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66U -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66U
KR20170002966U KR2020170004310U KR20170004310U KR20170002966U KR 20170002966 U KR20170002966 U KR 20170002966U KR 2020170004310 U KR2020170004310 U KR 2020170004310U KR 20170004310 U KR20170004310 U KR 20170004310U KR 20170002966 U KR20170002966 U KR 201700029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cylinder
unit
discharge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838Y1 (ko
Inventor
박영범
Original Assignee
박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범 filed Critical 박영범
Priority to KR2020170004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3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 습기를 포함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에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탈수된 상기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내부에 피탈수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통형의 탈수공간에 상기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면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200)는,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상기 배출부(120)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며 상기 실린더부(300)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10)와; 상기 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는 나선부(220)와; 상기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220)는, 상기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피탈수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탈수장치{Dryer machine}
본 고안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 습기를 포함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사료, 어분, 파인 세라믹, 다양한 화학제품 및 하수처리 후의 각종 슬러지 등(이하 "슬러지"라고 총 칭함)은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킨 뒤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각종 슬러지들은 함수율이 높은 상태에서 반입되기 때문에, 건조장치에 바로 투입되면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탈취제를 투입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슬러지의 함수율은 약 10%에서 20%정도 밖에 낮아졌을 뿐이며, 10~20%의 함수율이 낮아진 정도로는 여전히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추운 날씨로 인해 얼어있는 슬러지가 투입될 경우 슬러지가 해동되는 과정까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시간 및 비용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조과정 이전에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건조물의 건조 전에 탈수를 수행하는 탈수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물이 포함된 피건조물(이하 '피탈수물'이라 한다) 내 물을 제거하는 탈수공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 건조장치에 의한 건조공정의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전기에너지 등)가 증가되어 음식물 쓰레기 등의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탈수물에 대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일단에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탈수된 상기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내부에 피탈수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통형의 탈수공간에 상기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면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200)는,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상기 배출부(120)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며 상기 실린더부(300)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10)와; 상기 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는 나선부(220)와; 상기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220)는, 상기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피탈수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나선부(220)의 피치 끝단은,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을 관통하여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이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제1실린더부재(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상기 제1배출공(311)보다 큰 제2배출공(321)이 형성된 제2실린더부재(3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걸림부재(330)들이 상기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30)는, 상기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재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탈수장치는,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의 유동, 즉 피탈수물의 혼합을 유도함으로써 피탈수물의 전체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경우, 실린더부에 설치된 탈수부에 의하여 피탈수물의 탈수 및 이동시 실린더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피탈수물의 유동, 즉 혼합이 없어-종래의 경우 나선부의 끝단 및 실린더부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의 피처리물은 실린더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없이 이동되어 중심측의 피탈수물은 탈수가 덜 되고 외곽측의 피탈수물은 탈수가 많이 되어 전체적으로 탈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외측에 위치된 피탈수물은 탈수효과가 높으나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된 피탈수물은 탈수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부의 중심에서 실린더부의 내주면 사이의 피탈수물의 유동이 유도됨으로써 피탈수물이 혼합되어 피탈수물의 전체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의 내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걸림부재들은, 회전부재 및 나선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처리물의 일부가 걸려 피처리물의 혼합함으로써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의 유동 및 가압을 수행하는 나선부에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압측 쪽의 피처리물은 저압측의 피처리물로 유동되고 고압측에서 그 외측에 위치된 피처리물이 고압측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피처리물의 혼합함으로써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탈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탈수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탈수장치 중 실린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탈수장치 중 회전부재 및 이에 결합된 나선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D부분을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탈수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탈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탈수된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내부에 피탈수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실린더부(300)와; 원통형의 탈수공간에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면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단에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탈수된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탈수부(200) 및 실린더부(30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탈수부(200)에 의하여 탈수된 후 실린더부(30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부는, 실린더부(30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이 아래쪽에 고이는 것을 고려하여 저면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100)는, 피탈수물이 탈수되는 과정에서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유입부(100) 및 배출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실린더부(300)의 