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156A - 중성화된 주스류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성화된 주스류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156A
KR20100084156A KR1020107008153A KR20107008153A KR20100084156A KR 20100084156 A KR20100084156 A KR 20100084156A KR 1020107008153 A KR1020107008153 A KR 1020107008153A KR 20107008153 A KR20107008153 A KR 20107008153A KR 20100084156 A KR20100084156 A KR 2010008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beverage
acidic
composition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레자 카마레이
티모시 에이. 앵글리
영 찬 강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8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포함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에 직접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음료 조성물은 저-산(low-acid)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도 또한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중성화된 주스류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NEUTRALIZED JUICE-BASED BEVERA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 출원은 2007년 10월 2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981,60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명세서에 온전하게 참고문헌으로 첨부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포함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 관련된 것인데, 여기서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련된 것인데, 여기서 음료 조성물은 저산 조성물(low acid composition)이다.
주스, 가령, 오렌지 주스, 사과 주스, 및 그 외 다른 과일의 주스들은 일반적으로 산성이다 (즉, 이들은 일반적으로 4.5와 동일하거나 4.5보다 낮은 pH를 가진다). 주스는 탄수화물 및 일부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지만, 주스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또는 지질을 함유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함유하며, 많은 비타민들과 미네랄들은 결핍되어 있다. 이러한 영양소들은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양소 (예컨대, 단백질)를 주스에 직접 첨가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어려운데, 왜냐하면 주스의 산성 pH는 단백질과 같은 영양소들을 응고시키거나 및/또는 침전시켜, 바람직하지 않은 감각 특성을 초래하거나 및/또는 음료의 보관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영양소들의 일부를 함유하는 그 외 다른 덜 산성인 또는 중성인 음료 성분들, 가령 우유 (dairy milk) 또는 두유와 산성 주스를 조합하는 것 또한 어렵다. 이 또한, 부분적으로는, 주스의 낮은 pH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주스류 음료들을 첨가되는 단백질 및/또는 비-산성 음료 성분들과 배합하고자 하는 종래의 시도들은 일반적으로 음료의 일부 성분을 변화시키는 것을 위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많은 예들에서, 영양 성분들, 또는 주스과 영양 성분들 모두는 안정하고 감각수용성인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들과 함께 조작되거나 이러한 첨가제들을 사용하여 안정화되었다.
일부 배합물에서, 음료는 안정화제를 필요로 한다. 미국 특허 제 3,692,532호는 음료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사용된 우유-과일 주스 음료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286,511호는 단백질을 첨가하기 이전에 펙틴 또는 펙틴 화합물들을 산성 음료에 용해시킴에 의한, 산성 음료에 대두 단백질 입자들을 현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6,811,804호는 과일 주스/퓨레와 대두 단백 음료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음료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음료의 점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펙틴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 6,171,633호는 우유, 주스, 검(gum)-계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그리고, 아미노산, 유기산 또는 무기산 및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우유류 드링크를 개시한다.
그 외 다른 예에서, 음료 성분들은 안정한 주스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공된다. 미국 특허 제 4,676,988호는 먼저,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우유를 3.2 내지 1.5 미만의 pH로 탈양이온화 시킨 후, 이 우유를 3.5 내지 4.5의 pH로 음이온 교환시킴으로써, 저-산의 주스-우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주스 성분은 주스를 2.5 내지 1.3의 pH까지 탈양이온화시키고, 이 주스를 8 내지 11.3의 pH까지 탈음이온화시킨 후, 주스를 양이온 교환시켜 3.0 내지 4.5의 pH까지 산성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주스 및 우유 성분들은 이후 함께 혼합된다. 미국 특허 제 5,260,085호는 물, 우유 고형분(milk solids), 우유로부터 제조된 음료 제품에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2성분 안정화 시스템(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최대 10 중량%의 디글리세라이드로 되어 있으며, 펙틴 또는 카라기닌 또는 이들 모두가 더해진다), 및 완충 시스템과 조합된, 산성 착향료를 포함하는 수성 착향 시스템을 함유하는, 상온-유통(shelf-stable) 우유-함유 음료 제품을 개시한다. 상기 완충 시스템은 인산 이나트륨과 이탄산 칼륨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완충 시스템은 음료 제품에서 수산화칼륨과 이산화탄소로 열분해 될 수 있다.
음료 성분들의 관능적 또는 감각 수용적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 외 다른 음료 성분들과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는, 안정한 주스류 조성물에 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주스 및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포함하며,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주스를,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가 그 외 다른 음료 성분들과 조합되어 있을 수 있는 음료 조성물에 관련되어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에 직접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며 상기 음료 조성물은 안정화제가 없는, 저-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중성화시켜, 약 5.0 내지 약 6.1의 pH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하여, 안정화제가 없는, 저-산 음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일 뿐이며 청구범위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포함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주스 베이스는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주스 베이스는 약 5.5 내지 약 6.0 범위의 pH를 가진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련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여기서, 음료 조성물은 저-산 또는 비-산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가령, 레디-투-드링크(포장된 음료, ready-to-drink) 음료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음료 조성물은 레디-투-드링크 음료 조성물들, 예컨대, 단일 농도(single strength) 음료 조성물 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또한 추가적인 음료 성분들, 및/또는 물, 및/또는 영양소 첨가제, 및/또는 선택적 첨가성분들과의 조합을 위한 드링크 베이스로서, 예컨대, 농축 드링크 베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생성된 음료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음료 성분들, 및/또는 임의의 영양소 첨가제, 및/또는 임의의 선택적 첨가성분들의 응집 또는 침전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정화제가 없는 저-산 음료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성화된"은 pH가 더 이상 산성이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pH는 약 5.0 이상 범위임) 여전히 수용가능한 관능적 특성을 보유하도록 산성 주스의 pH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스 베이스의 중성 pH는 주스 베이스로 하여금 최소의 응집 또는 침전으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음료 성분들의 관능적 품질에 대한 산성 주스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주스과 용이하게 조합될 수 없는 음료 성분들을 본 발명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조합하여, 최소한의 가공으로 원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들은 바람직한 감각수용적 및/또는 관능적 품질을 가지며, 연장된 보관 조건하에서 안정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음료", "음료 성분" 및 "음료 조성물" 각각은 사람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적절한 액체를 의미한다.
