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189A - 습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습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189A
KR20100087189A KR1020107011732A KR20107011732A KR20100087189A KR 20100087189 A KR20100087189 A KR 20100087189A KR 1020107011732 A KR1020107011732 A KR 1020107011732A KR 20107011732 A KR20107011732 A KR 20107011732A KR 20100087189 A KR20100087189 A KR 2010008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dsorption heat
partition plate
adsorp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548B1 (ko
Inventor
요시노리 나리까와
다까히로 유끼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냉매 회로(50)에는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접속된다. 흡착 열교환기(51, 52)는 복수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통해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흡착 열교환기(51, 52)는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싱(11)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3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된다.

Description

습도 조절 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흡착제를 갖는 흡착 열교환기로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착 열교환기의 유지 보수 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실외 공기나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고, 습도 조절 후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습도 조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습도 조절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흡착제를 갖는 흡착 열교환기를 구비한 습도 조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습도 조절 장치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지는 냉매 회로를 갖고 있다. 냉매 회로에는, 압축기와, 제1 흡착 열교환기와, 제2 흡착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와, 사방 절환 밸브가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는 케이싱 내의 소정의 수용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흡착 열교환기와 제2 흡착 열교환기는 케이싱 내의 2개의 열교환기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매 회로에서는, 제1 흡착 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과, 제2 흡착 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고 제1 흡착 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이 행해진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흡착 열교환기에서는,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흡착 열교환기에서는, 수분이 흡착제로부터 탈리하여 공기에 부여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습도 조절 장치는, 각 흡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고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제습 운전 중인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흡착 열교환기 중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케이싱 내에서의 공기의 유통 경로가 설정된다. 이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공기의 유통 경로를 복수의 댐퍼의 개폐 동작에 의해 절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8개의 댐퍼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각 흡착 열교환기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통 경로를 변경하여, 제습 운전이나 가습 운전 등을 절환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930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흡착 열교환기의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흡착 열교환기는 표면에 흡착제를 갖고 있으므로, 이 흡착제가 장기의 사용에 수반하여 열화된 경우에는, 흡착제의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예의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이 흡착 열교환기의 유지 보수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흡착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습도 조절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흡착 열교환기로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흡착 열교환기의 유지 보수의 간편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은, 흡착재를 갖는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접속됨과 함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지는 냉매 회로(50)와,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설치되는 열교환기실(37, 38)이 형성되는 케이싱(11)을 구비하고, 상기 냉매 회로(50)의 냉매로 흡착 열교환기(51, 52)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면서, 공기를 흡착 열교환기(51, 52)의 흡착제와 접촉시켜 상기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장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케이싱(11)에 상기 열교환기실(37, 38)의 내부를 케이싱(11)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 회로(50)에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가 접속되고,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는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서는, 케이싱(11)의 열교환기실(37, 38)에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설치된다. 냉매 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짐으로써,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증발기나 응축기가 되는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증발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51, 52)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냉각된다. 이 상태의 흡착 열교환기(51, 52)의 흡착제에 공기가 접촉하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이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의 증발열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분이 흡착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의 제습이 행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응축기가 되는 흡착 열교환기(52, 51)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된다. 이 상태의 흡착 열교환기(52, 51)의 흡착제에 공기가 접촉하면, 흡착제로부터 탈리(탈착)한 수분이 공기 중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분이 부여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의 가습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조인트 부재(64, 65, 66, 67)에 의해 냉매 회로(5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때에는,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개방시킨 상태로 하여, 열교환기실(37, 38)의 외부에 노출시킨다. 또한,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을 해제하여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한다. 이 상태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가 가능해진다.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가 종료된 후에는,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열교환기실(37, 38)로 인입하고,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원래의 위치에 설치함과 함께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통해 냉매 회로(50)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습도 조절 장치에서는 상술한 제습 운전이나 가습 운전의 재개가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로(50)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상기 복수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에 의해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1)에는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실(37)과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실(38)이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의 전방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 발명에서는, 냉매 회로(50)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접속되고,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제1 열교환기실(37)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제2 열교환기실(38)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증발기로서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다른 쪽의 흡착 열교환기(52, 51)를 응축기로서 흡착제의 재생을 행하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양쪽이 동일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출입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때에는, 조인트 부재(64, 65, 66, 67)에 의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연결을 해제하고, 양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에 의해, 양쪽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케이싱(11)의 동일한 측면측에 인출하여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실(37)과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에는 양 열교환기실(37, 38)을 구획하는 구획판(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73)에는, 상기 양 열교환기실(37, 38)에 걸치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통과 가능한 구획판 개구부(7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3 발명에서는, 제1 열교환기실(37)과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에 구획판(73)이 설치된다. 이 구획판(73)에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통과 가능한 구획판 개구부(73a)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구획판(73)을 케이싱(11)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때에는,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한다. 또한, 제2 열교환기실(38)의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로 인출하고, 또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에 의해, 구획판(73)을 케이싱(11)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는 상기 2개의 열교환기실(37, 38)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열관(58)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58)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판(73)측 단부를 지지하는 관판(6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구획판(73)측 관판(60a)은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제2 열교환기실(38)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 발명에서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제2 열교환기실(38)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관판(60a)이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폐색한다. 즉,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관판(60a)은 전열관(58)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뿐만 아니라, 통상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구획판 개구부(73a)를 폐색하기 위한 폐색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열교환기실(37)과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설이 상기 관판(60a)에 의해 억제되므로, 각 열교환기실(37, 38)로 원하는 공기의 습도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로(50)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가스측 배관(61)에 접속되는 제1 조인트 부재(64)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가스측 배관(63)에 접속되는 제2 조인트 부재(67)와,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 사이의 액측 배관(62)에 접속되는 제3 조인트 부재(65)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5 발명에서는, 냉매 회로(50)에 적어도 3개의 조인트 부재(64, 67, 65)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가스측 배관(61)에 제1 조인트 부재(64)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가스측 배관(63)에 제2 조인트 부재(67)가, 양 흡착 열교환기(51, 52) 사이의 액측 배관(62)에 제3 조인트 부재(65)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조인트 부재(64, 67, 65)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개별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조인트 부재(64) 및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을 각각 해제하면, 제1 흡착 열교환기(51)는 냉매 회로(50)의 가스측 배관(61) 및 액측 배관(62)과 분리된다. 이에 의해,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개별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인트 부재(67) 및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을 각각 해제하면,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냉매 회로(50)의 가스측 배관(63) 및 액측 배관(62)과 분리된다. 이에 의해,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개별로 인출할 수 있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측 배관(62)에는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51)측으로부터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52)측을 향해 상기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가 순서대로 접속되고, 상기 제3 조인트 부재(65)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쪽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4 조인트 부재(66)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와 반대측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6 발명에서는, 냉매 회로(50)에 있어서의 양 흡착 열교환기(51, 52) 사이의 액측 배관(62)에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가 설치된다. 제3 조인트 부재(65)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 가까운 측의 배관에 접속되고, 또한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시에는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 및 연결의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제4 조인트 부재(66)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 가까운 측의 배관에 접속되고, 또한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와 반대측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시에는, 제1 열교환기실(37)측으로부터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 및 연결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의 양쪽의 연결을 해제하면,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 사이의 배관(액측 배관)을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 사이의 액측 배관은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부터 반대측에 걸쳐서 배치되므로, 그 배관 길이는 비교적 커진다. 