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158B1 - 조습장치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158B1
KR101143158B1 KR1020107001883A KR20107001883A KR101143158B1 KR 101143158 B1 KR101143158 B1 KR 101143158B1 KR 1020107001883 A KR1020107001883 A KR 1020107001883A KR 20107001883 A KR20107001883 A KR 20107001883A KR 101143158 B1 KR101143158 B1 KR 10114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humidity
casing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252A (ko
Inventor
요시노리 나리카와
다카히로 유키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케이싱 내에는, 구획판에 의해,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통로와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통로가 구획 형성된다. 각 습도센서는 각 공기통로에 임한 통로면 중, 구획판의 통로면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조습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케이싱 내 구획판에 의해,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통로와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통로가 구획 형성되는 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공기통로에 각각 습도센서가 장착되는 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외공기나 실내공기를 조습하고, 조습 후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6-349304호 공보)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되는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한 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에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매회로가 형성된다. 이 냉매회로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을 교대로 수행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수분이 흡착제로부터 탈리되어 공기에 부여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는, 각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제습운전 중의 조습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 중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케이싱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가 설정된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케이싱 내로 도입된다. 예를 들어 제습운전 중의 조습장치는, 도입한 실외공기를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에서 제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를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로부터 탈리된 수분과 함께 실외로 배출한다. 이로써, 실내의 조습과 동시에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에서는,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공기의 습도에 기초하여 조습능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 내에는, 도입된 실외공기가 흐르는 외기측 유로(제 1 공기통로)와, 도입된 실내공기가 흐르는 내기측 유로(제 2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외기측 유로와 내기측 유로는 1장의 구획판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외기측 유로와 내기측 유로에는 각각 습도센서가 장착된다. 조습장치의 운전 시에는, 각 습도센서에 의해 실외공기나 실내공기의 습도가 검출되며, 이 검출습도에 대응하여 흡착열교환기의 조습능력을 제어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조습장치에서는, 제 1 공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제 2 공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온도가 크게 다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여름철 운전 시에는 실외공기보다 실내공기가 저온이 되며, 겨울철 운전 시에는 실내공기보다 실외공기가 저온이 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의 조습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실외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를 구획판 표면에 장착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여름철 운전 시에, 습도센서의 열이 구획판을 통해 저온측 통로(실내공기)로 전도되어 버려, 습도센서 주위의 온도가 낮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습도센서 근방에서 결로수가 발생되어 습도센서가 젖어버리거나, 습도센서의 검출습도에 오차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조습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습도센서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억제하여, 습도센서가 젖거나 검출습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회피하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서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통로(34)와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통로(32)를 구획 형성하도록 양 공기통로(32, 34) 사이에 설치되는 구획판(70)과, 각 공기통로(32, 34)를 흐르는 공기를 조습하는 조습수단(51, 52)과,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각각 장착되며 각 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96, 97)를 구비한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조습장치는 상기 각 습도센서(96, 97)가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임한 통로면 중, 상기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케이싱(11) 내에 구획판(70)이 설치됨으로써, 케이싱(11) 내에 제 1 공기통로(34)와 제 2 공기통로(32)가 구획된다. 제 1 공기통로(34)로 도입되는 실외공기나, 제 2 공기통로(32)로 도입되는 실내공기는 조습수단(51, 52)에서 조습된다. 조습 후의 공기는, 예를 들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어 실내 조습에 이용된다. 또 각 공기통로(32, 34)에는 습도센서(96, 97)가 각각 장착된다. 각 습도센서(96, 97)는 각 공기 중의 습도를 검지한다. 각 습도센서(96, 97)에서 검지된 습도는, 예를 들어 조습수단(51, 52)의 조습능력 제어에 이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 습도센서(96, 97)는, 각 공기통로(32, 34)에 임한 통로면 중,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기통로(32, 34)의 온도차에 의해 열이 전도되기 쉬운 구획판(70)에는 습도센서(96, 97)가 장착되지 않고, 그 이외의 통로면에 습도센서(96, 97)가 장착된다. 따라서 습도센서(96, 97)의 열이 구획판(70)을 통해 다른 공기통로(32, 34)로 전도되어 버리는 것이 회피되며,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 결로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96, 97)가 지지되는 지지대(101)와, 상기 공기통로(32, 34)의 통로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101)가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장착부재(1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공기통로(32, 34)의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부재(120)가 장착된다. 한편, 습도센서(96, 97)는 지지대(101)에 지지되며, 이 지지대(101)를 개재하여 장착부재(120)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습도센서(96, 97)의 탈착이 용이해지므로, 습도센서(96, 97)의 유지보수(maintenance)나 교환작업도 용이해진다. 또 습도센서(96, 97)를 지지대(101)에 지지시킴으로써, 습도센서(96, 97)와 통로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둘 수 있다. 따라서 구획판(70) 이외 통로면의 온도가 저하돼 버렸다 하더라도, 습도센서(96, 97)와 통로면 사이의 열 전도(傳導)가 억제되므로,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20)에는, 상기 공기통로(32, 34)의 통로면을 따라 이어짐과 더불어, 길이방향 양단에 걸쳐지도록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는 레일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1) 단부에는, 상기 레일부(122)의 가이드 홈(123)에 끼워지고 이 레일부(122)에 진퇴 자유롭게 유지되는 가이드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장착부재(120)에 레일부(122)가 형성되며, 지지대(101)에는 레일부(122)의 가이드 홈(123)에 끼워지는 가이드부(104)가 형성된다. 습도센서(96, 97)는,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를 가이드 홈(123)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대(101)가 장착부재(120)에 장착된다. 이 구성에서는, 장착부재(120)에 대한 지지대(101)의 장착/분리가 용이해진다.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한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된다. 각 습도센서(96, 97)는, 각 공기통로(32, 34)에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 쪽, 즉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싱(11) 일측면(14) 쪽으로부터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통해, 습도센서(96, 97) 쌍방의 유지보수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2 또는 제 3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한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재(120)에는 상기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상기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과 마찬가지로,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각 습도센서(96, 97)가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장착부재(120)에는 지지대(1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임하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통해, 지지대(101)가 연결부(125)를 개재하여 장착부재(12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3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한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122)의 상기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01)가 맞닿도록 플레이트부(124)가 세워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24)에는, 상기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4 발명과 마찬가지로,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각 습도센서(96, 97)가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장착부재(120)에는, 레일부(122)의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 단부에 플레이트부(124)가 세워 설치된다. 이 플레이트부(124)는 레일부(122)를 따라 진퇴하는 지지대(101)와 맞닿음으로써, 가이드부(104)가 레일부(122)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금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성한다.
