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001A -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001A
KR20100087001A KR1020107010315A KR20107010315A KR20100087001A KR 20100087001 A KR20100087001 A KR 20100087001A KR 1020107010315 A KR1020107010315 A KR 1020107010315A KR 20107010315 A KR20107010315 A KR 20107010315A KR 20100087001 A KR20100087001 A KR 20100087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ocking
shift
actua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750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기이퍼
루드게르 라케
사샤 로젠트레터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8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3Cams or detent arrays for guiding and providing f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Shift element interlock with detent, recess, notch, or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의 변속 단들을 선택하기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동 장치는 적어도 3 개의 주행 단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변속 레버(1), 및 상기 변속 레버(1)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록킹 장치(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 장치는 상기 록킹 장치(4)가 다수의 록킹 윤곽들(7, 8, 9)을 가지며 상기 변속 레버와 연결된 캔틸레버 장치(5, 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록킹 윤곽(7, 8, 9)은 하나의 변속 레버 위치에 할당되고, 액추에이터식으로 활성화 가능한 각각 하나의 록킹 부재(10, 11, 12)와 맞물릴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변속 레버(1)의 운동 스토퍼를 형성한다. 변속 레버의 운동 범위는 액추에이터식으로 제어되어 자유롭게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장치는 미미한 소음 발생 및 짧은 시프트 시간을 갖는다.

Description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OPERATING DEVICE WITH A LOCKING ASSEMBLY}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변속기, 예컨대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식 자동 변속기용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기는 통상 운전자의 그립핑 범위 내에 배치된 작동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시프트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자동차의 앞좌석들 사이에 배치된, 변속 레버 또는 선택 레버와 같은 작동 부재들이 사용된다.
최신 작동 장치에는 안전 및 인체 공학의 이유로 변속기 작동의 실제 감각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변속기의 실제 시프트 또는 작동 상태에 대한 시각적 뿐 아니라 명확한 촉각적 확인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특히 시프트-바이-와이어-제어식 변속기에서 - 여기에 대부분의 현재 자동 변속기가 속함- 인체 공학 및 안전의 이유로, 그 순간 허용되지 않은 시프트 상태 또는 시프트 조작이 변속 레버의 관련 조작 위치의 상응하는 록킹 형태로 시각 및 촉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신호화되어야 한다.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변속기의 전기 또는 시프트-바이-와이어-작동의 경우, 엔진실 내 변속기와 자동차 내부의 변속 레버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시프트-바이-와이어"-변속기에서 작동 장치로부터 자동차 변속기로의 시프트 명령의 전달이 전기 또는 전자 신호에 의해 그리고 변속기에서 시프트 명령의 후속하는 전기 유압식 변환에 의해 이루어진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식 변속기의 경우, 변속기 액추에이터 시스템과 변속 레버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변속기 상태 또는 변속기에 걸린 시프트 록이 변속 레버의 상태에 직접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변속 레버에서 감지 가능한 블록킹된 특정 시프트 위치를 기초로, 그 순간의 주행 상태에서 몇몇 레버 위치, 주행 단 또는 변속기 상태가 상황에 따라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선택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없다.
조작할 변속기의 상태 및 자동차에서의 다른 상태 팩터에 따라, -점화 스위치 온, 엔진 작동, 차량 속도 등-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식 변속기에서 촉각적 피드백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변속 레버의 작동 범위를 변속기 상태에 따라 액추에이터식으로 제어하여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변속 레버의 그립핑시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에서도, -예컨대 자동차의 현재 작동 또는 주행 상태에 근거해서 또는 변속기의 그 순간의 작동 상태에 근거해서- 시프트 요구가 허용되지 않고 따라서 록킹되어 있는 것이 운전자에게 촉각적 감지될 수 있게 전달된다.
제시된 관련 사항들은,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용 단안정식(monostable) 작동 장치와 관련해서 특히 중요하다. 단안정식 변속 레버는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에 즐겨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변속기 내 자동 상태 변경시, 예컨대 파킹 록(Aouto-P)이 자동으로 걸리는 경우, 변속 레버의 트래킹을 위한 복잡한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속 레버는 단안정식 작동 장치에서 하나의 안정적 (중간)위치, 및 안정적 (중간) 위치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다수의 비안정적 위치들을 가진다. 이 경우, 변속기 상태에 따라, 기계적으로 주어진 총 변속 레버 위치들 중 몇몇 위치만이 실제 시프트 작동에 연관된다. 이와 달리, 변속 레버로부터 볼 때, 기계적으로는 가능한 다른 변속 레버 위치들은 -변속기 상태에 따라- 시프트 작동을 릴리스할 수 없거나 또는 릴리스해서는 안 되므로, 운전자에게 변속 레버에서 시프트 록에 대한 촉각 및 확실한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식으로 록킹되어야 한다.
