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498A -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498A
KR20100089498A KR1020090008781A KR20090008781A KR20100089498A KR 20100089498 A KR20100089498 A KR 20100089498A KR 1020090008781 A KR1020090008781 A KR 1020090008781A KR 20090008781 A KR20090008781 A KR 20090008781A KR 20100089498 A KR20100089498 A KR 20100089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enol
natural
green tea
deodorant composition
bad b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997B1 (ko
Inventor
이현아
박재웅
안혜준
박형환
김용택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과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를 함유하는 물질이 혼합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폴리페놀 및 이를 산화시키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악취 발생 물질인 메틸머캅탄 및 황화수소 등의 황화합물의 제거에 효과적이므로, 단시간 내에 지속적이며 강력한 소취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추출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다.
폴리페놀,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 소취제, 쑥갓

Description

소취제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과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를 함유하는 물질이 혼합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란 입을 통해서 나오는 호기(呼氣)의 냄새로서 주위사람들이 불쾌하게 느끼는 냄새를 일컫는다. 구취는 타액중에 존재하는 단백질, 음식찌꺼기 등이 구강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된다. 또한, 마늘이나 고추 등을 섭취하는 경우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Allyl methyl sulfide)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라 한다)로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있다. 이들 휘발성 황화물이외 에 트리메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상기 구취 물질을 비롯한 악취원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악취의 주성분인 VSC의 제거 및 악취 원인균의 성장 억제 또는 이의 살균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구취 원인균의 성장억제 또는 이의 살균 등에는 유산균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 등이 사용되나, 구취 원인균인 구강내 혐기성 박테리아(Fusobacterium and Actinomyces, etc)는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필요하며, 구취의 주성분인 VSC의 제거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폴리페놀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녹차나 미숙사과 추출물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는 크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취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기본적으로 소취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이 함유된 천연 추출물과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가 함유된 특정한 천연물질을 혼합하면 우수한 소취효과를 나타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악취원에 작용하는 경우 단시간 내 우수한 소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한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폴리페놀 및 이를 산화시키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악취 발생 물질인 메틸머캅탄 및 황화수소 등의 황화합물의 제거에 효과적이므로, 단시간 내에 지속적이며 강력한 소취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추출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에 의하여 산화되어 반응성이 높은 퀴논(quinone)이 생성되고, 상기 퀴논이 악취 물질과 반응하여 소취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하는 상기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자동산화를 촉진시켜 단시간에 높은 소취율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양송이버섯, 첨차, 카카오, 로즈마리, 클로로필, 아카이(Acai), 미배아, 대두발효, 볶은쌀겨, 볶은콩, 감, 루이보스, 우롱차 및 대추야자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이 고형분의 중량비 5 : 1 ~ 1 : 5 범위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의 중량비가 5 : 1 를 초과하면 폴리페놀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이취가 강해지며, 1 : 5 미만이면 소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활성 비교
하기 표 1의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료 100g에 0.1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7.0, 4℃)를 가하여 믹서기(Waring blender)로 5분간 균질화시킨 후 모직천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10,000 × g)한 상등액을 얻었다.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 850㎕에, 기질로서 카테콜(catechol) 100㎕을 넣고, 상기 얻어진 각각의 상등액 50㎕를 가하여, 총 용량을 1㎖로 하였다. 4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기질 산화로 인한 흡광도의 증가율을 420nm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상기 상등액 대신,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을 50㎕ 사용하였고, 효소의 활성은 1분간에 흡광도 0.001 증가시킨 것을 1 unit으로 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료의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효소 활성 (unit)
대조군 0
쑥갓 114
미나리 98.6
감자 70.8
바나나 65.4
7.4
사과과육 2.8
사과과피 2.4
연근 1.6
도라지 7.8
더덕 1.2
팽이버섯 0.2
느타리버섯 1
양파 0.4
자두 1.6
복숭아 3
양상치 0.2
0.2
표고버섯 0
실시예 1 : 녹차분말의 구취 성분( 메틸머캅탄 )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 우수한 효소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71H을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머캅탄 나트륨염(Methylmercaptan sodium salt) 용액(15% in water)을 구취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기질로는 녹차분말을 사용하였다. 녹차분말 0.1g 또는 0.01g,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pH7.0) 2㎖ 및 구취 유발원 용액 3㎕을 넣고, 상기 실험예 1에서 얻은 상등액 3㎖(고형분 0.1g)을 넣었다.