또 플레이트부(124)에는 장착부재(120)에 지지대(1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형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부(124)는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통해, 지지대(101)를 연결부(125)를 개재하여 장착부재(12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상기 조습수단(51, 52)이 설치되는 조습실(37, 38)과, 이 조습실(37, 38) 및 상기 각 공기통로(34, 32)를 구획함과 동시에, 이 조습실(37, 38)과 각 공기통로(34, 32)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41~44)를 갖는 댐퍼측 구획판(7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습도센서(96, 97) 중 한쪽 또는 양쪽은,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임한 통로면 중, 댐퍼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 공기통로(34)나 제 2 공기통로와 조습실(37, 38)이 댐퍼측 구획판(71)에 의해 구획된다. 댐퍼측 구획판(71)에는 복수의 댐퍼(41~44)가 설치된다. 이 댐퍼(41~44)가 개폐됨으로써, 조습실(37, 38)과 제 1 공기통로(34)나 제 2 공기통로(32)의 개폐상태가 전환되어, 케이싱(11) 내 공기 흐름이 변경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습도센서(96, 97) 중 한쪽 또는 양쪽이 각 공기통로(34, 32)의 통로면 중 댐퍼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장착된다. 이로써, 댐퍼(41~44)의 배선과 습도센서(96, 97)의 배선이 집약되어, 이들 배선작업이 간소화된다.
제 8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습도센서(96, 97)는,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임한 통로면 중 상기 구획판(70)과 대향하는 통로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각 공기통로(32, 34)에서, 각 습도센서(96, 97)가 구획판(70)과 대향하는 통로면에 장착된다. 즉, 각 습도센서(96, 97)는 구획판(70)에서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각 습도센서(96, 97)로부터 구획판(70)으로의 열 전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공기통로(32, 34)에 장착되는 각 습도센서(96, 97)를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습도센서(96, 97)의 열이 구획판(70)으로 전도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습도센서(96, 97) 표면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습도센서(96, 97)에 결로수가 부착되어 버리거나, 습도센서(96, 97) 근방의 습도가 국소적으로 증대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수 발생에 기인하여 습도센서(96, 97)가 고장나거나, 습도센서(96, 97)의 검출습도에 오차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조습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따르면, 습도센서(96, 97)를 지지대(101)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통로면의 장착부재(120)에 지지대(101)를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습도센서(96, 97)의 장착/분리가 용이해지므로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또 장착부재(120)가 장착되는 통로면에서 습도센서(96, 97)까지의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을 둘 수 있으므로, 습도센서(96, 97)의 열이 통로면 쪽으로 전도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한층 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어, 결로수로 인한 습도센서(96, 97)의 젖음이나 검출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따르면, 통로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20)에 레일부(122)를 형성하고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를 레일부(122)의 가이드 홈(123)에 끼워 맞춤으로써,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지지대(101)를 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착부재(120)에 대한 지지대(101)의 탈착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 따르면, 습도센서(96, 97) 쌍방을 케이싱(11) 일측면(14)의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배치하도록 하므로, 각 습도센서(96, 97)의 보수점검을 동일방향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를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임하도록 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 제 6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재(120)의 레일부(122) 단부에 플레이트부(124)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가 레일부(122) 단부에서 빠져 버리는 것을 플레이트부(12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5)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24)를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에 배치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 고정작업 시에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와 플레이트부(124)를 맞닿게 함으로써, 지지대(101)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수행하여,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 따르면, 습도센서(96, 97)를 댐퍼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므로, 각 댐퍼(41~44) 및 습도센서(96, 97)의 배선이 집약되어, 이들 배선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댐퍼측 구획판(71)에 습도센서(96, 97)를 장착하도록 하면, 각 공기통로(34, 32)에 임한 다른 통로면을 구성하는 케이싱플레이트(예를 들어 천장판)를 분리한 상태에서, 댐퍼(41~44) 및 습도센서(96, 97)의 배선/동작을 확인하고, 그 후에 천장판 등의 케이싱플레이트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의 조립작업이나, 보수점검작업 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따르면, 각 습도센서(96, 97)를 구획판(70)과 대향하는 통로면에 장착하도록 하므로, 구획판(70)과 습도센서(96, 97)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센서(96, 97)로부터 구획판(70)으로의 열 전도가 더욱 억제되므로,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결로수가 습도센서(96, 97)에 부착되거나, 습도센서(96, 97) 근방의 습도가 국소적으로 증대되거나 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전면(前面)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전면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일부 및 전장품 상자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배면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조습장치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6은 냉매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흡착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장착된 상태의 센서유닛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11은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12는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13은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14는 단순환기운전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15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면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실내의 습도조절과 함께 실내의 환기를 수행하며,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실외로 배출한다.
<조습장치의 전체구성>
조습장치(10)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5를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 "하", "좌", "우", "전", "후", "앞쪽", "안쪽"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조습장치(10)를 전면(前面)측에서 본 경우의 방향을 의미한다.
조습장치(10)는 케이싱(11)을 구비한다. 또 케이싱(11) 내에는 냉매회로가 수납된다. 이 냉매회로(50)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접속된다. 냉매회로(5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싱(11)은 약간 편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케이싱(11)은, 그 좌우방향의 폭이 길이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도 3 참조).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서 좌측 앞쪽 측면(즉,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전면 패널부(12)이며, 도 1에서 우측 안쪽 측면(즉, 배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배면 패널부(13)이다. 또 이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서 우측 앞쪽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 1 측면패널부(14)이며, 도 1에서 좌측 안쪽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 2 측면패널부(15)이다. 케이싱(11)에서는 전면 패널부(12)와 배면 패널부(13)가 서로 대향하며, 제 1 측면패널부(14)와 제 2 측면패널부(15)가 서로 대향한다.
케이싱(11)에는, 외기흡입구(24), 내기흡입구(23), 급기구(22) 및 배기구(21)가 형성된다.
외기흡입구(24) 및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로 개구된다(도 3, 도 4 참조). 외기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 하측부분에 배치된다. 또 외기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방향 중앙에서 제 2 측면 패널부(15) 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된다.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 상측부분에 배치된다. 또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방향 중앙에서 제 1 측면 패널부(14) 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된다.
급기구(22)는 제 1 측면패널부(14)의 전면 패널부(12)측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배기구(21)는 제 2 측면패널부(15)의 전면 패널부(12)측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는 상류측 구획판(71), 하류측 구획판(72), 중앙 구획판(73), 제 1 구획판(74) 및 제 2 구획판(75)이 설치된다. 이들 구획판(71~75)은 모두 케이싱(11) 바닥판에 세워 설치되며, 케이싱(11) 내부공간을 케이싱(11)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쳐 구획한다.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면 패널부(12) 및 배면 패널부(13)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서, 상류측 구획판(71)은 배면 패널부(13) 쪽에 배치되며,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면 패널부(12) 쪽에 배치된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방향 폭은 케이싱(11)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우측 단부는 그 상반 부분이 제 1 측면 패널부(14)에 접합된다. 한편,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측 단부와 제 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방향 폭은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우측 단부와 제 1 측면 패널부(14)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또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측 단부와 제 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도 틈새가 형성된다.
제 1 구획판(74)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오른쪽에서 막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74)은 제 1 측면 패널부(14)와 평행하게, 또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제 1 구획판(74)의 전방측 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우측 단부에 접합된다. 제 1 구획판(74)의 후방측 단부는 상류측 구획판(71)에 접합된다.
