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574A -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 Google Patents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574A
KR20100098574A KR1020107016804A KR20107016804A KR20100098574A KR 20100098574 A KR20100098574 A KR 20100098574A KR 1020107016804 A KR1020107016804 A KR 1020107016804A KR 20107016804 A KR20107016804 A KR 20107016804A KR 20100098574 A KR20100098574 A KR 20100098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adhesive
container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히로 사토
요시카즈 아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10009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22With work-immobilizing paste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38With housing for work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38With housing for work supply
    • Y10T225/243Blade on pivoted closure for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38With housing for work supply
    • Y10T225/246Including special support for wound supply pac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롤형상으로 감긴 자기밀착성을 가지는 랩 필름을 수납하는 기다란 형상의 용기로서, 적어도 이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랩 필름을 인출하여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과, 절단후의 랩 필름단의 용기내로의 되감김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필름 유지부를 구비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가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제층, 기재층, 접착제층 및 자기밀착성 필름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상기 필름 유지부는 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자기밀착성 필름층, 접착제층, 기재층,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층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 전면부에 효율적으로 첩부 형성되어 안정적이고 또한 지속적인 필름 유지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WRAP FILM CONTAINER AND LABEL ADAPTED FOR USE FOR THE CONTAINER AND USED FOR FORMING FILM HOLDING SECTION}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긴 자기밀착성(自己密着性) 필름을 조금씩 풀어 절단하면서 식품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랩 필름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절단된 필름단의 용기 내부로의 되감김을 안정적이고 또한 지속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필름 유지부의 효율적인 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한 필름 유지부를 가지는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필름 유지부의 효율적인 형성을 위한 라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롤형상으로 감긴 자기밀착성 필름을 수납 용기로부터 조금씩 풀어서 절단하면서 식품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랩 필름은 조리 현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포장재로서 매우 편리한 것이지만, 그 자기밀착성 때문에 일단 용기내로 되감겨지면, 롤 본체에 밀착한 단부를 박리시켜 수납 용기로부터 인출하여 다시 포장에 사용하려면 적지 않게 번잡해진다. 이 때문에, 수납 용기 본체의 전면에 절단후의 랩 필름 단부를 박리 가능하게 유지하고, 그 후의 계속적인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름 유지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 필름 유지부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모노머를 그래프트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아크릴계 수지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특허문헌 1) 또는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특허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제층은 점착력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고 지나치게 강해서 필름의 잘림이 생기거나, 또 계속적인 사용에 따른 티끌이나 먼지의 부착에 의해 필름 유지성이 저하되거나, 또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필름 유지성이 변화한다는 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랩 필름 자체의 자기밀착성을 이용하여 랩 필름을 수납 용기 전면에 첩착(貼着)한 필름 유지부를 형성했더니, 이 필름 유지부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상관없고, 또 시간 경과적 열화가 적어 적당하고 안정적인 필름 유지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아내어, 이러한 필름 유지부를 가지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자기밀착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5~20μm정도로 얇고, 매우 가요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수납 용기 전면부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후에 필름을 첩착하더라도, 미리 한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자기밀착성 필름을 수납 용기 전면에 첩착할 때라고 하더라도 파형주름의 발생, 단부의 접착 불량, 또는 젖혀짐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어, 첩부 작업에 적지 않은 지장이 생기고, 또 그 때문에 안정적인 필름 유지력을 가지는 필름 유지부의 형성이 곤란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2709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356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8-26583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안정적이고 또한 지속적인 필름 유지력을 발휘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의 효율적인 제조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그 자체로도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사용에 의해 수납 용기 전면에 첩착 가능한 자기밀착성 필름을, 굳이 점착제, 기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라벨 구조로 하는 것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자기밀착성 필름층, 접착제층, 기재층,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층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라벨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랩 필름 수납 용기는 롤형상으로 감긴 자기밀착성을 가지는 랩 필름을 수납하는 기다란 형상의 용기로서, 적어도 이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랩 필름을 인출하여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과, 절단후의 랩 필름단의 용기내로의 되감김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필름 유지부를 구비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가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제층, 기재층, 접착제층 및 자기밀착성 필름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전면의 비교적 작은 부분에 자기밀착성 필름의 첩착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유지부를 형성할 때에, 소면적이며 가요성이 큰 자기밀착성 필름을 단독으로 취급할 필요가 없고, 세퍼레이터의 분리 기구를 가지는 라벨러에 의해 자동적이며 또한 연속적으로 복수의 랩 필름 수납 용기형성용 시트 기재의 소정 부분에 라벨형상의 필름 유지부를 첩부 가능하며, 게다가 자기밀착성 필름은 그것을 단독으로 첩부하기에는 과도한 가요성을 가져도 라벨 기재상에 평활성을 담보한 상태로 유지되어 라벨 기재와 함께 첩부되기 때문에, 파형주름의 발생에 의해 필름 유지력이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없는 필름 유지부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의 일례의 적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일례의 모식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자동 첩합용)의 일례의 적층 단면도.
