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226A -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226A
KR20100087226A KR1020107013434A KR20107013434A KR20100087226A KR 20100087226 A KR20100087226 A KR 20100087226A KR 1020107013434 A KR1020107013434 A KR 1020107013434A KR 20107013434 A KR20107013434 A KR 20107013434A KR 20100087226 A KR20100087226 A KR 20100087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dical container
multilayer body
lay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707B1 (ko
Inventor
마나부 나까무라
히로시 미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10008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이 다른 층과 양호하게 접착하고 있고, 내열성도 우수하고, 필름인 경우에는 내블록킹성도 양호한 의료 용기용 다층체와, 이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부터 형성되고,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되더라도 투명성이나 박리 강도 등의 특성 열화가 적은 의료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MULTILAYERED BODY FOR MEDICAL CONTAINERS AND MEDICAL CONTAINER}
본 발명은 의료 용기용 다층체와, 이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부터 형성된 약액의 수용부를 갖는 의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지제의 의료 용기로서는, 앰플, 바이알, 실린지 용기,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수액백 등이 있다. 또한,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환상 폴리올레핀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수지 중 폴리에틸렌은 위생성이 높고 유연하고, 소각 처분될 때에 유독한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것 등으로부터 의료 용기에 다용되고 있는데, 그 한편, 의료 용기에 있어서의 약액과의 접액부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약액 내의 폴리에틸렌이 지용성 비타민 등의 특정한 약제를 흡착하게 되어, 보존 중에 그 특정한 약제의 농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한 약제의 흡착이나 흡수에 기인한 약제의 역가 저하가 억제되어, 투명성, 내열성, 위생성 등이 우수하고, 또한 수증기 투과율이 낮은 등의 높은 배리어성을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이 의료 용기의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환상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의료 용기로서는 사전에 약제를 실린지 용기에 충전한 프리필드 실린지가 보급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열 가소성 포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층에 합성 수지층이나 배리어층 등을 조합한 다층 구조의 의료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표층, 유연층, 배리어층, 밀봉층을 구비한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배리어층에는 환상 폴리올레핀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그 밖의 층에는 주성분으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된 의료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의 한쪽 또는 양쪽에 특정한 융점과 비카트 연화점을 구비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B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과, 이것을 사용한 의료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특정한 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기재층에 특정한 유리 전이 온도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실란트층이 적층한 적층 필름을 이용한 의료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227709호 공보 국제 공개 제03/0973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78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5450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단락 0027이나 특허문헌 2의 단락 0004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상 폴리올레핀은 접착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다층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환상 폴리올레핀층과 다른 층과의 적층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는 사정이 있었다. 그런데, 접착제가 사용된 다층 필름에서는, 접착제 유래의 성분이 블리딩아웃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층 필름을 의료 용기에 사용하는 것, 특히 약액에 가까운 내측쪽에 사용하는 것은 위생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허문헌 2의 기술에 있어서는, 환상 폴리올레핀의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환상 폴리올레핀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혼합하면 배리어층의 배리어성이 저하되어, 배리어층에 인접하는 층에까지 약제가 흡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배리어성의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여 배리어층을 두껍게 하면 그 만큼 유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특허문헌 3이나 4에 기재된 의료 용기는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될 필요가 있는 의료 용기의 재질로서는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3이나 4에 개시된 적층 필름은 내블록킹성도 떨어진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이 다른 층과 양호하게 접착하고 있고, 내열성도 우수하고, 필름인 경우에는 내블록킹성도 양호한 의료 용기용 다층체와, 이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부터 형성되고,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되더라도 투명성이나 박리 강도 등의 특성 열화가 적은 의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의료 용기의 형성에 사용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최외층을 적어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은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860 g/㎤ 이상 0.940 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40 내지 0.97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외층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이거나,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총두께가 60 내지 1000 ㎛이며, 두께가 5 내지 100 ㎛인 상기 최내층과, 상기 중간층과, 두께가 5 내지 100 ㎛의 상기 최외층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 용기는 약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의료 용기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경우,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블로우 성형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가 필름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필름이 열판 성형된 것일 수도 있고,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이 다른 층과 양호하게 접착하고 있고, 내열성도 우수하고, 필름인 경우에는 내블록킹성도 양호한 의료 용기용 다층체와, 이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부터 형성되고,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되더라도 투명성이나 박리 강도 등의 특성 열화가 적은 의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A) 본 발명의 의료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B) (A)의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A) 본 발명의 의료 용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B) 포트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의료 용기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필름 성형품의 (A) 정면도와, (B)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 용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 용기의 일례인 복실 의료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박리 시험을 설명하는 (A) 모식도와, (B) (A)에서 사용하는 샘플의 제작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다층체
11: 최내층
12: 중간층
13: 최외층
20, 30, 40: 의료 용기
50: 복실 의료 용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의료 용기의 형성에 사용되고, 특히 의료 용기 중 약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과, 이 최내층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최외층을 적어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인 의료 용기용 다층체(이하, 다층체라고 함) (10)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의 다층체 (10)은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 (11)과,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 (12)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최외층 (13)이 순차 적층한 3층으로 이루어지고, 공냉 또는 수냉의 다층 인플레이션 성형법, 다층 T-다이 성형법 등에 의해 필름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 및 시트를 통합하여 필름이라고 한다.