제 2 구획판(75)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왼쪽에서 막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구획판(75)은 제 2 측면 패널부(15)와 평행하게, 또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제 2 구획판(75)의 전방측 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측 단부에 접합된다. 제 2 구획판(75)의 후방측 단부는 배면 패널부(13)에 접합된다. 또 이 제 2 구획판(75)에는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측 단부가 접합된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에서 하류측 구획판(72)에 걸쳐 설치되며,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좌우로 구획한다. 또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약간 제 2 측면패널부(15) 쪽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는 내외통로 구획판(70)도 형성된다(도 2, 도 4, 도 5 참조). 내외통로 구획판(70)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배면패널부(13)와 직교하는 수평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과 배멸패널부(13)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내외통로 구획판(70)은 상류측 구획판(71)과 배면패널부(13) 사이의 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내기측 통로(32)를 구성하며, 하측 공간이 외기측 통로(34)를 구성한다. 즉, 내외통로 구획판(70)은, 내기측 통로(32)와 외기측 통로(34)를 구획 형성하도록 양 통로(32, 34) 사이에 설치되는 구획판을 구성한다.
외기측 통로(34)는, 외기흡입구(24)에 접속되는 덕트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즉, 외기측 통로(34)는 케이싱(11) 내로 도입되는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통로를 구성한다. 외기측 통로(34)에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외기측 필터(28)가 설치된다. 외기측 필터(28)는, 긴 변이 좌우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외기측 통로(34)를 횡단하는 자세로 세워 설치된다. 외기측 통로(34)는, 이 외기측 필터(28)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외기측 통로(34)에서 외기측 필터(28)의 앞쪽(하류측) 부분에는, 외기측 통로(34)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외기 습도센서(97)가 수납된다.
내기측 통로(32)는, 내기흡입구(23)에 접속되는 덕트를 개재하여 실내와 연통된다. 즉, 내기측 통로(32)는 케이싱(11) 내로 도입되는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통로를 구성한다. 내기측 통로(32)에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내기측 필터(27)가 설치된다. 내기측 필터(27)는, 긴 변이 좌우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기측 통로(32)를 횡단하는 자세로 세워 설치된다. 내기측 통로(32)는 이 내기측 필터(27)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내기측 통로(32)에서 내기측 필터(27)의 앞쪽(하류측) 부분에는 내기측 통로(32)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내기 습도센서(96)가 수납된다. 각 습도센서(96, 97)에서 검지된 습도는 조습장치(10)의 조습능력 제어에 이용된다. 외기 습도센서(97) 및 내기 습도센서(96)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의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좌우로 구획된 이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공간이 제 1 열교환기실(37)을 구성하며, 중앙 구획판(73)의 좌측 공간이 제 2 열교환기실(38)을 구성한다(도 1, 도 3 참조). 이들 열교환기실(37, 38)은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조습실을 구성한다.
제 1 열교환기실(37)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수납된다. 제 2 열교환기실(38)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수납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두꺼운 판상 혹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흡착열교환기(51, 52)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는, 그 앞면 및 배면이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평행인 자세로 열교환기실(37, 38) 내에 세워 설치된다. 즉, 흡착열교환기(51, 52)는 열교환기실(37, 38)을 횡단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각 열교환기실(37, 38)은 흡착열교환기(51, 52)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각 열교환기실(37, 38)에서 흡착열교환기(51, 52)는 열교환기실(37, 38)의 전후방향 중앙보다 상류측 구획판(71) 쪽 위치에 배치된다. 또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좌우 폭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에는, 액측 분류기(61)와 가스측 헤더(62)가 설치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를 포함한 전체가 제 1 열교환기실(37)에 수납된다.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든 핀(57)을 포함한 대부분이 제 2 열교환기실(38)에 수납되기는 하되, 그 일부분이 중앙 구획판(73)을 관통하여 제 1 열교환기실(37)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는, 이에 부속되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가 제 1 열교환기실(37) 내에 위치한다. 또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가 접속되는 단부 쪽에 위치하는 U자형 관부(59)도 제 1 열교환기실(37) 내로 노출된다. 또 제 1 열교환기실(37)에는 냉매회로(50)의 전동팽창밸브(55)가 수납된다.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서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전면을 따른 부분이 상하로 구획된다(도 2, 도 3, 도 5 참조).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공간이 급기측 통로(31)를 구성하며, 하측공간이 배기측 통로(33)를 구성한다.
상류측 구획판(71)은, 상기 각 열교환기실(37, 38)과 상기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를 각각 구획함과 더불어, 복수의 댐퍼(41~44)를 갖는 댐퍼측 구획판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에는, 각 열교환기실(37, 38)과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식 댐퍼(41~44)가 4개 설치된다(도 3, 도 5 참조). 각 댐퍼(41~44)는 대략 가로형의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 중 내기측 통로(32)에 면한 부분(상측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1 내기측 댐퍼(41)가 설치되며, 중앙 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2 내기측 댐퍼(42)가 설치된다. 또 상류측 구획판(71) 중 외기측 통로(34)에 면한 부분(하측부분)에서는, 중앙 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1 외기측 댐퍼(43)가 설치되며, 중앙 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2 외기측 댐퍼(44)가 설치된다.
제 1 내기측 댐퍼(41)를 개폐하면, 내기측 통로(32)와 제 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내기측 댐퍼(42)를 개폐하면, 내기측 통로(32)와 제 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개폐된다. 제 1 외기측 댐퍼(43)를 개폐하면, 외기측 통로(34)와 제 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외기측 댐퍼(44)를 개폐하면, 외기측 통로(34)와 제 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개폐된다.
상류측 구획판(71)에서, 제 1 외기측 댐퍼(43)는 제 1 내기측 댐퍼(41)의 바로 밑에 배치된다. 제 1 내기측 댐퍼(41) 및 제 1 외기측 댐퍼(43)는, 각각의 좌우 폭방향 중앙이 제 1 열교환기실(37)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중앙 구획판(73)에 가까운 위치(즉, 제 2 측면패널부(15) 쪽)에 설치된다(도 3 참조).
또 상류측 구획판(71)에서, 제 2 외기측 댐퍼(44)는 제 2 내기측 댐퍼(42)의 바로 밑에 배치된다. 제 2 내기측 댐퍼(42) 및 제 2 외기측 댐퍼(44)는, 각각의 좌우 폭방향 중앙이 제 2 열교환기실(38)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중앙 구획판(73)에 가까운 위치(즉, 제 1 측면패널부(14) 쪽)에 설치된다(도 3 참조).
하류측 구획판(72)에는 개폐식 댐퍼(45~48)가 4개 설치된다(도 3, 도 5 참조). 각 댐퍼(45~48)는 대략 가로형의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류측 구획판(72) 중 급기측 통로(31)에 면한 부분(상측부분)에는, 중앙 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1 급기측 댐퍼(45)가 설치되며, 중앙 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2 급기측 댐퍼(46)가 설치된다. 또 하류측 구획판(72) 중 배기측 통로(33)에 면한 부분(하측부분)에는, 중앙 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1 배기측 댐퍼(47)가 설치되며, 중앙 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2 배기측 댐퍼(48)가 설치된다.