따라서, 가령 이 배관을 제1 흡착 열교환기(51)나 제2 흡착 열교환기(52)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인출하기 위한 공간에 부가하여 이 배관의 인출 공간도 케이싱(11)의 외부에서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이 습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에 제한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액측 배관(62)에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를 설치함으로써, 이들 조인트 부재(65, 66) 사이의 배관을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 배관을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와는 달리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인출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2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는 그 전부가 제1 열교환기실(37)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7 발명에서는,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인트 부재(64, 65, 66, 67)가 모두 제1 열교환기실(37)에 집약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열교환기실(37)은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에 대해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부터 모든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37)에서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51)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각각 공간(37a, 37b)이 구획되고, 상기 상류측 공간(37a)과 상기 하류측 공간(37b)에서는, 어느 한쪽 공간(37b)의 공기 흐름 방향의 폭 치수가 다른 쪽 공간(37a)의 공기 흐름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부재(64, 65, 66, 67)는 상기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 상기 폭 치수가 큰 쪽의 공간(37b)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8 발명에서는,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공간이 구획된다. 그리고, 양자의 공간에서는, 그 한쪽 공간의 폭 치수(공기 흐름 방향의 간격)가 다른 쪽 공간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공간 중, 폭 치수가 큰 쪽의 공간에 상기 조인트 부재(64, 65, 66, 67)가 설치된다. 따라서,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주위의 공간이 커지므로,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제9 발명은, 제8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37)에서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51)의 하류측 공간(37b) 쪽이 상기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 공간(37a)보다도 상기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9 발명에서는,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흡착 열교환기(51)의 하류측 공간(37b)이 상류측 공간(37a)보다도 폭 넓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64, 65, 66, 67)는 상기 하류측 공간(37b)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착 열교환기(51)의 하류측 공간(37b)에 있어서,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주위의 공간이 커지므로,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제10 발명은, 제1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습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37, 38)에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102, 10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0 발명에서는, 열교환기실(37, 38)에 레일 부재(102, 102)가 설치된다.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때에는,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레일 부재(102, 102)를 따르도록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 인출한다. 이에 의해, 케이싱(11)에 대한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출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과 함께, 열교환기실(37, 38)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케이싱(11)의 외부로 용이하게 취출하여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 따르면,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취출하여,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동일한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취출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11)의 주위에서의 유지 보수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명에서는, 2개의 열교환기실(37, 38)을 구획하는 구획판(73)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통과 가능한 구획판 개구부(73a)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판(73)을 케이싱(11)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제2 열교환기실(38)의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1 열교환기실(37)로부터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구조에 의해,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제4 발명에서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통상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관판(60a)이 구획판 개구부(73a)의 폐색 부재를 겸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구획판 개구부(73a)에 있어서의 공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습도 조절 장치로 원하는 습도 조절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에 따르면, 냉매 회로(50)에 적어도 3개의 조인트 부재(64, 67, 65)를 설치함으로써,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각각 개별로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개별로 인출하여 케이싱(11)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어,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동시에 인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케이싱(11)의 주위에서의 유지 보수 공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6 발명에서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 사이의 액측 배관(62)에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흡착 열교환기(51)측에 가까운 제3 조인트 부재(65)를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쪽에 배치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측에 가까운 제4 조인트 부재(66)를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와 반대측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 및 연결 해제의 작업을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 및 연결 해제의 작업도 제1 열교환기실(37)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6 발명에서는,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 사이의 배관을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 배관을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와 달리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1)의 주위에서의 유지 보수 공간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따르면, 모든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제1 열교환기실(37)측에 배치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 및 연결 해제 작업을 유지 보수 개구부(14a, 74a)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8 및 제9 발명에서는, 열교환기실(37, 38)에 있어서의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과 하류측 공간(37a, 37b) 중 폭이 넓어지는 공간(37b)에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 및 연결의 해제 작업을 행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0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실(37, 38)에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102, 102)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출입의 작업이 용이해져, 유지 보수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습도 조절 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습도 조절 장치를 케이싱의 일부 및 전장품 상자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습도 조절 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고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습도 조절 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습도 조절 장치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하는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냉매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배관계통도로, 도 6의 (A)는 제1 동작 중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제2 동작 중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흡착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흡착 열교환기의 설치 구조의 개략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2개의 흡착 열교환기와, 그 주위의 배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습 환기 운전의 제1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습도 조절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제습 환기 운전의 제2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습도 조절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가습 환기 운전의 제1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습도 조절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가습 환기 운전의 제2 동작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습도 조절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단순 환기 운전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습도 조절 장치의 개략의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있어서, 제1 흡착 열교환기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에 있어서, 스트레이트 배관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9에 있어서, 제2 흡착 열교환기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습도 조절 장치(10)는 실내의 습도 조절과 함께 실내의 환기를 행하는 것으로, 도입한 실외 공기(OA)를 습도 조절하여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도입한 실내 공기(RA)를 실외로 배출한다.
<습도 조절 장치의 전체 구성>
습도 조절 장치(1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의 설명에서 사용하는「상」「하」「좌」「우」「전」「후」「전방」「안」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습도 조절 장치(10)를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습도 조절 장치(10)는 케이싱(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11) 내에는 냉매 회로(50)가 수용되어 있다. 이 냉매 회로(50)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 제2 흡착 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 절환 밸브(54), 및 전동 팽창 밸브(55)가 접속되어 있다. 냉매 회로(50)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케이싱(11)은 약간 편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싱(11)은 그 좌우 방향의 폭이 깊이보다도 어느 정도 길게 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전방의 측면(즉, 전방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전방면 패널부(12)로 되고, 도 1에 있어서의 우측 안쪽의 측면(즉, 배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배면 패널부(13)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우측 전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1 측면 패널부(14)로 되고,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안쪽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2 측면 패널부(15)로 되어 있다. 케이싱(11)에서는, 전방면 패널부(12)와 배면 패널부(13)가 서로 대향하고, 제1 측면 패널부(14)와 제2 측면 패널부(15)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케이싱(11)에는 외기 흡입구(24)와, 내기 흡입구(23)와, 급기구(22)와, 배기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흡입구(24) 및 내기 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에 개구되어 있다(도 3, 도 4를 참조). 외기 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기 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제2 측면 패널부(15)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내기 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의 상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기 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제1 측면 패널부(14)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급기구(22)는 제1 측면 패널부(14)에 있어서의 전방면 패널부(12)측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21)는 제2 측면 패널부(15)에 있어서의 전방면 패널부(12)측의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에는,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과, 중앙 구획판(73)과, 제1 구획판(74)과, 제2 구획판(7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획판(71 내지 75)은 모두 케이싱(11)의 저판에 기립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을 케이싱(11)의 저판으로부터 천장판에 걸쳐서 구획하고 있다.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방면 패널부(12) 및 배면 패널부(1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류측 구획판(71)은 배면 패널부(13)쪽에 배치되고,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방면 패널부(12)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케이싱(1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우측 단부는 제1 측면 패널부(14)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측 단부와 제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우측 단부와 제1 측면 패널부(1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측 단부와 제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구획판(74)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우측으로부터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획판(74)은 제1 측면 패널부(14)와 평행이 되고, 또한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구획판(74)의 전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우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제1 구획판(74)의 후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에 접합되어 있다.
제2 구획판(75)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좌측으로부터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획판(75)은 제2 측면 패널부(15)와 평행이 되고, 또한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구획판(75)의 전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좌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제2 구획판(75)의 후단부는 배면 패널부(1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구획판(75)에는 상류측 구획판(71)의 좌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으로부터 하류측 구획판(72)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제2 측면 패널부(15)측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에는 내외 통로 구획판(70)도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4, 도 5를 참조). 내외 통로 구획판(70)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배면 패널부(13)와 직교하는 수평한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과 배면 패널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외 통로 구획판(70)은 상류측 구획판(71)과 배면 패널부(13) 사이의 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내기측 통로(32)를 구성하고, 하측 공간이 외기측 통로(34)를 구성하고 있다. 즉, 내외 통로 구획판(70)은 내기측 통로(32)와 외기측 통로(34)를 구획 형성하도록 양 통로(32, 34)에 개재 설치하는 구획판을 구성하고 있다.
외기측 통로(34)는 외기 흡입구(24)에 접속하는 덕트를 통해 실외 공간과 연통하고 있다. 즉, 외기측 통로(34)는 케이싱(11) 내에 도입되는 실외 공기가 흐르는 제1 공기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외기측 통로(34)에는 공기로부터 진애 등을 제거하기 위한 외기측 필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측 필터(28)는 긴 변이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기측 통로(34)를 횡단하는 자세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외기측 통로(34)는 이 외기측 필터(28)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외기측 통로(34)에 있어서의 외기측 필터(28)의 전방측(하류측) 부분에는, 외기측 통로(34)를 흐르는 실외 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외기 습도 센서(97)가 수용되어 있다(도 2를 참조).