최내층 (11)은 이 다층체 (10)으로부터 의료 용기를 형성했을 때에 내측이 되고, 의료 용기에 수용되는 약액 등과 바로 접하는 층으로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은 약제의 흡착이나 흡수가 적기 때문에,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최내층 (11)로 한 다층체 (10)으로 의료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수용하는 약액의 역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상 폴리올레핀은 수증기 투과율이 낮은 등이 높은 배리어성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불순물의 용출이 매우 적어 위생성이 우수한 점으로부터도 최내층 (11)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폴리올레핀은 내열성이나 투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될 필요가 있어, 내용물을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는 의료 용기에의 사용에도 적합하다.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상기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나아가서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환상 올레핀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단량체와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 측면에서,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흡착성의 중합체가 얻어지는 점에서 탄화수소만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노르보르넨계 단량체 및 단환식 환상 올레핀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단량체는 단량체 구조 중에 노르보르넨 구조에서 유래되는 단위를 갖는 단량체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시클로〔2.2.1〕헵트-2-엔(관용명 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관용명 디시클로펜타디엔), 7,8-벤조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관용명 메타노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및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관용명 :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노르보르넨계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3의 탄화수소기를 가질 수도 있다. 단환식 환상 올레핀 단량체로서는, 구체적으로,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및 시클로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환상 올레핀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를 공지된 개환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복분해 반응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개환 중합체를 공지된 수소화 촉매에 의해 수소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환상 올레핀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등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는 공지된 티탄, 지르코늄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 중,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로서는, 미쓰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아펠(등록상표), TICONA사 제조의 TOPAS(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고,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로서는, 니혼 제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제오노어(등록상표) 및 제오넥스(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가 7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Tg가 70℃ 미만이면 다층체 (10)으로부터 형성된 의료 용기의 내열성이 저하되어, 고압 증기 등에 의한 멸균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한편, Tg가 140℃를 초과하면, 다층체의 성형성이나 열 밀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여기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이하, DSC 라고 함)로 측정되는 값으로서, 제조 회사의 카타로그, 기술 자료에 기재된 값이다.
환상 폴리올레핀의 Tg는 복수종의 환상 폴리올레핀 중, 상용성이 좋은 것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의 상용성의 정도는 DSC에 의해 혼합물의 Tg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상용성이 좋은 혼합물의 경우, 1개의 Tg만이 관측되는 데 비하여, 상용성이 좋다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복수의 Tg가 관측된다. 상용성이 좋은 혼합물이면 목적으로 하는 고압 증기 멸균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과, 성형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최내층 (11)은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방담제, 자외선 흡수제 및 중화제 등, 수지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통상의 사용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중간층 (12)는 상술한 최내층 (11)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층으로서, 메탈로센 촉매로 대표되는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밀도가 0.860 g/㎤ 이상 0.940 g/㎤ 미만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LDPE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을 주성분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주성분이란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것을 가리킨다.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이러한 LLDPE는 환상 폴리올레핀과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해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되어진 경우에도 접착성의 저하가 적다. 따라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 (11)에 이러한 LLDPE를 주성분으로 한 중간층 (12)를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이 중간층 (12)를 통해 추가로 다른 층을 양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LLDPE는 투명성도 우수하고, 고온 고습 조건에 노출되어진 경우에도 그 열화가 적다. 이들과 같은 점에서, 이러한 중간층 (12)를 구비한 다층체 (10)은 고압 증기에 의해 멸균될 필요가 있는 의료 용기의 형성에 바람직하다.
LLDPE로서는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밀도 0.860 g/㎤ 이상 0.940 g/㎤ 미만의 것이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밀도가 0.900 내지 0.917 g/㎤의 것을 사용하면 내열성이 보다 우수한 다층체 (10)이나 의료 용기가 얻어져, 121℃의 고압 증기에 의해 멸균된 경우에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고, 다층체 (10)으로부터 형성된 의료 용기를 고압 증기로 멸균한 후의 중간층 (12)와 최내층 (11)의 박리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여기서 LLDPE의 밀도가 0.860 g/㎤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LLDPE의 밀도가 0.940 g/㎤ 이상에서는 용기로서의 투명성이나 내충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LLDPE로서, 밀도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것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 중, 조성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조성 분포가 넓은 것은, 가공성이나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구비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하르모렉스(등록상표), 우베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유메리트(등록상표), 가부시끼가이샤 프라임폴리머 제조의 에볼류(등록상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 (12)는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를 주성분, 즉 5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유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데, 최내층 (11)과의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폴리에틸렌이나 환상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특히,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보다도 밀도가 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병용하면 내열성이 향상하여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중간층 (12)의 접착성의 저하가 보다 억제된다. 또한, 이와 같이 다른 폴리에틸렌이나 환상 폴리올레핀을 LLDPE와 병용하면 외관이 우수한 다층체 (10)이 얻어지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중간층 (12)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방담제, 자외선 흡수제 및 중화제 등, 수지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통상의 사용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최외층 (13)은 이 다층체 (10)으로부터 의료 용기를 형성했을 때에 가장 외측이 되는 층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을 함유하여 형성되어 있다.