알칼리성 첨가제
산성 주스를 중성화시켜 본 발명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가 사용된다. 알칼리성 첨가제는 완충제로서 또는 다중-성분 완충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알칼리성 첨가제는 식용 알칼리 또는 식용 알칼리화 염들을 포함하며, 알칼리성 첨가제에는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이러한 식용 알칼리의 중탄산염, 탄산염 및 구연산 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알칼리성 첨가제들은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성 첨가제들은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서 주스와의 감각수용적 상용가능성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주스
음료 조성물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과일 주스, 하나 이상의 산성 야채 주스, 및 과일과 야채 주스들의 산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과일 주스 또는 과일 주스들의 산성 블렌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일 주스는 오렌지 주스, 사과 주스, 포도 주스, 배 주스, 크랜베리 주스, 산딸기 주스, 딸기 주스, 블루베리 주스, 블랙베리 주스, 구스베리 주스, 엘더베리 주스, 체리 주스, 커런트(currant) 주스, 파인애플 주스, 레몬 주스, 라임 주스, 포도 주스, 마르멜로(quince) 주스, 플럼 주스, 프릭글리 페어(prickly pear) 주스, 탄젤로 주스, 포멜로 주스, 칼라만딘 주스, 망고 주스, 바나나 주스, 키위 주스, 복숭아 주스, 천도복숭아 주스, 살구 주스, 탠저린 주스, 귤 주스, 미네올라 주스, 사츄마(씨없는 귤, satsuma) 주스, 만다린 오렌지 주스, 금귤 주스, 석류 주스, 수박 주스, 감로 멜론 주스, 칸탈루프 멜론 주스, 구아바 주스, 파파야 주스, 패션 프루트(passion fruit) 주스, 스타 프루트(star fruit) 주스, 타마린드 주스, 쿠푸아쿠(cupuaca) 주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면, 과일 주스는 오렌지 주스, 사과 주스, 포도 주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백포도 주스가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되는 경우, 이렇게 생성된 본 발명의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는 비교적 중성인-착향 주스 베이스이며, 이러한 주스 베이스는 강한 과일 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농축 형태이거나 단일 농도(single strenth)인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 대하여 강한 과일 향을 제공하지 않는 감미료로서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는 음료 조성물이 첨가당(added sugar)을 전혀 함유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유용하다. 예를 들면,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는 우유 (또는 두유) 및 초콜릿 또는 그 외 다른 착향제와 조합되어, 천연 감미된 초콜릿 우유 음료 또는 초콜릿 두유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산성 야채 주스 (예컨대, 토마토 주스), 또는 야채 주스들의 산성 블렌드 (예컨대, 토마토, 당근, 및 셀러리 주스 등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야채 주스들 중에서, 토마토, 당근, 시금치, 피망, 양배추, 새싹(sprouts), 브로콜리, 감자, 셀러리, 아니스 (회향), 오이, 파슬리, 고수잎, 비트, 밀순, 아스파라거스, 주키니, 호박, 대황, 순무, 루타바가, 파스닙, 무, 물냉이, 엔다이브, 에스카롤, 상추, 시금치, 마늘, 양파, 생강,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주스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중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21 C. F. R. Part 101.30에서 제공되는 것과 같은 정상 농도(full strength)의 주스 또는 정상이 아닌 농도(non-full strength)의 주스 드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농도의 주스는 농축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거나 농축물로부터 제조되지 않을 수 있다.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또한 주스 농축물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음료 조성물에서 음료 조성물의 약 20 부피% 내지 약 80 부피%에 상당하는 양으로 단일 농도 주스 베이스로서 존재한다.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가 주스 농축물(예를 들면, 2배 농축된 주스 베이스)을 포함할 경우,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약 20 부피% 내지 약 80 부피%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주스 베이스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는 음료 조성물의 약 20 부피%, 25 부피%, 30 부피%, 35 부피%, 40 부피%, 45 부피%, 50 부피%, 55 부피%, 60 부피%, 65 부피%, 70 부피%, 75 부피%, 또는 80 부피%로, 또는 상기 부피%에 상당하는 양으로 단일 농도의 주스 베이스로서 존재한다. 음료 조성물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주스 베이스를 포함할 때, 주스 베이스들은 합하여, 음료 조성물의 약 20 부피% 내지 약 80 부피%를 단일 농도 주스 베이스로서 포함하거나, 단일 농도의 주스 베이스로서 음료 조성물의 약 20 부피% 내지 약 80 부피%에 상당하는 양이다.
음료 성분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혼합될 수 있는 임의의 음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dairy milk), 두유, 라이스 밀크, 코코넛 밀크, 식물성 추출물들(botanical extracts), 차, 커피, 단백질 드링크, 단백질 유화물, 식사 대용 드링크,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소프트 드링크, 탄산 음료, 냉동 탄산 음료, 냉동 비-탄산 음료, 기능성 드링크 (즉, 기능성 첨가제 또는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뉴트라슈티컬 또는 드링크), 건강 음료, 넥타, 스무디, 쉐이크, 토닉, 오르챠타 (즉, 음료로 만들어진 야채 및/또는 쌀 성분), 시럽, 코디얼, 희석식 드링크(dilutable drink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 (예를 들면, 생우유)를 포함할 수 있거나 농축된 음료 성분 (예를 들면, 우유 분말로부터 제조된 농축 우유 또는 전지 분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음료 조성물의 약 80 부피% 내지 약 20 부피%에 상당하는 양으로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음료 성분이 농축된 성분 (예를 들면, 농축 우유)일 경우, 음료 성분은 약 80 부피% 내지 약 20 부피%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음료 성분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80%, 75%, 70%, 65%, 60%, 55%, 50%, 45%, 40%, 35%, 30%, 25%, 또는 20%로, 또는 이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으로서 존재한다. 음료 조성물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음료 성분들을 포함할 때, 음료 성분들은 합하여, 음료 조성물의 약 80 부피% 내지 약 20 부피%를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들로서 포함하거나, 음료 조성물의 약 80 부피% 내지 약 20 부피%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음료 성분들이다.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조합될 때 저-산 음료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pH를 가진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음료 성분이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조합될 때, 생성된 음료 조성물은 저-산 음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약 5.0 내지 약 8.0 범위의 pH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pH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이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최소한의 응집 또는 침전으로 조합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음료 성분들을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음료 성분들의 조합된 pH는 또한 저-산 음료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 두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우유 또는 두유는 저온살균되거나 저온살균되지 않을 수 있다. 우유는 락토오스를 함유하거나, 락토오스가 저하되어 있거나, 락토오스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우유는 또한 전유(whole milk) (3 중량% 초과의 유지방을 함유), 지방감량 우유(reduced fat milk) (2%의 유지방 함유), 저지방 우유 (1%의 유지방 함유), 또는 탈지 우유 (실제 유지방을 전혀 함유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유 또는 두유는 착향 우유, 가령, 예를 들면, 초콜릿, 딸기, 바닐라, 커피, 카라멜, 또는 그 외 다른 착향 우유일 수도 있다.