변속기가 "파킹 록" 상태에 있으면, 변속 레버가 스스로 중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자유 이동된다고 하더라도, 예컨대 단안정식 변속 레버는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전방으로 추가 이동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상응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변속 레버가 주행 방향과 관련해서 후방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컨대, US 2006/0016287 또는 DE 10 2005 033 510 A1에서는, 허용되지 않은 시프트 명령의 선택적 록킹을 위한 다중 작용 액추에이터 및 상응하는 레버 또는 변속기 부재들을 시프트-바이-와이어 제어식 변속기의 변속 레버에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레버 또는 변속기 부재들은, 그 순간의 주행 또는 변속기 상태에 따라 변속 레버의 원래의 전체 운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특정 경우에 변속 레버를 완전히 록킹하기 위해 자동차 또는 변속기 상태에 따라 시프트된다.
다수의 다양한 변속 레버 위치들 중 다수가 다양한 조합으로 액추에이터식으로 록킹되거나 또는 변속 레버의 운동 범위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위치 설정되어야 하면,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종종 복합 록킹 미믹이 요구되었다. 이것은 상기 미믹에 수반되는 수고 및 상응하는 비용 상승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작동 장치의 영역에서 이용될 공간의 문제도 이러한 종래의 록킹 액추에이트 부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록킹 장치들은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고, 록킹 장치의 비교적 느린 시프트 시간에 의해 경우에 따라 변속 레버 록들 중 하나가 오버런되고 그에 따라 작동 장치의 규정되지 않은 작동 상태가 나타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히 변속기의 전기 또는 전자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용 록킹 장치를 포함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록킹 장치는 복합 록킹 로직의 경우에도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어야 하고, 신속한 시프트 시간 및 낮은 소음 발생이 달성되어야 하고 규정되지 않은 작동 상태들 또는 변속 레버의 클램핑이 확실히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작동 장치는 가능한 작은 조립 공간을 필요로 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작동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공지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는 적어도 3 개의 주행 단 위치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게이트 내에서 이동 가능한- 변속 레버, 베이스 및 록킹 장치를 포함한다. 록킹 장치는, 특히 변속기의 시프트 상태 또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 레버의 운동 범위를 제어 가능하게 제한하기 위해, 특정 변속 레버 위치를 배제하기 위해 또는 변속 레버를 블록킹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 장치는, 록킹 장치가 변속 레버와 연결된 캔틸레버(cantilever)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 장치는 다수의 록킹 윤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캔틸레버 장치의 개별 록킹 윤곽은 하나의 변속 레버 위치에 할당되고, 록킹 윤곽들은 각각 액추에이터식으로 활성화 가능한 각각 하나의 록킹 부재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록킹 윤곽 및 록킹 부재로 변속 레버를 위한 운동 스토퍼가 형성된다.
다수의 작동 위치들을 가진 액추에이터들(예컨대 이중 작용 전자석들), 서보 전기 변속기 액추에이터 또는 변속기 변속 부재들을 포함한 작동 장치가 공개된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해, 록킹 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소음 레벨이 떨어지고, 록킹 장치의 반응 시간이 더 빨라지고, 실수로 인한 록킹의 오버런 및 이와 관련된 작동 장치의 규정되지 않은 작동 상태에 대한 더 큰 안전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록킹 부재들 및 관련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어떻게 실시되고 구조적으로 형성되는지와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록킹 액추에이터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식 액추에이터로서 구현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록킹 부재들은 액추에이터의 인출 가능한 볼트들로 형성될 수 있고, 록킹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전자석의 가동 앵커로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특히 컴팩트한 작동 장치의 디자인이 얻어지고, 록킹 부재들의 질량이 매우 작고 반응 시간이 빨라지고, 록킹의 바람직하지 않은 오버런 또는 클램핑에 대한 확실한 방지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캔틸레버 장치는 변속 레버의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작동 장치의 매우 경제적이고 견고하고 낮은 질량을 가진 컴팩트한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속 레버의 메인 작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식으로 배치된 횡방향 슬라이드가 제공된다. 