HDPE를 함유하는 층을 최외층 (13)에 설치함으로써 얻어지는 다층체 (10)의 내열성이 향상되어, 고압 증기에 의한 멸균에 의해서 의료 용기의 표면의 변형 등의 특성 열화가 적은 의료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예와 같은 필름상의 다층체 (10)은 권회되어 롤상으로 되어 보관되거나 취급되거나 하는 경우가 많은데, HDPE를 함유하는 층을 최외층 (13)에 구비함으로써 다층체 (10)의 내블록킹성도 우수하다.
HDPE로서는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것이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밀도가 0.945 내지 0.970 g/㎤인 것을 사용하면 보다 내열성, 내블록킹성이 우수한 다층체 (10)이 얻어진다. 또한, 밀도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HDPE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최외층 (13)에 있어서의 HDPE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HDPE의 밀도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밀도가 0.945 내지 0.970 g/㎤의 HDPE의 경우에는, 최외층 (13) 중 20 질량% 이상이면 121℃의 고압 증기에 의한 멸균에 의해서도 특성 열화가 적은, 충분한 내열성의 의료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안정된 내열성, 내블록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최외층 (13) 중의 HDPE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이다.
다만, 성형 안정성을 높일 목적을 위해서, 최외층 (13)에는 다른 수지가 병용되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에는 적절하게 HDPE의 함유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수지로서는 HDPE 이외의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고,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HDPE와 동시에 사용하면 최외층 (13)의 성형 안정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그 밀도가 0.910 내지 0.935 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20 내지 0.935 g/㎤이다.
또한, 최외층 (13)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방담제, 자외선 흡수제 및 중화제 등, 수지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통상의 사용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최외층 (13)은 전자선에 의한 가교 등의 변성을 실시하고, 내열성을 향상시킨 것일 수도 있다.
다층체 (10)의 총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60 내지 1000 ㎛가고, 다층체 (10)의 유연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면 100 내지 600 ㎛가 바람직하고, 100 내지 4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층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최내층 (11)이 5 내지 100 ㎛이고, 최외층 (13)이 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내층 (11)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수용하는 약제를 흡착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고, 100 ㎛를 초과하면, 다층체 (10)의 유연성이나, 다층체 (10)으로부터 의료 용기를 형성할 때의 열 밀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최외층 (13)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다층체 (10)의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 ㎛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3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체 (10)의 경우에는, 총두께를 60 내지 1000 ㎛로 하고, 최내층 (11)을 5 내지 100 ㎛, 최외층을 5 내지 100 ㎛로 하고, 나머지를 중간층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체 (10)이 필름인 경우에는, 최내층 (11)을 5 내지 100 ㎛, 중간층 (12)를 50 내지 300 ㎛, 최외층을 5 내지 1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다층체 (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 (11)과 HDPE를 함유하는 최외층 (13)이 중간층 (12)를 통해 양호하게 접착한 3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의료 용기용의 다층체 (10)으로서 충분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또 다른 특성을 부여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중간층 (12)와 최외층 (13) 사이에 다른 층을 1층 이상 설치하여 4층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으로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접착성 수지층, 산화철을 함유한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자외선 차폐층, 크실릴렌디아민과 아디프산 등의 α,ω-직쇄 지방족 이염기산으로부터 얻어지는 MXD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코발트염으로 이루어지는 산소 흡수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체의 형태로서는, 도 1과 같이 필름에 형성된 다층체 (10)뿐만아니라,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층 블로우 성형법(다층 중공 성형법)으로 성형된 블로우 성형체 등 입체 형상의 다층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료 용기는 약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의료 용기로서, 적어도 수용부가 상술한 다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때, 최내층이 수용부의 내측이 되고, 최외층이 외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의료 용기에는, 통상, 수용부 외에, 약액의 주출입구가 되는 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료 용기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수용부 (21)과 포트부 (22)가 다층 블로우 성형법으로 일체로 성형된 의료 용기 (20)이다. 