제 1 급기측 댐퍼(45)를 개폐하면, 급기측 통로(31)와 제 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급기측 댐퍼(46)를 개폐하면, 급기측 통로(31)와 제 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개폐된다. 제 1 배기측 댐퍼(47)를 개폐하면, 배기측 통로(33)와 제 1 열교환기실(37)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배기측 댐퍼(48)를 개폐하면, 배기측 통로(33)와 제 2 열교환기실(38) 사이가 개폐된다.
하류측 구획판(72)에서, 제 1 배기측 댐퍼(47)는 제 1 급기측 댐퍼(45)의 바로 밑에 배치된다. 제 1 급기측 댐퍼(45) 및 제 1 배기측 댐퍼(47)는, 각각의 좌우 폭방향 중앙이 제 1 열교환기실(37)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중앙 구획판(73)에 가까운 위치(즉, 제 2 측면패널부(15) 쪽)에 설치된다(도 3 참조).
또 하류측 구획판(72)에서, 제 2 배기측 댐퍼(48)는 제 2 급기측 댐퍼(46)의 바로 밑에 배치된다. 제 2 배기측 댐퍼(48) 및 제 2 급기측 댐퍼(46)는, 각각의 좌우 폭방향 중앙이 제 2 열교환기실(38)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중앙 구획판(73)에 가까운 위치(즉, 제 1 측면패널부(14) 쪽)에 설치된다(도 3 참조).
케이싱(11) 내에서는, 급기측 통로(31) 및 배기측 통로(33)와 전면패널부(12) 사이의 공간이 급배기 구획판(7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이 좌우로 구획된 공간은 급배기 구획판(77)의 우측공간이 급기팬실(36)을 구성하며, 급배기 구획판(77)의 좌측공간이 배기팬실(35)을 구성한다. 이 급배기 구획판(77)은 중앙 구획판(73)보다 더 제 2 측면 패널부(15) 쪽 위치에 세워 설치된다. 급기팬실(36) 및 배기팬실(35)은 모두 케이싱(11)의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친 공간이다.
급기팬실(36)에는 급기팬(26)이 수납된다. 또 배기팬실(35)에는 배기팬(25)이 수납된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은 모두 원심형의 다익 팬(multiblade fan)(이른바, 시로코팬))이다.
구체적으로, 이들 팬(25, 26)은 팬 로터, 팬 케이싱(86) 및 팬 모터(89)를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팬 로터는 그 축방향 길이가 지름에 비해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주연부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된다. 팬 로터는 팬 케이싱(86)에 수납된다. 팬 케이싱(86)에서는 그 측면(팬 로터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한쪽에 흡입구(87)가 개구된다. 또 팬 케이싱(86)에는 그 주연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며, 그 부분의 돌출단에 토출구(88)가 개구된다. 팬 모터(89)는 팬 케이싱(86)의 흡입구(87)와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다. 팬 모터(89)는 팬 로터에 연결되어 팬 로터를 회전 구동시킨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에서, 팬 로터가 팬 모터(89)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흡입구(87)를 통해 팬 케이싱(86) 내로 공기가 흡입되며, 팬 케이싱(86) 내 공기가 토출구(88)로부터 토출된다.
급기팬실(36)에서 급기팬(26)은, 팬케이싱(86)의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 급기팬(26)의 팬케이싱(86) 토출구(88)는, 급기구(22)로 연통하는 상태로 제 1 측면패널부(14)에 설치된다.
배기팬실(35)에서 배기팬(25)은, 팬케이싱(86)의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 배기팬(25)의 팬케이싱(86) 토출구(88)는, 배기구(21)로 연통하는 상태로 제 2 측면패널부(15)에 설치된다.
급기팬실(36)에는 냉매회로(50)의 압축기와 사방밸브(54)가 수납된다. 압축기(53) 및 사방밸브(54)는, 급기팬실(36)에서 급기팬(26)과 급배기 구획판(77) 사이에 배치된다.
사방밸브(54)에는 각 흡착열교환기(51, 52)의 가스측 헤더(62)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배관(65)이 접속된다. 이 연결배관(65)은 하류측 구획판(72)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하류측 구획판(72)에서는, 급기측 통로(31)에 임한 부분(상측부분) 중,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부분(즉, 제 1 열교환기실(37)에 임한 부분)을 연결배관(65)이 관통한다. 여기서 각 흡착열교환기(51, 52)의 액측 분류기(61)는, 한쪽이 전동팽창밸브(55) 일단에 접속되며, 다른 쪽이 전동팽창밸브(55) 타단에 접속된다.
케이싱(11) 내에서, 제 1 구획판(74)과 제 1 측면패널부(14) 사이의 공간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구성한다(도 2, 도 3 참조). 또 케이싱(11) 내에서, 제 2 구획판(75)과 제 2 측면패널부(15) 사이의 공간은 제 2 바이패스통로(82)를 구성한다(도 3, 도 4 참조). 제 1 바이패스통로(81) 및 제 2 바이패스통로(82)는 케이싱(11)의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친 공간이다. 제 1 바이패스통로(81)의 통로 폭은, 제 2 바이패스통로(82)의 통로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1 바이패스통로(81)의 시작단(배면패널부(13)측 단부)은 외기측 통로(34)로만 연통되며, 내기측 통로(32)로부터 차단된다. 이 제 1 바이패스통로(81)는, 외기측 통로(34)의 외기측 필터(28) 하류측 부분과 연통된다. 제 1 바이패스통로(81)의 종단(전면패널부(12)측 단부)은 구획판(78)에 의해 급기측 통로(31), 배기측 통로(33) 및 급기팬실(36)로부터 구획된다. 구획판(78) 중, 급기팬실(36)에 임한 부분에는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가 설치된다.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는 대략 세로형의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를 개폐하면, 제 1 바이패스통로(81)와 급기팬실(36)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바이패스통로(82)의 시작단(배면패널부(13)측 단부)은 내기측 통로(32)로만 연통되며, 외기측 통로(34)로부터 차단된다. 이 제 2 바이패스통로(82)는, 제 2 구획판(75)에 형성된 연통구(76)를 통해, 내기측 통로(32)의 내기측 필터(27) 하류측 부분과 연통된다. 제 2 바이패스통로(82)의 종단(전면패널부(12)측 단부)은, 구획판(79)에 의해 급기측 통로(31), 배기측 통로(33) 및 배기팬실(35)로부터 구획된다. 구획판(79) 중, 배기팬실(35)에 임한 부분에는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설치된다.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대략 세로형의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개폐하면, 제 2 바이패스통로(82)와 배기팬실(35) 사이가 개폐된다.