식물성 추출물들이 음료 성분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들은 종종 예를 들면,콩, 견과, 식물의 나무껍질, 나뭇잎 및 뿌리로부터 얻어지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물성 추출물들에는 과라나, 생강, 인삼, 은행나무, 알로에 베라, 민트를 비롯한 허브, 시나몬을 비롯한 향신료, 바닐라 콩, 코코아 콩, 견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은 주스 및 추출물들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음료 성분은 또한 기능성 드링크 (기능성 첨가제 또는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뉴트라슈티컬 또는 드링크로도 공지된 것들도 포함) 또는 건강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드링크 또는 건강 음료는 기본 영양소 이외의 건강상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추가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처리수", "정제수", "탈염수(demineralized water)", 및/또는 "증류수" 일 수 있다. 물은 사람이 소비하기에 적합하여야 하고 음료 조성물은 물을 함유함으로써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아야 한다. 음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이러한 첨가수는, 물과 별도로, 본 발명의 그 외 다른 성분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 중 하나 이상의 주스 또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에서 발견되거나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 중 하나 이상의 주스 또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함께 발견된다. 예를 들면, 물은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희석시켜, 단일 농도의, 레디-투-드링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수 성분은 또한 생물학적, 화학적, 영양학적 및 침전 기준과 같은 특정 품질 표준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첨가수 성분의 물 경도는 약 55 ppm 내지 약 250 ppm, 가령, 약 60 ppm 내지 약 180 ppm 범위일 수 있다. 물의 경도는 물에 존재하는 양이온, 예컨대, 탄산 칼슘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물의 경도는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에 의해 발간된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William Horwitz ed., 18th ed. 2005)에 설명되어 있는 AOAC 표준에 따라 측정되며, 관련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첨부된다.
영양소 첨가제( nutrient additives )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에 함유시키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영양소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의 중성 pH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영양소 첨가제가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최소한의 응집 또는 침전으로 조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주스의 산성 pH에 의해 통상적으로 나쁜 영향을 받는 영양소 첨가제의 첨가에 유용할 수 있다. 영양소 첨가제는 단백질, 아미노산, 카르니틴, 타우린, 리보오스, 이노시톨,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카페인, 탄수화물, 지방, 기능성 첨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백질 성분은,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 카세인(카세인염)과 같은 유 단백질, 유청 단백질, 달걀 흰자, 젤라틴, 콜라겐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의 pH는 음료 조성물에 단백질을 첨가할 수 있게 한다.
아미노산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천연에서 얻은 것이거나 합성으로 유도된 것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염(aspartate), 아스파라긴, 시스테인, 글루타민산염(glutamate), 글루타민,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오르니틴, 프롤린, 페닐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타민 및 미네랄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충 비타민 및/또는 미네랄이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 비타민 중에서, 리보플라빈, 니아신, 판토텐산, 피리독신, 코발라민, 주석산수소콜린(choline bitartate), 니아신아미드, 티아민, 엽산, d-판토텐산 칼슘, 비오틴,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1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비타민 B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B-복합 비타민, 비타민 D,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K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네랄 중에서는, 칼슘, 아연, 철, 마그네슘, 망간, 구리, 요오드, 불소, 셀레늄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미네랄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비타민 및 미네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선택적인 비타민 및 미네랄의 첨가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의 관능적 특성이 현저히 감소되지 않을 수 있도록 주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 이상의 보충 비타민 및/또는 미네랄은 소비자가 비타민 및 미네랄에 관한 미국 일일 섭취 권장량 (RDI)을 만족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첨가될 수도 있다.
항산화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에는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E, 프로필갈레이트, 설파이트 및 메타바이설파이트 염들, 티오디프로피온산(thiodiproprionic acid) 및 이들의 에스테르, 향신료 추출물, 포도씨, 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수화물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탄수화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이 섬유 중에서 이눌린과 같은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지방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들은 또한 지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에는 지방산, 가령, 단일불포화 지방산, 다중불포화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및 공액 리놀렌산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첨가제
기능성 첨가제는 기본 영양소 이외의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그중에서도, 페놀 (가령, 아페산 및 페룰산), 폴리올, 식물성영양소(phytonutrients),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성영양소는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건강상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식물-유래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페놀산 (예컨대, 갈산, 바닐산, p-쿠마르산, 카페산, 클로로제닉산, 커큐민), 플라보노이드류 (예컨대, 플라본, 가령, 아피제닌, 크리신, 루테올린, 폴리메톡실화 플라본; 플라보놀류, 가령, 퀘르세틴, 켐페롤, 미리세틴; 플라바논류, 가령, 헤스페리틴, 나린게닌; 플라바놀류 또는 카테킨류, 가령,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안토시아니딘류, 가령, 시아니딘, 펠라고닌, 페오니딘, 말비딘; 이소플라본류 또는 피토에스트로겐류(phytoestrogens), 가령, 제니스테인, 디아드제인, 글리시테인, 리그난), 스틸벤류 (예컨대, 레스베라트롤), 쿠마린류 (예컨대, 푸라노쿠마린), 탄닌류 (예컨대, 갈로탄닌, 엘라지탄닌, 축합 탄닌, 프로안토시아니딘), 카로테노이드류 (예컨대, 베타-크립토크산틴, 루테인, 제아크산틴,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알칼로이드류 (예컨대,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베타인), 질소-함유 화합물 (예컨대, 키누렌산, 무스카린), 유기황 화합물 (예컨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가령, 설포라팬, 인돌, 알리인), 피토스테롤류 (예컨대,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테르펜류 (카로티노이드, 리모노이드, 및 스테로이드의 전구물질), 식물성 스타놀(plant stanols),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식물성영양소를 언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첨가성분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들은 종래의 음료에서 통상 발견되는 선택적 첨가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첨가성분은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내부로 또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과 분산, 용해, 또는 그 외 다른 방법으로 혼합될 수 있다. 