이 의료 용기 (20)의 상부는 현수 구멍이 형성된 현수부 (23)이고, 하부의 포트부 (22)는 주사바늘을 자통(刺通) 가능한 원주상의 고무재의 측면외주부에 최내층 (11)과 용착 가능한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법으로 설치한 고무 마개체 (22a)가 장착됨으로써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의료 용기 (20)은 다층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한 통상의 다층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다층 파리손을 압출하고, 금형으로 다층 파리손을 끼운 후, 다층 파리손 중에 청정 에어를 취입하면 좋다. 여기서 금형으로서 수용부 (21)과 포트부 (22)를 일체 성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중공상의 블로우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도 2의 의료 용기 (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층 파리손을 금형으로 끼울 때, 미리 청정 에어로 프리 블로우하여 둠과 함께, 금형을 닫은 후에, 금형에 형성된 진공 구멍을 통하여 금형 내를 부압(負壓)으로 함으로써 금형의 전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트부의 형성법으로서는, 이와 같이 수용부와 함께 다층 블로우 성형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 예를 들면 후술한 도 3의 예와 같이 별도 준비한 통 부재를 수용부에 열 밀봉하는 방법이나, 통 부재를 인서트한 인서트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일체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통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 부재에 고무 마개체 (22a)를 장착하여 밀봉하는 형태 외에, 상세하게는 후에 도 3의 (B)를 도시하여 설명하는데, 고무 마개를 통 부재에 장전한 후, 추가로 링상의 덮개 부재로 고무 마개의 주연부를 억제하도록 하여 덮개 부재와 통 부재를 초음파 등에 의해 용착하는 방법으로 밀봉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도 3의 (A)는 필름의 열판 성형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 (31)과, 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고무 마개체 (32a)가 열 밀봉됨으로써 밀봉 가능한 포트부 (32)를 구비한 의료 용기 (3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의료 용기 (30)의 수용부 (31)은 도 4에 도시하는 필름 성형품 (10')가 2매 중첩되고, 주연부 (33)이 열 밀봉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의료 용기 (3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 등의 열판 성형에 의해 도 1과 같은 필름상의 다층체 (10)의 중앙부에 수용부 (31)의 내형에 따르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필름 성형품 (10')를 얻는다. 이어서, 이 필름 성형품 (10')를 2매 준비하고, 오목부끼리가 대향하도록 중첩시킨다.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통 부재를 배치하면서, 2매의 필름 성형품 (10')의 주연부를 열 밀봉한다. 열 밀봉 온도로서는, 다층체 (10)의 총 두께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150 내지 280℃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 밀봉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주연부를 트리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수용부 (31)의 형성과, 통부재의 열 밀봉에 의한 포트부 (32)의 형성을 동시에 행하여, 도 3의 (A)의 의료 용기 (3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31)의 형성과 포트부 (32)의 형성은 별도의 공정에서 행할 수도 있다.
포트부 (32)를 형성하는 통 부재의 재질로서는 수용부 (31)의 열 밀봉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다층체 (10)의 최내층 (11)과 동일한 환상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한데, 수용부 (31)과 액체 밀폐로 열 밀봉 가능한 것이면 환상 폴리올레핀에 한정되지 않고,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 중간층 (12)와 동일한 조성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 밀봉 가능한 수지를 통 부재의 열 밀봉면에 이용한 다층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포트부 (32)를 통 부재와 고무 마개체 (32a)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마개 (32b)를 통 부재에 장전한 후, 링형의 덮개 부재 (32c)로 고무 마개 (32b)의 주연부를 가압하도록 하고, 덮개 부재 (32c)와 통 부재를 초음파 등에 의해 용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과 같은 필름상의 다층체 (10)이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수용부 (41)과, 통 부재로 이루어지는 포트부 (42)를 구비한, 이른바 필름백형의 의료 용기 (40)이다.
이 예의 의료 용기 (40)은 다층 인플레이션법 등으로 통상으로 형성된 다층체를 사용하고, 그 양단부를 열 밀봉하여 수용부 (41)을 형성함과 함께, 그 일단의 소정의 위치에 통 부재를 열 밀봉하여 포트부 (42)로 하고, 타단에 현수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양단부의 열 밀봉과, 통 부재의 열 밀봉은 동시에 행하거나, 별도의 공정에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다층체를 사용하는 대신해서, 도 1과 같은 다층체 (10)을 2매 사용하여 이들을 중첩시킨 후, 주연부를 열 밀봉하는 방법으로 수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포트부 (42)는 환상 폴리올레핀이나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 등으로 형성되는 통 부재와, 주사 바늘을 자통 가능한 고무 마개 (42a)와, 고무 마개 (42a)의 주연부를 억제하는 링형의 덮개 부재 (42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의료 용기에 따르면, 적어도 수용부가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과,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최외층을 구비한 다층체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층이 양호하게 접착하고 있고, 위생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압 증기 멸균한 경우에도 투명성, 박리 강도 등의 특성 열화가 적다.
또한, 의료 용기의 형태로서는 수용부를 1개 구비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가능한 칸막이벽 밀봉부 (52)에 의해 수용부 (51)이 복수로 구획되고, 복수종의 약액을 따로따로 수용할 수 있는 복실 의료 용기 (50)일 수도 있다.
