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19B1 -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 Google Patents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19B1
KR101443819B1 KR1020120080862A KR20120080862A KR101443819B1 KR 101443819 B1 KR101443819 B1 KR 101443819B1 KR 1020120080862 A KR1020120080862 A KR 1020120080862A KR 20120080862 A KR20120080862 A KR 20120080862A KR 101443819 B1 KR101443819 B1 KR 10144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t
casing
solids
main body
press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562A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하이에나 (주)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에나 (주), 김경식 filed Critical 하이에나 (주)
Priority to KR102012008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스크류를 내재하며 투입구 및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부;과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를 내재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감싸며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케이싱; 및 일단이 상기 가압부케이싱과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케이크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크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함수고형물의 공급, 탈수 및 분리배출 공정이 단계적으로 기능간의 연계가 우수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고형물의 처리량을 늘려주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형물 수분감량장치{DEHYDRATING DEVICE FOR SOLID MATERIAL}
본 발명은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를 탈수하여 부피가 감소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연재해가 잦아지고 그로 인한 피해가 속출되면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해양투기나 매립처리로 일관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켜왔던 고형물의 처리에도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규제강화와 더불어 적절한 처리방법의 마련을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고형물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소각 또는 건조 후 RDF처리를 통한 연료화를 들 수 있는데, 그 성공여부는 최소의 비용처리 가능 여부에 달렸다.
하지만 고형물은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단순 소각처리로는 너무나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되므로 탈수공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또 그 탈수효율에 따라 고형물의 처리비용 절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선출원 된 벨트프레스식 탈수 방식을 달리한 실린더내의 피스톤 가압에 의한 압착탈수기, 즉 망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실린더를 피스톨식 몸통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일체화시킨 후 이를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궤도상에서 고형물 펌프로부터 고형물을 실린더내에 공급받아 이송되면 편심체의 회전동작에 의해 피스톤을 밀어 실린더내의 고형물가 압착 탈수 되도록 한 후 이어진 구간에서 자동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형물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수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탈수기는 피스톤의 압착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수효율이 높은 장점은 있으나, 각 실린더가 피스톤 식으로 하나의 몸체에 다수개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고형물의 공급, 탈수 및 배출 공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고형물의 탈수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가 없었고, 또 각 구간별 기능 동작을 위한 장치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각 기능간의 무리한 연계로 인한 각 구간의 기능들이 원활한 동작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고형물 탈수에 주로 활용되는 벨트프레스 방법은 널리 알려져 활용되는 것에 비하여 탈수 후의 고형물의 함수율이 70% 정도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수분제거율이 가장 양호한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나 이 경우 탈수율이 다른 기계적인 장치에 비해 다소 월등하나 이 역시 처리설비 비용이 고가일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특히 연속처리가 곤란하여 고형물 처리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형물을 공급, 탈수 및 배출 하는 공정에 무리가 없도록 각 기능간의 연계가 우수하여 원활하게 동작하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고형물의 탈수 처리량을 늘여주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는 통형의 제 1여과망과, 상기 제 1여과망을 감싸면서 외부에서 고형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제 1여과망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단에 결합되며, 통형의 제 2여과망과 상기 제 2여과망을 감싸는 가압부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케이크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크배출부;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어 회전연동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에 있어, 상기 본체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에 상기 제 1여과망이 결합되되,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단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단에 의해 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공간과 평행하게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단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여과망의 상단에는 상기 투입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단에는 배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일단보다 타단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상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 1보강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보강단에 상기 제 2여과망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케이싱의 일단에는 배출중공을 형성하는 가압패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는 원통형의 스크류축과, 상기 제 1여과망 및 상기 제 2여과망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스크류날개와,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케이크배출날개로 구성되되, 상기 스크류축의 외경은 상기 가압패킹을 기준으로 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작고, 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가압턱이 구성되며, 상기 배출중공에 접하는 가압턱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여과망 및 제 2여과망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는 본체부, 가압부, 케이크배출부 및 이송스크류에 의한 함수고형물의 공급, 탈수 및 분리배출 공정이 단계적으로 기능간의 연계가 우수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고형물의 처리량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는 각 가정,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배출된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함수율이 낮은 고형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전방"이라 함은 본 발명의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의 구성 중 케이크배출부(370)를 향한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 즉, 본체부(310)을 향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고형물 수분감량장치는 본체부(310) 및 가압부(330)에 내재된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이 이송스크류(390)의 스크류날개(394)의 피치간격(395)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이송되게 되며 전방부로 이송될수록 가압부(330)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작아지는 구조에 의하여 고형물을 압축할 수 있게 되는데 그러한 동작 및 작용에 기인하여 함수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 배출됨으로써 함수율이 낮아진 고형물은 케이크화 되어 케이크배출공(37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먼저, 본체부(310)는 제 1여과망(311), 투입구(303), 배수구(305) 및 본체케이싱(313)으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스크류(390)가 내재되며 스크류날개(394)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통형의 제 1여과망(311)이 구성되되 제 1여과망(311)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304)가 형성된다.