내기측 통로(32)는 내기 흡입구(23)에 접속하는 덕트를 통해 실내와 연통하고 있다. 즉, 내기측 통로(32)는 케이싱(11) 내에 도입되는 실내 공기가 흐르는 제2 공기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내기측 통로(32)에는 공기로부터 진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내기측 필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내기측 필터(27)는 긴 변이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기측 통로(32)를 횡단하는 자세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내기측 통로(32)는 이 내기측 필터(27)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내기측 통로(32)에 있어서의 내기측 필터(27)의 전방측(하류측) 부분에는, 내기측 통로(32)를 흐르는 실내 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내기 습도 센서(96)가 수용되어 있다(도 3, 도 4를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에 있어서의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좌우로 구획된 이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공간이 제1 열교환기실(37)을 구성하고, 중앙 구획판(73)의 좌측 공간이 제2 열교환기실(38)을 구성하고 있다(도 1, 도 3을 참조).
제1 열교환기실(37)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수용되어 있다. 제2 열교환기실(38)에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수용되어 있다.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후판 형상 혹은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에서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전방면을 따른 부분이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도 2, 도 3, 도 5를 참조).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급기측 통로(31)를 구성하고, 하측 공간이 배기측 통로(33)를 구성하고 있다.
상류측 구획판(71)은 상기 각 열교환기실(37, 38)과 상기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를 각각 구획함과 함께, 복수의 댐퍼(41 내지 44)를 갖는 댐퍼측 구획판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에는, 각 열교환기실(37, 38)과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를 단속하기 위한 개폐식 댐퍼(41 내지 44)가 4개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5를 참조). 각 댐퍼(41 내지 44)는 대략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 중 내기측 통로(32)를 향하는 부분(상측 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우측에 제1 내기측 댐퍼(41)가 설치되고,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좌측에 제2 내기측 댐퍼(42)가 설치된다. 또한, 상류측 구획판(71) 중 외기측 통로(34)를 향하는 부분(하측 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우측에 제1 외기측 댐퍼(43)가 설치되고,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좌측에 제2 외기측 댐퍼(44)가 설치된다.
제1 내기측 댐퍼(41)를 개폐하면, 내기측 통로(32)와 제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단속(斷續)된다. 제2 내기측 댐퍼(42)를 개폐하면, 내기측 통로(32)와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단속된다. 제1 외기측 댐퍼(43)를 개폐하면, 외기측 통로(34)와 제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단속된다. 제2 외기측 댐퍼(44)를 개폐하면, 외기측 통로(34)와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단속된다.
상류측 구획판(71)에 있어서, 제1 외기측 댐퍼(43)는 제1 내기측 댐퍼(4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기측 댐퍼(41) 및 제1 외기측 댐퍼(43)는 각각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이 제1 열교환기실(37)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중앙 구획판(73)쪽[즉, 제2 측면 패널부(15)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또한, 상류측 구획판(71)에 있어서, 제2 외기측 댐퍼(44)는 제2 내기측 댐퍼(4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기측 댐퍼(42) 및 제2 외기측 댐퍼(44)는 각각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이 제2 열교환기실(38)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중앙 구획판(73)쪽[즉, 제1 측면 패널부(14)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하류측 구획판(72)에는, 개폐식 댐퍼(45 내지 48)가 4개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5를 참조). 각 댐퍼(45 내지 48)는 대개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하류측 구획판(72) 중 급기측 통로(31)를 향하는 부분(상측 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우측에 제1 급기측 댐퍼(45)가 설치되고,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좌측에 제2 급기측 댐퍼(46)가 설치된다. 또한, 하류측 구획판(72) 중 배기측 통로(33)를 향하는 부분(하측 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우측에 제1 배기측 댐퍼(47)가 설치되고,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좌측에 제2 배기측 댐퍼(48)가 설치된다.
제1 급기측 댐퍼(45)를 개폐하면, 급기측 통로(31)와 제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단속된다. 제2 급기측 댐퍼(46)를 개폐하면, 급기측 통로(31)와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단속된다. 제1 배기측 댐퍼(47)를 개폐하면, 배기측 통로(33)와 제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단속된다. 제2 배기측 댐퍼(48)를 개폐하면, 배기측 통로(33)와 제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단속된다.
하류측 구획판(72)에 있어서, 제1 배기측 댐퍼(47)는 제1 급기측 댐퍼(45)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급기측 댐퍼(45) 및 제1 배기측 댐퍼(47)는 각각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이 제1 열교환기실(37)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중앙 구획판(73)쪽[즉, 제2 측면 패널부(15)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또한, 하류측 구획판(72)에 있어서, 제2 배기측 댐퍼(48)는 제2 급기측 댐퍼(46)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측 댐퍼(48) 및 제2 급기측 댐퍼(46)는 각각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이 제2 열교환기실(38)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중앙 구획판(73)쪽[즉, 제1 측면 패널부(14)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케이싱(11) 내에서는, 급기측 통로(31) 및 배기측 통로(33)와 전방면 패널부(12) 사이의 공간이, 급배기 구획판(7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이 좌우로 구획된 공간은 급배기 구획판(77)의 우측 공간이 급기팬실(36)을 구성하고, 급배기 구획판(77)의 좌측 공간이 배기팬실(35)을 구성하고 있다. 이 급배기 구획판(77)은 중앙 구획판(73)보다도 더 제2 측면 패널부(15)쪽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급기팬실(36) 및 배기팬실(35)은 모두 케이싱(11)의 저판으로부터 천장판에 걸치는 공간이다.
급기팬실(36)에는 급기팬(26)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배기팬실(35)에는 배기팬(25)이 수용되어 있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은 모두 원심형의 다익팬(소위 시로코팬)이다.
구체적으로, 이들 팬(25, 26)은 팬 로터와, 팬 케이싱(86)과, 팬 모터(89)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팬 로터는 그 축 방향의 길이가 직경에 비해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 측면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팬 로터는 팬 케이싱(86)에 수용되어 있다. 팬 케이싱(86)에서는, 그 측면(팬 로터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한쪽에 흡입구(87)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싱(86)에는 그 둘레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의 돌출 단부에 취출구(88)가 개구되어 있다. 팬 모터(89)는 팬 케이싱(86)에 있어서의 흡입구(87)와 반대측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팬 모터(89)는 팬 로터에 연결되어 팬 로터를 회전 구동한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에 있어서, 팬 로터가 팬 모터(89)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흡입구(87)를 통해 팬 케이싱(86)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팬 케이싱(86) 내의 공기가 분출구(88)로부터 분출된다.
급기팬실(36)에 있어서, 급기팬(26)은 팬 케이싱(86)의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급기팬(26)의 팬 케이싱(86)의 분출구(88)는 급기구(22)에 연통하는 상태로 제1 측면 패널부(14)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팬실(35)에 있어서, 배기팬(25)은 팬 케이싱(86)의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기팬(25)의 팬 케이싱(86)의 분출구(88)는 배기구(21)에 연통하는 상태로 제2 측면 패널부(15)에 설치되어 있다.