도 6의 복실 의료 용기 (50)은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수용부 (51)의 폭방향에 따라서 칸막이벽 밀봉부 (52)가 설치되고, 수용부 (51)이 제1 수용부 (51a)와 제2 수용부 (51b)로 분할된 것이다. 칸막이벽 밀봉부 (52)는 복실 의료 용기 (50)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수용부 (51a) 또는 제2 수용부 (51b)를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박리하여, 제1 수용부 (51a) 내의 약액과 제2 수용부 (51b) 내의 약액이 혼합된다.
칸막이벽 밀봉부 (52)의 형성 방법에는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수용부 (51)의 형성에 있어서 열 밀봉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그것과 동시에 열 밀봉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열 밀봉 외에, 임펄스 밀봉 등의 공지된 밀봉 방법으로 별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부 (51)을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블로우 성형 시에 사용하는 금형에 칸막이벽 밀봉부 (52)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여, 블로우 성형과 동시에 칸막이벽 밀봉부 (52)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는데, 본 발명의 의료 용기에는 그 외측, 특히 수용부의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약액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차광층에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금속박과 합성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 필름, 안료를 함유하는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차광층 중에서도 알루미늄박이나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은 차광성뿐만아니라, 방습성, 내유성, 비흡수성 등을 갖고 있고, 의료 용기에 수용하는 약액의 장기간 보존성을 높이는 점 등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차광층을 의료 용기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의료 용기의 사용 시에는 약액을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의료 용기에 수용되는 약제로서 약액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약액 뿐만 아니라 항생 물질 등 가루제로 이루어지는 약제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구체적인 약액으로서는, 생리용 식염수, 순환기계 약제, 조영제 및 항균제 등 주사제로서 이용되는 약액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 ml의 물이 충전된 도 2의 의료 용기 (20)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우선, 다층 블로우 성형기를 사용한 다층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두께 30 ㎛의 최내층과, 두께 250 ㎛의 중간층과, 두께 20 ㎛의 최외층이 순차 적층한 3층 구조의 블로우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수용부 (21)과 포트부 (22)를 일체 성형하였다. 이어서, 포트부 (22)로부터 수용부 (21) 내에 물 100 ml를 충전한 후, 고무 마개체 (22a)를 포트부 (22)에 열 밀봉하여 의료 용기 (20)을 밀봉하였다. 고무 마개체 (22a)로서는, 고무 마개의 외주부에 ISO 1133에 준거하여, 280℃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이하 「MFR」이라고 하며,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MFR 측정 시의 하중은 전부 21.18 N임)가 17 g/10분, 유리 전이 온도가 136℃인 환상 폴리올레핀 「제오넥스(니혼 제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이하, 「COP1」이라고 함)로 이루어지는 층이 사출 성형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내층에는 COP1과, ISO 1133에 준거하여, 280℃에서의 MFR이 20 g/10분, 유리 전이 온도가 102℃인 환상 폴리올레핀 「제오노어1020R(니혼 제온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이하, 「COP2」라고 함)을 1:1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환상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 혼합된 환상 폴리올레핀의 Tg는 1개만 관측되고, 119℃였다.
중간층에는 싱글사이트계 촉매에 의해 제조된 LLDPE(이하, 싱글사이트계 LLDPE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로서, 190℃에서의 MFR이 1 g/10분, 밀도가 0.906 g/㎤인 「하르모렉스(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와,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6 g/㎤인 HDPE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8:2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외층에는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5 g/㎤인 HDPE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물이 충전된 도 2의 의료 용기 (20)에 대해서, 스프레이식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해 121℃, 30분으로 고압 증기 멸균 처리하고, 그 전후의 특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내블록킹성 및 성형 안정성의 평가는 필름으로부터 성형하여, 수용부를 형성한 예의 경우에만 행하고, 실시예 1과 같이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부터 수용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행하고 있지 않다.
(평가 방법)
(1) 내블록킹성
10 cm×10 cm의 2매의 다층체를 그 최외층끼리가 접하도록 중첩시키고, 이 위에 98 N/100 ㎠의 하중을 가하여 60℃, 24 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방냉하여 하중 제거한 후에, 2매의 필름을 박리하였다. 이 때의 박리의 상태에 대해서 이하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 용이하게 박리된다.
×; 박리하는 데 저항이 있다.