횡방향 슬라이드는 작동 장치의 베이스 범위에서 변속 레버를 둘러싸는 긴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로써 변속 레버가 그 메인 작동 방향과 관련해서 횡방향 슬라이드에 대해 자유 이동하고, 변속 레버의 메인 작동 방향에 대한 횡방향 운동이 긴 리세스의 종방향 에지를 통해 횡방향 슬라이드로 전달된다. 또한, 횡방향 슬라이드는 작동 장치의 록킹 액추에이터에 의해 블록킹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작동 장치, 또는 다수의 시프트 게이트들을 가진 변속 레버, 특히 시프트 게이트 및 탭 게이트를 가진 변속 레버들로 확장될 수 있다. 긴 리세스로 변속 레버를 둘러싸는 액추에이터식으로 블록킹 가능한 횡방향 슬라이드에 의해, 시프트 게이트들 사이에서 변속 레버가 횡방향 이동됨으로써 횡방향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프트 게이트로부터 탭 게이트로의 변속 레버의 이동은 액추에이터식으로 블록킹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자동차의 현재 주행 상태에 의해 또는 변속기의 현재 작동 상태에 의해, 자동 작동과 터치 작동 사이의 변경이 허용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 중요하다. 횡방향 슬라이드에 대해서도, 관련 록킹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인출 가능한 앵커 볼트를 포함한 전자석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횡방향 슬라이드를 블록킹하기 위한 앵커 볼트는 바람직하게 횡방향 슬라이드 내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리세스와 직접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동 장치는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의 변속 레버의 액추에이터식 복귀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의해, 변속 레버가 -파킹 록(Auto-P)이 자동으로 걸리고 동시에 변속 레버가 탭 게이트에 있는 경우- 후속 주행 시작시 변속기 상태, "파킹 록"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변속 레버가 탭 게이트에 놓여 있었으면, 변속 레버 위치가 변속기의 실제 시프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자동차로 운전자 복귀시 또는 자동차의 시동 시도시, 변속 레버 위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맞지 않는 정보가 운전자에게 전달될 것이다. 변속 레버 위치의 인지에 의해 운전자는 변속기가 하나의 주행 단 위치에 있는 반면, 실제로 변속기에는 파킹 록이 걸려 있다는 것을 전제해야 한다.
이러한 틀린 정보가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토-P에 의해 파킹 록이 걸린 경우, 변속 레버가 수동으로 단안정 위치로 이동될 때야 비로소 자동차가 시동될 수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신호화하는 운전자용 추가 신호 장치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변속 레버의 액추에이터식 복귀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는 바람직하게 세그먼트-웜 기어 장치 및 스핀들 기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로써 액추에이터 장치는 특히 공간 절감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높은 변속비를 가진다. 따라서, 특히 액추에이터 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형 전기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 장치용 추가 변속기 단들이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장치가 스프링 하중을 받는 프리휠을 가진다. 이 경우 프리휠 및 프리휠 스프링은 액추에이터 장치의 작동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변속 레버가 탭 게이트 내에 고정되거나 또는 탭 게이트 내의 어떤 물체에 의해 블록킹되는 경우 액추에이터 장치의 오동작 또는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 변속 레버의 자동 복귀가 액추에이터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 변속 레버의 즉각적 복귀 대신, 액추에이터 장치에 의해 프리휠의 개방 하에서 프리 휠 스프링이 예비 응력을 받는다. 변속 레버가 릴리스되거나 또는 변속 레버의 블록킹이 취소되면, 변속 레버는 프리휠 스프링 내에 저장된 스프링 에너지에 의해 시프트 게이트로 복귀된다.
변속 레버의 특정 운동 범위의 전술한 가변 위치 설정에 의해 (소정 운동 범위 밖에 놓인 각각의 변속 레버 위치의 액추에이터식 록킹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변속 레버가 단안정식으로 형성된다.
즉, 변속 레버가 매 시프트 작동 후 스프링 하중을 받아 동일한 중간 위치로 다시 복귀된다. 단안정식 변속 레버는 무엇보다 시프트-바이-와이어-제어식 변속기의 작동시 장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걸린 변속기 주행 단들이 자동으로 걸린 경우 -예컨대 "오토-P"에 의해 파킹 록이 자동으로 걸린 경우- 변속 레버의 모터식 트래킹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대신, 이렇게 단안정식으로 형성된 변속 레버의 경우, 일차적으로 변속기 주행 단의 디스플레이만이 트래킹되거나 또는 각각 업데이트되고 실제 변속기 상태에 맞추어져야 한다.
