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100B1 -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100B1
KR102156100B1 KR1020190119683A KR20190119683A KR102156100B1 KR 102156100 B1 KR102156100 B1 KR 102156100B1 KR 1020190119683 A KR1020190119683 A KR 1020190119683A KR 20190119683 A KR20190119683 A KR 20190119683A KR 102156100 B1 KR102156100 B1 KR 10215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ycelium
shiitake mushroom
prepared
onion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영
Original Assignee
노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동영 filed Critical 노동영
Priority to KR102019011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껍질 발효액, 갈대 추출액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껍질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파껍질 혼합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mixed beverage using onion peel fermented solution}
본 발명은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을 혼합한 후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음료에 관한 것이다.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특유의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고추, 마늘 등과 더불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조미 채소 중의 하나이다. 또한, 고대부터 동양에서는 마늘과 함께 한약재로 애용되어 해열, 구충, 해독, 장염, 중풍치료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양파에는 기능성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계 물질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양파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중에는 퀘르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루틴(ru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과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퀘르세틴은 전체 플라보노이드의 80% 이상으로 다른 야채나 과일에 비하여 매우 높게 함유되어 있다. 양파에 존재하는 이러한 퀘르세틴 관련물질과 알릴 디설파이드(allyl disulfide), 디알릴 설파이드(diallyl sulfide), S-메틸시스테인-술폭시드(S-methylcysteine-sulfoxide)와 같은 황화합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동맥경화,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알레르기 반응 억제, 혈액순환 증가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양파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의 특산물로서 국내 전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활용성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작황상황에 따라 가격변동이 매우 큰 대표적인 농작물로서 이에 대한 소비대책과 저장방법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작황상황이 좋은 과잉 생산된 양파의 수급 조절과 소비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단히 높다.
또한, 양파에서 양파 속보다 양파껍질이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양파껍질을 세척하고 말려서 차처럼 달여 마시기도 한다. 건강식으로 혹은 다이어트 용으로 달여 마시는데, 이는 양파껍질에서 추출되는 퀘르세틴 성분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거나 고혈압 혹은 당뇨환자들에게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402418호에는 유기산을 이용한 무취화 및 청징화된 양파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448527호에는 한방 양파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양파껍질 전처리, 부재료 선정, 배합비 및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음료의 기능성 효과는 증진시키고 소비자들의 기호에 최적화된 양파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을 혼합한 후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파껍질을 이용한 혼합 음료는 식품첨가제는 일체 사용하지 않고, 양파 특유의 강한 향미 및 맛을 제거하면서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한 음료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을 혼합한 후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양파껍질 발효액은 바람직하게는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2~18℃에서 25~35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에서 3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이 양파 특유의 자극적인 맛과 향은 제거하면서 기호도가 우수한 양파껍질 발효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갈대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 부드럽고 깊은맛으로 인해 풍미가 우수한 갈대 추출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참깨박 80~120 g과 양파껍질 발효액 80~120 mL를 혼합한 후 110~130℃에서 12~18분 동안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2~28℃에서 8~12일 동안 배양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참깨박 100 g과 양파껍질 발효액 100 mL를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배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는 것이 재료들이 잘 어우러져 기호도가 우수하면서, 기능성 효과가 더욱 증진된 추출액 제조에 적합한 균사체로 배양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의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표고버섯 균사체를 32~38℃에서 20~2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8~12배량(v/w) 첨가한 후 37~43℃에서 20~28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고버섯 균사체를 3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10배량(v/w) 첨가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추출하는 것이 이취가 없고 깔끔하면서 풍미가 우수한 추출액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5)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양파껍질 발효액 36~44 중량%, 갈대 추출액 27~33 중량%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27~33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양파껍질 발효액 40 중량%, 갈대 추출액 30 중량%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30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양파껍질, 갈대 및 표고 균사체가 잘 어우러져 기호도가 우수하여 음용이 용이하면서 고품질의 혼합 음료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2~18℃에서 25~35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 80~12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80~120 mL를 혼합한 후 110~130℃에서 12~18분 동안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2~28℃에서 8~12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32~38℃에서 20~2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8~12배량(v/w) 첨가한 후 37~43℃에서 20~28시간 동안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36~44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27~33 중량%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27~33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에서 3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10배(v/w) 첨가하여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 10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100 mL를 혼합한 후 120℃에서 15분 동안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3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10배량(v/w) 첨가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40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30 중량%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3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양파껍질 혼합 음료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에서 3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한 후 9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표고버섯 균사체 종균을 페트리디쉬 평판 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15일 동안 1차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0.5~0.7 cm의 길이로 분쇄하여 다시 25℃에서 10일 동안 플라스크에서 2차 배양하였다. 플라스크에는 200 mL의 정제수에 엿기름 추출물 80 mL를 넣고 균사체 20 g을 넣었다. 2차 배양 시 매일 1시간씩 흔들어주어, 산소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어 균주가 잘 배양되도록 하였다.
(4) 참깨박 10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100 mL를 혼합한 후 120℃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혼합물에 상기 (3)단계의 2차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3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정제수를 10배량(v/w) 첨가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6)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40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30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3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양파껍질 혼합 음료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에서 3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에 정제수를 4:6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양파껍질 혼합 음료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양파껍질 혼합 음료를 제조하되, (4)단계를 생략하여 양파껍질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양파껍질 혼합 음료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양파껍질 혼합 음료를 제조하되, (2)단계를 생략하고, (6)단계의 혼합 시 양파껍질 발효액 40 중량%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6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양파껍질 혼합 음료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양파껍질 혼합 음료를 제조하되, (4)단계에서 참깨박 150 g과 양파껍질 발효액 50 mL를 혼합하고, (6)단계에서 양파껍질 발효액 50 중량%, 갈대 추출액 40 중량%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1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양파껍질 혼합 음료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에서 6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정제수를 10배(v/w) 첨가한 후 8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표고버섯 균사체 종균을 페트리디쉬 평판 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15일 동안 1차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0.5~0.7 cm의 길이로 분쇄하여 다시 25℃에서 10일 동안 플라스크에서 2차 배양하였다. 플라스크에는 200 mL의 정제수에 엿기름 추출물 80 mL를 넣고 균사체 20 g을 넣었다. 2차 배양 시 매일 1시간씩 흔들어주어, 산소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어 균주가 잘 배양되도록 하였다.