본체케이싱(313)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단(324)이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여과망(3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시키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324)의 끝단에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325)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여과망(311)은 호형의 단위 타공망(311-1)들이 통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바, 단위 타공망(311-1)은 원주 방향의 길이가 상기 지지단(324)의 끝단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원주 방향의 양 끝단에는 결속돌기(327)를 구성하여 상기 결속홈(32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체부(31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사용 중에 타공망이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유지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단(324)의 끝단에는 제 1여과망(311)의 내주연에 돌출되도록 걸림턱(328)이 형성되는 바, 나선형상의 스크류날개(394)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걸림턱(328)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28)은 고형물이 스크류축(392)의 외면에 고착되어 헛도는 경우가 간혹 발생할 수도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 1여과망(311)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28)에 의해 회전하는 고형물이 걸리게 되어 스크류축(392)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분리하여 원할하게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여과망(311) 및 본체케이싱(313) 사이의 공간은 제 1공간부(314)라 정의하고 제 1여과망(311)의 내측에 즉, 이송스크류(39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 2공간부(318)라 정의한다.
상기 제 1여과망(311)은 제 2공간부(318)에서 발생한 처리수가 제 1공간부(3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형의 측부가 타공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개구부(304)에는 개구된 각 끝단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되어 상기 제 1공간부(314)와 제 2공간부(318)를 차단하는 경계면이 형성 되도록 한 쌍의 종 지지단(324-1)이 형성되는 바, 상기 종 지지단(324-1)에 의해 상기 제 2공간부(318)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본체케이싱(313)의 내주연까지는 투입공간(306)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후방에 투입구(303)를 형성하되, 투입구(303)의 진행방향은 제 1여과망(3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구(303)를 통해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배출된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을 제 2공간부(318)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303)는 상기 투입공간(306)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투입구(303)를 통해 유입되는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은 투입공간(306)을 통해 제 2공간부(318)로 투입될 수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공간부(318)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390) 또는 스크류날개(394)로 고형물(s)이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고형물(s)이 제 1여과망(311)을 향해 직접 낙하 또는 타격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여과망(3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강한압력으로 분사되는 고형물(s)에 의한 여과망의 눈막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한압력으로 분사되는 고형물(s)의 투하속도를 줄임으로써 이송스크류(39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단(324)은 그 면의 형상을 'ㄱ' 자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일례로 본체케이싱(313)에 결합되는 단부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상기 제 1공간부(314)는 지지단에 의해 그 공간이 완전히 분할되지 않고 서로 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본체케이싱(313)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305)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이송 되는 고형물에서 분리되는 처리수를 유도하여 제 1공간부(314)에 집수된 하수를 상기 배수구(305)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공간부(314)의 양단부는 밀폐되어 있으나 전방측 단부에는 수집구(322)를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가압부(330)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제 1공간부(314)의 배수구(305)로 자연배수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10)의 후방에는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모터(301)가 구성되는데 모터(301)의 구동축(302)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이송스크류(390)의 후방 끝단과 결합시키되, 모터(301)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체부(310)에 내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330)는 제 2여과망(332)과 가압부케이싱(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여과망(332)과 가압부케이싱(350)은 복수의 보강단(333,334)에 의해 결속된다.