본 발명의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은 그 가장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 도 1에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편측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자기밀착성 필름층(1), 접착제층(2), 기재층(3), 점착제층(4) 및 세퍼레이터층(5)의 적층 구성을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재층(3)의 상면에 유지부인 것을 나타내는 검지(檢知) 마크 등의 인쇄층(6)을 설치한다.
자기밀착성 필름(1)은 일반적으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수용되는 랩 필름을 구성하는 자기밀착성 필름의 구성 수지와 마찬가지의 수지 조성물, 즉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그 0.1~20중량%정도의 지방족 다가 염기산에스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옥시산에스테르 등의 가소제를 배합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리덴에 가소제를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자기밀착성 필름층(1)의 두께는 랩 필름에 대한 밀착 유지력을 발휘시킨다는 목적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지만, 랩 필름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5~20μm의 두께가 사용된다.
자기밀착성 필름(1)과 라벨 기재(3) 사이의 접착제층(2)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아크릴 수지계, 아세트산비닐계, 에폭시계, 합성 고무계 등의 주제로 이루어지는 용제형, 무용제형 또는 에멀전형의 접착제가 적당히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우수하고, 폐용제의 처리가 불필요한 수계 에멀전형이나, 무용제형인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를 주제로 하는 접착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착제층(2)의 두께는 5~50μmm정도가 적당하다.
점착제층(4)을 구성하는 점착제(감압 접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라벨 형성용으로 라벨 기재와 세퍼레이터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것, 즉 고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아크릴 수지계 등의 점탄성 폴리머 주제에 로진계,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한 점착제가 널리 사용된다. 점착제층(4)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층(2)의 두께보다는 약간 두껍고 10~100μm정도이다.
라벨 기재(3)는 랩 필름 수납 용기 본체 전면부에 첩부되는 라벨부(10)의 강성을 지배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라벨 기재를 구성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자기밀착성 필름(1)보다는 강성이 큰 것이 사용되고, 그 두께는 일반적으로 25~200μm정도이다.
세퍼레이터(5)는 일반적으로 라벨 기재(3)보다 더욱 강성이 크고(즉, 탄력성이 있고), 두께가 큰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점착제층(4)과의 계면이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 수지 등의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박리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지만, 점착제층(4)을 포함하는 라벨부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한 한, 그 강성, 두께의 설정은 기본적으로는 임의이다.
상기 서술한 적층 구성을 가지는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구조체로부터 세퍼레이터(5)를 박리하면서 첩부 라벨부(10)를 랩 필름 수납 용기 전면에 첩부함으로써, 본 발명의 랩 필름 수납 용기가 얻어진다.
도 2는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일례의 개봉 상태의 모식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 예의 랩 필름 수납 용기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육면체의 용기 본체(20)내에 심재(특별히 도시하지 않음)에 감긴 롤형상의 랩 필름(30)을 수용하고, 용기 본체의 전면부(21)에 필름 유지부(10a)를 첩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이 필름 유지부(10a)가 도 1의 자기밀착성 필름층(1), 접착제층(2), 기재층(3) 및 점착제층(4)으로 이루어지는 첩부 라벨부(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용기 본체(20)는 하단에 전체가 V자형상의 톱날형상의 필름 절단날(H)을 부착한 덮개편(22)을 가지고 있고, 이 덮개편(22)을 위쪽으로 올린 도시한 개방 상태에서, 롤형상으로 감긴 랩 필름(30)의 단부를 잡고, 랩 필름의 필요 길이를 인출하여, 강하시킨 덮개편(22)의 절단날에 가까운 부분에서 랩 필름을 필름 유지부(10a)에 누른 상태에서 절단날(H)에 의해 랩 필름을 절단하고, 절취한 필요량의 랩 필름에 의해 식품 등의 포장을 행한다. 절단되고 남은 롤형상 랩 필름(30)의 단부는 필름 유지부(10a)의 자기밀착성에 의해 필름 유지부(10a)상에 유지되어, 다음번 사용에 있어서의 랩 필름의 인출 단부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사용하는 랩 필름의 사용 형태는 그 자체는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35657호 공보 등에 의해 주지이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할 것이다.
