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605A -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605A
KR20100097605A KR1020100016499A KR20100016499A KR20100097605A KR 20100097605 A KR20100097605 A KR 20100097605A KR 1020100016499 A KR1020100016499 A KR 1020100016499A KR 20100016499 A KR20100016499 A KR 20100016499A KR 20100097605 A KR20100097605 A KR 2010009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plastic
guide surface
width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795B1 (ko
Inventor
에른스트 하이네만
데에르. 요한네스 브루스케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9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6Material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힐드(7)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스트립(12, 13)에 의해 경계 형성된 실눈(10)을 갖는 실눈 영역(9)을 포함한다. 실눈 영역(9)으로부터 샤프트(23, 24)로의 전이부가 Z형 단면을 갖는 안내면 섹션(21, 22)에 의해 제공된다. Z형 단면의 2개의 평행한 레그(32, 33)는 안내면(35, 36)을 지지하고, 날실(3b)이 힐드(7)의 에지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안내면들을 지나 스쳐 지나갈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Heald of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직조기용 힐드(heald)에 관한 것이다. 직조기는 날실(warp thread)용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힐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힐드는 날실이 통과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힐드 아이(eye)를 갖는다. 부가의 날실이 인접한 힐드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한다.
다수의 제안이 힐드의 개량을 위해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힐드는 예를 들어 강판 금속의 얇은 스트립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DE 43 36 362호는 띠강판 또는 대안적으로 파이버 보강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를 개시하고 있다. 힐드는 2개의 스트립에 의해 경계 형성된 실눈(thread eye)을 포함하는 실눈 영역을 갖는다. 2개의 스트립이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배열된다. 날실의 종방향에서 볼 때, 2개의 스트립은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편위된다. 실눈 영역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실눈에 인접하는 전이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편평한 샤프트 내에서 종료한다. 전이 영역은 날실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이 경사진 위치에 기인하여, 힐드 사이에 배치된 날실은 전이 영역의 에지를 따라 이동한다.
다른 힐드가 US 5,348,055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힐드는 단부측 단부 러그를 구비하는 편평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대략 중심에는, 2개의 스트립에 의해 경계 형성된 개구가 존재한다. 실눈 주위의 영역은 실눈 영역을 형성한다. 스트립은 편평 금속 스트립의 평면으로부터 만곡되어, 이들 스트립이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편위되고 실눈을 형성하기 위해 날실 방향에 대해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직선형 및 평면 스트립의 각각은 실눈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영역에서 샤프트에서 종료된다. 이 결과로서, 실눈은 실의 종방향에서 볼 때 상부 및 저부에서 날카로운 코너를 갖는다.
더욱이, DE 10 2005 030 632 A1호는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를 개시하고 있고, 상기 힐드는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편위된 2개의 스트립에 의해 경계 형성된 실눈을 갖는다. 상부 및 저부에서, 램프로서 구성된 두꺼운 영역이 눈에 인접하고, 상기 램프는 인접한 힐드를 거리를 두고 유지하고 각각의 실눈을 지나 힐드 사이에서 이동하는 실을 주의하여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에 플라스틱 힐드라 칭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얇은 힐드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힐드는 특히 힐드를 지나 외부로 이동하는 실 상에서 원활하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힐드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힐드는 실눈 영역 및 상기 실눈 영역에 인접한 2개의 안내면 섹션을 갖는 힐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 섹션은 힐드의 베이스 본체, 즉 그 샤프트에서 종료한다. 실눈 영역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스트립에 의해 경계 형성된 실눈을 갖는다. 안내면은 스트립으로부터 멀리 안내면 섹션을 가로질러 힐드 샤프트로 이격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힐드의 특정한 특징은 안내면 섹션의 구성이다. 이 안내면 섹션은 3개의 상이한 구역을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다. 단면의 중심 구역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 연결 스트립을 나타내고, 여기서 레그들이 상기 스트립의 2개의 단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안내면은 레그의 플랭크 상에 제공된다. 단면에서, 안내면을 형성하는 레그의 2개의 에지는 선들 상에 배열되고, 상기 선들은 서로 평행하다.