대조군으로는 50㎖ 암갈색병에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pH7.0) 2㎖와 구취 유발원 용액 3㎕를 넣었다, 각 시험병은 36.5℃ 항온수욕조(water bath)에서 10분간 진탕한 후, 가스검지관을 파라필름에 삽입하여 암갈색병에 잔존하는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얻은 각 가스검지관 측정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녹차분말 0.1g 녹차분말 0.01g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900 0 900 0
녹차분말 800 11.1 870 3.3
녹차분말 + 쑥갓 상등액 100 88.8 600 33.3
녹차분말 + 미나리 상등액 225 75 650 27.8
녹차분말 + 감자 상등액 340 62.5 720 20
녹차분말 + 바나나 상등액 450 50 750 16.7
녹차분말에 상기 실험예 1에서 얻은 상등액을 사용한 경우, 녹차분말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소취율이 월등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 녹차분말의 구취 성분(황화수소)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 우수한 효소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구취의 주성분인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4LB을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황화수소 2g을 0.05M 인산칼륨 완충용액과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용액이 중량비 3 : 1로 혼합된 혼합용액에 포집하여 구취 유발원 용액 1㎖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취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녹차분말 0.1g 녹차분말 0.01g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7 0 7 0
녹차분말 4.3 38.5 6.5 7.1
녹차분말 + 쑥갓 상등액 0 100 1 85.7
녹차분말 + 미나리 상등액 0.1 98.6 1.5 78.6
녹차분말 + 감자 상등액 0.2 97.1 1.8 74.3
녹차분말 + 바나나 상등액 0.5 92.9 2.5 64.3
실시예 3 :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쑥갓 추출물의 구취 성분(메틸머캅탄) 억제 효과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인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양송이버섯, 첨차, 카카오, 로즈마리, 클로로필, 아카이(Acai), 미배아, 대두발효, 볶은쌀겨, 볶은콩, 및 우롱차의 천연 추출물을 기질로 하고,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사용된 쑥갓 상등액(효소액)을 사용한 경우,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71H을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각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 0.1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취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다만 비교예로서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상등액을 넣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주요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기질 + 효소액 (실시예) 기질(비교예)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900 0 900 0
Thyme 0 100 750 16.7
Melissa 0 100 800 11.1
커피 10 98.9 450 50
녹차 100 88.9 800 11.1
양송이버섯 550 38.9 900 0
첨차 50 94.4 600 33.3
카카오 450 50 850 5.6
로즈마리 480 46.7 900 0
클로로필 400 55.6 800 11.1
ACAI 550 38.9 800 11.1
미배아 650 27.8 750 16.7
대두발효 650 27.8 750 16.7
볶은쌀겨 600 33.3 850 5.6
볶은콩 800 11.1 850 5.6
우롱차 200 77.8 650 27.8
실시예 4 :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쑥갓 추출물의 구취 성분(황화수소) 억제 효과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인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양송이버섯, 첨차, 카카오, 로즈마리, 클로로필, 아카이(Acai), 미배아, 대두발효, 볶은쌀겨, 볶은콩, 및 우롱차의 천연 추출물을 기질로 하고,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사용된 쑥갓 상등액(효소액)을 사용한 경우, 구취의 주성분인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4LB을 이용하여 그 구취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각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 0.1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구취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다만 비교예로서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상등액을 넣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기질 + 효소액 (실시예) 기질(비교예)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6.5 0 6.5 0
Thyme 0 100 4 38.5
Melissa 0 100 4.5 30.8
커피 0 100 3.5 46.2
녹차 0 100 4 38.5
양송이버섯 0.5 92.3 5.5 15.4
첨차 0 100 3 53.8
카카오 0 100 3.2 50.8
로즈마리 0 100 3.5 46.2
클로로필 1 84.6 5 23.1
ACAI 0.2 96.9 3.5 46.2
미배아 0.5 92.3 5 23.1
대두발효 0.5 92.3 5 23.1
볶은쌀겨 0.5 92.3 6.5 0
볶은콩 1 84.6 6 7.7
우롱차 0 100 6 7.7
실시예 5: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의 구취 성분(메틸머캅탄) 억제 효과
실시예 1의 미나리 추출물의 상등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구취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기질 + 효소액 (실시예) 기질(비교예)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900 0 900 0