급기팬실(36)에는 냉매 회로(50)의 압축기(53)와 사방 절환 밸브(54)가 수용되어 있다. 압축기(53) 및 사방 절환 밸브(54)는 급기팬실(36)에 있어서의 급기팬(26)과 급배기 구획판(7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11) 내에 있어서, 제1 구획판(74)과 제1 측면 패널부(14) 사이의 공간은 제1 바이패스 통로(81)를 구성하고 있다(도 2, 도 3을 참조). 또한, 케이싱(11) 내에 있어서, 제2 구획판(75)과 제2 측면 패널부(15) 사이의 공간은 제2 바이패스 통로(82)를 구성하고 있다(도 3, 도 4를 참조). 제1 바이패스 통로(81) 및 제2 바이패스 통로(82)는 케이싱(11)의 저판으로부터 천장판에 걸치는 공간이다. 제1 바이패스 통로(81)의 통로 폭은 제2 바이패스 통로(82)의 통로 폭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통로(81)의 시단부[배면 패널부(13)측의 단부]는, 외기측 통로(34)에만 연통되어 있고, 내기측 통로(32)로부터는 차단되어 있다. 이 제1 바이패스 통로(81)는 외기측 통로(34)에 있어서의 외기측 필터(28)의 하류측 부분과 연통하고 있다. 제1 바이패스 통로(81)의 종단부[전방면 패널부(12)측 단부]는 구획판(78)에 의해 급기측 통로(31), 배기측 통로(33), 및 급기팬실(36)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구획판(78) 중 급기팬실(36)을 향하는 부분에는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는 대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를 개폐하면, 제1 바이패스 통로(81)와 급기팬실(36) 사이가 단속된다.
제2 바이패스 통로(82)의 시단부[배면 패널부(13)측 단부]는 내기측 통로(32)에만 연통되어 있고, 외기측 통로(34)로부터는 차단되어 있다. 이 제2 바이패스 통로(82)는 제2 구획판(75)에 형성된 연통구(76)를 통해 내기측 통로(32)에 있어서의 내기측 필터(27)의 하류측 부분과 연통하고 있다. 제2 바이패스 통로(82)의 종단부[전방면 패널부(12)측 단부]는 구획판(79)에 의해 급기측 통로(31), 배기측 통로(33) 및 배기팬실(35)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구획판(79) 중 배기팬실(35)을 향하는 부분에는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대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개폐하면, 제2 바이패스 통로(82)와 배기팬실(35) 사이가 단속된다.
또한, 도 5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서는, 제1 바이패스 통로(81), 제2 바이패스 통로(82),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케이싱(11)의 전방면 패널부(12)에서는, 그 우측 부분에 전장품(電裝品) 상자(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있어서, 전장품 상자(90)는 생략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9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이며, 그 내부에 제어용 기판(91)과 전원용 기판(92)이 수용되어 있다. 제어용 기판(91) 및 전원용 기판(92)은 전장품 상자(90)의 측판 중 전방면 패널부(12)에 인접하는 것(즉, 배면판)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용 기판(92)의 인버터부에는 방열핀(9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열핀(93)은 전원용 기판(92)의 배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전장품 상자(90)의 배면판과 케이싱(11)의 전방면 패널부(12)를 관통하여 급기팬실(36)에 노출되어 있다(도 3, 도 4를 참조).
케이싱(11) 내에 있어서, 압축기(53), 팬(25, 26), 댐퍼(41 내지 48), 습도 센서(96, 97) 등에 접속하는 리드선은 전장품 상자(9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그 중, 상류측 구획판(71)에 설치된 댐퍼(41 내지 44)의 구동 모터에 접속하는 리드선이나, 습도 센서(96, 97)에 접속하는 리드선은 제1 바이패스 통로(81)를 통해 전장품 상자(90)에 연장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제1 측면 패널부(14)에는 케이싱(11)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제1 개폐 패널(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개폐 패널(14a)은 제1 바이패스 통로(81)를 향하도록 하여 제1 측면 패널부(14)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개폐 패널(14a)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케이싱(11)의 외부에 대해 상기 제1 구획판(74)이 노출되는 상태로 된다(도 2를 참조). 제1 구획판(74)에는, 케이싱(11)에 대해 착탈 가능한 제2 개폐 패널(7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개폐 패널(74a)은 제1 열교환기실(37)을 향하도록 하여 제1 구획판(74)의 후방측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개폐 패널(74a)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제1 바이패스 통로(81)측을 향해 제1 열교환기실(37)이 노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제1 개폐 패널(14a) 및 제2 개폐 패널(74a)은 케이싱(11)의 외부에 대해 제1 열교환기실(37)을 노출시키기 위한 유지 보수 개방부를 구성하고 있다.
<냉매 회로의 구성>
상기 냉매 회로(50)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냉매 회로(50)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 제2 흡착 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 절환 밸브(54), 및 전동 팽창 밸브(55)가 설치된 폐회로이다. 이 냉매 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행한다.
상기 냉매 회로(50)에 있어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사방 절환 밸브(54)의 제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사방 절환 밸브(54)의 제2 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일단부는 제1 연락 배관(61)을 통해 사방 절환 밸브(54)의 제3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타단부는, 중간 배관(62)을 통해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타단부는 제2 연락 배관(63)을 통해 사방 절환 밸브(54)의 제4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연락 배관(61)은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가스측 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연락 배관(61)에는 제1 조인트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연락 배관(63)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가스측 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연락 배관(63)에는 제2 조인트 부재(67)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배관(62)은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 사이의 액측 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중간 배관(62)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측으로부터 제2 흡착 열교환기(52)측을 향해 순서대로 상기 전동 팽창 밸브(55), 제3 조인트 부재(65), 및 제4 조인트 부재(66)가 접속되어 있다. 각 조인트 부재(64, 65, 66, 67)는 수형 나사부 및 상기 수형 나사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조인트 본체(64a, 65a, 66a, 67a)와, 조인트 본체에 나사 결합하는 암형 나사 및 상기 테이퍼 외주면과 밀착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플레어 너트(64b, 65b, 66b, 67b)로 이루어지는, 소위 플레어 조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상기 사방 절환 밸브(54)는 제1 포트와 제3 포트가 연통하고 제2 포트와 제4 포트가 연통하는 제1 상태[도 6의 (A)에 도시하는 상태]와, 제1 포트와 제4 포트가 연통하고 제2 포트와 제3 포트가 연통하는 제2 상태[도 6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착 열교환기(51) 및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모두 크로스핀형의 핀 앤드 튜브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실외 공기(OA)나 실내 공기(RA)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흡착 열교환기(51, 52)는 구리제의 전열관(58)과 알루미늄제의 핀(57)을 구비하고 있다. 흡착 열교환기(51, 52)에 설치된 복수의 핀(57)은 각각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전열관(58)은 핀(57)의 배열 방향으로 사행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전열관(58)에서는 각 핀(57)을 관통하는 직관부와, 인접한 직관부끼리를 접속하는 U자 관부(59)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에서는, 각 전열관(5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관판(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관판(6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에서는, 각 핀(57)의 표면에 흡착제를 갖고 있고, 핀(57)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57)에 포함된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 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습도 조절 장치(10)에서는, 냉매 회로(50)가 열매 회로를 구성한다. 이 냉매 회로(50)에서는,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 중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고압의 가스 냉매가 가열용 열매 유체로서 공급되고,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저압의 기액 2상 냉매가 냉각용 열매 유체로서 공급된다.