또한, 절단날(H)이 상기예와 같이 전체적으로 V자형이 아닌 직선형인 것, 필름 유지부(10a)의 형상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가 박리되기 쉽도록 하부 형상이 볼록부를 포함하는 곡선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기 본체(2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보다 긴 것, 보다 작은 것 등의 변형 태양도 상기 특허문헌 등에 의해 주지이다. 필름 유지부(10a)는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 전면부(21)의 면적의 1~30%정도의 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는 사용 형태에 있어서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이지만, 일반적으로 평면형상으로 전개된 두꺼운 종이를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는 것이 주지이다(예를 들어,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0-35657호 공보). 따라서, 필름 유지부(10a)를 형성하기 위한 라벨부(10)의 첩부도 평면형상의 두꺼운 종이의 용기 본체 전면부(21)의 상당부에 대해서 행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세퍼레이터(5)를 박리하면서 행하는 라벨부(10)의 첩부를 연속적으로 복수의 용기 본체(20)에 상당하는 평면형상 두꺼운 종이 원반(原反)에 연속 첩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한 라벨의 연속 첩부 방법 및 그것을 위한 라벨러(라벨 첩부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평8-262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258818호 공보 등 많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을 사용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본체의 평면형상 원반 시트로의 연속 첩부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한 연속 첩부 태양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적층 구성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을 길게 하고, 긴 세퍼레이터(5)상에 각각 자기밀착성 필름층(1), 접착제층(2), 기재층(3) 및 점착제층(4)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서로 이간된 복수의 첩부 라벨부(10)를 가지는 라벨 원반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기 본체 전면부(21) 상당의 두꺼운 종이 원반에 첩부하는 필름 유지부(10a)의 주위의 폐기부(라벨부(10)에 포함되어 있다가 필름 유지부(10a)의 형성을 위해 잘라내지는 불필요한 부분)를 미리 제거해 두고 연속 라벨 첩부 조작을 행할지, 연속 라벨 첩부 장치중에서 폐기부의 형성, 제거를 동시에 행할지(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258818호 공보)는 임의이다.
(실시예)
기본적으로는 도 1과 마찬가지이지만, 라벨러에 의한 자동 라벨 첩부에 적합한 도 3에 도시한 적층 구조를 가지는 긴 라벨을 형성했다. 도 3 중,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인 부분은 도 1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미리 두께 50μm의 폴리프로필렌(OPP) 기재 필름(3)과 두께 88μm의 이형지(5)를 두께 20μm의 아크릴 수지계 점착제층(4)을 사이에 두고 첩합하여, 합계 두께 158μm, 폭 230mm, 길이 400m의 긴 테이프 기재(40)를 준비했다. 다음에, 이 테이프 기재(40)를 롤로부터 풀어내면서, 이형지(5)의 이면에 UV경화형의 흑색 잉크에 의해 아이 마크(7)(자동 라벨 첩합기에 의해 개별 라벨에 대해서 순서대로 이형지(5)를 벗기기 위한 표식), 및 기재 필름(3)의 표면에 UV경화형 녹색 잉크에 의한 개별 라벨의 검지 마크(6)(계속되는 자동 라벨 첩합기에 의한 카톤(랩 필름 수납 용기) 형성용 두꺼운 종이에 대한 라벨 첩부 위치 확인용 및 랩 필름 사용자에 의한 카톤상의 필름 유지부(10a)의 위치 확인용)를 순서대로 인쇄하고, 또한 UV경화시켰다. 계속해서, 테이프 기재(40)를 주행시키면서, 검지 마크(6)를 인쇄한 기재 필름(3)의 표면상에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계 UV경화형 투명 접착제(노테이프코교(주)제 「아크리태크 T-1050」)를 약10μm의 두께로 롤러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0μm, 폭 220mm, 길이 1000m의 염화비닐리덴계 랩 필름(1)((주)구레하제 「NEW 쿠레랩」)을 롤로부터 풀어내면서 라미네이트하고, 또한 접착제의 UV건조를 행하여, 거의 도 3에 도시한 적층 구조의 라벨 1차 원반 테이프를 형성했다. 