(2) 박리 강도
고압 증기 멸균 전후의 의료 용기로부터 폭 15 mm의 스트립상의 샘플 S를 추출하고, 도 7의 (A)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최내층 (11)과 중간층 (12)의 사이의 JIS K6854-3에 준거한 T형 박리 강도를 인장 속도 300 mm/분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은 인장 시험기에 의해 행하였다. 도면 중 부호 P는 인장 시험기의 처크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S를 그 최내층 (11)만이 파단부 V에서 파단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7의 (B)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용기로부터 추출한 샘플 S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절입 C를 형성하고, 도 7의 (B)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S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한다. 그렇게 하면, 절입 C의 부분에서 최내층 (11)만이 완전히 파단하고, 다른 층은 파단하지 않는 상태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인장 시험기에 세팅함으로써 도 7의 (A)와 같이 최내층 (11)과 중간층 (12) 사이의 계면의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3) 투명성
고압 증기 멸균 전후의 헤이즈를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4) 내열성
스프레이식 고압 증기 멸균기로 원형 구멍이 개방한 펀칭 메탈 트레이 상에 장착된 의료 용기를 고압 증기 멸균하고 의료 용기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멸균 후에 변형이나 수축 없음.
△; 표면 거칠어짐 등 약간의 변형 수축 있음.
×: 변형이나 수축이 큰, 원형 구멍상의 트레이 흔적 등이 있다.
(5) 성형 안정성
인플레이션 성형 중의 튜브 형상 필름의 형상 안정성 및 필름의 잔주름의 발생 상황을 평가하였다.
○: 튜브 형상이 일정하다. 필름에 잔주름은 보이지 않았다.
×: 튜브 형상이 불안정하고 튜브 직경에 변동이 있다. 필름에는 부분적으로 잔주름이 보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최외층의 조성과 포트부 (22)의 구성을 바꾼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 (20)을 얻었다.
최외층에는 190℃에서의 MFR이 1.1 g/10분, 밀도가 0.927 g/㎤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과,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6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7:3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렌드한 것을 사용하였다.
포트부 (22)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통 부재를 250℃로 설정된 예열 금형으로 가열한 후, 도 2의 블로우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수용부 (21)의 포트부 (22) 내 측에 삽입하고, 220℃에서 열 밀봉하여 장착함으로써 구성하였다. 또한, 물 100 mL를 충전한 후, 고무 마개를 통 부재에 장전하고, 그 후 추가로 링형의 덮개 부재를 고무 마개의 주연부를 가압하도록 배치하고, 통 부재와 덮개 부재를 초음파 용착하였다. 또한, 통 부재 및 덮개 부재에는 COP1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최내층의 형성에 COP2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 (20)을 얻고,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마개체 (22a)로서, 고무 마개의 외주부에 중간층에서 사용한 LLDPE로 이루어지는 층이 사출 성형법으로 설치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중간층의 형성에,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18 g/㎤인 싱글사이트계 LLDPE 「하르모렉스(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만을 사용하여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 (20)을 얻고,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마개체 (22a)로서 고무 마개의 외주부에 중간층에서 사용한 LLDPE로 이루어지는 층이 사출 성형법으로 설치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중간층의 형성에 190℃에서의 MFR이 4.0 g/10분, 밀도가 0.931 g/㎤인 싱글사이트계 LLDPE 「유메리트(우베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 (20)을 얻고,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마개체 (22a)로서 고무 마개의 외주부에 중간층에서 사용한 LLDPE로 이루어지는 층이 사출 성형법으로 설치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중간층의 형성에 190℃에서의 MFR이 2.0 g/10분, 밀도가 0.904 g/㎤인 싱글사이트계 LLDPE 「유메리트0520F(우베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와,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6 g/㎤인 HDPE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8:2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의료 용기 (20)을 얻어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마개체 (22a)로서 고무 마개의 외주부에 COP1로 이루어지는 층이 사출 성형법으로 설치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100 ml의 물이 충전된 도 3의 의료 용기 (30)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우선, 다층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를 사용한 다층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두께 10 ㎛의 최내층과, 두께 220 ㎛의 중간층과, 두께 20 ㎛의 최외층이 순차 적층한 3층으로 이루어지는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인플레이션 필름을 절단하여 얻은 필름편을 300℃로 설정된 히터에 의해 복사 가열에 의해 연화시키고, 상온의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기로 성형하여 도 4의 필름 성형품 (10')를 얻었다.