이 수단의 결과로서, 매우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는 안내면 섹션이 얻어지고 따라서 저중량 힐드를 생성한다. 그러나, 안내면 또는 전술된 선들은 서로 평행할 뿐만 아니라, 게다가 날실 방향에 대략 동등할 수 있는 실눈 통과 방향에 기본적으로 평행하다. 이 방향은 또한 힐드 샤프트의 큰 편평한 측면에 대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실눈을 경계 형성하는 스트립의 큰 편평한 측면에 대해 평행하다. 이 조치에 의해, 힐드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날실이 힐드의 플랭크를 따라 스치고 지나갈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실은 각각 일 표면과 접촉하지만 힐드의 에지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는 힐드의 마모 및 실 손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민감한 실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힐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힐드의 증가하는 마모 또는 다른 영향에 의한 힐드의 에지의 날카로워짐이 임의의 실 손상을 거의 유도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힐드 샤프트의 큰 편평한 측면 및 안내면 섹션의 안내면과 정렬되는 날실 방향은 쉐드(shed)가 폐쇄된 상태의 날실의 종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이 "폐쇄된 쉐드 위치"는 힐드 샤프트의 각각이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 제공된다.
실눈을 경계 형성하는 스트립 및 안내면 섹션의 레그는 모두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두께를 갖는 편평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샤프트의 큰 편평한 측면으로부터 안내면으로 그리고 실눈을 경계 형성하는 스트립의 외부로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평활하고 단차부가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내면을 지지하는 레그의 두께 및 샤프트의 두께는 서로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안내면 섹션 상에 제공된 연결 스트립은 적어도 일 지점에서 레그의 두께와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넓은 구성 범위로 확장시키고 안내면 섹션이 그 양 측면에서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결과는 인접한 힐드가 평면 방식으로 서로 그 자체로 안착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안내면 섹션의 비상보적인 형상은 인접한 힐드를 거리를 두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는 특히 물 직조 기술이 이용될 때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실눈 영역 내의 인접한 힐드의 부착이 방지된다.
이러한 비상보적인 안내면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스트립으로의 전이 구역에서 안내면의 폭이 각각의 힐드 샤프트로의 전이 구역에서보다 작으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안내면의 폭의 변화가 그 제 1 단부로부터, 즉 스트립측 단부로부터 그 제 2 단부, 즉 샤프트측 단부로 계속 발생할 수 있다. 그 제 1 단부에서 안내면의 폭은 각각의 스트립의 폭에 대응할 수 있고, 그 제 2 단부에서 안내면의 폭은 힐드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평면도에서, 연결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윤곽을 갖는다. 이 연결 스트립은 곡률을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한 바와 같이 또한 편평할 수도 있다. 이는 샤프트를 향한 증가하는 두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안내면 섹션은 그 양 단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보적이지 않는 형상을 갖는 반면에, 실눈은 그 양 단부에서 상보적인 방식으로 서로 끼워지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힐드는 다른 이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수단은 예를 들어 단부 러그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이격 수단은 힐드의 측방향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돌출부, 비드, 스트립 등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부가의 특징은 설명, 도면 또는 청구범위의 요지이다. 이 설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양태 및 기타의 상황에 한정된다. 도면은 보충적인 참조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힐드의 마모 및 실 손상의 가능성이 감소되고, 실눈 영역 내의 인접한 힐드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직조기의 2개의 힐드 샤프트의 개략도.
도 2는 2개의 날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힐드의 상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힐드의 단부 러그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상기 힐드의 다양한 부분의 정렬을 도시하는 도 2에 따른 힐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힐드의 상세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따른 힐드의 다양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이격 수단을 갖는 힐드의 다양한 실시예의 도면.
도 1은 직조기의 2개의 힐드 샤프트(1, 2)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힐드 샤프트는 날실(3)로 이루어진 날실 그룹(4, 5)을 날실 평면의 외부로 위아래로 안내하여 따라서 쉐드(6)를 개방하기 위해 교대로 상승 및 하강 이동한다. 날실(3)은 힐드 샤프트(1, 2) 상에 제공된 힐드(7)와 결합되고, 상기 힐드 중 하나의 상세가 도 2에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힐드(7)는 플라스틱 본체를 나타내는 좁은 세장형 스트립의 형태의 일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단부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러그(8)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단부 러그(8)는 힐드(7)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힐드에 체결된 개별 요소일 수 있다.