(4) 참깨박 10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100 mL를 혼합한 후 120℃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혼합물에 상기 (3)단계의 2차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30일 동안 배양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45℃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10배량(v/w) 첨가한 후 3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6)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40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30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3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혼합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
음료의 희석액을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농도의 시료를 메탄올(또는 DMSO) 용매로 용해하여, 900 ㎕의 DPPH 용액(100 uM)과 각 시료 100 ㎕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A-B)/A × 100
A: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B: 반응용액 중의 DPPH와 시료의 반응한 흡광도
혼합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시료 DPPH 라디칼 소거능(%)
비교예 1 43.8±1.3
비교예 2 47.3±1.4
비교예 3 46.6±1.2
비교예 4 49.1±1.2
비교예 5 54.8±1.3
제조예 1 63.3±0.9
제조예 1의 혼합 음료와 제조예 1 및 비교예들의 혼합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 1의 혼합 음료 희석액이 63.3%를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1이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혼합 음료의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성인 총 5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1 및 비교예들의 혼합 음료를 시음하게 하고 향, 맛 및 종합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여, 5점 척도법(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으로 점수를 매겨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혼합 음료의 관능평가
시료 종합 기호도
비교예 1 3.7 3.6 3.7
비교예 2 4.1 3.9 4.0
비교예 3 4.1 4.0 4.2
비교예 4 4.0 4.2 4.1
비교예 5 4.2 4.1 4.2
제조예 1 4.5 4.6 4.6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향, 맛 및 종합 기호도 모두에서 비교예들에 비해 제조예 1의 혼합 음료가 가장 높게 나와 평가자들에 의해 선호됨을 확인하여, 제조예 1의 혼합 음료는 기호성, 기능성에 있어서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을 혼합한 후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 80~12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80~120 mL를 혼합한 후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36~44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27~33 중량%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27~33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양파껍질에 흑설탕을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2~18℃에서 25~35일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양파껍질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건조한 갈대 줄기에 물을 8~12배(v/w) 첨가하여 90~10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갈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참깨박 80~120 g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80~120 mL를 혼합한 후 110~130℃에서 12~18분 동안 멸균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2~28℃에서 8~12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배양한 표고버섯 균사체를 32~38℃에서 20~2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한 표고버섯 균사체에 물을 8~12배량(v/w) 첨가한 후 37~43℃에서 20~28시간 동안 추출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혼합 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양파껍질 발효액 36~44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갈대 추출액 27~33 중량% 및 상기 (4)단계의 제조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액 27~33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음료.
KR1020190119683A 2019-09-27 2019-09-27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215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83A KR102156100B1 (ko) 2019-09-27 2019-09-27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83A KR102156100B1 (ko) 2019-09-27 2019-09-27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100B1 true KR102156100B1 (ko) 2020-09-15

Family

ID=7246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83A KR102156100B1 (ko) 2019-09-27 2019-09-27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1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652A (ja) * 1991-10-22 1994-07-26 Beijing City Inst Of Nutriment Source シイタケ栄養剤を製造する方法
KR20030039287A (ko) * 2001-11-12 2003-05-17 윤병재 숙취해소용 티백차 제품
KR20120101858A (ko) * 2011-03-07 2012-09-17 박동국 양파즙과 포도즙을 배지로 활용한 버섯 균사체 엑기스 제조 방법
KR101378080B1 (ko) * 2012-02-09 2014-03-24 주식회사 뿌리 카테킨 함량이 증가된 갈대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50194A (ko) * 2015-06-19 2016-12-29 김무철 발효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652A (ja) * 1991-10-22 1994-07-26 Beijing City Inst Of Nutriment Source シイタケ栄養剤を製造する方法
KR20030039287A (ko) * 2001-11-12 2003-05-17 윤병재 숙취해소용 티백차 제품
KR20120101858A (ko) * 2011-03-07 2012-09-17 박동국 양파즙과 포도즙을 배지로 활용한 버섯 균사체 엑기스 제조 방법
KR101378080B1 (ko) * 2012-02-09 2014-03-24 주식회사 뿌리 카테킨 함량이 증가된 갈대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50194A (ko) * 2015-06-19 2016-12-29 김무철 발효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331B1 (ko) 흑마늘 식초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식초음료
KR20120055149A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KR100931526B1 (ko) 칠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102156100B1 (ko) 양파껍질 효소를 이용한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081445B1 (ko) 인동초 발효액을 이용한 인동초 발효주
KR101674405B1 (ko) 토마토를 이용한 토마토 된장의 제조방법
KR101662150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KR101426030B1 (ko)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20107291A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20100101242A (ko) 양파소금 제조방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443519B1 (ko) 멜론을 이용한 발효차 제조방법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KR102619236B1 (ko) 쌀메주와 한약재를 이용한 보리 된장의 제조 방법
KR20140050889A (ko) 발효 곡물과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선식의 제조방법
KR10255789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426674B1 (ko) 흑노호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5812B1 (ko) 보리 효소를 이용한 된장 가공식품
KR102077300B1 (ko) 상황버섯 종균으로 배양된 곡류 및 과채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상황버섯 배양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285301B1 (ko) 꾸지뽕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고추장 굴비 소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