선택적 첨가성분은 감미료, 방부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착색제, 착향료, 유화제, 증점제, 즉, 점성 개질제 및 보형제, 탄산염화 성분(carbonation components), 소포제, 조직감부여제(texturizer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미료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미료는 영양 감미료, 비-영양 감미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미료는 천연 감미료이거나, 인공 감미료이거나, 이들의 혼합물 일 수 있다. 영양 (즉, 칼로리) 감미료 중에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탄수화물 감미료, 가령, 단당류 및/또는 이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칼로리 감미료 중에서, 과당, 자당, 포도당, 당 알코올, 콘 시럽, 농축 케인 주스, 쌀 시럽, 메이플 시럽, 블랙 몰트 시럽, 과일 주스 농축액, 꿀, 아가베, 타피오카 시럽, 치커리 뿌리 시럽, 및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칼로리 감미료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영양 감미료에는 나한과(luo han guo), 스테비아 및 이들의 유도체, 에리쓰리톨, 아세설팜 칼륨, 아스파탐, 네오탐, 사카린, 수크랄로오스, 타가토오스, 알리탐, 시클라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영양 감미료 뿐만 아니라 영양소들의 블렌드도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하나 이상의 감미료는 음료 조성물에서 종래 사용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원하는 음료 조성물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방부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방부제"는 음료 및/또는 식품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해 승인된 모든 방부제를 포함한다. 방부제 중에서, 화학적 방부제 (예컨대, 구연산 및 이의 염), 이들의 에스테르 및 유도체, 펩티드, 라우릭 아르기네이트, 님 오일(neem oil), 유게놀, p-시멘, 티몰, 카르바크롤, 리날룰, 나타마이신, 티트리 오일, 핑거루트 추출물, 아사이 분말(acia powder), 4-하이드록시벤질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또는 백겨자씨 정유, 페룰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방부제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방부제는 락토-항균제, 가령, 락토페린, 락토페록시다아제, 락토글로불린 및 락토리피드, 오보-항균제(ovo-antimicrobials), 가령, 리소자임, 오보트랜스페린, 오보글로불린 IgY 및 아비딘, 피토-항균제, 가령, 피토-페놀, 플라보노이드, 티오설피네이트, 카테킨,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아가, 생균제(probiotics), 니신, 페디오신, 루테린 및 사카신, 산-항균제, 가령, 락트산, 아세트산 및 시트르산, 환경-항균제(milieu-antimicrobials), 가령, 염화나트륨, 폴리포스페이트, 클로로-사이드(chloro-cides) 및 오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부제는 미국 식품의약국 또는 그 외 다른 식품 및 음료 관할기관이 정한 바와 같은 최대 규정 수준을 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EDTA
음료 조성물은 또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DTA"는 천연 EDTA 및 합성하여 제조된 EDTA 그리고 이들의 염, 가령, 칼슘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 염을 말한다. EDTA는 FDA에 의해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승인된 (GRAS) 킬레이트제이며,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21 C.F.R. §§ 172.0135, 173.315를 참조하라. 다른 성질 중에서도, EDTA는 그 화학적 구조로 인하여 금속을 격리시키고 비타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금속을 격리시킴으로써, EDTA는 미생물의 효소가 필요로하며 미생물들에게 본질적으로 제공되지 않은 이들 금속들을 제거하며, 이로써 음료 조성물의 보존을 보조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착색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들 중에서도, FD&C 안료, FD&C 레이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착색제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 및/또는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 외 다른 임의의 착색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종래의 음료 및/또는 식품 착색제와 조합된 FD&C 안료 또는 FD&C 레이크 안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그 외 다른 천연 착색제, 예를 들면, 과일, 야채, 및/또는 식물 추출물, 가령 포도, 블랙 커런트, 당근, 비트뿌리, 적 양배추, 및 히비스커스를 비롯한 천연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착향료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착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착향료에는 오일, 추출물, 올레오레진, 해당 분야에 공지된 그 외 다른 임의의 착향료,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적절한 향료(flavors)에는 과일 향료, 콜라 향료, 커피 향료, 초콜릿 향료, 유제품 향료, 커피, 콜라넛(kola nut), 인삼, 카카오 포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오일 및 추출물에는 바닐라 추출물, 감귤류 오일 및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향료들은 천연 원료들, 가령, 주스, 정유 및 추출물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거나,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착향료는 다양한 향료, 가령, 과일 및/또는 야채의 블렌드일 수 있다.
유화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임의의 음료 및/또는 식용등급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 중에서, 아카시아 검, 변성 전분(modified food starches) (예컨대, 알켄일숙시네이트 변성 전분), 셀룰로오스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유도된 음이온성 폴리머, 가티 검, 변성 가티 검, 잔탄 검,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에스테르 검), 트라가칸트 검,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레시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유화제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화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의 조합을 용이하게 하여 조합된 주스 베이스와 음료 성분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개개의 음료 성분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화제는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에 조직감을 부여하기 위해 또는 음료 조성물의 비-단백질 성분들을 유화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은 혼탁 유화물(cloud emulsion) 또는 향료 유화물(flavor emulsion)을 포함할 수 있다.
혼탁 유화물에 있어서, 혼탁화제(clouding agent)는 적절한 식용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중수 유화물로서 안정화된 하나 이상의 지방 또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 또는 오일이 음료와 같은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면, 다양한 지방 또는 오일들 어느 것이라도 혼탁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지방 또는 오일 혼탁화제를 유중수 유화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음료 및/또는 식용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 유용한 향료 유화물은 음료에서 착향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분야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적절한 향료 오일, 추출물, 올레오레진, 정유 등을 포함한다.