운전자에게 이것은, 변속기의 실제 시프트 상태에 대한 확인이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디스플레이 심볼에 의한 별도 디스플레이에만 맡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단안정식 변속 레버에서는 순수한 변속 레버 위치에 의해 변속기의 시프트 상태에 대한 시각적 또는 촉각적 확인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가능성이 없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단안정식 변속 레버의 경우 정확한 기계적 시프트 로직의 실시가 복잡하다. 즉, 변속 레버의 허용된 운동 각도 범위의 기계적 시뮬레이션이 복잡하다. 캔틸레버 장치 및 다수의 록킹 윤곽들을 가진 록킹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 의해 장점이 얻어진다. 그 이유는, 개별 록킹 윤곽의 별도로 활성화 가능한 록킹 부재에 의해, 운동 범위에 속하지 않는 변속 레버 위치가 록킹됨으로써, 변속 레버의 허용 운동 범위가 기계적으로 제공되는 변속 레버의 총 운동 윈도우 내에서 가변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자는 단안정식 변속 레버의 경우, 작동 후 변속 레버가 항상 자동으로 다시 차지한 중간 위치가 변속기의 임의의 실제 시프트 상태에 할당될 수 있을 때 중요하다. 특히 안정적 중간 위치에 있는 변속 레버는 원칙적으로 표준 변속기 주행 단들 "P", "R", "N" 또는 "D" 중 각각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주행 단들 중 어떤 단에 변속기가 놓이는지는 변속 레버 또는 자동차 계기판 상의 상응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만 운전자에게 표시된다.
캔틸레버 장치, 다수의 록킹 윤곽들 및 관련 록킹 부재들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사용에 의해, 단안정식 변속 레버의 경우에도, 다수의 안정적 변속 레버의 위치들을 가진 일반적 다안정식(multi-stable) 변속 레버의 거동은, 변속 레버의 이동 범위가 변속기에 실제로 걸린 주행 단에 의존하는 것과 관련해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변속기에서 예컨대 파킹 록이 걸리면, 종래의 변속 레버는 전방으로 한 단 더 이동될 수 없고, 일반적으로 2 내지 4 개의 단들만큼 뒤로 이동된 후, 변속 레버가 파킹 록 위치에 대향 배치된 작동 장치의 스토퍼 또는 변속 레버 게이트의 대향 배치된 단부에 접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변속기 상태의 촉감적 인지 및 직감적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거동은 단안정 변속 레버의 경우에도 구조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개별 록킹 부재의 활성화에 의해- 변속 레버의 이동이 해당 방향으로만 그리고 걸려 있는 변속기 단에 논리적으로 상응하는 변속 단 개수만큼만 가능하도록 변속 레버의 현재 허용 운동 범위가 변속 레버의 구조적 전체 운동 윈도우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록킹 윤곽들은 예컨대 록킹 리세스 내 사출 성형부 또는 탄성 중합체 인서트 형태의 탄성 중합체 스토퍼 댐퍼들을 포함한다. 이로써 시프트, 작동 또는 록킹 과정에서 특히 양호한 소음 댐핑이 달성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이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설계가 간단하며 신속한 시프트 시간 및 낮은 소음 발생이 달성되고 규정되지 않은 작동 상태들 또는 변속 레버의 클램핑이 확실히 방지되고 작은 조립 공간을 요구하는, 특히 변속기의 전기 또는 전자 시프트-바이-와이어 작동용 록킹 장치를 포함한 작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하우징 베이스가 분리된, 도 1에 따른 작동 장치의 변속 레버, 록킹 장치 및 액추에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 1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3은 록킹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분리된, 도 1 및 도 2에 따른 작동 장치의 변속 레버 및 액추에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 1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4는 탭 게이트 내에 변속 레버가 놓인,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작동 장치의 변속 레버 및 록킹 슬라이드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5는 시프트 게이트 내에 변속 레버가 놓인, 도 4에 따른 변속 레버 및 록킹 슬라이드를 도시한 도 4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실시예가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된다. 작동 장치의 변속 레버(1) 및 베이스 하우징(2)이 도시된다. 하우징(2) 내에 배치된 변속 레버(1)용 선회 베어링(3) 및 베이스(2) 내에 배치된 록킹 장치(4)가 도시되도록, 베이스 하우징(2) 중 주행 방향과 관련해서 우측의 하우징 절반이 분리되었다.
록킹 장치(4)는 2 개의 캔틸레버들(5, 6)을 가진 캔틸레버 장치를 포함한다. 캔틸레버들(5, 6)은 록킹 윤곽들(7, 8, 9)을 가지며, 캔틸레버들(5, 6)과 록킹 윤곽들(7, 8, 9)은 변속 레버(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록킹 윤곽들(7, 8, 9)의 형태에 상응하게 록킹 부재들 또는 록킹 앵커들(10, 11, 12)이 제공되고, 록킹 부재들(10, 11, 12)은 전자석들(13, 14, 15)의 축방향 이동식 앵커로 형성된다.