여기서, 도 5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서는 제 1 바이패스통로(81), 제 2 바이패스통로(82),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의 도시를 생략한다.
케이싱(11)의 일측면인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는,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에 임한 부분이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구성하며, 제 1 바이패스통로(81)에 임한 부분이 제 2 유지보수용 개방부(14b)를 구성한다(도 2 참조).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에는 제 1 개폐패널(17)이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며, 제 2 유지보수용 개방부(14b)에는 제 2 개폐패널(16)이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다(도 1, 도 3 참조).
케이싱(11)의 전면패널부(12)에는 그 우측 부분에 전장품 상자(90)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5에서 전장품 상자(90)는 생략된다. 전장품 상자(90)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며, 그 내부에 제어용 기판(91)과 전원용 기판(92)이 수납된다. 제어용 기판(91) 및 전원용 기판(92)은, 전장품 상자(90)의 측판 중 전면패널부(12)에 인접하는 부분(즉, 배면판)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전원용 기판(92)의 인버터부에는 방열 핀(93)이 설치된다. 이 방열 핀(93)은 전원용 기판(92)의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장품 상자(90)의 배면판과 케이싱(11) 전면패널부(12)를 관통하여 급기팬실(36)로 노출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케이싱(11) 내에서, 압축기(53), 팬(25, 26), 댐퍼(41~48), 습도센서(96, 97) 등에 접속되는 리드선은, 전장품 상자(90)의 내부로 이어진다. 그 중, 상류측 구획판(71)에 설치된 댐퍼(41~44)의 구동모터에 접속되는 리드선이나, 습도센서(96, 97)에 접속되는 리드선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통과하여 전장품 상자(90)로 이어진다.
<냉매회로의 구성>
상기 냉매회로(5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냉매회로(50)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이 냉매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을 수행한다.
상기 냉매회로(50)에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사방밸브(54)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사방밸브(54)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일단은 사방밸브(5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타단은 전동팽창밸브(55)를 개재하여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일단에 접속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타단은 사방밸브(5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5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6(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6(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두 크로스 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실외공기(OA)나 실내공기(RA)를 조습하는 조습수단을 구성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51, 52)는 동제 전열관(58)과 알루미늄제 핀(5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설치된 복수의 핀(57)은, 각각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58)은, 핀(57)의 배열방향으로 사행(蛇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전열관(58)에서는, 각 핀(57)을 관통하는 직관부와, 서로 인접한 직관부들을 접속하는 U자형 관부(59)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각 핀(57)의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되며, 핀(5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57)에 부착 유지된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50)가 열매체 회로를 구성한다. 이 냉매회로(50)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51, 52) 중,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고압의 가스냉매가 가열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되며,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저압의 기액2상 냉매가 냉각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된다.
<습도센서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외기측 통로(34)에는 외기 습도센서(97)가, 내기측 통로(32)에는 내기 습도센서(96)가 각각 장착된다. 외기 습도센서(97)는 케이싱(11)의 바닥판 상면측에 장착되며, 내기 습도센서(96)는 케이싱(11)의 천장판 하면측에 장착된다(도 5의 우측면도 참조). 즉, 각 습도센서(96, 97)는 각 통로(32, 34)에 임한 통로면 중, 내외통로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이면서 내외통로 구획판(70)과 대향하는 통로면에 장착된다.
또 외기 습도센서(97)는 외기측 통로(34)에서 제 1 측면패널부(14) 부근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즉, 외기 습도센서(97)는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근방에 배치된다. 내기 습도센서(96)는 내기측 통로(32)에서 제 1 측면패널부(14) 부근에 배치된다. 즉, 내기 습도센서(96)도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근방에 배치된다.
각 습도센서(96, 97)는 센서유닛(100)에 각각 내장된다. 이들 센서유닛(100)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2개 센서유닛(100)의 기본구성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외기 습도센서(97)측 센서유닛(100)을 대표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유닛(100)은 지지대(101)와 센서커버(110)와 장착부재(120)를 구비한다.
지지대(101)는 외기 습도센서(9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지지대(101)는 그 중간부위가 종단면 역"ㄷ"자형이 되도록 팽출되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1)는 지지판부(102)와 다리부(103)와 가이드부(104)를 구비한다.
지지판부(102)는 거의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판부(102) 중앙에는 외기 습도센서(97)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된다. 지지판부(102)는 케이싱(11) 바닥판과 평행인 자세로 이 바닥판과 소정간격을 두도록 지지된다. 이로써 외기 습도센서(97)도 바닥판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지게 된다.
다리부(103)는, 가늘고 긴 거의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다리부(103)는 지지판부(102)의 폭방향(도 9에서 좌우방향) 양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지지판부(102)와 직교하는 자세로 하방으로 이어진다.
가이드부(104)는, 가늘고 긴 거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04)는 다리부(103)의 하측 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다리부(103)와 직교하며 지지판부(102)와 평행인 자세로 폭방향 외측으로 이어진다.
또 지지대(101)에는 거의 장방형의 제 1 연결판(105)이 형성된다. 제 1 연결판(105)은 지지판부(102) 길이방향의 제 1 측면패널부(14) 쪽 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 1 연결판(105)은 지지판부(102)와 직교하며 제 1 측면패널부(14)와 평행이 되도록 지지판부(102)에서 하방으로 이어진다. 제 1 연결판(105)의 높이 치수는 다리부(103)의 높이 치수와 대략 같다. 또 제 1 연결판(105)의 중앙부위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제 1 나사공(106)이 형성된다. 제 1 나사공(106)은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향하도록 개구된다.
상기 센서커버(110)는 외기 습도센서(97)를 피복하는 보호커버를 구성한다. 센서커버(110)는 하측 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센서커버(110)에서는 제 1 연결판(105)과 평행인 측의 한 쌍의 측판부(111, 111) 높이가, 나머지 한 쌍의 측판부(112, 112) 높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센서커버(110)는, 한 쌍의 측판부(111, 111) 하단이 지지판부(102)와 맞닿으며, 나머지 한 쌍의 측판부(112, 112) 하단이 가이드부(104)와 맞닿도록 되며, 지지대(101)에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판부(111, 111)에는 각각 슬릿(112, 112)이 형성된다. 각 슬릿(112, 112)은 각 측판부(111, 111)의 중간부위를 하측에서 잘라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슬릿(112, 112)에 의해, 측판부(111)와 지지판부(102) 사이에, 공기를 센서커버(110) 내부로 도입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한 쌍의 공기유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120)는 상기 지지대(101)를 각 통로(32, 34)의 통로면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외기측 통로(34)에서는 장착부재(120)가 케이싱(11)의 바닥판 상측 통로면에 고정된다. 또 내기측 통로(32)에서는 장착부재(120)가 케이싱(11) 바닥판의 하측 통로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이들 통로면과 장착부재(120)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된다.