힐드(7)는 실눈(10)을 갖는 실눈 영역(9)을 포함한다. 실눈(10)은 날실 종방향(11)을 형성하는 날실(3a)을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날실 방향(11)은 날실이 상부를 향해 또는 저부를 향해 날실 평면으로부터 안내될 때, 즉 각각의 힐드 샤프트가 폐쇄 쉐드 위치에 있을 때 날실(3a)의 종방향에 대응한다. 도 2는 도 2에 도시된 힐드(7)의 실눈(10)을 통해 이동하지 않지만 다른 힐드 샤프트의 다른 힐드의 실눈을 통해 이동하는 다른 날실(3b)을 도시한다. 날실(3b)은 도 2에 따른 힐드(7)와 그 인접한 힐드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이동한다. 실눈(10)은 날실 종방향(11) 및 그에 횡단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 2개의 스트립(12, 13)에 의해 경계 형성된다. 더욱이, 외부에서 편평한 활주면(14, 15)이 제공되고, 상기 활주면은 또한 특히 도 6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6은 힐드(7)의 단면 A-A를 도시하고 있고, 그 측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활주면(14, 15)의 길이는 도 4에 점선(17, 18) 사이에 힐드(7) 상에 표시되는 전체 실눈 영역(9)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이들 점선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점선(17, 18)은 실눈 영역(9)의 단부에 대응한다. 벽 섹션(19, 20)이 라운딩된 전이부를 거쳐 실눈(10)에 인접하고, 상기 벽 섹션들은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및 저부를 향해 실눈(10)을 폐쇄한다. 벽 섹션(19, 20)은 여전히 실눈 영역(9)에 속한다. 점선(17, 18)은 상기 영역의 단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눈 영역(9)이 각각 안내면 섹션(21, 22)에서 종료하여, 이에 의해 힐드(7)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23, 24)가 상기 안내면 섹션에 인접한다. 샤프트(23, 24)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도 3에 따른 단부 러그(8)가 배열되어 있는 공통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 4에서, 스트립(12, 13)이 상기 평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된다.
도 5는 도 6 내지 도 10과 함께 특히 안내면 섹션(2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상기 섹션의 이하의 설명은 안내면 섹션(21)의 설명에 대응한다. 양 안내면 섹션은 실눈(10)에 대해 서로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활주면(14, 15)은 각각의 스트립(12, 13)의 두께의 2배보다 큰 외부 실눈폭(25)을 형성한다. 활주면(14, 15)은 라운딩된 에지(27, 28) 상의 좁은 측면에서 종료되고, 날실 종방향(11)에서 측정될 상기 좁은 에지의 거리(29)는 바람직하게는 힐드(7)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23)(또는 24)의 폭(30)(도 4)보다 크거나 또한 같다. 서로 대면하는 스트립(12, 13)의 에지의 서로로부터의 거리는 날실 종방향(11)에서 측정될 러그 폭(31a)을 형성하고, 상기 러그 폭은 바람직하게는 활주면(14, 15) 각각의 폭보다 크다.
내부면(14a, 15b)과 활주면(14, 15)의 거리는 날실 종방향(11)을 가로지르게 측정될 러그 폭(31b)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러그 폭은 바람직하게는 활주면(14, 15)의 두께(26)보다 작거나 같다.
도 7은 활주면 섹션(22)에 대한 실눈 영역(9)의 단부에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도 5의 섹션 B-B). 여기서, 활주면(14, 15)의 단부들 사이에서 측정될 두께는 단지 여전히 두께(25)만큼 크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면은 크랭크 형태를 갖는다. 이 구성은 연결 스트립(34)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직선형 레그(32, 33)를 포함한다. 스트립(32, 33)의 외부면은 바람직하게는 그 절단 에지가 서로 평행한 공중 그네(trapeze)형 안내면(35, 36)을 형성한다. 따라서, 절단 에지는 서로에 대해 평행선(37, 38) 상에 있고, 상기 평행선들은 도 7에 점선으로 되어 있다. 연결 스트립(34)은 선(37, 38)에 대해 예각(α)(도 8)으로 배열된다.