앵커들(10, 11, 12)은 전자기 액추에이터들(13, 14, 15)에 의해 개별적으로 축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고, 각각 해당 록킹 윤곽(7, 8, 9)과 함께, 변속 레버(1)용 개별 제어 가능한 록킹 스토퍼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특히 바람직한 소음 댐핑을 위해, 록킹 윤곽들(7, 8, 9)에 탄성 중합체 인서트가 제공된다(예컨대 록킹 윤곽(8) 내 인서트(8a) 참조, 이러한 인서트들은 다른 록킹 윤곽들(7, 9)에도 존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 개의 록킹 윤곽들(7 및 9) 및 관련 록킹 앵커(10 및 1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 레버(1)의 중간 위치에서 변속 레버(1)의 선회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록킹 앵커(10) 및 록킹 앵커(12)가 활성화되거나 또는 인출되면, 변속 레버는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완전히 블록킹될 수 있다. 변속 레버(1)의 중간 위치에 록킹은 기능상 예컨대 시프트 록에 상응할 수 있고, 상기 시프트 록에서는 점화가 스위칭 온되고 브레이크 페달이 눌릴 때까지 변속 레버가 (파킹 록 위치를 나타내는) 중간 위치에서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변속 레버는 시프트 록의 경우 시프트 게이트와 탭 게이트 사이의 일시적 선회 운동과 관련해서 록킹되고, 이를 위해 횡방향 슬라이드(18) 및 관련 록킹 액추에이터(29)가 사용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변속 레버(1)를 위한 추가 스토퍼가 록킹 윤곽(8) 및 관련 록킹 앵커(11)로 형성된다. 관련 록킹 앵커(11)가 인출되면, 상기 스토퍼(8, 11)는 하나의 주행 단 위치를 중심으로 변속 레버(1)의 변위시 주행 방향과 관련해서 전방으로(도면과 관련해서 우측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변속 레버(1)의 운동 범위가 전방으로 상응하게 감소되거나 또는 제한된다. 따라서, 변속기가 예컨대 작동 위치 드라이브 "D"에 있는 경우, 주행 동안 예컨대 후진 기어의 선택이 방지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 하우징(2)에 있는 변속 레버(1)의 정적 엔드 스토퍼와 더불어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된 3 개의 스토퍼 배치에 추가해서- 다른 록킹 윤곽들 및 록킹 앵커의 배치에 의해 변속 레버(1)의 다른 각 위치를 위한 추가 스토퍼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는 또한, 스프링 응력 하에 변속 레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변속 레버(1)의 하부 단부 내에 배치된 잠금 핀(16)이 도시된다. 잠금 핀(16)의 (도시되지 않은) 단부는 록킹 게이트(17) 내에 수용된다. 록킹 게이트(17)의 실질적으로 콘형 내부 형태와 잠금 핀(16)의 스프링 하중은, 변속 레버(1)가 변속 레버-시프트 게이트들 중의 하나의 게이트 내 개별 위치로부터 나와 다시 중간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또한, 도 1에는 시프트 게이트와 탭 게이트 사이의 변속 레버(1)의 측면 선회 운동을 록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횡방향 슬라이드(18)가 도시된다. 횡방향 슬라이드(18)는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변속 레버(1) 및 록킹 장치(4)의 배치가 도시되고, 도 2에는 하우징(2)이 분리되어 도시된다. 이로써 특히 록킹 스토퍼들(10, 11, 12)의 운동을 위한 전자기 액추에이터들(13, 14, 15)이 명확히 도시된다. 또한 도 2에는 도 1과 달리,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 변속 레버(1)의 액추에이터식 복귀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19)가 추가로 도시된다. 액추에이터 장치(19)는 전기 모터(2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나사 스핀들(21)이 놓인다. 상기 나사 스핀들(21) 상에서 너트(22)가 움직이고, 상기 너트는 액추에이터 레버(23, 24)를 통해 변속 레버(1)의 하단부에 작용한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 레버(23, 24)는 선회 축(25)에 지지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되듯이, 액추에이터 레버(23, 24)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구동부 절반(23) 및 출력부 절반(24)이 공통 선회 축(25) 상에 지지된다. 구동부 절반(23)과 출력부 절반(24) 사이에 프리휠(freewheel)처럼 작용하는 스토퍼(26)가 배치된다. 프리휠 스토퍼(26)는 프리휠 스프링(27)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는다.