형상을 고려하여 내부는 실린더부(300)의 외부형상에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110)는, 본체부(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의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구성으로 피탈수물의 유입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유입부(100)는, 피탈수물이 상측에서 낙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20)는, 본체부(100)의 타단에 설치되어 탈수된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구성으로서 피탈수물의 배출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배출부(120)는, 피탈수물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타단에 측면 또는 저면 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부(120)를 통하여 배출된 피탈수물은, 컨베이어벨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가열장치를 구비한 건조장치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내부에 피탈수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부(300)는, 탈수공간 내에서 탈수부(200)에 의하여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다수의 배출공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실린더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300)의 탈수공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탈수물이 실린더부(300)와 후술하는 탈수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고압부, 중압부 및 저압부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예로서,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을 관통하여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이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부재(310)는,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을 관통하여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이 형성된 실린더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공(311)은,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제1실린더부재(3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제1실린더부재(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제1배출공(311)보다 큰 제2배출공(321)이 형성된 제2실린더부재(3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부재(320)는, 제1실린더부재(3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1실린더부재(3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구조적 보강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실린더부재(310)와 동심원을 이루는 닮은 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321)은,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실린더부재(3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 압력이 가해지는 점을 고려하여 외주면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3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40)는,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 압력이 가해지는 점을 고려하여 외주면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걸림부재(330)들이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30)들은, 후술하는 탈수부(200)의 회전부재(210) 및 나선부(220)의 회전에 의하여 피탈수물이 함께 회전될 때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위치된 피탈수물이 걸리도록 하여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된 피탈수물이 실린더부(300)의 내주면 쪽으로의 유동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330)들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함수율이 높은 피탈수물이 실린더부(300)의 중심부에서 실린더부(300)의 내주면 쪽으로 피탈수물이 이동되면서, 피탈수물의 전체적인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탈수물은 실린더부(300)의 중심부에서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으로 가면서 함수율이 감소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함수율이 높은 피탈수물이 실린더부(300)의 내주면 쪽으로 유동되어 피탈수물의 전체적인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330)들은, 후술하는 탈수부(200)의 회전부재(210) 및 나선부(220)의 회전에 의하여 피탈수물이 함께 회전될 때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위치된 피탈수물이 걸리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부재(330)는,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재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부재(330)는,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단면이 실린더부(300)를 중심으로 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수부(200)는, 원통형의 탈수공간에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면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탈수부(200)는, 유입부(110)로부터 배출부(120)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며 실린더부(300)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10)와; 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는 나선부(220)와;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230)는,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압모터, 공압모터, 전기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며 회전부재(210)와 회전축이 직접 결합되거나 체인, 벨트 등에 의하여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10)는, 회전구동부(230)의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노출되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10)로부터 배출부(120)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며 실린더부(300)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10)의 내부에는, 유입부(110)에 유입된 피탈수물의 해동(겨울의 경우), 탈수효과 등을 위하여 일단에서 타단으로 스팀이 흐르는 스팀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유로는, 스팀이 흘러, 겨울철의 경우 냉동된 상태의 피탈수물을 해동하는데 사용되거나 가열을 유도하여 탈수효과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나선부(220)는, 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선부(220)는, 단일 스크류구조, 이중스크류구조 등 회전에 의하여 피탈수물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나선부(220)의 피치 끝단은, 회전부재(210)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나선부(2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피탈수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2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221)는,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피탈수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선부(220)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부(22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특히 회전부재(210)의 외주면까지 형성된 슬롯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21)는, 나선부(220)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절개부(221)는,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수율이 높은 저압부 및 중압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절개부(2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0)를 내주면으로 하고 상기 나선부(220)의 가장자리부를 외주면으로 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21)의 폭은, 25mm 이상 3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300)의 중압부에서 형성되는 절개부(221)가 저압부에서 형성되는 절개부(221)보다 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부(221)는, 나선부(220)에 형성됨으로써, 나선부(220)에 의하여 구획되는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고압부 쪽에 위치된 피탈수물이 저압부 쪽으로 유동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피탈수물의 유동에 의하여, 실린더부(300)의 중심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위치된 피탈수물이 실린더부(300)의 중심부 쪽으로의 유동이 유도된다.