안내면(35, 36) 사이 또는 선(37, 38) 사이의 거리는 안내면 섹션(22)을 따라 힐드(7)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24)를 향해 감소하고 큰 편평한 측면(47)에서 종료한다. 이는 도 8 내지 도 10에 섹션 C-C, D-D, E-E의 순서로 도시되어 있다. 안내면 섹션(22)의 전체 영역에서, 안내면(35, 36)은 바람직하게는 날실 종방향(11)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 및 도 9의 비교에 의해, 안내면(25)의 폭은 실눈 영역(9)으로부터 시작하여 힐드(7)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24)를 향해 증가한다. 동일한 것이 안내면(36)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더 쉬운 설명을 위해, 날실 종방향(11)에 대한 연결 스트립(34)의 각도(α)(도 8에만 표시되어 있음)는 안내면 섹션(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날실 종방향(11)은 선(37, 38)에 평행하다. 도 8은 그 중심선(39)에 의한 연결 스트립(34)의 각도를 특징화한다. 여기에 도시된 각도(α)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대응 각도에 일치한다.
더욱이, 도 7 내지 도 9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표면(40, 41) 사이에서 측정될 두께(42)는 실눈 영역(9)으로부터 샤프트(24)를 향해 증가한다. 도 9의 섹션 D-D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42)는 적어도 안내면 섹션(22)의 일부에서 힐드(7)의 베이스 본체의 샤프트(24)의 두께(43)를 초과한다(도 10).
특히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힐드(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전술된 조치에 기인하여 안내면 섹션(22) 상에 임의의 상보형 측방향 표면을 갖지 않는다. 도 9의 안내면(35))의 폭(B1)은 대향 측면에 리세스의 폭(B2)보다 명백히 크다. 바람직하게는, B2는 안내면 섹션(22)을 따라 일정하다. 따라서, 인접한 유사한 힐드는 이들이 끼워지도록 서로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활주면 섹션(22)은 힐드들 사이에 최소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물 제트 직조기에서, 따라서 인접한 힐드는 힐드 상의 물로부터의 접착력의 작용에 기인하여 함께 고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힐드(7)는 작동 중에 상승 및 하강 이동된다. 도 2와 함께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날실(3b)은 힐드 샤프트(1, 2)의 상승 및 하강 이동 중에 힐드(7)의 측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실은 샤프트(24)로부터 안내면(35)을 걸쳐 활주면(14) 상으로, 그리고 실눈(10) 아래에서 재차 안내면(35')을 거쳐 샤프트(24)의 측면 표면 상으로 이동한다. 상기 표면들 모두가 날실 종방향(11)으로 배향되는 한, 날실(3b)은 임의의 지점에서 에지에 대해 스치고 지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실은 원활하게 처리된다. 또한, 힐드는 원활하게 처리된다. 시간 경과에 따라 에지가 안내면(35, 35', 36)의 주연부 상에 및/또는 스트립(12, 13) 상에 및/또는 활주면(14, 15) 상에 형성되더라도, 이들 에지는 날실(3b)과 같이 날실(3b)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없다.
힐드(7)는 특히 물 직조(water weaving)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가의 이격 수단이 제공되면 실용적인데, 이들 부가의 이격 수단은 전술되어 있는 안내면 섹션(21, 22)의 전술된 구조체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은 2개의 인접한 힐드(7, 7')의 사용과 함께 이러한 이격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러그(8, 8')는 각각의 샤프트(23, 23')보다 두껍고, 따라서 샤프트(23, 23')를 거리를 두고 유지한다.
도 1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그 단부 러그(8)의 적합한 지점에서 예를 들어 비드(44)의 형태의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비드는 또한 힐드의 편평한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 러그(8)의 측방향 표면 상에 분포된 다수의 이러한 비드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힐드가 그 정렬된 개구(45)의 영역에 돌출부를 구비하면 실용적인 것으로 또한 판명되었고, 상기 돌출부는 스페이서로서 작용한다. 도 13은 2개의 인접한 힐드(7, 7')를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그 정렬된 개구(45, 45') 각각은 관형 또는 링형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1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관형 또는 환형 돌출부(46)는 상기 힐드의 2개의 편평한 측면 상의 각각의 힐드(7, 7')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격 수단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실눈(10)의 영역 뿐만 아니라 그 단부 러그(8)의 영역에서 인접한 힐드의 직접적인 부착이 적합한 이격 수단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힐드(7)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스트립(12, 13)에 의해 경계 형성된 실눈(10)을 갖는 실눈 영역(9)을 포함한다. 실눈 영역(9)으로부터 샤프트(23, 24)로의 전이부는 Z형 단면을 갖는 안내면 섹션(21, 22)에 의해 제공된다. Z형 단면의 2개의 평행한 레그(32, 33)가 안내면(35, 36)을 지지하고, 이에 의해 날실(3b)이 힐드(7)의 에지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안내면을 지나 스치고 지나갈 수 있다.