장착부재(120)는, 기판(121)과, 이 기판(121)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122)를 구비한다. 기판(121)은, 대응하는 통로면에 설치되며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기판(121)과 지지대(101)는, 그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가 대략 같다. 한 쌍의 레일부(122)는 서로 평행하며, 또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와 직교하도록 이어진다. 레일부(122)는 장착부재(120)의 폭방향 양단을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즉, 레일부(122)는 그 횡단면이 안쪽으로 개방되는 역"ㄷ"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레일부(122) 안쪽에는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홈(123)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23)은 레일부(122)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쳐 형성된다.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는, 가이드 홈(123)에 끼워짐으로써 가이드부(104)에 진퇴 자유롭게 유지된다.
또 장착부재(120)에는, 플레이트부로서의 제 2 연결판(124)이 형성된다. 제 2 연결판(124)은 상기 제 1 연결판(105)과 대략 동일형상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 2 연결판(124)은 기판(121) 길이방향(즉, 레일부(122)의 길이방향)의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 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 2 연결판(124)은 기판(121) 단부의 폭방향 중간부위에 세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연결판(124)은 가이드 홈(123)에 진퇴 자유롭게 유지되는 지지대(101)의 제 1 연결판(105)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제 2 연결판(124)의 중앙 부위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제 2 나사공(125)이 형성된다. 제 2 나사공(125)은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를 향하도록 개구된다. 제 2 나사공(125)은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로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또한 센서유닛(100)에서는, 지지대(101)가 장착부재(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서의 나사(130)를 구비한다. 나사(130)는, 제 1 연결판(105)과 제 2 연결판(124)이 맞닿은 상태에서 각 나사공(106, 125)에 체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의 탈착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제습환기운전과, 가습환기운전 및 단순환기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제습환기운전 중이나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한 후 공급급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를 그대로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그대로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제습환기운전>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제습환기운전 중에 있어서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상태이다.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내기측 댐퍼(41), 제 2 외기측 댐퍼(44), 제 2 급기측 댐퍼(46) 및 제 1 배기측 댐퍼(4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내기측 댐퍼(42), 제 1 외기측 댐퍼(43), 제 1 급기측 댐퍼(45) 및 제 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전동팽창밸브(55),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2 외기측 댐퍼(44)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급기측 댐퍼(46)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1 내기측 댐퍼(41)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배기측 댐퍼(47)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2 내기측 댐퍼(42), 제 1 외기측 댐퍼(43), 제 1 급기측 댐퍼(45) 및 제 2 배기측 댐퍼(4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내기측 댐퍼(41), 제 2 외기측 댐퍼(44), 제 2 급기측 댐퍼(46) 및 제 1 배기측 댐퍼(4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 전동팽창밸브(55),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외기측 댐퍼(43)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1 급기측 댐퍼(45)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내기측 댐퍼(42)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2 배기측 댐퍼(48)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가습환기운전 중에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상태가 된다.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2 내기측 댐퍼(42), 제 1 외기측 댐퍼(43), 제 1 급기측 댐퍼(45) 및 제 2 배기측 댐퍼(4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내기측 댐퍼(41), 제 2 외기측 댐퍼(44), 제 2 급기측 댐퍼(46) 및 제 1 배기측 댐퍼(4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2 내기측 댐퍼(42)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2 배기측 댐퍼(48)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1 외기측 댐퍼(43)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1 급기측 댐퍼(45)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1)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다음에,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내기측 댐퍼(41), 제 2 외기측 댐퍼(44), 제 2 급기측 댐퍼(46) 및 제 1 배기측 댐퍼(4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내기측 댐퍼(42), 제 1 외기측 댐퍼(43), 제 1 급기측 댐퍼(45) 및 제 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내기측 댐퍼(41)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1 배기측 댐퍼(47)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외기측 댐퍼(44)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2 급기측 댐퍼(46)를 지나 급기측 유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단순환기운전>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 동작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단순환기운전은, 실외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공급해도 실내의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는 시기(예를 들어, 봄이나 가을 등 중간기)에 실행된다. 즉, 이 단순환기운전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필요는 없지만 실내를 환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이 단순환기운전에서는,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내기측 댐퍼(41), 제 2 내기측 댐퍼(42), 제 1 외기측 댐퍼(43), 제 2 외기측 댐퍼(44), 제 1 급기측 댐퍼(45), 제 2 급기측 댐퍼(46), 제 1 배기측 댐퍼(47) 및 제 2 배기측 댐퍼(4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단순환기운전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50)의 압축기(53)는 정지상태가 된다. 즉, 단순환기운전 중에는 냉매회로(50)에서 냉동사이클이 수행되지 않는다.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외기흡입구(24)를 지나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한 실외공기는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후에 제 1 바이패스통로(81)로 유입하며,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를 지나 급기팬실(36)로 유입한다. 급기팬실(36)로 유입한 실외공기는 급기팬(26)으로 흡입되며,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또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내기흡입구(23)를 지나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한 실내공기는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후에 제 2 바이패스통로(82)로 유입하며,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지나 배기팬실(35)로 유입한다. 배기팬실(35)로 유입한 실내공기는 배기팬(25)으로 흡입되며,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습도센서의 습윤대책-
전술한 바와 같이, 조습장치(10)의 각 운전 시에는, 실외공기(OA)가 외기측 통로(34)로 도입되는 동시에, 실내공기(RA)가 내기측 통로(32)로 도입된다. 즉, 케이싱(11) 내에서는 내외통로 구획판(70)을 개재하여 상측을 실내공기(RA)가 흐르며, 하측을 실외공기(OA)가 흐른다.
여기서, 예를 들어 여름이나 겨울 등에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의 온도차가 커지면, 외기측 통로(34) 쪽 열과 내기측 통로(32)의 열이 내외통로 구획판(70)을 통해 전도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종래예에서는 이와 같은 구획판에 습도센서가 장착되므로, 습도센서의 열이 구획판으로 전도되어, 습도센서 근방에서 결로수가 발생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각 습도센서(96, 97)는 각 통로(32, 34)에서 내외통로 구획판(70)의 통로면 이외의 통로면(즉, 케이싱(11)의 바닥판 및 천장판)에 장착된다. 따라서 습도센서(96, 97)로부터 내외통로 구획판(70)으로의 열 전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이 결로수가 각 습도센서(96, 97)에 부착되거나, 각 습도센서(96, 97) 주위의 습도가 국소적으로 증대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습도센서(96, 97)의 습윤에 기인하여 각 습도센서(96, 97)가 고장나거나, 각 습도센서(96, 97)의 검지습도에 오차가 생기거나 하는 일이 회피된다. 이로써 조습장치(10)에서는, 이들 습도센서(96, 97)의 검지습도에 기초하여, 적정한 조습능력의 제어(예를 들어 압축기(53)의 운전주파수 제어에 의한 냉매순환량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센서유닛의 탈착작업-
다음으로, 내기 습도센서(96)나 외기 습도센서(97)가 내장되는 센서유닛(100)의 탈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습도센서(96)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케이싱(11)으로부터 제 1 개폐패널(17)(도 1 참조)을 분리시킨다. 그 결과, 작업자에 대해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도 8 참조).