그리고, 이 필름 성형품 (10')를 오목부끼리가 마주 보도록 2매 중첩시키고, 주연부를 열 밀봉하고, 그 후, 환상 폴리올레핀의 사출 성형품인 통 부재를 열 밀봉하여 포트부 (32)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포트부 (32)로부터 수용부 (31) 내에 물 100 ml를 충전한 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마개 (32b)를 통 부재에 장전하고, 그 후 추가로 링형의 덮개 부재 (32c)를 고무 마개 (32b)의 주연부를 가압하도록 배치하고, 통 부재와 덮개 부재 (32c)를 초음파 용착하였다. 또한, 통 부재 및 덮개 부재 (32c)에는 COP1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내층, 중간층, 최외층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밀봉한 의료 용기 (30)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100 ml의 물이 충전된 도 5의 의료 용기 (40)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우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3층 구조의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인플레이션 필름의 양단부를 열 밀봉하여 주머니상으로 함과 함께, 그 일단에 COP2의 사출 성형품인 통 부재를 열 밀봉하여 필름백형의 수용부 (41)에 포트부 (42)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포트부 (42)로부터 수용부 (41) 내에 물 100 ml를 충전한 후, 고무 마개 (42a)를 통 부재에 장전하고, 그 후 추가로 링형의 덮개 부재 (42b)를 고무 마개 (42a)의 주연부를 가압하도록 배치하여, 통 부재와 덮개 부재 (42b)를 초음파 용착하였다. 또한, 통 부재 및 덮개 부재 (42b)에는 COP1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밀봉한 의료 용기 (40)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최외층에 190℃에서의 MFR이 1.1 g/10분, 밀도가 0.927 g/㎤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와,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6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7:3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의료용 용기 (20)을 얻고,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최외층에 190℃에서의 MFR이 2.0 g/10분, 밀도가 0.936 g/㎤인 지글러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와, 190℃에서의 MFR이 3.5 g/10분, 밀도가 0.956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노바텍(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7:3의 질량비로 블렌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의료용 용기 (20)을 얻어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중간층의 주성분으로서 싱글사이트계 LLDPE 대신에 190℃에서의 MFR이 1.1 g/10분, 밀도가 0.906 g/㎤인 지글러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LLDPE(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의 성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중간층의 형성에 190℃에서의 MFR이 2.0 g/10분, 밀도가 0.920 g/㎤인 지글러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LLDPE 「모어텍(가부시끼가이샤 프라임폴리머 제조)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의 성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최외층을 형성하지 않고 최내층과 중간층의 2층 구조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의 성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최외층의 형성에 HDPE 대신에 190℃에서의 MFR이 2.0 g/10분, 밀도가 0.920 g/㎤인 지글러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LLDPE 「모어텍(가부시끼가이샤 프라임폴리머 제조)」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의 성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최외층의 형성에 HDPE 대신에 190℃에서의 MFR이 2.0 g/10분, 밀도가 0.920 g/㎤인 지글러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LLDPE 「모어텍(가부시끼가이샤 프라임폴리머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의료 용기의 성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중간층의 주성분으로서 싱글사이트계 LLDPE를 사용하고, 또한 HDPE를 병용한 실시예 1 내지 3 및 6 내지 10에서는,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박리 강도나 투명성의 저하가 억제되고, 내열성도 우수한 의료 용기가 얻어졌다. 한편, 지글러계 LLDPE를 HDPE와 병용한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의료 용기는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박리 강도나 투명성의 저하가 컸다. 중간층에 싱글사이트계 LLDPE만을 사용한 실시예 4 및 5와, 지글러계 LLDPE만을 사용한 비교예 2를 비교하더라도 동일한 경향이 보여졌다.
최외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3에서는 고압 증기 멸균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큼과 동시에, 내열성도 나빴다. 최외층이 HDPE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4 및 5에서도 비교예 3과 동일한 경향이 보여졌다. 최외층의 성분으로서 HDPE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병용한 실시예 9 및 10에서는 최외층이 HDPE만인 실시예 7이나 8에 비하여 성형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8에서는 필름의 내블록킹성이 양호하였지만, 비교예 5에서는 불량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이 다른 층과 양호하게 접착하고 있고, 내열성도 우수하고, 필름인 경우에는 내블록킹성도 양호한 의료 용기용 다층체와, 이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부터 형성되고, 고압 증기 등으로 멸균되더라도 투명성이나 박리 강도 등의 특성 열화가 적은 의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유용하다.

Claims (11)

  1. 의료 용기의 형성에 사용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서,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싱글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최외층을 적어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은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860 g/㎤ 이상 0.940 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40 내지 0.97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층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총두께가 60 내지 1000 ㎛이며,
    두께가 5 내지 100 ㎛의 상기 최내층과, 상기 중간층과, 두께가 5 내지 100 ㎛의 상기 최외층과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용 다층체.
  8. 약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의료 용기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부는 제1항에 기재된 의료 용기용 다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블로우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필름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필름이 열판 성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용기용 다층체는 필름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필름이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용기.