이로써, 변속 레버(1)는 액추에이터 장치(19-27)에 의해 탭 게이트 위치(도 4 참조)로부터 액추에이터식으로 시프트 게이트 위치(도 5 참조)로 이동된다. 변속 레버(1)가 동시에 실수로 고정되거나 또는 어떤 물체에 의해 블록킹되면, 변속 레버(1)의 운동 대신 프리휠 스프링(27)만이 예비 응력을 받음으로써, 스프링 부하된 프리휠 스토퍼(26, 27)가 액추에이터 장치(19-27)의 과부하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변속 레버(1)가 다시 자유로워지면, 프리휠 스프링(27) 내에 저장된 액추에이터 장치(19-27)의 작동 에너지에 의해 탭 게이트 위치(도 4 참조)로부터 시프트 게이트 위치(도 5 참조)로 변속 레버(1)의 자동 복귀가 이루어진다.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 변속 레버(1)의 복귀 운동이 가능한 소음 없이 진행되도록, 변속 레버(1)는 하단부에 탄성 중합체로 코팅된 테두리 또는 탄성 링(28)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또는 링에 액추에이터 레버(23, 24)의 출력부 절반(24)이 접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시프트 게이트 위치(도 5)로부터 탭 게이트 위치(도 4)로의 변속 레버(1)의 선회 운동에 대한 액추에이터식 록킹 가능성이 도시된다. 록킹 슬라이드(18)(도 1 및 도 2도 참조)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 슬라이드(18)는 작동 장치의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2)의 하우징 절반들의 상응하는 직선 안내부들 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안내된다. 변속 레버(1)와의 연결을 위해, 록킹 슬라이드(18)는 긴 리세스(31)(도 2 참조)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에서 변속 레버(1)가 메인 이동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리세스(31)의 넓은 측면들에 의해, 탭 게이트와 시프트 게이트 사이의 변속 레버(1)의 측방향 선회 운동들과 록킹 슬라이드(18)의 상응하는 선형 운동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그 순간의 주행 상태에 따른 또는 변속기에서 그 순간에 걸린 주행 단에 따른, 시프트 게이트(도 5)로부터 탭 게이트(도 4)로 변속 레버(1)의 선회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기 액추에이터(29)의 (도 5에서 도시되지 않은 록킹 슬라이드(18)에 의해 은폐) 앵커 핀이 하부로 인출되고 거기에서 록킹 슬라이드(18)의 상응하는 리세스 내로 맞물린다. 도 5에 따른 시프트 게이트 위치로부터 변속 레버의 측방향 운동의 록킹을 취소하기 위해, 액추에이터(29)의 앵커 핀이 삽입되고 베어링 핀(30)을 중심으로 변속 레버(1)의 선회 운동 후 도 4에 따른 상태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에 비해 복잡한 록킹 과제의 경우에도 비교적 적은 구조적 복잡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록킹 장치를 포함한 작동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중요한 장점은 미미한 소음 생성 및 적은 시프트 시간의 형태로 얻어진다. 또한, 변속 레버의 작동과 록킹 장치의 활성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선택 레버의 규정되지 않은 작동 상태들 또는 변속 레버의 클램핑이 확실히 저지된다. 따라서, 변속 레버의 운동 범위가 변속기의 각각의 작동 상태에 맞게 자유롭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해, -특히 단안정 작동 장치의 경우- 예컨대 자동 변속기에서, 실제 시프트 상태 및 현재의 작동 가능성에 대한 확실한 촉각적 확인이 운전자에게 주어진다. 간단한 구성 및 높은 신뢰도에 의해 본 발명은 자동차 변속기의 조작 쾌적성, 인체 공학, 비용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한다.
1 변속 레버
2 베이스
3 선회 베어링
4 록킹 장치
5, 6 록킹 캔틸레버
7, 8, 9 록킹 윤곽, 록킹 리세스
10, 11, 12 록킹 앵커
8a 탄성 중합체 인서트
13, 14, 15 록킹 액추에이터
16 잠금 핀
17 잠금 게이트
18 록킹 슬라이드
19 액추에이터 장치
20 전기모터
21 나사 스핀들
22 너트
23, 24 구동부 절반, 출력부 절반, 액추에이터 레버
25 선회 축
26 프리휠 스토퍼
27 프리휠 스프링
28 탄성 중합체 링
29 록킹 액추에이터
30 베어링 핀
31 긴 리세스

Claims (10)

  1. 변속기의 변속 단들을 선택하기 위한 작동 장치로서, 상기 작동 장치는 적어도 3 개의 주행 단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변속 레버(1), 및 상기 변속 레버(1)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특정 변속 레버 위치를 배제하기 위한 또는 상기 변속 레버(1)를 블록킹 하기 위한 록킹 장치(4)를 포함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4)는 상기 변속 레버와 연결된 캔틸레버 장치(5, 6)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 장치는 다수의 록킹 윤곽들(7, 8, 9)을 가지며, 상기 록킹 윤곽들(7, 8, 9)은 각각 하나의 변속 레버 위치에 할당 배치되고, 액추에이터식으로 활성화 가능한 각각 하나의 록킹 부재(10, 11, 12)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변속 레버(1)의 운동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들은 액추에이터들(13, 14, 15)의 인출 가능한 볼트들(10, 11, 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들은 전자석들(13, 14, 15)의 가동 앵커들(10, 11, 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장치(5, 6)는 상기 변속 레버(1)의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의 메인 작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횡방향 슬라이드(18)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슬라이드는 상기 작동 장치의 베이스 범위(2) 내에 상기 변속 레버(1)를 둘러싸는 긴 리세스(31)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슬라이드(18)는 록킹 액추에이터(29)에 의해 블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 게이트로부터 시프트 게이트로 상기 변속 레버(1)의 액추에이터식 복귀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1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19)는 세그먼트-웜 기어 장치 또는 스핀들 기어 장치(21,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19)가 스프링(27) 하중을 받는 프리휠(26)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휠(26) 및 프리휠 스프링(27)은 상기 액추에이터 장치(19)의 작동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가 단안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윤곽들이 탄성 중합체 스토퍼 댐퍼들(8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KR1020107010315A 2007-12-05 2008-12-04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KR101403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8850A DE102007058850A1 (de) 2007-12-05 2007-12-05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perranordnung