Thyme 120 86.7 750 16.7
Melissa 120 86.7 800 11.1
커피 130 85.6 450 50
녹차 225 75 800 11.1
양송이버섯 600 33.3 900 0
첨차 160 82.2 600 33.3
카카오 500 44.4 850 5.6
로즈마리 530 41.1 900 0
클로로필 470 47.8 800 11.1
ACAI 550 38.9 800 11.1
미배아 700 22.2 750 16.7
대두발효 700 22.2 750 16.7
볶은쌀겨 650 27.8 850 5.6
볶은콩 820 8.9 850 5.6
우롱차 300 66.7 650 27.8
실시예 6 :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감자 추출물의 구취 성분(메틸머캅탄) 억제 효과
실시예 1의 감자 추출물의 상등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구취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기질 + 효소액 (실시예) 기질(비교예)
검지관(ppm) 소취율(%) 검지관(ppm) 소취율(%)
대조군 900 0 900 0
Thyme 100 88.9 750 16.7
Melissa 120 86.7 800 11.1
커피 140 84.4 450 50
녹차 200 77.8 800 11.1
양송이버섯 500 44.4 900 0
첨차 150 83.3 600 33.3
카카오 500 44.4 850 5.6
로즈마리 530 41.1 900 0
클로로필 450 50 800 11.1
ACAI 400 55.6 800 11.1
미배아 680 24.4 750 16.7
대두발효 500 44.4 750 16.7
볶은쌀겨 450 50 850 5.6
볶은콩 760 15.6 850 5.6
우롱차 350 61.1 650 27.8
실시예 7 : 소취제 조성물의 구취 성분(메틸머캅탄) 억제 속도 비교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인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양송이버섯, 첨차, 카카오, 로즈마리, 클로로필, 아카이(Acai), 미배아, 대두발효, 볶은쌀겨, 볶은콩, 및 우롱차의 천연 추출물을 기질로 하고,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사용된 쑥갓 및 미나리 상등액을 사용한 경우,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71H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소취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기질+쑥갓상등액 기질+미나리상등액 기질
10min 20min 30min 10min 20min 30min 10min 20min 30min
Thyme 100 100 100 86.7 92.3 100 16.7 28.6 38.9
Melissa 100 100 100 86.7 94.4 100 11.1 22.2 33.3
커피 98.9 100 100 85.6 88.9 93.7 50 60.3 72.5
녹차 88.9 100 100 75 85.6 92.6 11.1 27.8 41.1
양송이버섯 38.9 68.8 88.8 33.3 55.6 75.3 0 11.1 23.7
첨차 94.4 100 100 82.2 85.6 94.4 33.3 46.7 60.3
카카오 50 92.6 100 44.4 68.8 92.3 5.6 12.7 27.8
로즈마리 46.7 88.9 100 41.1 63.3 88.9 0 5.6 11.1
클로로필 55.6 92.3 100 47.8 72.2 95.6 11.1 19.2 27.8
ACAI 38.9 75.3 100 38.9 60.3 92.6 11.1 22.2 38.9
미배아 27.8 63.3 88.2 22.2 55.6 77.8 16.7 27.8 38.9
대두발효 27.8 60.3 85.6 22.2 52.3 72.5 16.7 27.8 41.1
볶은쌀겨 33.3 63.6 88.6 27.8 55.6 82.3 5.6 13.3 22.2
볶은콩 11.1 50.3 86.6 8.9 46.7 69.8 5.6 12.7 27.8
우롱차 77.8 100 100 66.7 94.4 98.9 27.8 38.9 47.8
상기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의 폴리페놀 산화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추출물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소취능 이 향상되고, 소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 소취제 조성물의 소취 온도 안정성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폴리페놀 산화효소 함유 천연 추출물인 쑥갓, 미나리, 감자, 바나나 및 마 등의 천연 추출물과 멜리사(Melissa)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소취율을 Gastec(가스검지관) No. 71H을 이용하여 온도별(20 ~ 90℃)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온도(℃)
20 30 40 50 60 70 80 90
쑥갓 100 100 100 100 100 90 75 62.5
미나리 98.9 92.3 86.7 77.8 64.4 55.6 50 44.4
감자 98.9 98.9 86.7 64.4 44.4 27.8 11.1 5.6
바나나 92.3 92.3 88.9 83.3 77.8 64.4 55.6 50
46.7 38.9 27.8 11.1 5.6 5.6 0 0
사과과육 22.8 22.8 22.2 16.7 5.6 0 0 0
사과과피 16.7 16.7 11.1 5.6 0 0 0 0
연근 13.3 13.3 11.1 2.2 0 0 0 0
도라지 50 50 46.7 28.9 27.8 11.1 0 0
더덕 11.1 11.1 5.6 2.2 0 0 0 0
팽이버섯 5.6 5.6 0 0 0 0 0 0
느타리버섯 11.1 11.1 5.6 5.6 0 0 0 0
양파 2.2 2.2 0 0 0 0 0 0
자두 16.7 16.7 16.7 11.1 0 0 0 0
복숭아 27.8 27.8 16.7 11.1 5.6 0 0 0
양상치 5.6 5.6 5.6 0 0 0 0 0
5.6 5.6 0 0 0 0 0 0
표고버섯 5.6 0 0 0 0 0 0 0
도 1은 폴리페놀 함유 천연 추출물에 쑥갓 추출물을 넣은 경우,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

  1.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은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양송이버섯, 첨차, 카카오, 로즈마리, 클로로필, 아카이(Acai), 미배아, 대두발효, 볶은쌀겨, 볶은콩, 감, 루이보스, 우롱차 및 대추야자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이 고형분의 중량비 5 : 1 ~ 1 : 5 범위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KR1020090008781A 2009-02-04 2009-02-04 소취제 조성물 KR10106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81A KR101068997B1 (ko) 2009-02-04 2009-02-04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781A KR101068997B1 (ko) 2009-02-04 2009-02-04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498A true KR20100089498A (ko) 2010-08-12