1, 2: 힐드 샤프트 3, 3a, 3b: 날실
4, 5: 날실 그룹 6: 쉐드
7: 힐드 8: 단부 러그
9: 실눈 영역 10: 실눈
11: 날실 종방향 12, 13: 스트립
14, 15: 활주면 14a, 15a: 내부면
17, 18: 선 19, 20: 벽 섹션
21, 22: 안내면 섹션 23, 24: 샤프트
25: 실눈폭 26: 두께
27, 28: 에지 29, 30: 폭
31a: 러그 폭(실 종방향에서 측정된)
31b: 러그 폭(실 종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에서 측정된)
32, 33: 레그 34: 연결 스트립
35, 36: 안내면 37, 38: 선
39: 중심선 40, 41: 표면
42, 43: 두께 44: 이격 수단(비드)
45: 정렬 개구 46, 46': 링 돌출부
47, 48: 편평한 측면

Claims (15)

  1.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힐드 본체를 갖는 플라스틱 힐드(7)로서, 상기 힐드 본체는
    - 그 내부에 형성된 눈(10)을 갖는 실눈 영역(9)으로서, 상기 눈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스트립들(12, 13)에 의해 경계 형성되는 상기 실눈 영역(9),
    - 상기 실눈 영역(9) 상의 대향 단부들(17, 18) 상에 배열된 2개의 안내면 섹션들(21, 22)로서, 각각 안내면들(35, 36)을 갖는 상기 안내면 섹션들(21, 22), 및
    - 상기 안내면 섹션들(21, 22)에 인접한 2개의 샤프트들(23, 24)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면 섹션들(21, 22)의 각각의 단면은 상기 안내면들(35, 35', 36)을 지지하는 2개의 평행한 레그들(32, 33)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34) 및 이들 레그들(32, 33) 중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립은 2개의 레그들(32, 33)과 각도(α)를 이루는 플라스틱 힐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들(35, 35', 36) 및 상기 샤프트들(23, 24)의 큰 편평한 측면들(47, 48)은 각각 하나의 실 이동 방향(11)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들(12, 13) 및 상기 레그들(32, 33)은 일치하는 두께(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들(32, 33) 및 상기 샤프트들(23, 24)은 일치하는 두께(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트립(34)은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2개의 레그들(32, 33)의 두께(43)와는 상이한 두께(4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안내면 섹션(21, 22)의 2개의 안내면들(35, 36)은 각각 상기 샤프트(23, 24)의 안내면들(35, 36)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안내면들(35, 36)의 제 2 단부로, 그리고 상기 2개의 스트립들(12, 13)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35, 36)은 상기 스트립(12, 13)에 대면하는 그 제 2 단부에서보다 상기 샤프트(23, 24)에 대면하는 그 제 1 단부에서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2, 13) 상의 안내면(35, 36)의 폭은 샤프트 폭의 절반보다 작고, 반면에 상기 샤프트(23, 24) 상의 안내면(35, 36)의 폭은 샤프트 폭의 절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35, 36)의 폭은 그 제 1 단부에서 상기 스트립(12, 13)의 폭에 대응하고 그 제 2 단부에서 상기 샤프트(23, 24)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트립(34)은 삼각형 윤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40, 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트립(34)은 상기 샤프트(23, 24)를 향해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눈 영역(9)은 서로 상보적인 윤곽들을 갖고, 상기 윤곽들은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들(23, 24)은 상기 실눈(10)으로부터 먼 단부들 상에 단부 러그들(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이격 수단들(44)이 단부 러그들(8)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들(44)은 상기 힐드(7)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힐드.