증점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증점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 즉, 점성 개질제 및/또는 보형제 중에서, 셀룰로오스 화합물, 가티 검, 변성 가티 검, 구아 검, 트라가칸트 검, 검 아라빅, 펙틴, 잔탄 검, 카라기난, 로커스트 빈 검, 건조 감귤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증점제가 언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산염화 성분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된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에 탄산염화 성분 (예컨대, 이산화탄소)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로 유입되는 물에 이산화탄소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주스 베이스, 음료 성분, 또는 음료 조성물에 직접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로 유입되는 탄산염화 성분의 양은 음료 조성물의 성질 및 원하는 탄산염화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소포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소포제는 알긴산 칼슘,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폴리머, 및 지방산 에스테르, 가령,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선택적 성분들의 양은 음료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되는 양이다. 또한, 이들 추가 성분들의 양은 원하는 음료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로 중성화시켜,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하는 단계, 여기서 음료 조성물은 저-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의 pH를 측정하고, 주스의 pH 가 약 5.0 내지 약 6.1이 되도록 산성 주스의 pH를 중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알칼리성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알칼리성 첨가제는 예를 들면, 산성 주스와의 관능적 상용성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알칼리성 첨가제들은 상이한 주스들과 상용가능하다. 많은 알칼리성 첨가제들이 복수의 상이한 주스들과 상용가능하며, 많은 주스들이 복수의 상이한 알칼리성 첨가제들과 상용가능하다. 산성 주스 및 알칼리성 첨가제가 상용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생성된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수용가능한 감각수용적 또는 관능적 특성들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관능적 특성들에는 색, 맛, 향, 식감, 농도(consistency), 당도 및 신맛(tartness)이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되어, 저-산 음료 조성물을 생성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주스 베이스의 pH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주스 베이스 두 가지 모두가 유사한 pH를 가질 때 이들의 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주스 베이스의 pH는 생성된 음료 조성물의 관능적 특성들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시킨다.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는, 단일 농도의 주스 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총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20% 내지 약 80%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된다.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을 사용할 경우, 총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80% 내지 약 20%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와 조합될 수 있다.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또는 음료 성분 중 하나가 농축된 성분인 경우,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또는 음료 성분의 양은 상기 논의한 단일 농도의 농축물에 상당하는 농도를 가지는 음료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일단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가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되었다면,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물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음료 조성물은 조성물에 따라 영양소 첨가제 및/또는 선택적 첨가성분과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음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와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이 조합된 후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음료 조성물은 저온살균 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음료 조성물은 초고온 (UHT)에서 부분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음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균질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음료 조성물들의 구체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오렌지 주스 농축물에 물을 첨가하고, 1437.89 그램의 4개 분액(aliquot)으로 나누어, 농축물로부터 사양(11.8% 브릭스, 0.7% 산)에 속하는 표준 단일 농도의 오렌지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 1 분액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외 3개의 분액들을 Ca(OH)2를 사용하여 상이한 pH들로 조절하였다. 대조군의 분액은 4.0의 pH를 가졌으며, 나머지 분액들은 각각 5.0, 5.5, 및 6.0의 pH로 조절하였다. 6.5의 최종 pH를 가지는 오렌지 주스에 대한 사전 실험을 실시하고 관능 검사하였으나, 이러한 pH를 가지는 오렌지 주스는 관능 검사를 잘 수행하지 못하였다. 관능 검사들에서, 맛 시음자은 다양한 주스 제조물들을 수용가능한 색, 맛, 향, 식감, 농도, 당도 및 신맛에 관하여 샘플화하였다.
각각의 pH에 대한 응집도 및 균질성 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pH를 변화시킨 상기 가공된 주스들을 30%의 우유 대 70%의 주스의 부피비로 지방감량 우유 (2% 유지방)와 혼합하였다. 상기 방법의 결과물들에 대해 관능 검사들을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 결과, 오렌지 주스의 경우 6.0의 pH를 가지는 음료 조성물들이 가장 만족스러운 맛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pH 5.0 및 5.5의 음료 조성물들 또한 수용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
백포도 주스 농축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농축물로부터 사양(16.0% 브릭스, 0.236% 산)에 속하는 표준 단일 농도의 백포도 주스를 제조하였다. 백포도 주스를 8,050 그램의 두 개의 분액들로 나누었다. 상기 주스가 올바른 사양에 속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브릭스, 산, 및 pH를 검사하였다. 25 그램의 Ca(OH)2를 계량 보트로 계량하였다. 주스의 제 1 분액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수산화칼슘을 첨가하였을 때 pH 변화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pH 탐침자를 제 2 용기에 넣었다. 혼합물이 6.0의 pH에 도달할 때까지 수산화칼슘을 제 2 용기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사용된 알칼리성분의 양을 차이분에 의하여 알아내기 위해 잔여 수산화칼슘을 계량하였으며, 그 양은 8.74 그램이었다.
상기 방법은 상이한 주스들의 pH를 상승시키기 위한 선택적 알칼리성 첨가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농축물로부터 얻은 표준 오렌지 및 사과 주스들 (사과 주스 사양: 11.6% 브릭스, 0.464% 산, 오렌지 주스 사양은 상기와 같음)을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하였으며, 오렌지 주스의 pH는 6.0으로, 사과 주스의 pH는 6.0으로 조절되었다. 실험하는 동안, 수산화칼슘-중성화된 사과 주스는 첨가된 우유와 응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속 가열 공정동안, 응집은 강화되었다. 이러한 응집은 사과 주스 베이스에서 Ca(OH)2 대신 KOH를 알칼리성 첨가제로서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었다. Ca(OH)2의 사용은 오렌지 주스 및 포도 주스 베이스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맛의(pleasing) 음료를 생성하였으며, 이는 상기 응용에서 사용하기에도 최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표준 백포도 주스를 제조하였다. 주스의 pH를 Ca(OH)2를 사용하여 6.0으로 조절하여, 주스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이 주스 베이스를 지방감량 우유 (2% 유지방)와 상이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100 밀리리터 샘플들로 제조하였으며, 샘플에 대한 주스 베이스의 백분율 증분은 20% 내지 80%이었다. 최적의 주스 베이스-대-우유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샘플들을 관능적 협조성(sensory agreeability)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4% 유지방 우유, 2% 유지방 우유, 락토오스가 없는 2% 유지방 우유, 및 칼슘 강화 유기농 두유를 사용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하였다. 또한 오렌지 및 사과 주스 베이스들을 사용하여서도 상기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상이한 유제품들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주스 베이스-대-우유 비율에 대하여도 실험하였다.
표 1에 나타낸 주스 베이스-대-우유 비율은 관능 검사들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최적의 관능 특성들을 가지는 음료 조성물을 생성하였다.
