的螺旋压缩机
JP200200114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2423451B1 (ko) 탈수기능이 있는 착즙기
CN110588041A (zh) 一种厨余垃圾粉碎榨干处理器
KR20110004867U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23684A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EP3771348A1 (en) Pomegranate processing apparatus and device for the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of pomegranates including said apparatus
KR100449277B1 (ko) 과즙 추출기
RU24109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сока
CN218660578U (zh) 一种食品加工用水果榨汁机
CN220937650U (zh) 一种应用直流无刷电机的榨汁机
KR102393611B1 (ko) 씨선별분리장치
CN220157525U (zh) 一种青梅果肉榨汁装置
CN215998014U (zh) 一种用于生活垃圾处理的餐厨垃圾处理装置
CN214439727U (zh) 厨余果蔬垃圾处理装置
CN213441302U (zh) 一种厨余垃圾干湿分离设备
CN215353856U (zh) 一种餐厨垃圾处理预筛装置
CN213762120U (zh) 一种蔬菜废弃物循环利用的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