제 2여과망(332)은 경사구배를 갖는 관구조로 형성되며 제 2여과망(332)의 내측에는 나선형 날개가 구성된 이송스크류(390)가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를 압착시키며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고형물에서 분리된 처리수는 제 2여과망(332)을 통과하여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으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의 보강단(333,3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두께를 갖는 살구조로 형성되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 및 횡방향의 제 2보강단(334)으로 구성되며 제 2보강단(334)에는 복수의 유로홈(335)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단(333,334)은 회전하는 상기 이송스크류(390)에 밀착되는 제 2여과망(332)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탱해주며 가압부케이싱(350)으로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가압부(330)는 전방의 내경 및 외경이 후방의 내경 및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가압부(330)의 내주연 및 외주연이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경사구배로 형성됨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고형물은 전진하면 할수록 부피가 줄어드는 즉, 압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탈수작용을 촉진시키게 된다.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 역시 전방을 향해 좁아지는 경사구배를 형성하여 상기 제 2여과망(332)에서 분리된 처리수가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 경사면에 의해 후방을 향해 자연배수 시키고 상기 제 1공간부(314)의 전방측 단에 형성된 수집구(322)를 통하여 상기 제 1공간부(314)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부케이싱(350)의 전방부는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크배출부(37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가압부(330)는 바람직하게는 본체부(310)의 상기 제 1여과망(311) 및 본체케이싱(313)과 유사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바,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에는 중심을 향하도록 복수의 보강단(333,334)을 일체로 구성시키되 상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336)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여과망(332)은 호형의 단위 타공망(332-1)들이 통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바, 단위 타공망(332-1)은 원주 방향의 길이가 상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원주 방향의 양 끝단에는 결속돌기(337)를 구성하여 상기 결속홈(336)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압부(33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사용중에 제 2여과망(332)이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유지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복수의 제 2보강단(334)에는 복수의 유로홈(335)을 형성하여 제 2여과망(332)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경사면인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에 의해 자연배수 되어 본체부(310)에 형성된 상기 수집구(32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구성하는데 이때 가압부(330)와 본체부(310)의 결합시 상기 수집구(322)에 의해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가압부(330)는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이송스크류(390)가 내재되는 바,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를 전방으로 압착하여 이송시키게 되어 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은 제 2여과망(332)을 통과하게 되고 탈수된 고형물는 전방으로 계속 이송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에는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돌출되도록 걸림턱(338)이 형성되는 바, 나선형상의 스크류날개(394)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걸림턱(338)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38)은 고형물이 스크류축(392)의 외면에 고착되어 헛도는 경우가 간혹 발생할 수도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38)에 회전하는 고형물이 걸리게 되어 스크류축(392)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분리하여 원할하게 전방으로 이송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스크류(390)는 상기 제 1여과망(311), 상기 제 2여과망(332) 및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크배출부(370)에 내재되는 원통형의 스크류축(392)과, 상기 제 1여과망(311) 및 상기 제 2여과망(332)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392) 외주연에 스크류날개(394)와, 상기 케이크배출부(370)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392) 외주연에 케이크배출날개(398)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류축(392)의 외경은 이하에서 설명할 가압패킹(352)을 기준으로 전단부는 상기 가압패킹(352)에 형성된 배출중공(353)의 직경보다 작고, 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35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가압턱(397)이 구성되며, 상기 배출중공(353)에 접하는 가압턱(397)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타당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스크류(390)는 상기 제 1여과망(311) 및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스크류축(392)의 일단부 즉, 전방 끝단에는 케이크배출날개(398)를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크배출부(370)에 배치되어 고형물케이크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작용한다. 또한, 스크류축(392)의 타단부 즉, 후방 끝단에는 구동축(302)과 연동되도록 결합한다.