<흡착 열교환기의 설치 구조>
다음에, 열교환기실(37, 38)에 있어서의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설치 구조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그 전열관(58)이 각 열교환기실(37, 38)의 배열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 열교환기실(37, 38)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좌우 폭 방향으로 대개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열교환기실(37, 38)의 저판에는 이들 열교환기실(37, 38)에 걸치도록 받침대(101)가 부설되어 있다. 즉, 받침대(101)는 제1 구획판(74)으로부터 제2 구획판(75)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101)의 상단부면(101a)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01)의 상단부면에는 그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레일 부재(10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 부재(102, 102)는 서로 평행한 자세로 제1 구획판(74)으로부터 제2 구획판(75)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양 레일 부재(102, 102) 사이에 각 흡착 열교환기(51, 52)가 끼워 넣어져 있다. 즉, 받침대(101)의 레일 부재(102)는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01)의 상단부면(101a)의 표면에는 나일론 단섬유(單纖維)로 이루어지는, 소위 식모재(植毛材)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식모재에 의해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슬라이드 동작이 원활해지고, 또한 받침대(101)의 표면이 마모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제1 열교환기실(37)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후방측)의 상단부에 제1 프레임 부재(103)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 및 도 4를 참조). 제1 프레임 부재(103)는 그 종단면이 L자 형상이며, 제1 구획판(74)으로부터 중앙 구획판(73)에 걸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03)는 그 한쪽 측면이 케이싱(11)의 천장판에 고정되고, 다른 쪽 측면이 제1 내기측 댐퍼(41)측을 향하도록 케이싱(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 단부 근방에는, 제1 프레임 부재(104)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 및 도 9를 참조). 제1 프레임 부재(104)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 면에 따르는 대략 판 형상이고, 또한 전후로 공기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04)에서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 면의 거의 전역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상단부는 제1 프레임 부재(103)의 하단부와 거의 접촉하고, 제1 프레임 부재(104)의 하단부는 케이싱(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우측 단부는 제1 구획판(74)과 접촉하고 있고, 제1 프레임 부재(104)와 제1 구획판(74)은 2개의 나사(104a, 104a)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좌측 단부는 중앙 구획판(73)보다도 약간 우측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외주연부에는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상류측 공기가 그 외주측을 흐르는 것이 억제되는 한편, 이 공기는 제1 프레임 부재(104)의 내부의 개구를 통해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또한, 제1 프레임 부재(104)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프레임 부재(104)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열교환기실(38)에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류측(후방측)의 상단부에 제2 프레임 부재(105)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 및 도 4를 참조). 제2 프레임 부재(105)는 그 종단면이 하측으로 개방되는 역ㄷ자 형상이며, 중앙 구획판(73)으로부터 제2 구획판(75)에 걸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부재(105)는 그 상단부면이 케이싱(11)의 천장판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케이싱(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류 단부 근방에는 제2 프레임 부재(106)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 및 도 9를 참조). 제2 프레임 부재(106)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류측 면을 따르는 대략 판 형상이고, 또한 전후로 공기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부재(106)에서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류측 면의 거의 전역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상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105)의 상단부면과 접촉하는 한편, 제2 프레임 부재(106)의 하단부는 케이싱(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우측 단부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과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좌측 단부와 접촉하고 있다(도 9를 참조). 또한,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우측 단부에는, 접촉 상태의 제1 프레임 부재(104)의 단부를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107)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외주연부에는 밀봉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상류측 공기가 그 외주측을 흐르는 것이 억제되는 한편, 이 공기는 제2 프레임 부재(106)의 내부의 개구를 통해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또한, 제2 프레임 부재(106)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제2 프레임 부재(106)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실(37)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4) 및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 의해 전후로 2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즉, 제1 열교환기실(37)에서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류측에 제1 상류측 공간(37a)이 형성되고,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하류측에 제1 하류측 공간(37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열교환기실(38)에서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106) 및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 의해 전후로 2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즉, 제2 열교환기실(38)에서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류측에 제2 상류측 공간(38a)이 형성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하류측에 제2 하류측 공간(38b)이 형성되어 있다.
각 흡착 열교환기실(37, 38)에서는, 각각의 하류측 공간(37b, 38b)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 방향(전후 방향)의 폭 치수(W1)의 길이가 대응하는 상류측 공간(37a, 38a)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 방향(전후 방향)의 폭 치수(W2)의 길이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즉, 각 흡착 열교환기실(37, 38)에서는, 각 흡착 열교환기(51, 52)가 상기 흡착 열교환기실(37, 38)의 폭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도 후방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구획판(73)에는 구획판 개구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 개구부(73a)는 중앙 구획판(73)에 있어서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와 좌우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 개구부(73a)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 및 제2 프레임 부재(106)를 제1 측면 패널부(14)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2 흡착 열교환기(52) 및 제2 프레임 부재(106)의 외형의 윤곽을 따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구획판 개구부(73a)는 제2 프레임 부재(106) 및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통과를 허용하는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프레임 부재(106) 및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제2 열교환기실(38)과 제1 열교환기실(37)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에 있어서의 전열관(58)의 양단부에는 상기 전열관(58)을 지지하기 위한 관판(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판(60) 중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 있어서의 제1 측면 패널부(14)측의 관판(60a)은 중앙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통상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중앙 구획판(73)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의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그 관판(60a)이 중앙 구획판(73)에 일치하도록 구획판 개구부(73a)에 끼워 맞춘다. 그 결과, 제1 열교환기실(37)과 제2 열교환기실(38)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관판(60a)과 중앙 구획판(73)에 의해 구획되므로, 양 열교환기실(37, 38)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한,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관판(60a)의 외연부에는,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관판(60a)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측 플랜지부(108a)와, 관판(60a)의 전방측 단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측방 플랜지부(108b)를 갖고 있다. 상측 플랜지부(108a)는 그 종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상측 플랜지부(108a)는 그 측방(좌측)의 단부면이 상기 관판(60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방 플랜지부(108b)는 그 상단부가 측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된 상단부면이 상기 상측 플랜지부(108a)의 하단부면에 나사를 통해 체결되어 있다. 한편, 측방 플랜지부(108b)의 본체는 상하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측쪽의 부위가 상기 관판(60a)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그 외연부가 관판(60a)의 외연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관판(60a)의 상단부 및 전단부를 확대시키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의 내부에는 관판(60a)을 관통하는 전열관(58)이나 U자 관부(59)가 위치하고 있다(도 9에서는 전열관이나 U자 관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제1 열교환기실(37)을 향하도록 관판(60a)에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구획판 개구부(73a)에 삽입 관통된 상태의 관판(60a)에 제1 열교환기실(37)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통상의 설치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가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면에 있어서의 구획판 개구부(73a)의 외연부에 접촉한다. 그 결과, 이 접촉부가 구획판 개구부(73a)와 관판(60a)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와 같이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가 중앙 구획판(73)과 접촉함으로써,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와 일체로 되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도 3의 통상의 설치 위치보다도 더욱 안측[제2 측면 패널부(15)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일이 없다. 즉,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는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위치 결정 부재도 겸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형상 구획 부재(108)와 중앙 구획판(73) 사이의 접촉부에는, 소정의 밀봉 부재를 개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양 열교환기실(37, 38) 사이에 있어서의 공기의 누설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흡착 열교환기의 주위의 설치 구조>
다음에,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주위의 냉매 배관, 및 상기 냉매 배관에 설치되는 구성 기기의 설치 구조에 대해 도 3,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주위의 냉매 배관, 및 상기 냉매 배관에 설치되는 구성 기기가 모두 제1 열교환기실(37)에 집약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는, 가스측 배관으로서의 상기 제1 연락 배관(6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연락 배관(61)은 제1 가스측 헤더(61a)와 제1 내측 배관(61b)과 제1 외측 배관(61c)을 갖고 있다.
제1 가스측 헤더(61a)는 그 분류관이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우측(제1 측면 패널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가스측 헤더(61a)의 합류관측은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상부 전방면을 따르도록 굴곡되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스측 헤더(61a)의 합류관의 하단부에 상기 제1 내측 배관(61b)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내측 배관(61b)의 타단부측은 우측방, 상방, 전방의 순서대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측 배관(61b)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조인트 부재(64)의 플레어 너트(64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1 열교환기실(37)에는 상기 하류측 구획판(72)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1 조인트 부재(64)의 조인트 본체(64a)가 향하고 있다(도 3을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제1 조인트 부재(64)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제1 측면 패널부(14)측쪽에 배치되고, 플레어 너트(64b)와 조인트 본체(64a)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급기팬실(36)에는 제1 조인트 부재(64)의 조인트 본체(64a)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외측 배관(61c)이 배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제1 외측 배관(61c)의 종단부는 사방 절환 밸브(5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는 가스측 배관으로서의 상기 제2 연락 배관(6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2 연락 배관(63)은 제2 가스측 헤더(63a)와 제2 내측 배관(63b)과 제2 외측 배관(63c)을 갖고 있다.