KR101068997B1 KR101068997B1 (ko) 2011-09-30

Family

ID=4275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781A KR101068997B1 (ko) 2009-02-04 2009-02-04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5341A (zh) * 2011-10-20 2013-04-24 上海奥氏亚士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异味分子控制剂
KR20190052865A (ko) * 2017-11-09 2019-05-17 (주)아모레퍼시픽 발효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녹차 추출물
KR20200014681A (ko) * 2019-05-02 2020-02-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구취 및 구강질환 예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870418A (zh) * 2021-01-15 2021-06-01 宁波芮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hq22豆类提取物的植物复合型高效抑菌除臭剂的制备方法
CN115254037A (zh) * 2022-06-14 2022-11-01 湖北福良山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吸附材料及其混合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68B1 (ko) * 2017-03-29 2018-12-06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생두 추출물 또는 생두 파우더를 함유하는 염모제
KR102120835B1 (ko) 2018-12-24 2020-06-09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폴리페놀 성분을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5976B2 (ja) * 1997-01-30 2005-03-02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5341A (zh) * 2011-10-20 2013-04-24 上海奥氏亚士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异味分子控制剂
CN103055341B (zh) * 2011-10-20 2015-03-11 上海奥氏亚士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异味分子控制剂
KR20190052865A (ko) * 2017-11-09 2019-05-17 (주)아모레퍼시픽 발효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녹차 추출물
KR20200014681A (ko) * 2019-05-02 2020-02-1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구취 및 구강질환 예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870418A (zh) * 2021-01-15 2021-06-01 宁波芮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hq22豆类提取物的植物复合型高效抑菌除臭剂的制备方法
CN112870418B (zh) * 2021-01-15 2022-05-17 宁波芮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hq22豆类提取物的植物复合型高效抑菌除臭剂的制备方法
CN115254037A (zh) * 2022-06-14 2022-11-01 湖北福良山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吸附材料及其混合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997B1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997B1 (ko) 소취제 조성물
JP3625976B2 (ja) 消臭剤組成物
KR100738427B1 (ko) 숙성 흑마늘의 제조방법
JP2008289899A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15163B1 (ko)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6817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를 위한 동물사료 조성물
KR101661227B1 (ko) 갓김치 제조방법
KR100414393B1 (ko)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66754B1 (ko) 발효 화분 분말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청국장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80008120A (ko) 허브 추출물 및 그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6789B1 (ko) 숙성 흑마늘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879B1 (ko) 마늘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식품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CN110547416B (zh) 包含黑萝卜乳酸菌发酵产物的肝功能改善用组合物及黑萝卜乳酸菌发酵产物的制造方法
KR101970144B1 (ko) 그린 토마토 물 추출물, 우엉 물 추출물 및 병아리콩 물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32215A1 (ja) 消臭剤組成物
KR20180048106A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천년초 열매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JP4097229B2 (ja) 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0758B1 (ko) 냄새를 제거시킨 김치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 및 김치 과자
KR20160104219A (ko) 와송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와송식초를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US20190350215A1 (en)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ingredient-containing kimchi containing dendropanax morbifera lev. extract
KR102156100B1 (ko)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20140092983A (ko)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