스크류축(392)은 상기 가압턱(397)까지 전방을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구배를 이루고, 상기 스크류날개(394)는 상기 가압턱(397)까지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 및 피치가 작아지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는, 이송스크류(390)가 배치되는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이 전방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기인하여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하여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을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그 내부구조는 상하전후방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고형물를 압착할 수 있게 되는데, 그에 따라 배출되는 처리수는 제 1여과망(311) 및 제 2여과망(332)을 통해 배출되게 되고 이러한 구조는 전방을 향하면 향할수록 공간의 부피가 더욱 줄어들기 때문에 고형물에 함유된 수분은 거의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크배출날개(398)는 결합홈(399)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면에 복수의 날개를 구성하여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케이크배출날개(398)가 연동하여 탈수된 고형물이 케이크배출날개(398)에 의해 뭉침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고형물를 더욱 압착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390)의 스크류날개(394)는 나선형의 날개 피치 사이에 보조날개(396)를 더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날개(396)는 가압부(330)의 전방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배출부(370)는 일단이 가압부케이싱(35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개구된 케이크배출공(37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크배출부(370)는 내측에 결합돌기(379)가 구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90)에 구성된 결합홈(399)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이송스크류(390)가 더욱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형물케이크는 케이크배출날개(398)의 회전에 기해 뭉침 현상없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케이크배출부(370)와 가압부(330)의 이음부 내측에는 상기 가압패킹(352)이 형성되는 바, 상기 가압패킹(352)의 내부에는 배출중공(35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중공(353)에는 상기 가압턱(397)이 밀착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이송스크류(390)의 회전에 기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고형물케이크에 의해 상기 가압패킹(352)이 가압되고, 압착되는 고형물케이크가 상기 가압턱(397)과 상기 배출중공(353) 사이를 강제로 벌리면서 상기 케이크배출부(370)로 밀쳐져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단, 고형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밀착된 가압구(397)와 가압패킹(352)에 차단되어 배수구(305)로 자연배수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턱(397)이 곡면을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배출중공(353)과 밀착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전방으로 압착되는 고형물케이크가 상기 가압턱(397)과 상기 배출중공(353) 사이로 미는 힘에 의해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310 : 본체부 330 : 가압부
350 : 가압부케이싱 370 : 케이크배출부
390 : 이송스크류

Claims (5)

  1. 통형의 제 1여과망과, 상기 제 1여과망을 감싸면서 외부에서 고형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제 1여과망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단에 결합되며, 통형의 제 2여과망과 상기 제 2여과망을 감싸는 가압부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케이크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크배출부;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어 회전연동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에 상기 제 1여과망이 결합 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단은 상기 지지단에 의해 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공간과 평행하게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단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여과망의 상단에는 상기 투입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단에는 배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일단보다 타단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상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 1보강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보강단에 상기 제 2여과망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케이싱의 일단에는 배출중공을 형성하는 가압패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는 원통형의 스크류축과, 상기 제 1여과망 및 상기 제 2여과망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스크류날개와,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케이크배출날개로 구성되되,
    상기 스크류축의 외경은 상기 가압패킹을 기준으로 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작고, 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가압턱이 구성되며, 상기 배출중공에 접하는 가압턱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여과망 및 제 2여과망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KR1020120080862A 2012-07-24 2012-07-24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KR10144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62A KR101443819B1 (ko) 2012-07-24 2012-07-24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62A KR101443819B1 (ko) 2012-07-24 2012-07-24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62A KR20140014562A (ko) 2014-02-06
KR101443819B1 true KR101443819B1 (ko) 2014-09-26

Family

ID=5026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62A KR101443819B1 (ko) 2012-07-24 2012-07-24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025B1 (ko) 2022-08-18 2023-05-17 (주)성광테크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수분 감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01B1 (ko) * 2015-09-18 2017-03-06 김대건 고액분리장치
KR102550149B1 (ko) * 2021-11-29 2023-07-03 (주)에코탄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284A (ko) * 2010-04-27 2011-11-02 (주) 호림이에스티 음식폐기물 탈수기용 스크루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284A (ko) * 2010-04-27 2011-11-02 (주) 호림이에스티 음식폐기물 탈수기용 스크루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025B1 (ko) 2022-08-18 2023-05-17 (주)성광테크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수분 감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62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US20030042193A1 (en) Horizontal solids recycler
JP2014151321A (ja) 脱水機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1443819B1 (ko)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KR10253302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수분 감량장치
US4681688A (en) Tubular trash net for pre-treating sewage, with replaceable net cassette
RU24316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шения и уплотнения твердой фазы сточных вод, подлежащих удалению (варианты)
KR102232943B1 (ko)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US4961862A (en) Amendment addition system and method for twin belt press filter
KR100797556B1 (ko) 무주축 스크류 이송식 압축·탈수 장치
JP4072685B2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102200736B1 (ko) 슬러지 탈수용 스크류 프레스
KR102025270B1 (ko) 스크류 프레스 탈수장치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995875B1 (ko) 팜 공정 폐수 고도물 처리장치
JP3800406B2 (ja) 濃縮機及び濃縮機を用いた連続加圧脱水機並びに移動脱水車
KR102202951B1 (ko) 자동 세척기능이 구비된 고액분리장치
KR20170002966U (ko) 탈수장치
KR101458793B1 (ko) 탈수기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KR101099423B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201501333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38684B1 (ko) 탈수기
KR200365673Y1 (ko) 슬러지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