그 다음에, 또한 이 라벨 1차 원반 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도 2의 개별 라벨(10a)의 형상으로 이형지(5)를 제외한 랩 필름(1)으로부터 점착제층(4)까지 관통하는 스탬핑용 슬릿(8)(도 3)을 형성하고, 주위의 불필요부(폐기부)를 제거한 후, 세로방향으로 슬릿하여 6분할하고, 각각 권취함으로써 폭 34mm, 길이 400m이며 각각 약1만6000개의 개별 라벨을 가지는 6개의 긴 자동 첩합용 라벨 원반이 얻어졌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라벨 원반은 자동 라벨 첩합기(닛쇼덴키(주)제 「S60J 라벨러」)를 사용하여, 랩 필름((주)구레하제 「NEW 쿠레랩」)용 수납 카톤 형성용 두꺼운 종이의 소정 개소에 대한 개별 라벨(10a)의 자동 첩합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랩 필름 수납 카톤 형성용 두꺼운 종이의 소정 개소에 첩부된 랩 필름 유지부(10a)에는 파형주름의 발생이나 단부의 접착 불량, 젖혀짐 등의 문제는 전혀 보이지 않고, 매우 평탄한 랩 필름 유지부인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소정 개소에 랩 필름 유지용 라벨(10a)(폭 30mm)을 첩부한 랩 필름 수납 카톤 형성용 두꺼운 종이 및 유지해야할 랩 필름((주)구레하제 「NEW 쿠레랩」)을 10℃ 및 23℃의 환경에 각각 1시간 보관후, 동일한 환경에서 랩 필름을 라벨상에 두고, 2Kg의 롤러로 가압한 후, 랩 필름-라벨 사이의 T박리 밀착 강도(박리 각도=90°) 및 전단 밀착 강도(박리 각도=0°)를 측정했다. 비교를 위해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및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도막 경화물(「SP 니스 경화막」이라고 함)로 이루어지는 필름 유지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랩 필름과의 T박리 밀착 강도 및 전단 밀착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각각 5개의 시료에 대한 평균값)는 아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1
SP 니스 경화막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랩 필름 자체를 표면에 가지는 라벨로 이루어지는 필름 유지부는 랩 필름에 대해서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매우 작은 T박리 밀착 강도를 나타내고, 또 전단 밀착 강도도 적당한 유지력과 랩 필름의 잘림 방지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이상적인 범위인 700∼1500g·f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용 시험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소정 개소에 랩 필름 유지용 라벨(10a)이 첩부된 랩 필름 수납 카톤 형성용 두꺼운 종이로부터 소정의 방법에 의해 도 2의 형상의 랩 필름 수납 카톤(20)을 형성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300mm, 길이 20m의 염화비닐리덴계 랩 필름 롤(30)((주)구레하제 「NEW 쿠레랩」)을 수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풀어내기, 절취, 식품 등의 포장 조작을 300회 반복했다(즉, 동일 카톤(20)에 랩 필름(30)을 교체하면서, 1분에 1회, 1회의 풀어내기 길이 20cm로 계60m의 랩 필름(30)의 풀어내기 및 절단 조작을 반복했다). 그 결과, 필름 유지부(10a)는 그 면에 평행한 전단력으로서 작용하는 되감겨지는 힘에는 매우 양호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한편, 그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박리(T박리)에 대한 밀착 저항력은 대부분 나타나지 않아, 일련의 포장 조작이 매우 원활하게 행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그 사이에 필름 유지부(10a)의 필름 유지 능력에 변화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적이고 또한 지속적이며, 온도 의존성이 작은 필름 유지력을 발휘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의 형성 부재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 랩 필름을 직접 랩 필름 수납 용기 전면에 첩부하지 않고, 점착제, 기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라벨 구조로 함으로써, 랩 필름이 가지는 과잉의 가요성에 기초한 첩부 작업의 번잡화, 형성되는 필름 유지부의 파형주름의 발생, 단부의 접착 불량, 젖혀짐 등에 의한 필름 유지력의 불안정화 등의 폐해를 제거하고, 라벨러에 의한 자동적이고 또한 연속적인 첩부에 의한 필름 유지부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1 : 자기밀착성 필름층
2 : 접착제층
3 : 기재층
4 : 점착제층
5 : 세퍼레이터
6, 7 : 라벨 검지 마크
8 : 첩부 라벨부 스탬핑용 슬릿
10 : 첩부 라벨부
10a : 필름 유지부
20 : 랩 필름 수납 용기 본체
21 : 용기 본체 전면부
22 : 덮개편
30 : 롤형상 랩 필름
40 : 긴 라벨 테이프 형성용 기재 테이프
H : 톱날형상 절단날

Claims (7)

  1. 롤형상으로 감긴 자기밀착성을 가지는 랩 필름을 수납하는 기다란 형상의 용기로서,