KR1020100016499A 2009-02-26 2010-02-24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KR101248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3820.7 2009-02-26
EP20090153820 EP2224046B1 (de) 2009-02-26 2009-02-26 Kunststoff-Webli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605A true KR20100097605A (ko) 2010-09-03
KR101248795B1 KR101248795B1 (ko) 2013-04-03

Family

ID=4057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99A KR101248795B1 (ko) 2009-02-26 2010-02-24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224046B1 (ko)
JP (1) JP5697817B2 (ko)
KR (1) KR101248795B1 (ko)
CN (1) CN1018183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027A (ko) * 2014-10-16 2016-04-26 스또불리 리옹 직기용 잉아 및 그러한 잉아를 갖춘 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7448B1 (de) 2011-03-28 2019-08-07 Groz-Beckert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eblitze
EP2505703B1 (de) * 2011-03-28 2014-12-03 Groz-Beckert KG Weblitze aus Kunststoff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us einer Folienbahn
EP2505701B1 (de) * 2011-03-28 2014-12-31 Groz-Beckert KG Mehrkomponenten-Kunststofflit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584078B1 (de) 2011-10-21 2015-08-26 Groz-Beckert KG Weblitze mit fadenfreundlichem Fadenauge
CN116288854B (zh) * 2023-01-09 2023-10-03 无锡长江精密纺织有限公司 一种经向缩率可变的综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446A (en) * 1989-06-12 1991-10-01 Sulzer Brothers Limited Thermoplastic heddle with braided fiber tube reinforcement
US5348055A (en) * 1993-05-06 1994-09-20 Steel Heddle Mfg. Co. Heddle eyelet structure
DE4336362C1 (de) 1993-10-25 1994-10-13 Grob & Co Ag Fadenauge für Weblitze
CZ287292B6 (cs) 1999-03-16 2000-10-11 Seco, A.S. Nitěnka z pásového materiálu s rozvedeným niťovým očkem, způsob její výroby a tvárník pro tuto výrobu
CH695240A5 (de) * 2001-02-28 2006-02-15 Braecker Ag Weblitz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eblitze.
FR2835538B1 (fr) * 2002-02-07 2004-05-21 Staubli Lyon Liss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e telle lisse
KR200377714Y1 (ko) * 2004-12-09 2005-03-10 네젠텍주식회사 직기용 종광
JP4126438B2 (ja) * 2005-03-23 2008-07-30 伊▲勢▼ 昌弘 細板型綜絖
DE102005030632B4 (de) 2005-07-01 2009-07-30 Groz-Beckert Kg Fadenschonende Weblit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027A (ko) * 2014-10-16 2016-04-26 스또불리 리옹 직기용 잉아 및 그러한 잉아를 갖춘 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8398A (zh) 2010-09-01
JP5697817B2 (ja) 2015-04-08
EP2224046B1 (de) 2011-08-31
JP2010209509A (ja) 2010-09-24
KR101248795B1 (ko) 2013-04-03
CN101818398B (zh) 2013-09-04
EP2224046A1 (de)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95B1 (ko) 플라스틱 재료의 힐드
FI88629C (fi) Beklaednad foer en arkformningsdel av en pappersmaskin med ytterligare, loepande tvaertraodar som har en stoerre modellaengd
KR20070003670A (ko) 야안 보호 종광
FI85519B (fi) Dubbelvaev med fjorton solvar.
ZA201007176B (en) Conveyor belt with varying flexibility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CA2961867A1 (en) Dryer fabric
US20070181206A1 (en) Heald shaft comprising a heald support rod
TWI399468B (zh) 具有蜿蜒曲狀狹縫之針織機織針
GB2071710A (en) Healds
FI90261C (fi) Paperikonekangas
US20070131301A1 (en) Heddle for band-shaped warp threads
US2992681A (en) Paper machine forming wire
KR101997537B1 (ko)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US5176183A (en) Heddle end loop design with asymetrically curved inner edge
EP3754065B1 (en) Heald frame for weaving looms, comprising a braking device of the heald movement by inertia during the motion reversal phases of the heald frames
JPH0274693A (ja) 緯糸摩耗型製紙用織物
US6740203B2 (en) Papermaker's nip thickener fabric
US3402746A (en) Weft insertion needles in weaving machines
KR20130044143A (ko) 특히, 성형 직물인, 직조 제지기 직물
US20040040613A1 (en) Weft carrying grippers for weaving looms and in guiding means thereof
US687465A (en) Woven sheeting fabric.
ITMI941086A1 (it) Sistema perfezionato di guida del nastro di inserzione della pinza in un telaio tessile senza navetta
CN101365836B (zh) 用于形成纱罗织物的抗磨损装置
US5806570A (en) Weft band guide pin arrangement in a gripper weaving machine
JPH03137247A (ja) グリッパ織機用の可変厚みグリッパ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