작업자는 제 1 연결판(105) 및 제 2 연결판(124)으로부터 나사(130)를 풀고,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부(122)를 따르도록 지지대(101)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가이드 홈(123)으로부터 가이드부(104)를 빼 낸다. 이상으로써, 장착부재(120)로부터 지지대(101)가 분리된다.
한편,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장착할 때에는,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를 가이드 홈(123)의 앞쪽 단부로부터 삽입시킨다. 그리고 지지대(101)를 안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제 1 연결판(105)과 제 2 연결판(124)을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연결판(105) 및 제 2 연결판(124)을 나사(130)로 체결함으로써,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가 연결 고정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기측 통로(34) 및 내기측 통로(32)에 장착되는 각 습도센서(96, 97)를 내외통로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하도록 했다. 이로써, 각 습도센서(96, 97)로부터 내외통로 구획판(70)으로의 열 전도를 억제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96, 97) 근방에서의 결로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습도센서(96, 97)에 결로수가 부착되어 버리거나, 습도센서(96, 97) 근방의 습도가 국소적으로 증대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수가 부착됨으로써 습도센서(96, 97)가 고장나거나, 습도센서(96, 97)의 검출습도에 오차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조습장치(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기 습도센서(96)를 케이싱(11)의 천장판 하면에 장착하며, 외기 습도센서(97)를 케이싱(11)의 바닥판 상면에 장착했다. 즉, 각 습도센서(96, 97)는 내외통로 구획판(70)과 대향하는 통로면에 각각 장착된다. 따라서 내외통로 구획판(70)과 각 습도센서(96, 97)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96, 97)로부터 내외통로 구획판(70)으로의 열 전도를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결로수가 습도센서(96, 97)에 부착되거나, 습도센서(96, 97) 근방의 습도가 국소적으로 증대되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습도센서(96, 97)를 지지대(101)로 지지함과 동시에, 통로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20)에 지지대(101)를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했다. 이로써 각 습도센서(96, 97)의 장착/분리가 용이해지므로,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장착부재(120)에 레일부(120)를 형성하여, 지지대(101)의 가이드부(104)를 레일부(122)의 가이드 홈(123)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장착하도록 했다. 이로써, 지지대(101)를 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장착부재(120)에 대한 지지대(101)의 탈착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습도센서(96, 97) 쌍방을 케이싱(11) 한쪽의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에 배치하도록 하므로, 각 습도센서(96, 97)의 보수를 동일방향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2 나사공(125)을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임하도록 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지지대(101)와 장착부재(120)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 제 2 연결판(124)을 레일부(122)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형성함으로써, 제 2 연결판(124)을 가이드부(104)의 이탈방지용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판(124)과 제 1 연결판(105)을 나사(130)로 체결할 때에는, 제 2 연결판(124)을 지지대(101)의 위치결정 부재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각 습도센서(96, 97)의 장착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각 습도센서(96, 97)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외기측 통로(34)나 내기측 통로(32)에 임한 통로면 중, 배면패널부(13) 쪽 통로면이나 제 1 개폐패널(17) 쪽 통로면 또는 상류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내기 습도센서(96)를 상류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장착하는 한편, 외기 습도센서(97)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의 바닥판 쪽 통로면에 장착한다. 여기서, 내기 습도센서(96)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센서유닛(100)에 내장된다. 또 내기 습도센서(96)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개폐패널부(14a) 부근에 배치되며, 제 1 개폐패널(17)을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내기측 통로(32)에서 내기 습도센서(96)의 상류측에 내기측 필터(27)가 배치된다. 이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이 내기 습도센서(96)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기 습도센서(96)를 상류측 구획판(71)에 장착하면, 이 조습장치(10)를 조립할 때에 내기 습도센서(96)의 배선작업이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조습장치(10)의 조립 시에는, 케이싱(11)의 천장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류측 구획판(71)의 내기 습도센서(96)나 제 1, 제 2 내기측 댐퍼(41, 42)의 배선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 배선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지나 전장품 상자(90)로 도입된다. 또 조립 시에는, 내기 습도센서(96)나 제 1, 제 2 내기측 댐퍼(41, 42)가 정상으로 기능되는지를 검사한 후에 천장판을 케이싱(11)에 설치한다.
이에 반해, 가령 천장판 쪽 통로면에 내기 습도센서(96)를 장착하도록 하면, 케이싱(11)의 천장판과 함께 내기 습도센서(96)도 분리되어 버리므로, 이와 같은 천장판의 분리를 고려하여, 전장품 상자(90)부터 내기 습도센서(96)까지의 배선에 여유를 줄 필요가 있다. 또는 댐퍼(41, 42) 등의 검사를 한 후 천장판을 케이싱(11)에 설치한 뒤, 내기 습도센서(96)의 배선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댐퍼(41, 42)를 갖는 상류측 구획판(71) 쪽 통로면에 내기 습도센서(96)를 장착함으로써, 천장판의 조립상태에 상관없이, 전장품 상자(90)부터 내기 습도센서(96)까지 사이를 비교적 짧은 배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 댐퍼(41, 42)의 배선과 내기 습도센서(96)의 배선을 동일 경로에 배치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간소화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외통로 구획판(70) 상측에 내기측 통로(32)를 구획하며 하측에 외기측 통로(34)를 구획했으나, 이와 반대로 상측에 외기측 통로(34)를 구획하며 하측에 내기측 통로(34)를 구획하도록 해도 된다. 또 내외통로 구획판(70)을 수직 자세로 하여, 좌우 양 측방에 외기측 통로(34)와 내기측 통로(32)를 구획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구성에서도, 내외통로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습도센서(96, 97)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51, 52)로 구성된 조습수단으로 공기를 조습했다. 그러나 조습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판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된 흡착 로터나,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현열 및 잠열을 교환하는 전열(全熱) 교환기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습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10 : 조습장치 11 : 케이싱
14 : 제 1 측면패널부(케이싱의 일측면)
14a : 제 1 유지보수용 개방부(유지보수용 개방부)
32 : 내기측 통로(제 2 공기통로) 34 : 외기측 통로(제 1 공기통로)
41 : 제 1 내기측 댐퍼(댐퍼) 42 : 제 2 내기측 댐퍼(댐퍼)
43 : 제 1 외기측 댐퍼(댐퍼) 44 : 제 2 외기측 댐퍼(댐퍼)
51 : 제 1 흡착열교환기(조습수단) 52 : 제 2 흡착열교환기(조습수단)
70 : 내기통로 구획판(구획판) 71 : 상류측 구획판(댐퍼측 구획판)
96 : 내기 습도센서(습도센서) 97 : 외기 습도센서(습도센서)
101 : 지지대 104 : 가이드부
120 : 장착부재 122 : 레일부
123 : 가이드홈 124 : 제 2 연결판(플레이트부)
125 : 제 2 나사공(연결부)

Claims (8)

  1.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서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공기통로(34)와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공기통로(32)를 구획 형성하도록 양 공기통로(32, 34) 사이에 설치되는 구획판(70)과, 각 공기통로(32, 34)를 흐르는 공기를 조습하는 조습수단(51, 52)과,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각각 장착되며 각 공기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센서(96, 97)를 구비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1)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천장판과,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23, 24)가 형성되는 측판(13)과, 상기 조습 수단(51, 52)이 설치되는 조습실(37, 38)과, 상기 조습실(37, 38) 및 상기 각 공기통로(34, 32)를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조습실(37, 38)과 각 공기통로(34, 32)를 각각 단속(斷續)하는 복수의 댐퍼(41 내지 44)를 갖는 댐퍼측 구획판(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70)은 상기 케이싱(11)의 천장판과 상기 측판(13)과 상기 댐퍼측 구획판(71)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공기통로(34)와 제2 공기통로(32)의 한쪽을 구획하고, 케이싱(11)의 바닥판과 상기 측판(13)과 상기 댐퍼측 구획판(71)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공기통로(34)와 제2 공기통로(32)의 다른 쪽을 형성하도록,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있고,