제2 가스측 헤더(63a)는 그 분류관이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우측(제1 측면 패널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그 우측의 관판(60a)이 상술한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측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가스측 헤더(63a)의 분류관은 구획판 개구부(73a)를 관통하도록 하여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 접속된다. 제2 가스측 헤더(63a)의 합류관측은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상부쪽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가스측 헤더(63a)의 합류관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내측 배관(63b)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내측 배관(63b)의 타단부측은 우측방, 상방, 전방의 순서대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내측 배관(63b)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조인트 부재(67)의 플레어 너트(67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1 열교환기실(37)에는, 상기 하류측 구획판(72)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2 조인트 부재(67)의 조인트 본체(67a)가 향하고 있다(도 3을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제2 조인트 부재(67)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중앙 구획판(73)측(제1 측면 패널부와 반대측)쪽에 배치되고, 플레어 너트(67b)와 조인트 본체(67a)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급기팬실(36)에는 제2 조인트 부재(67)의 조인트 본체(67a)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외측 배관(63c)이 배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제2 외측 배관(63c)의 종단부는 사방 절환 밸브(5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라 함은, 상기 중간 배관(6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중간 배관(62)은 제1 액측 분류기(62a)와 스트레이트 배관(62b)과 제2 액측 분류기(62c)를 갖고 있다.
제1 액측 분류기(62a)는 그 분류관이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액측 분류기(62a)의 합류관측에는 상기 전동 팽창 밸브(5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동 팽창 밸브(55)의 상류 근방 및 하류 근방의 냉매 배관에는 냉매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68, 6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액측 분류기(62a)의 합류관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상기 제3 조인트 부재(65)의 플레어 너트(65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액측 분류기(62c)는 그 분류관이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제2 가스측 헤더(63a)와 마찬가지로, 제2 액측 분류기(62c)는 중앙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관통하도록 하여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 접속된다. 제2 액측 분류기(62c)의 합류관측은 하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우측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굴곡된 부위에는, 제4 조인트 부재(66)의 조인트 본체(6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배관(62b)은 제1 열교환기실(37)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스트레이트 배관(62b)은 제1 구획판(74)으로부터 중앙 구획판(73)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배관(62b)의 주위에는 단열재 등이 감겨 있다. 스트레이트 배관(62b)의 우측 일단부에는 제3 조인트 부재(65)의 조인트 본체(65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3 조인트 부재(65)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제1 측면 패널부(14)측쪽에 배치되고, 플레어 너트(65b)와 조인트 본체(65a)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트레이트 배관(62b)의 좌측 타단부에는, 제4 조인트 부재(66)의 플레어 너트(66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4 조인트 부재(66)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의 중앙 구획판(73)측(제1 측면 패널부와 반대측)쪽에 배치되고, 플레어 너트(66b)와 조인트 본체(66a)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냉매 회로(50)로부터 개별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 흡착 열교환기(51)는 제1 조인트 부재(64) 및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을 각각 해제함으로써,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제2 조인트 부재(67) 및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각각 해제함으로써,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매 회로(50)에서는, 제3 조인트 부재(65) 및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각각 해제함으로써, 양 조인트 부재(65, 66)의 사이의 스트레이트 배관(62b)도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운전 동작-
본 실시 형태의 습도 조절 장치(10)는 제습 환기 운전과, 가습 환기 운전과, 단순 환기 운전을 선택적으로 행한다. 제습 환기 운전 중이나 가습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는 도입한 실외 공기(OA)를 습도 조절하고 나서 공급 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도입한 실내 공기(RA)를 배출 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단순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는 도입한 실외 공기(OA)를 그대로 공급 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도입한 실내 공기(RA)를 그대로 배출 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제습 환기 운전>
제습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1 동작과 제2 동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제습 환기 운전 중에 있어서,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 상태로 된다.
제습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 있어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 공기가 외기 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에 제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한,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 공기가 내기 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2 공기로서 도입된다.
우선, 제습 환기 운전의 제1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동작 중에는 제1 내기측 댐퍼(41), 제2 외기측 댐퍼(44), 제2 급기측 댐퍼(46), 및 제1 배기측 댐퍼(47)가 개방 상태로 되고, 제2 내기측 댐퍼(42), 제1 외기측 댐퍼(43), 제1 급기측 댐퍼(45), 및 제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 상태로 된다.
이 제1 동작 중의 냉매 회로(50)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절환 밸브(54)가 제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 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그때, 냉매 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1 흡착 열교환기(51), 전동 팽창 밸브(55),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순서대로 통과하여,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에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1 공기는 제2 외기측 댐퍼(44)를 통해 제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제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1 공기는 제2 급기측 댐퍼(46)를 통해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고, 급기팬실(36)을 통과 후에 급기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1 내기측 댐퍼(41)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에 유입하고, 그 후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하고, 이 탈리한 수분이 제2 공기에 부여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2 공기는 제1 배기측 댐퍼(47)를 통해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고, 배기팬실(35)을 통과 후에 배기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습 환기 운전의 제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동작 중에는 제2 내기측 댐퍼(42), 제1 외기측 댐퍼(43), 제1 급기측 댐퍼(45), 및 제2 배기측 댐퍼(48)가 개방 상태로 되고, 제1 내기측 댐퍼(41), 제2 외기측 댐퍼(44), 제2 급기측 댐퍼(46), 및 제1 배기측 댐퍼(47)가 폐쇄 상태로 된다.
이 제2 동작 중의 냉매 회로(50)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절환 밸브(54)가 제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 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그때, 냉매 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2 흡착 열교환기(52), 전동 팽창 밸브(55), 제1 흡착 열교환기(51)의 순서대로 통과하여,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1 공기는 제1 외기측 댐퍼(43)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는, 제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로 제습된 제1 공기는 제1 급기측 댐퍼(45)를 통해 급기측 통로(31)에 유입하고, 급기팬실(36)을 통과 후에 급기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에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2 내기측 댐퍼(42)를 통해 제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하고, 이 탈리한 수분이 제2 공기에 부여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2 공기는 제2 배기측 댐퍼(48)를 통해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고, 배기팬실(35)을 통과 후에 배기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 환기 운전>
가습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1 동작과 제2 동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가습 환기 운전 중에 있어서,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 상태로 된다.
가습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 있어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 공기가 외기 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2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한,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 공기가 내기 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1 공기로서 도입된다.
우선, 가습 환기 운전의 제1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동작 중에는 제2 내기측 댐퍼(42), 제1 외기측 댐퍼(43), 제1 급기측 댐퍼(45), 및 제2 배기측 댐퍼(48)가 개방 상태로 되고, 제1 내기측 댐퍼(41), 제2 외기측 댐퍼(44), 제2 급기측 댐퍼(46), 및 제1 배기측 댐퍼(47)가 폐쇄 상태로 된다.
이 제1 동작 중 냉매 회로(50)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절환 밸브(54)가 제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 회로(50)에서는, 제습 환기 운전의 제1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1 공기는 제2 내기측 댐퍼(42)를 통해 제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제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1 공기는 제2 배기측 댐퍼(48)를 통해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고, 배기팬실(35)을 통과 후에 배기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1 외기측 댐퍼(43)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하고, 이 탈리한 수분이 제2 공기에 부여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2 공기는 제1 급기측 댐퍼(45)를 통해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고, 급기팬실(36)을 통과 후에 급기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다음에, 가습 환기 운전의 제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동작 중에는 제1 내기측 댐퍼(41), 제2 외기측 댐퍼(44), 제2 급기측 댐퍼(46), 및 제1 배기측 댐퍼(47)가 개방 상태로 되고, 제2 내기측 댐퍼(42), 제1 외기측 댐퍼(43), 제1 급기측 댐퍼(45), 및 제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 상태로 된다.