주스 초기 pH 브릭스 %
알칼리성 첨가제 %
pH 6.0에 도달하기까지 알칼리 성분
%
우유(4% 유지방)와의
주스 베이스
%
우유(2% 유지방)
와의
주스 베이스
%
락토오스가 없는 우유(2% 유지방)와의 주스 베이스
%
두유와의 주스 베이스
백포도 3.37 16.11 0.20 Ca(OH)2 0.085 40% 40% 30% 40%
오렌지 4.04 11.90 0.70 Ca(OH)2 0.35 30% 30% --- 30%
사과 3.80 11.70 0.47 KOH 0.36 50% 50% 40% 50%
표 1에서, 락토오스가 없는 우유로 제조된 음료 조성물에서 사용된 주스 베이스의 백분율은 그 외 다른 제조물에서의 주스 베이스의 백분율보다 낮았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락토오스가 없는 우유가 두유 또는 일반 우유보다 약간 더 달콤했다는 사실로 인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물들에서 더 작은 양의 주스는 관능 검사에서 더 만족스러웠다. 오렌지 주스와 혼합된 락토오스가 없는 우유는 관능 검사하기에 적절한(agreeable) 블렌드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3의 상기 음료 조성물들을 97.2℃(207°F)에서 22초 동안 가공하고, ≤4.4℃ (40°F)에서 위생처리한 500 ml의 PET 병에 채웠다. 가공하는 동안, 음료 산출물을 시각적으로 검사하여, 응집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결정하였다. 가공 후 음료에 대한 영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들을 실시하였다. 열 가공하는 동안 음료 조성물의 당도는 어느정도 약화된(mute)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기 절차 후 완전한 균질화에 관하여 음료들을 검사하였으며, 음료들은 균질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들의 보관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의 음료 조성물들을 냉장 온도 (4℃)에서 보관하였다:
표 2: 보관 안정성에 관하여 검사한 음료 조성물들
주스 베이스 주스 베이스의 pH 주스 베이스의
백분율부피
2% 유지방 우유의 백분율 부피 보관 기간
백포도주스+
Ca(OH)2
6.0 40% 60% 9.5주
오렌지주스+
Ca(OH)2
6.0 30% 70% 8주
사과 주스+
KOH
6.0 50% 50% 6주
상기 음료 조성물들은 저온살균 전 균질화되지 않았을 때, 보관 기간이 끝날 때 백포도 주스-우유 및 사과 주스-우유 제품들의 상부에서 매우 약간의 분리 (4-5 mm)가 관찰되었다. 또한, 오렌지 주스-우유 제품들의 하부에서 매우 적은 오렌지색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이들 분리 모두는 제품들을 살짝 혼합하면(전도시키면) 사라졌다.
시음자들은 8주 동안 보관된 오렌지 주스 베이스-우유 음료 조성물을 약간의 오렌지 향이 나는 감미된 우유 음료와 같은 맛이 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시음자들은 6주 동안 보관된 사과 주스 베이스-우유 음료 조성물을 사과 주스 맛과 함께 달콤한 우유 향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한 시음자는 어느 정도의 대추향을 언급하였다. 9.5주 동안 보관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우유 음료 조성물은 감미된 우유와 같은, 그러나 어느정도 향이 없는 맛이 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시음자들은 백포도 주스의 향을 검출하지 못했다. 모든 시음자들은 이들 음료들이 향, 색, 및 영양소를 추가하여 또다른 음료들을 위한 베이스로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동의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전체 대략 2 갤론, 또는 7,935 그램의 표준 사과 주스를 제조하였다. 총 18.88 그램의 수산화칼륨 (0.238% w/w)을 주스에 첨가하여 주스 베이스를 만들고, pH를 3.67로부터 6.00으로 높였다. 이 주스 베이스 3리터를 3리터의 2% 우유와 블렌딩하여, 총 6리터의 주스 베이스-우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동안 UHT (초고온) 가공하여, 1.7℃ (35°F)에서 0.946 리터(32 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2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냉장 보관 3주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사과 주스 베이스 3리터를 3리터의 두유와 블렌딩하여, 총 6리터의 주스 베이스-두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0.946 리터(32 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2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3주 냉장 보관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8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대략 총 2 갤론, 또는 7,942 그램의 표준 오렌지 주스를 제조하였다. 총 30.84 그램의 수산화칼슘 (0.388% w/w)을 주스에 첨가하여 pH를 3.78에서 6.00가 되게 하고, 1.8리터의 상기 주스 베이스를 4.2리터의 두유와 블렌딩하여, 총 6리터의 주스 베이스-두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0.946 리터 (32 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2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3주 냉장 보관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9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대략 총 2 갤론, 또는 8,046 그램의 표준 백포도 주스를 제조하였다. 총 7.66 그램의 수산화칼슘 (0.0952% w/w)을 상기 주스에 첨가하여, pH가 3.38에서 6.00이 되게 하고, 이 주스 베이스 2.4 리터를 3.6 리터의 두유와 블렌딩하여, 총 6리터의 주스 베이스-두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0.946리터 (32 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2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3주의 냉장 보관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0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대략 총 1.5 리터 또는 1,573 그램의 표준 오렌지 주스를 제조하였다. 총 9.09 그램의 수산화칼륨 (0.578% w/w)을 상기 주스에 첨가하여, pH가 3.82에서 6.00이 되게 하고, 0.9리터의 이 주스 베이스를 2.1리터의 2% 우유와 블렌딩하여, 총 3리터의 주스 베이스-우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0.591 리터 (20 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3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3주의 냉장 보관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1
상기 지시된 사양에 따라 대략 총 1리터, 또는 1,063 그램의 표준 백포도 주스를 제조하였다. 총 1.45 그램의 수산화칼륨 (0.136% w/w)을 상기 주스에 첨가하여, pH가 3.43에서 6.00이 되게 하였다. 이 주스 베이스 1리터를 1.5 리터의 두유와 블렌딩하여, 총 2.5리터의 주스 베이스-두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음료를 137.8℃ (280°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0.591 리터(20온스)의 위생처리된 PET 병 3개에 담았다. 질감은 매끄러운 느낌이었다. 생성물은 3주 냉장 보관 후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2
주스 베이스-우유 및/또는 두유 블렌드를 달리한 추가 음료 조성물들을 변화하는 pH에서 검사하였다. 음료 조성물들은 표 3에 나열되어있다. 일반적으로, 표준 오렌지 주스, 표준 사과 주스, 및 표준 백포도 주스를 표 3에 지시된 사양에 따라 제조하였다. V8 야채 주스 (Campbell사) 및 V8 Spicy Hot 야채 주스 (Campbell사)를 구매하였다. 각 주스를 일정양의 수산화칼륨과 혼합하여, 표 3에 지시된 바와 같이 5.0 또는 5.5의 pH를 가지는 주스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주스 베이스를 우유, 두유, 또는 우유와 두유 모두와 혼합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음료 조성물을 137.8℃ (28O°F)에서 6초의 체류 시간 동안 UHT 가공하여, 1.7℃ (35°F)에서 위생처리된 PET 병에 담았다. 각각의 음료 조성물에 대하여, 시각 관찰시 생성물의 질감은 균일하고 매끄러워 보였다.