    상기 구획판(70)의 상측의 공기통로(32)에는, 흡입구(23)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조습실(37, 38)에 유입되는 공기 내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27)가 설치되고,
    상기 각 습도센서(96, 97)는 상기 각 공기통로(32, 34)에 임하는 통로면 중, 상기 구획판(70) 이외의 통로면에 장착되고,
    상기 각 습도 센서(96, 97) 중 상기 구획판(70)의 상측의 공기통로(32)에 배치되는 습도 센서(96)가, 상기 필터(27)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댐퍼측 구획판(71)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96, 97)가 지지되는 지지대(101)와,
    상기 공기통로(32, 34)의 통로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101)가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장착부재(1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20)에는, 상기 공기통로(32, 34)의 통로면을 따라 이어짐과 더불어, 길이방향 양 끝에 걸쳐지도록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는 레일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1)의 단부에는, 상기 레일부(122)의 가이드 홈(123)에 끼워지고 이 레일부(122)에 진퇴 자유롭게 유지되는 가이드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하는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하는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재(120)에는, 상기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상기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쪽에 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14)에는, 상기 제 1 공기통로(34) 및 제 2 공기통로(32) 쌍방에 임하는 유지보수용 개방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센서(96, 97) 쌍방이, 케이싱(11)의 상기 일측면(14)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122)의 상기 유지보수용 개방부(14a) 부근 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01)가 맞닿도록 플레이트부(124)가 세워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24)에는, 상기 지지대(101)를 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1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07001883A 2007-08-28 2008-08-18 조습장치 KR101143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1090 2007-08-28
JPJP-P-2007-221090 2007-08-28
JP2007283633A JP4305555B2 (ja) 2007-08-28 2007-10-31 調湿装置
JPJP-P-2007-283633 2007-10-31
PCT/JP2008/002225 WO2009028146A1 (ja) 2007-08-28 2008-08-18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252A KR20100029252A (ko) 2010-03-16
KR101143158B1 true KR101143158B1 (ko) 2012-05-08

Family

ID=4038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883A KR101143158B1 (ko) 2007-08-28 2008-08-18 조습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43748A1 (ko)
EP (1) EP2192356A4 (ko)
JP (1) JP4305555B2 (ko)
KR (1) KR101143158B1 (ko)
CN (1) CN101790665B (ko)
AU (1) AU2008293035B2 (ko)
WO (1) WO2009028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5744A1 (en) * 2011-10-17 2013-04-18 Lennox Industries Inc. Sensor mounting panel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CN103512155B (zh) * 2013-09-30 2016-06-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4251547B (zh) * 2014-09-23 2017-03-22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飞机空调系统的除水装置
CN106016514A (zh) * 2016-05-12 2016-10-12 上海交通大学 温湿度弱关联控制单元式空调系统及使用方法
JP6857802B2 (ja) * 2016-12-28 2021-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扇
CN106594879B (zh) * 2017-01-16 2022-06-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器
JP6811842B2 (ja) * 2017-03-30 2021-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JP6954814B2 (ja) * 2017-11-28 2021-10-27 株式会社コロナ 除湿機
JP7025663B2 (ja) * 2019-10-29 2022-0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CN117767150B (zh) * 2023-12-25 2024-05-28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 一种台区环境智能监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46U (ja) * 1990-12-29 1993-1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風量調節装置
JP2007010229A (ja) *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7A (ja) * 1982-06-28 1984-01-07 Toho Gas Kk 除湿機
SE507315C2 (sv) * 1992-12-09 1998-05-11 Ulf Lundagaards Låsanordning för att låsa ett föremål i förhållande till ett underlag
CN2170475Y (zh) * 1993-08-09 1994-06-29 张肃明 小型半导体空气除湿器
JPH10339555A (ja) * 1997-06-09 1998-12-2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10026764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기
CN1387410A (zh) * 1999-09-28 2002-12-25 汉尼潘尼公司 带有闭环湿度控制系统的保存柜和控制柜内湿度的方法
US6575228B1 (en) * 2000-03-06 2003-06-10 Mississippi State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Ventilating dehumidifying system
JP4224955B2 (ja) * 2001-06-28 2009-02-1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ドライルーム設備
WO2003046446A1 (en) * 2001-11-30 2003-06-0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le-coil twin-fan variable-air volume (vav) system for energy-efficient conditioning of independent fresh and return air streams
JP3835413B2 (ja) * 2003-02-24 2006-10-1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除湿空調装置
JP4496821B2 (ja) * 2003-12-03 2010-07-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712000B2 (ja) * 2004-03-31 2005-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349304A (ja) * 2005-06-20 2006-12-2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7010216A (ja) *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換気装置
ES2324365T3 (es) * 2005-10-11 2009-08-05 Fujitsu General Limited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US8962200B2 (en) * 2006-02-15 2015-02-24 Ford Motor Company Humidity measur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46U (ja) * 1990-12-29 1993-1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風量調節装置
JP2007010229A (ja) *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2356A4 (en) 2018-04-11
JP2009074786A (ja) 2009-04-09
US20100243748A1 (en) 2010-09-30
AU2008293035A1 (en) 2009-03-05
CN101790665A (zh) 2010-07-28
WO2009028146A1 (ja) 2009-03-05
JP4305555B2 (ja) 2009-07-29
CN101790665B (zh) 2012-11-07
EP2192356A1 (en) 2010-06-02
KR20100029252A (ko) 2010-03-16
AU2008293035B2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158B1 (ko) 조습장치
KR101127377B1 (ko) 조습장치
KR101143099B1 (ko) 조습장치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1143068B1 (ko) 조습장치
JP4946800B2 (ja) 調湿装置
KR101311548B1 (ko) 습도 조절 장치
JP5093378B2 (ja) 換気システム
JP5109591B2 (ja) 調湿装置
KR101084486B1 (ko) 조습장치
JP5141190B2 (ja) 調湿装置
JP5786773B2 (ja) 調湿装置
JP5353977B2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