    적어도 이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랩 필름을 인출하여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과, 절단후의 랩 필름단의 용기내로의 되감김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 전면부에 설치한 필름 유지부를 구비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가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점착제층, 기재층, 접착제층 및 자기밀착성 필름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유지부를 형성하는 자기밀착성 필름이 랩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자기밀착성 필름 및 랩 필름이 모두 가소제를 배합한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4. 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자기밀착성 필름층, 접착제층, 기재층,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층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5. 제 6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자기밀착성 필름층측 표면 및 세퍼레이터층의 자기밀착성 필름층과 반대측의 표면에 각각 개별 라벨의 검지 마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전체 형상이 긴 테이프 형상이며, 복수의 개별 라벨의 자동 첩부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 자기밀착성 필름층, 접착제층, 대향 표면에 각각 개별 라벨 검지 마크를 가지는 기재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개별 라벨이 이간되어, 긴 세퍼레이터상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7. 제 6 항에 있어서, 이간된 복수의 개별 라벨의 둘레에 자기밀착성 필름층, 접착제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제거되어야 할 불필요부(폐기부)가 이 적층 구조를 관통하는 슬릿을 통하여 긴 세퍼레이터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KR1020107016804A 2008-02-05 2008-12-18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KR20100098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5053A JP5202977B2 (ja) 2008-02-05 2008-02-05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そのフィルム保持部形成用ラベル
JPJP-P-2008-025053 2008-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574A true KR20100098574A (ko) 2010-09-07

Family

ID=4095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804A KR20100098574A (ko) 2008-02-05 2008-12-18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89091B2 (ko)
EP (1) EP2256054A4 (ko)
JP (1) JP5202977B2 (ko)
KR (1) KR20100098574A (ko)
CN (1) CN101939228B (ko)
HK (1) HK1148507A1 (ko)
TW (1) TWI394690B (ko)
WO (1) WO2009098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0826A (ja) * 2010-07-29 2012-02-16 Kureha Corp 包装容器
JP2012081978A (ja) * 2010-10-08 2012-04-26 Kureha Corp 包装容器
JP6158529B2 (ja) * 2012-05-28 2017-07-05 株式会社クレハ 包装容器
JP2014034420A (ja) * 2012-08-10 2014-02-24 Kureha Corp 包装容器
CN105416781A (zh) * 2015-11-28 2016-03-23 无锡飞环包装器材有限公司 一种印标定长剪断电线包装盒
CN107323838B (zh) * 2017-06-22 2019-09-17 芜湖久恒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板材料围板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28A (en) * 1980-06-19 1981-12-29 The Dow Chemical Company Dispensing carton
JPH07100507B2 (ja) * 1989-02-21 1995-11-0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JP3171982B2 (ja) 1993-02-16 2001-06-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JP2912112B2 (ja) 1993-03-17 1999-06-28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JP2705899B2 (ja) * 1994-06-13 1998-01-28 山下印刷紙器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JPH0826236A (ja) 1994-07-18 1996-01-30 Sony Corp ラベル貼り付け方法及び装置
JP3827027B2 (ja) 1996-07-29 2006-09-27 鈴木 三郎 多目的パレット
JP3021357B2 (ja) 1996-07-30 2000-03-15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KR980009048A (ko) * 1996-07-30 1998-04-30 아마노 히로시 랩필름 수납 상자