표 3: 추가 음료 조성물들
주스와 주스 베이스 기여도 음료 조성물 성분 (%v/v)
음료 조성물 사양 주스의 브릭스° 주스의 산% 주스의 초기 pH 주스 베이스의 최종 pH 주스에 첨가된 알칼리 성분
%(w/w)
주스
베이스
2% 우유 두유
(Silk®)
오렌지주스와 우유 11.8 0.70 3.80 5.0 0.40 30 70 -
오렌지주스와 두유 11.8 0.70 3.80 5.0 0.40 30 - 70
사과주스와 우유 11.5 0.46 3.74 5.5 0.20 50 50 -
사과주스와 두유 11.5 0.46 3.74 5.5 0.20 50 - 50
백포도주스와 우유 16.0 0.20 3.48 5.5 0.14 40 60 -
백포도주스와 두유 16.0 0.20 3.48 5.5 0.14 40 - 60
오렌지주스, 우유, 및 두유 11.8 0.70 3.80 5.0 0.40 30 35 35
사과주스, 우유 및 두유 11.5 0.46 3.74 5.5 0.20 50 25 25
백포도주스, 우유 및 두유 16.0 0.20 3.48 5.5 0.14 40 30 30
V8 야채주스 및 우유 5.0 0.40 4.21 5.5 0.21 60 40 -
V8 야채주스 및 두유 5.0 0.40 4.21 5.5 0.21 60 - 40
V8 Spicy Hot 야채 주스 및 우유 5.0 0.40 4.15 5.5 0.21 55 45 -
V8 Spicy Hot 야채 주스 및 두유 5.0 0.40 4.15 5.5 0.21 55 - 45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구체예들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를 고려하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은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Claims (34)

  1.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탄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중탄산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단일 농도의 주스(single strength juice) 및 주스 농축물(juice concentrate)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과일 주스, 하나 이상의 산성 야채 주스, 야채 주스들의 산성 블렌드, 및 이들의 산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의 제조 방법.
  5. 다음을 포함하며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a)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 및
    b)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탄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중탄산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주스는 단일 농도의 주스 및 주스 농축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과일 주스, 하나 이상의 산성 야채 주스, 야채 주스들의 산성 블렌드, 및 이들의 산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9. 다음을 포함하며, 안정화제가 없는 저-산(low-acid) 조성물인 음료 조성물:
    a)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 및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포함하며,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 및
    b)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 및 농축된 음료 성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 두유, 라이스 밀크, 코코넛 밀크, 식물성 추출물들, 차, 커피, 단백질 드링크, 단백질 유화물, 식사 대용 드링크,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소프트 드링크, 탄산 음료, 냉동 탄산 음료, 냉동 비-탄산 음료, 기능성 드링크, 건강 음료, 넥타, 스무디, 쉐이크, 토닉, 오르챠타, 시럽, 코디얼, 희석식 드링크(dilutable drink),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 두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조성물은 단일 농도의 조성물 및 농축된 조성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20% 내지 약 80%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주스 베이스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80% 내지 약 20%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음료 성분으로 조성물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6. 제 9항에 있어서, 물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7. 제 9항에 있어서, 단백질, 아미노산, 카르니틴, 타우린, 리보오스, 이노시톨,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카페인, 탄수화물, 지방, 기능성 첨가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양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8. 제 9항에 있어서, 감미료, 방부제, 착색제, 착향료, 증점제, 탄산염화 성분, 소포제, 조직감부여제(texturizer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적 첨가성분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9. 다음을 포함하며, 안정화제가 없는 저-산 조성물인 음료 조성물:
    a)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백포도 주스 ;
    b) 우유, 두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음료 성분; 및
    c) 향료 첨가제.
  20.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를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성화시켜, 약 5.0 내지 약 6.1 범위의 pH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의 pH는, 하나 이상의 주스 베이스와 조합될 때, 저-산 음료 조성물을 생성함.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첨가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탄산 칼륨, 구연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중탄산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단일 농도의 주스 및 주스 농축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산성 주스는 하나 이상의 산성 과일 주스, 하나 이상의 산성 야채 주스, 야채 주스들의 산성 블렌드, 및 이들의 산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 두유, 라이스 밀크, 코코넛 밀크, 식물성 추출물들, 차, 커피, 단백질 드링크, 단백질 유화물, 식사 대용 드링크,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소프트 드링크, 탄산 음료, 냉동 탄산 음료, 냉동 비-탄산 음료, 기능성 드링크, 건강 음료, 넥타, 스무디, 쉐이크, 토닉, 오르챠타, 시럽, 코디얼, 희석식(dilutable) 드링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우유, 두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단일 농도의 음료 성분 및 농축된 음료 성분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는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20% 내지 약 80%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주스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은 음료 조성물 부피의 약 20% 내지 약 80%에 상당하는 양의 단일 농도 음료 성분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제 20항에 있어서, 음료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제 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영양소 첨가제(nutrient additive)를 음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영양소 첨가제는 단백질, 아미노산, 카르니틴, 타우린, 리보오스, 이노시톨,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카페인, 탄수화물, 지방, 기능성 첨가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1. 제 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선택적 첨가성분을 음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선택적 첨가성분은 감미료, 방부제, 착색제, 착향료, 증점제, 탄산염화 성분, 소포제, 조직감부여제(texturizer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2. 제 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한 후 음료 조성물을 균질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3. 제 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하는 단계 후 음료 조성물을 저온살균(pasteurizing)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4. 제 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성화된 주스 베이스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과 조합하는 단계 후 음료 조성물을 UHT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07008153A 2007-10-22 2007-12-10 중성화된 주스류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84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160107P 2007-10-22 2007-10-22
US60/981,601 2007-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156A true KR20100084156A (ko) 2010-07-23