종래의 경우, 실린더부(300)의 탈수부(200)에 의하여 피탈수물의 탈수 및 이동시 실린더부(2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피탈수물의 유동이 없어 외측에 위치된 피탈수물은 탈수효과가 높으나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된 피탈수물은 탈수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부(300)의 중심에서 실린더부(300)의 내주면 사이의 피탈수물의 유동이 유도됨으로써 피탈수물이 혼합되어 피탈수물의 전체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탈수부
210: 회전부재 220: 나선부
221: 절개부 300: 실린더부

Claims (6)

  1. 일단에 피탈수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탈수된 상기 피탈수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가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내부에 피탈수물을 탈수하기 위한 원통형의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실린더부(300)와;
    상기 원통형의 탈수공간에 상기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면서 피탈수물을 탈수하는 탈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200)는,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상기 배출부(120)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며 상기 실린더부(300)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10)와; 상기 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피탈수물을 상기 배출부(120)로 이동시키는 나선부(220)와; 상기 회전부재(2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220)는, 상기 회전부재(210)의 길이방향으로 피탈수물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개부(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걸림부재(330)들이 상기 실린더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30)는, 상기 실린더부(3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220)의 피치 끝단은, 상기 회전부재(210)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탈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을 관통하여 탈수공간 내의 피탈수물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이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00)는,
    상기 제1실린더부재(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배출공(311)들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상기 제1배출공(311)보다 큰 제2배출공(321)이 형성된 제2실린더부재(3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KR2020170004310U 2017-08-14 2017-08-14 탈수장치 KR200489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10U KR200489838Y1 (ko) 2017-08-14 2017-08-14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10U KR200489838Y1 (ko) 2017-08-14 2017-08-14 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278A Division KR20160137456A (ko) 2016-07-29 2016-07-29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66U true KR20170002966U (ko) 2017-08-23
KR200489838Y1 KR200489838Y1 (ko) 2019-08-19

Family

ID=6062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10U KR200489838Y1 (ko) 2017-08-14 2017-08-14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279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선진기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347467A (zh) * 2020-03-13 2020-06-30 安徽弘腾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用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6378A (ko) * 1985-12-04 1987-07-11 박대영 수분을 함유한 니상물(泥狀物)의 탈수방법 및 장치
KR200255822Y1 (ko) * 2001-09-07 2001-12-13 김훈태 주방쓰레기의 탈수장치
JP2005125138A (ja) * 2003-10-21 2005-05-19 Hanshin Doryoku Kikai Kk 濃縮装置
KR100965972B1 (ko) * 2009-08-27 2010-06-22 윤영현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20110016587A (ko) * 2009-08-12 2011-02-18 정의재 팜 슬러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6378A (ko) * 1985-12-04 1987-07-11 박대영 수분을 함유한 니상물(泥狀物)의 탈수방법 및 장치
KR200255822Y1 (ko) * 2001-09-07 2001-12-13 김훈태 주방쓰레기의 탈수장치
JP2005125138A (ja) * 2003-10-21 2005-05-19 Hanshin Doryoku Kikai Kk 濃縮装置
KR20110016587A (ko) * 2009-08-12 2011-02-18 정의재 팜 슬러지 처리장치
KR100965972B1 (ko) * 2009-08-27 2010-06-22 윤영현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279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선진기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347467A (zh) * 2020-03-13 2020-06-30 安徽弘腾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用处理装置
CN111347467B (zh) * 2020-03-13 2022-01-14 安徽弘腾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用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38Y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21261A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2119B1 (ko) 전단판넬이 이격 형성된 스크류프레스 탈수장치
DK2709840T3 (en) Screw Press
KR20170002966U (ko) 탈수장치
KR20160137191A (ko) 탈수장치
JP2001038490A (ja) スクリュープレス脱水機の運転方法
KR20160137456A (ko) 탈수장치
KR200232305Y1 (ko) 쐐기형 와이어 여과원통에 의한 오물 탈수 여과 장치
KR101443819B1 (ko)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US4289579A (en) Method for treating a bulk material with a fluid
KR20060005795A (ko) 탈수차량 시스템
JP3800406B2 (ja) 濃縮機及び濃縮機を用いた連続加圧脱水機並びに移動脱水車
JP6756981B2 (ja) 吸水ベルト走行式ドラム型濃縮機
KR20100041234A (ko) 폐기물 압축 탈수기
DE69923239T2 (de) Diskontinuierlicher schlammentwässerer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EP1335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0296301A (ja) スクリュー式脱水機
KR20150117776A (ko) 축산분뇨 처리장치
KR201000416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유닛
JP2004122149A (ja) 含水廃棄物処理装置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70005421A (ko) 음식 폐기물 여과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2005230840A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970002599Y1 (ko) 원심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