JPH10258818A (ja) 1997-03-18 1998-09-29 Lintec Corp ラベル貼付方法および装置
JPH11227757A (ja) * 1998-02-09 1999-08-24 Toppan Printing Co Ltd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US6432241B1 (en) * 1998-03-13 2002-08-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US6416835B1 (en) * 1999-04-30 2002-07-09 Grand Rapids Label Company Combination static cling and product label assembly
JP2001066995A (ja) * 1999-08-24 2001-03-16 Lintec Corp 表示シート用材料、表示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シート
US6299966B1 (en) * 1999-09-24 2001-10-09 Reynolds Metals Company Embossed cling wrap
NZ531689A (en) * 2001-10-26 2006-12-22 Procter & Gamble Flexible wrap kit and methods
JP4027699B2 (ja) * 2002-03-25 2007-12-26 株式会社北電子 シール用抜きズレ検査を行うシール用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326431B2 (ja) * 2003-10-15 2009-09-09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フィルム容器
JP2007145430A (ja) * 2005-10-27 2007-06-14 Kureha Corp ラップフィルム装置及びラップフィルムのロール
JP4714010B2 (ja) * 2005-11-25 2011-06-29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ベル製造装置
JP4809750B2 (ja) * 2005-11-30 2011-11-09 株式会社クレハ 減容化容易なラップフィルム装置
CN200942946Y (zh) * 2006-08-09 2007-09-05 詹万均 防止保鲜膜回卷的盒体结构改良
JP2008265839A (ja) 2007-04-23 2008-11-06 Kureha Corp 包装用フィルム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8507A1 (en) 2011-09-09
JP2009184692A (ja) 2009-08-20
TW200938447A (en) 2009-09-16
US8389091B2 (en) 2013-03-05
EP2256054A1 (en) 2010-12-01
US20110147430A1 (en) 2011-06-23
CN101939228A (zh) 2011-01-05
JP5202977B2 (ja) 2013-06-05
EP2256054A4 (en) 2012-09-05
TWI394690B (zh) 2013-05-01
WO2009098826A1 (ja) 2009-08-13
CN101939228B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266B2 (ja) 電池外装用ラベル
KR20100098574A (ko) 랩 필름 수납 용기 및 그 필름 유지부 형성용 라벨
WO2006001889A1 (en) Selective adhesive gift wrapping shee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849147B2 (en) Beverage lab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957073B2 (en) Bag sealing tape, and banding device and banding method using the bag sealing tape
JP2009184692A5 (ko)
CA1259189A (en) Deformable label
US9676532B2 (en) Packaging reclosure label for high alcohol content products
EP2439720A2 (en) Adhesive lab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459551B2 (ja) 胴巻き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EP2885215B1 (en) Packaging reclosure label for high alcohol content products
JP2006062856A (ja) シール用ラベル貼着装置
JP4748934B2 (ja) 電池外装用ラベル
JP2004219621A (ja) 容器用ラベル及びこれを装着したラベル装着容器
US20050276953A1 (en) Selective adhesive gift wrapping sheet
JP4986502B2 (ja) 伝票類貼付用フィルムロール体及び貼付用フィルム付伝票
KR20050039701A (ko) 플라스틱 랩 키트 및 그것에 의해 물품을 부착하는 방법
JP2012030826A (ja) 包装容器
JP5464257B2 (ja) 包装容器
CN107099261B (zh) 用于充电适配器包装保护膜的制作方法
JP2003036029A (ja) 糊残りのない感熱性粘着ラベ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容器
JP4406038B1 (ja) フィルム端部の引出し方法及び引出し具又は引出し具を備えた収納箱
JP5181768B2 (ja) 包装容器
JP2012145607A (ja) 粘着ラベル
JP2012081978A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