KR1020107013434A 2007-12-20 2007-12-20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KR101195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4554 WO2009081462A1 (ja) 2007-12-20 2007-12-20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226A true KR20100087226A (ko) 2010-08-03
KR101195707B1 KR101195707B1 (ko) 2012-10-29

Family

ID=408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34A KR101195707B1 (ko) 2007-12-20 2007-12-20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50243B2 (ko)
EP (1) EP2226059B1 (ko)
KR (1) KR101195707B1 (ko)
CN (1) CN101903002B (ko)
AU (1) AU2007363011B2 (ko)
ES (1) ES2534740T3 (ko)
WO (1) WO2009081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919A (ko) * 2011-06-30 2014-03-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성형 전사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266521E (pt) * 2008-03-14 2013-09-06 Otsuka Pharma Co Ltd Ampola de plástico e recipiente de plástico colorido
US20120186584A1 (en) * 2009-07-14 2012-07-2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container
JPWO2014065359A1 (ja) * 2012-10-25 2016-09-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6345062B2 (ja) * 2013-09-30 2018-06-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326797B2 (ja) * 2013-12-09 2018-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吸着性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6403999B2 (ja) * 2014-06-05 2018-10-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レトルト包装用積層体及び容器
JP6476830B2 (ja) * 2014-12-18 2019-03-06 Dic株式会社 ミネラルオイルバリア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EP3673012A1 (en) 2017-08-23 2020-07-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containing ethylene-based polymer and cycloolefin interpolymer, and films formed from the same
EP3461469A1 (de) * 2017-10-02 2019-04-03 Weibel CDS AG Primärpackmittel
CN111727030B (zh) * 2018-02-15 2023-10-24 藤森工业株式会社 塑料容器
EP3774312A4 (en) * 2018-03-30 2021-10-06 Bemis Company, Inc. PACKAGING FOR PVC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709B2 (ja) 1991-03-04 2001-11-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または食品包装用容器
US6270867B1 (en) 1993-06-24 2001-08-07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Structures of polymers made from single site catalysts
US5846620A (en) * 1997-02-06 1998-12-08 W. R. Grace & Co.-Conn. High strength flexible film package
JPH11165387A (ja) * 1997-12-03 1999-06-22 Mitsui Chem Inc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0014747A (ja) * 1998-06-26 2000-01-1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容器
JP2001046473A (ja) 1999-08-04 2001-02-20 Material Eng Tech Lab Inc 耐熱性医療容器
JP3964210B2 (ja) 2001-01-15 2007-08-22 株式会社細川洋行 積層体及び容器
JP4571328B2 (ja) 2001-04-04 2010-10-27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2003024415A (ja) 2001-05-10 2003-01-28 Eisai Co Ltd 注射剤容器
EP1429380A4 (en) * 2001-08-28 2009-07-15 Zeon Corp CONTAINER FOR PRECISION SUBSTRATE
JP2003182744A (ja) * 2001-12-19 2003-07-03 Toyo Seikan Kaisha Ltd 透明性の改良された多層ブローバ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6601A (ja) 2002-03-14 2003-09-24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た包装材料および包装体
JP4298308B2 (ja) * 2002-03-28 2009-07-15 株式会社細川洋行 複室輸液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TWI252203B (en) 2002-03-28 2006-04-01 Showa Denko Plastic Product Co Infusio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MY134275A (en) 2002-05-17 2007-11-30 Otsuka Pharma Co Ltd Multi-layer film and medicine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04106514A (ja) 2002-07-25 2004-04-0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室容器
JP4175095B2 (ja) * 2002-11-19 2008-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4987298B2 (ja) 2003-03-12 2012-07-25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JP4488166B2 (ja) * 2003-12-11 2010-06-23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4596124B2 (ja) 2004-03-09 2010-12-0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2005335108A (ja) 2004-05-25 2005-12-08 Toppan Printing Co Ltd 多層フィルムとその積層体
KR101211552B1 (ko)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JP4695866B2 (ja) * 2004-10-21 2011-06-08 ベスパック株式会社 小袋付き樹脂製複室袋
WO2006065648A1 (en) * 2004-12-17 2006-06-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omogeneous polymer blend and articles therefrom
JP5382986B2 (ja) * 2005-09-12 2014-01-08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ヘパリン注射液製剤
WO2007130277A1 (en) * 2006-05-05 2007-11-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inear low density polymer blend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5052833B2 (ja) 2006-07-13 2012-10-17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919A (ko) * 2011-06-30 2014-03-1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성형 전사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6321A1 (en) 2010-11-04
AU2007363011A1 (en) 2009-07-02
CN101903002B (zh) 2013-05-01
WO2009081462A1 (ja) 2009-07-02
EP2226059B1 (en) 2015-02-18
EP2226059A4 (en) 2012-03-21
US9050243B2 (en) 2015-06-09
ES2534740T3 (es) 2015-04-28
EP2226059A1 (en) 2010-09-08
AU2007363011B2 (en) 2012-08-09
CN101903002A (zh) 2010-12-01
KR101195707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07B1 (ko)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JP5052833B2 (ja)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JP5467074B2 (ja)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KR101150566B1 (ko) 의료용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의료용 백
KR101450368B1 (ko) 약제 용기 및 다층 필름
EP2330048B1 (en) Multilayered liquid container
TWI432323B (zh) 多層薄膜及容器
KR20160013067A (ko) 광선 차단 시트 및 용기
JP5587597B2 (ja) 包装体
JP2023052479A (ja) 積層体およびプラスチック容器
CN111727030B (zh) 塑料容器
WO2022177025A1 (ja) 容器用多層体、容器、医療容器及び薬剤入り医療容器
RU2448677C2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рпус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и медицинский контейнер
JP7274918B2 (ja) 容器用多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