DE102007058850.1 2007-12-05
PCT/DE2008/050036 WO2009071081A1 (de) 2007-12-05 2008-12-04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per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001A true KR20100087001A (ko) 2010-08-02
KR101403750B1 KR101403750B1 (ko) 2014-06-03

Family

ID=4056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315A KR101403750B1 (ko) 2007-12-05 2008-12-04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16734B2 (ko)
EP (1) EP2217835B1 (ko)
JP (1) JP5369113B2 (ko)
KR (1) KR101403750B1 (ko)
CN (1) CN101889155B (ko)
AT (1) ATE529663T1 (ko)
DE (1) DE102007058850A1 (ko)
WO (1) WO2009071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2824A1 (de) * 2007-12-21 2009-06-25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perrwalze
DE102010028965A1 (de) * 2010-05-12 2011-11-17 Zf Friedrichshafen Ag Modular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Fahrzeuggetriebe
CN102563024A (zh) * 2010-12-21 2012-07-11 浙江华邦机械有限公司 一种手柄带护罩的汽车变速器选换挡操纵机构
KR101295007B1 (ko) 2012-05-09 2013-08-09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
DE102012210810A1 (de) * 2012-06-26 2014-01-02 Bmw Ag Schalthebe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DE102014000989A1 (de) * 2013-01-30 2014-07-31 Marquardt Gmbh Stellglied,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204793B4 (de) * 2013-03-19 2021-06-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uationsabhängige Sperrenansteuerung eines Gangwahlschalters beim Parken
DE102014105252A1 (de) * 2013-04-15 2014-10-16 Marquardt Gmbh Schal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Schalthebel
CN103216612B (zh) * 2013-04-28 2015-07-0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操纵机构
JP6126473B2 (ja) * 2013-06-26 2017-05-1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15006866A (ja) * 2013-06-26 2015-01-1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CN103322189B (zh) * 2013-07-10 2015-09-16 东风商用车有限公司 直接式变速操纵机构锁止装置
US9476500B2 (en) * 2013-09-30 2016-10-25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Manual gear shifter assembly
DE102013224494A1 (de) 2013-11-29 2015-06-03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Bewegung eines Bedienelements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Fahrzeugs sowie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DE102013224493A1 (de) * 2013-11-29 2015-06-03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Bewegung eines Bedienelements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Fahrzeugs sowie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DE102014205248A1 (de) * 2014-03-20 2015-09-24 Zf Friedrichshafen Ag Wählhebel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olchen Wählhebelrückstellvorrichtung
DE102014210827A1 (de) * 2014-06-06 2015-12-17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zur Auswahl von Gangstufen für ein Gangwechselgetriebe sowie Verfahren zum Sperren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DE102014110147B4 (de) * 2014-07-18 2019-10-02 Ecs Engineered Control Systems Ag Rastiervorrichtungen, insbesondere für Schaltvorrichtungen zur Betätigung von Getrieben in Kraftfahrzeugen
DE102015013984A1 (de) 2014-11-05 2016-05-12 Marquardt Gmbh Stellglied,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EP3032144B1 (en) * 2014-12-11 2019-10-16 Kongsberg Automotive AB Gear shifter assembly
KR101637949B1 (ko) * 2015-04-30 2016-07-08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WO2017004126A1 (en) * 2015-06-30 2017-01-05 Dura Operating Llc Vehicle shift lever assembly
WO2017050380A1 (en) * 2015-09-24 2017-03-30 Kongsberg Automotive Ab Gearshift assembly for a transmission of a vehicle
WO2017054848A1 (en) * 2015-09-29 2017-04-06 Kongsberg Automotive Ab Gearshift unit for a transmission of a vehicle
KR101755854B1 (ko) 2015-10-0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시스템
US10219529B2 (en) * 2016-03-04 2019-03-05 DeYu Chen Edible dog chew with lengthwise extruded interior and method of manufacture
IT201600083331A1 (it) * 2016-08-08 2018-02-08 Silatech S R L Dispositivo di comando, particolarmente per cambio di velocità di autoveicolo.