이 제2 동작 중의 냉매 회로(50)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절환 밸브(54)가 제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 회로(50)에서는, 제습 환기 운전의 제2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1 공기는 제1 내기측 댐퍼(41)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는, 제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에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1 공기는, 제1 배기측 댐퍼(47)를 통해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고, 배기팬실(35)을 통과 후에 배기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2 외기측 댐퍼(44)를 통해 제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고, 그 후에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하고, 이 탈리한 수분이 제2 공기에 부여된다.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2 공기는 제2 급기측 댐퍼(46)를 통해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고, 급기팬실(36)을 통과 후에 급기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단순 환기 운전>
단순 환기 운전 중에 있어서의 습도 조절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단순 환기 운전은 외기를 그대로 실내로 공급해도 실내의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는 시기(예를 들어, 춘계나 추계 등의 중간 시기)에 행해진다. 즉, 이 단순 환기 운전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 조절은 불필요하지만, 실내의 환기는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이 단순 환기 운전에서는,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개방 상태로 되고, 제1 내기측 댐퍼(41), 제2 내기측 댐퍼(42), 제1 외기측 댐퍼(43), 제2 외기측 댐퍼(44), 제1 급기측 댐퍼(45), 제2 급기측 댐퍼(46), 제1 배기측 댐퍼(47), 및 제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 상태로 된다. 또한, 단순 환기 운전 중에 있어서, 냉매 회로(50)의 압축기(53)는 정지 상태로 된다. 즉, 단순 환기 운전 중에 있어서, 냉매 회로(50)에서의 냉동 사이클은 행해지지 않는다.
단순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 있어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 공기가 외기 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외기 흡입구(24)를 통해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한 실외 공기는, 외기측 필터(28)를 통과 후에 제1 바이패스 통로(81)로 유입하고, 제1 바이패스용 댐퍼(83)를 통해 급기팬실(36)로 유입한다. 급기팬실(36)로 유입한 실외 공기는 급기팬(26)에 흡입되고, 급기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단순 환기 운전 중의 습도 조절 장치(10)에 있어서,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 공기가 내기 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내기 흡입구(23)를 통해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한 실내 공기는 내기측 필터(27)를 통과 후에 제2 바이패스 통로(82)로 유입하고, 제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통해 배기팬실(35)로 유입한다. 배기팬실(35)로 유입한 실내 공기는 배기팬(25)에 흡입되고, 배기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흡착 열교환기의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해-
다음에, 상술한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나,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주위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 및 구성 기기의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각 흡착 열교환기(51, 52)의 유지 보수를 행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제1 측면 패널부(14)의 제1 개폐 패널(14a)을 개방시킨다. 그 결과, 케이싱(11)의 외부에 대해 제1 바이패스 통로(81)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도 2를 참조). 계속해서, 제1 구획판(74)의 제2 개폐 패널(74a)을 개방시킨다. 그 결과, 케이싱(11)의 외부에 대해 제1 열교환기실(37)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에는, 제1 구획판(74)과 제1 프레임 부재(104)를 체결하는 2개의 나사(104a, 104a)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 부재(104)는 케이싱(11)에 대한 고정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제1 측면 패널부(14)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제1 측면 패널부(14)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조인트 부재(64)의 연결도 해제한다. 그 결과,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 가능해진다.
이 상태의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상술한 레일 부재(102, 102)를 따르도록 제1 측면 패널부(14)측으로 인출한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슬라이드시키면,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일체가 된 각 구성 부품도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함께 이동한다(도 15를 참조). 구체적으로,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구성 부품으로서는, 제1 프레임 부재(104), 제1 가스측 헤더(61a), 제1 내측 배관(61b), 제1 조인트 부재(64)의 플레어 너트(64a), 제1 액측 분류기(62a), 전동 팽창 밸브(55), 필터(68, 68), 제3 조인트 부재(65)의 플레어 너트(65b)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흡착 열교환기(51) 및 이것과 일체가 된 다른 구성 부품을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그 후, 또한 제2 흡착 열교환기(52)의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이때에는, 제1 열교환기실(37)의 내부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4 조인트 부재(66)와 제3 조인트 부재(65)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로 되면, 냉매 회로(50)로부터 스트레이트 배관(62b)이 분리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의 스트레이트 배관(62b)을 케이싱(11)의 외부로 개별로 인출할 수 있다(도 16을 참조).
계속해서, 제2 조인트 부재(67)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 결과, 냉매 회로(50)로부터 제2 흡착 열교환기(52)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의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레일 부재(102, 102)를 따르도록 제1 측면 패널부(14)측으로 인출한다. 그 결과, 제2 흡착 열교환기(52)는 중앙 구획판(73)의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기실(37)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슬라이드시키면,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일체로 된 각 구성 부품도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함께 이동한다(도 17을 참조). 구체적으로,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구성 부품으로서는, 제2 프레임 부재(106), 제2 가스측 헤더(63a), 제2 내측 배관(63b), 제2 조인트 부재(67)의 플레어 너트(67b), 제2 액측 분류기(62c), 제4 조인트 부재(66)의 조인트 본체(66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열교환기실(37)까지 이동한 제2 흡착 열교환기(52) 등을 더 인출함으로써, 이들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트 배관(65b)을 취출하기 전에 제2 조인트 부재(67)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조금만 인출하고 나서 상기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해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지 보수가 종료된 후에는, 상기의 순서와 대략 반대의 순서에 의해 각 구성 기기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레일 부재(102, 102)를 따라 제2 열교환기실(38)에 압입하여 제2 조인트 부재(67)를 연결하고, 또한 스트레이트 배관(62b)을 제1 열교환기실(37)에 압입하여 제4 조인트 부재(66)를 연결한다. 다음에,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레일 부재(102, 102)를 따라 제1 열교환기실(37)에 압입한다. 이때, 제1 흡착 열교환기(51)와 일체로 되는 제1 프레임 부재(104)의 좌측 단부를 도 15에 도시하는 클램프 부재(107)에 유지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 부재(104)와 제2 프레임 부재(106)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각 프레임 부재(104, 106)의 고정 상태가 안정된다. 계속해서, 제1 조인트 부재(64) 및 제3 조인트 부재(65)가 연결되고, 제2 개폐 패널(74a)을 폐쇄한다. 동시에, 제1 프레임 부재(104)와 제1 구획판(74)을 나사(104a, 104a)에 의해 체결한다. 그 후, 제1 개폐 패널(14a)을 폐쇄함으로써, 습도 조절 장치(10)가 도 1에 도시하는 원래의 상태로 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과 함께, 각 열교환기실(37, 38)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제1 개폐 패널(14a) 및 제2 개폐 패널(74a)의 유지 보수 개구부로부터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용이하게 취출하여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양자의 흡착 열교환기(51, 52)는 케이싱(11)의 동일 방향의 측면[즉, 제1 측면 패널부(14)]측으로부터 인출되므로, 케이싱(11)의 외부의 유지 보수용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케이싱(11)의 설치 부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각 흡착 열교환기(51, 52)는 각각 개별로 인출되므로, 예를 들어 양쪽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일체적으로 인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유지 보수용 공간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설치하여 스트레이트 배관(62b)도 개별로 인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가령 제3 조인트 부재(65)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인출할 때에, 중앙 구획판(73)측쪽의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생긴다. 