KR102160748B1 (ko) * 2016-11-29 2020-09-28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시프트 장치
EP3447340A1 (en) * 2017-08-25 2019-02-27 Fico Triad, S.A. A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amping mechanism
CN111095155B (zh) * 2017-09-08 2021-10-2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操作装置
WO2019049419A1 (ja) * 2017-09-08 2019-03-1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US11131381B2 (en) * 2018-02-13 2021-09-2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DE102018215238A1 (de) * 2018-09-07 2020-03-12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Getriebes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altvorrichtung
EP3626571B1 (en) 2018-09-18 2022-08-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Control architecture for a vehicle
DE102019200498A1 (de) * 2019-01-16 2020-07-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ktuato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452C (de) 1921-01-28 1924-10-17 Zahnradfabrik G M B H Schaltvorrichtung fuer Zahnraederwechselgetriebe,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H0719334A (ja) 1993-06-29 1995-01-20 Kuroishi Tekko Kk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PL183297B1 (pl) * 1995-06-06 2002-06-28 Paolo Paparoni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przed przypadkowym włączeniem biegu wstecznego w pojeździe
US6325196B1 (en) * 1999-07-29 2001-12-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with park lock and neutral lock device
US6382046B1 (en) * 2000-02-09 2002-05-07 Dura Automotive Properties Transmission shifter with cable disengagement mechanism
DE10059383A1 (de) 2000-11-30 2002-06-13 Schlos Und Metallwarenfabrik B Anordnung zum Sperren einer Automatik-Wähl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Entsperren eines derartigen Wählhebels
DE10131433B4 (de) * 2001-06-29 2010-09-09 Daimler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US6904823B2 (en) * 2002-04-03 2005-06-1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hifting devices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US7469614B2 (en) * 2004-03-30 2008-12-30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actuated shif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s
US7568404B2 (en) 2004-07-26 2009-08-04 Ghsp,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CN2780532Y (zh) * 2004-11-26 2006-05-17 上海干巷汽车镜(集团)有限公司 电磁阀锁止式自动换档操纵机构
DE102005023926A1 (de) 2005-05-24 2006-11-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33510B4 (de) 2005-07-14 2012-03-2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chaltsperre
US20070234837A1 (en) * 2006-03-30 2007-10-11 Russell Ronald A Automotive shift lever
DE102007014745B4 (de) 2007-03-28 2017-06-14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19465B4 (de) 2007-04-25 2009-08-20 Audi Ag Schalteinheit für ein insbesondere elektronisch geschaltet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7835B1 (de) 2011-10-19
JP5369113B2 (ja) 2013-12-18
DE102007058850A1 (de) 2009-06-10
CN101889155B (zh) 2015-06-03
JP2011505294A (ja) 2011-02-24
US20100257970A1 (en) 2010-10-14
KR101403750B1 (ko) 2014-06-03
US8316734B2 (en) 2012-11-27
EP2217835A1 (de) 2010-08-18
ATE529663T1 (de) 2011-11-15
WO2009071081A1 (de) 2009-06-11
CN101889155A (zh)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7001A (ko)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JP5264879B2 (ja) セレクトレバー戻し案内を伴う操作装置
KR101301799B1 (ko) 변속 록을 구비한 작동 장치
US8499661B2 (en) Selector lever having actuating change of position
US9140353B2 (en) Actuating device with rotary switch
KR101403816B1 (ko) 게이트 샤프트를 구비한 작동 장치
KR101363686B1 (ko) 록킹 메커니즘을 구비한 작동 장치
US8387478B2 (en) Electronic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26984B1 (ko) 록킹 롤러를 구비한 작동 장치
DE102016204129B4 (de) Elektronisches Schaltsystem
KR20100015777A (ko) 변속 레버 복귀 방식 작동 장치
KR20090118048A (ko) 변속 레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작동 장치
KR20100049588A (ko) 시프트 캐리지 록을 구비한 작동 장치
JP2008519717A (ja) キーを有する作動装置
US9963124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6659255B2 (en) Shift lock device
US10598273B2 (en) Actuating apparatus for selecting gears for a gear chang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blocking an actuating apparatus
US6725738B2 (en) Gear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US20120137811A1 (en) Vehicle Having a Transmission and a Selection Element for Shifting Gears
JP200624038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