제1 흡착 열교환기(51)가 제1 열교환기실(37)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4 조인트 부재(66)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가령 제4 조인트 부재(66)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제1 흡착 열교환기(51)를 제거한 후,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스트레이트 배관(62b)과 함께 케이싱(11)의 외부로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케이싱(11)의 외부의 유지 보수 공간의 안길이로서 제2 흡착 열교환기(52)와 스트레이트 배관(62b)을 맞춘 인출 방향의 전체 길이분이 필요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스트레이트 배관(62b)의 양단부에 조인트 부재(65, 66)를 설치함으로써, 양 조인트 부재(65, 66)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 작업도 용이해지고, 게다가 스트레이트 배관(62b)을 개별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유지 보수 공간의 안길이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제1 열교환기실(37)에 집약함으로써, 유지 보수 개구부측으로부터 각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열교환기실(37)에서는, 제1 하류측 공간(37b)의 폭 치수(W1)를 제1 상류측 공간(37a)의 폭 치수(W2)보다도 크게 하고(도 3 참조), 폭이 넓어지는 제1 하류측 공간(37b)에 모든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배치하였으므로, 이들 조인트 부재(64, 65, 66, 67)의 연결이나 연결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구획판(73)에 구획판 개구부(73a)를 형성함으로써, 중앙 구획판(73)을 케이싱(11)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제2 흡착 열교환기(52)를 구획판 개구부(73a)를 통해 제1 열교환기실(37)에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의 설치 상태의 제2 흡착 열교환기(52)에서는, 그 관판(60a)이 구획판 개구부(73a)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겸하고 있으므로, 2개의 열교환기실(37, 38)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회로(50)에 4개의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조인트 부재를 2개나 3개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냉매 회로(50)에 있어서, 제3 조인트 부재(65) 및 제4 조인트 부재(66)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인트 부재(64) 및 제2 조인트 부재(67)의 연결을 해제하여, 2개의 흡착 열교환기(51, 52)를 일체적으로 냉매 회로(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냉매 회로(50)에 있어서, 제3 조인트 부재(65)와 제4 조인트 부재(66) 중 어느 한쪽만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열교환기실(37)에 있어서, 그 하류측 공간(37b)을 상류측 공간(37a)보다도 폭 넓게 하여 하류측 공간(37b)에 각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측 공간(37a)을 하류측 공간(37b)보다도 폭 넓게 하여, 상류측 공간(37a)에 조인트 부재(64, 65, 66, 67)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착 열교환기에서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10: 습도 조절 장치
11: 케이싱
14a: 제1 개폐 패널(유지 보수 개구부)
37: 제1 열교환기실(열교환기실)
37a: 제1 상류측 공간(상류측 공간)
37b: 제1 하류측 공간(하류측 공간)
38: 제2 열교환기실(열교환기실)
50: 냉매 회로
51: 제1 흡착 열교환기(흡착 열교환기)
52: 제2 흡착 열교환기(흡착 열교환기)
58: 전열관
60a: 관판
61: 제1 연락 배관(가스측 배관)
62: 중간 배관(액측 배관)
63: 제2 연락 배관(가스측 배관)
64: 제1 조인트 부재
65: 제3 조인트 부재
66: 제4 조인트 부재
67: 제2 조인트 부재
73: 구획판
73a: 구획판 개구부
74a: 제2 개폐 패널(유지 보수 개구부)
102: 레일 부재

Claims (10)

  1. 흡착재를 갖는 흡착 열교환기가 접속됨과 함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이 행해지는 냉매 회로와, 상기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열교환기실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냉매 회로의 냉매로 흡착 열교환기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면서, 공기를 흡착 열교환기의 흡착제와 접촉시켜 상기 공기의 습도 조절을 행하는 습도 조절 장치이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열교환기실의 내부를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유지 보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 회로에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를 냉매 회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조인트 부재가 접속되고,
    상기 흡착 열교환기는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로부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로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와 제2 흡착 열교환기가 상기 복수의 조인트 부재에 의해 냉매 회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실과 제2 흡착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실이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와 제2 흡착 열교환기는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로부터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실과 제2 열교환기실 사이에는 양 열교환기실을 구획하는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양 열교환기실에 걸치는 제2 흡착 열교환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가 통과 가능한 구획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에는 상기 2개의 열교환기실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열관과, 상기 복수의 전열관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판측 단부를 지지하는 관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의 구획판측 관판은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가 제2 열교환기실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의 구획판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로에는 제1 흡착 열교환기의 가스측 배관에 접속되는 제1 조인트 부재와, 제2 흡착 열교환기의 가스측 배관에 접속되는 제2 조인트 부재와, 제1 흡착 열교환기와 제2 흡착 열교환기 사이의 액측 배관에 접속되는 제3 조인트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측 배관에는 상기 제1 흡착 열교환기측으로부터 상기 제2 흡착 열교환기측을 향해 상기 제3 조인트 부재와 제4 조인트 부재가 순서대로 접속되고,
    상기 제3 조인트 부재는, 제1 열교환기실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측쪽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4 조인트 부재는 제1 열교환기실에 있어서의 유지 보수 개구부와 반대측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인트 부재는 그 전부가 제1 열교환기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에서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각각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상류측 공간과 상기 하류측 공간에서는, 어느 한쪽 공간의 공기 흐름 방향의 폭 치수가 다른 쪽 공간의 공기 흐름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실에 있어서 상기 폭 치수가 큰 쪽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에서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의 하류측 공간 쪽이 상기 흡착 열교환기의 상류측 공간보다도 상기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실에는 상기 흡착 열교환기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착 열교환기를 상기 유지 보수 개구부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장치.
KR1020107011732A 2007-10-31 2008-10-23 습도 조절 장치 KR10131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3632A JP5169149B2 (ja) 2007-10-31 2007-10-31 調湿装置
JPJP-P-2007-283632 2007-10-31
PCT/JP2008/003002 WO2009057264A1 (ja) 2007-10-31 2008-10-23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189A true KR20100087189A (ko) 2010-08-03
KR101311548B1 KR101311548B1 (ko) 2013-09-26

Family

ID=4059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732A KR101311548B1 (ko) 2007-10-31 2008-10-23 습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0812B2 (ko)
EP (1) EP2221548A4 (ko)
JP (1) JP5169149B2 (ko)
KR (1) KR101311548B1 (ko)
CN (1) CN101952664B (ko)
AU (1) AU2008320254B2 (ko)
WO (1) WO2009057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3977B2 (ja) * 2011-08-31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2967012B (zh) * 2011-08-31 2015-09-23 大金工业株式会社 调湿装置
CN105987453A (zh) * 2015-05-25 2016-10-05 上海净养环保科技有限公司 新风净化装置
KR101928480B1 (ko) 2017-06-08 2018-12-12 김성주 유해물질 제거장치
US11454420B2 (en) 2019-02-06 2022-09-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ervice plate for a heat exchanger assembly
KR20210098019A (ko) * 2020-01-31 202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593Y2 (ko) * 1987-10-30 1992-12-10
US5140830A (en) * 1990-10-31 1992-08-25 Consolidated Technology Corporation Self-contained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JPH11223380A (ja) * 1998-02-04 1999-08-17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該室内機における熱交換器の取り扱い方法
JP3501678B2 (ja) * 1998-05-26 2004-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保管・運送・設置方法
JP3567459B2 (ja) * 2001-10-24 2004-09-22 木村工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5009767A (ja) 2003-06-19 2005-01-1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4161841B2 (ja) * 2003-07-11 2008-10-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WO2005008140A1 (ja) * 2003-07-22 2005-01-27 Daikin Industries, Ltd. 調湿装置
JP3757976B2 (ja) * 2004-04-15 2006-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JP4493478B2 (ja) * 2004-11-25 2010-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4692078B2 (ja) 2005-05-30 2011-06-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6349304A (ja) 2005-06-20 2006-12-2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7093125A (ja) * 2005-09-29 2007-04-12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100838881B1 (ko) * 2006-12-29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1548A1 (en) 2010-08-25
WO2009057264A1 (ja) 2009-05-07
JP5169149B2 (ja) 2013-03-27
KR101311548B1 (ko) 2013-09-26
AU2008320254A1 (en) 2009-05-07
EP2221548A4 (en) 2014-11-19
CN101952664A (zh) 2011-01-19
US20100242521A1 (en) 2010-09-30
JP2009109123A (ja) 2009-05-21
AU2008320254B2 (en) 2011-08-11
US9200812B2 (en) 2015-12-01
CN101952664B (zh)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1127377B1 (ko) 조습장치
KR101143099B1 (ko) 조습장치
KR101311548B1 (ko) 습도 조절 장치
KR101143158B1 (ko) 조습장치
KR101143068B1 (ko) 조습장치
KR100829678B1 (ko) 조습 장치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JP5109591B2 (ja) 調湿装置
KR101084486B1 (ko) 조습장치
JP2009092299A (ja) 調湿装置
JP2017129317A (ja) 調湿装置
JP3742895B2 (ja) 調湿装置
JP2005283066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