Family

ID=3953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153A KR20100084156A (ko) 2007-10-22 2007-12-10 중성화된 주스류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90104312A1 (ko)
EP (1) EP2205104A1 (ko)
JP (1) JP2011500052A (ko)
KR (1) KR20100084156A (ko)
CN (1) CN101835392A (ko)
AU (1) AU2007360657A1 (ko)
BR (1) BRPI0722137A2 (ko)
CA (1) CA2702471A1 (ko)
MX (1) MX2010004004A (ko)
RU (1) RU2444214C2 (ko)
WO (1) WO2009054836A1 (ko)
ZA (1) ZA20100247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48B1 (ko) * 2012-03-27 2014-08-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몰, 니신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존제
US10745658B2 (en) 2017-08-11 2020-08-18 Mark Anthony International Srl Clarified fermented beverages, and a method thereof
KR102356427B1 (ko) * 2021-06-21 2022-02-08 농업법인 주식회사 우리팜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기능성 양상추 음료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기능성 양상추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2490A1 (en) * 2007-12-20 2009-06-25 Tropicana Products, Inc. Calcium-fortified beverag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ITMI20080306A1 (it) * 2008-02-26 2009-08-27 Anidral Srl Un latte di soia fermentato e un procedimento per migliorare le proprieta' organolettiche di un latte di soia fermentato
EP2453765A4 (en) * 2009-05-27 2013-02-20 Kathryn Deibler BEVERAGE PRODUCT WITH RESVERATROL
US8293299B2 (en) 2009-09-11 2012-10-2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ontainer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ultiple doses of a concentrated liquid, and shelf stable Concentrated liquids
JP5683114B2 (ja) * 2010-01-26 2015-03-11 株式会社 伊藤園 生姜汁の色調変化抑制方法、生姜汁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3013774A2 (pt) * 2010-12-07 2016-08-02 Purac Biochem Bv fermentados de fruta contendo propionato e uso do mesmo
EP2465361B1 (en) * 2010-12-16 2014-02-19 PURAC Biochem BV Method for inhibiting yeast activity
JP5777386B2 (ja) * 2011-04-15 2015-09-09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容器詰め炭酸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534234B2 (ja) * 2011-04-20 2014-06-25 株式会社 伊藤園 トマト含有飲料及びトマト含有飲料の製造方法
CN103889411B (zh) 2011-07-15 2018-03-16 纽斯尔特科学公司 用于调节代谢途径的组合物和方法
CN104349684A (zh) * 2012-04-04 2015-02-11 大正制药株式会社 水性液体饮料
US11013248B2 (en) * 2012-05-25 2021-05-25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Shelf stabl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and methods of preparing beverages with the concentrated liquid flavorings
CN102960719A (zh) * 2012-11-02 2013-03-13 南昌大学 一种功能性保健食品制备方法
MX2015006023A (es) 2012-11-13 2016-03-31 Nusirt Sciences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incrementar el metabolismo energetico.
SG11201504153QA (en) * 2012-11-27 2015-06-29 Tata Global Beverages Ltd Beverage with heart aid functional ingredients and process thereof
US20140199432A1 (en) * 2012-12-05 2014-07-1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US9072316B2 (en) * 2012-12-05 2015-07-0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RU2562520C2 (ru) * 2013-10-31 2015-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рские Инновации"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напитка
CN104397816A (zh) * 2014-12-10 2015-03-11 陕西博森生物制药股份集团有限公司 一种氨基酸混合饮品
DE102015201149A1 (de) * 2015-01-23 2016-07-28 be imaging GmbH Zusammensetzung aus Pflanzensaftkonzentraten und deren Verwendung als Signalgeber
CN106135601A (zh) * 2015-04-13 2016-11-23 统企业(中国)投资有限公司昆山研究开发中心 健康咖啡饮料及其制作方法
RU2590678C1 (ru) * 2015-06-04 2016-07-10 Елена Сергеевна Каменская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исломолоч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молочной сыворотки
US10154681B2 (en) * 2015-11-06 2018-12-18 Script Essentials, Llc Goitrogen-free beverage, methods of use and method of formulating the same
CN105285634B (zh) * 2015-11-11 2017-12-01 浙江工商大学 一种运动训练提效型天然功能饮剂组合物及其应用
US10702590B2 (en) 2016-04-12 2020-07-07 Script Essenti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hyroid disease
CA3041722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US11191289B2 (en) 2018-04-30 2021-12-07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Spoonable smoothie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RU2685196C1 (ru) * 2018-09-11 2019-04-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О "ВГУИ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ых коллагенсодержащих напитков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WO2020085933A1 (ru) * 2018-10-22 2020-04-30 Алексей Васильевич ПАДАЛКИН Напиток, содержащий инертный газ ксенон
JP2020171230A (ja) * 2019-04-11 2020-10-22 株式会社 伊藤園 中性領域で長期間緑色を保持可能な容器詰青汁飲料
CN110269219B (zh) * 2019-06-20 2021-11-23 浙江大学 一种将酸碱工艺水直接利用的橘片处理方法
CN112535212A (zh) * 2019-09-20 2021-03-23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儿茶素原料的预处理方法以及包含儿茶素的果汁牛奶
US10834952B1 (en) 2019-11-05 2020-11-17 Bubble Qii Limited Beverage formulation with reduced cariogenic activity
CN112913996A (zh) * 2021-03-18 2021-06-08 乐山绿水青山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睡眠质量的刺梨液及其制备方法
CN113519660A (zh) * 2021-06-11 2021-10-22 重庆氧多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提高人体血氧饱和度的固体饮料及制备工艺
CN113951449A (zh) * 2021-10-28 2022-01-21 广西梧州冰泉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水果风味豆浆粉及其制备工艺
CN115517327A (zh) * 2022-08-25 2022-12-27 杭州娃哈哈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碳酸饮料持气性的复配稳定剂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4252A (en) * 1938-10-10 1940-12-10 Edward C Callaway Food product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US2450456A (en) * 1945-05-03 1948-10-05 Ridgewood Inc Concentrated apple juice and milk modifier
US2567038A (en) * 1950-08-04 1951-09-04 Fruit Growers Exchange Ca Drying fruit juices
FR1230842A (fr) * 1959-07-20 1960-09-20 Procédé de traitement de jus biologiques et naturels
GB1188871A (en) * 1968-01-16 1970-04-22 Solagrum S P A Solid Compositions Containing Acid Fruit Juices.
US3647476A (en) * 1969-11-24 1972-03-07 Sunkist Growers Inc Limonin free naval orange juice and drink of milk embodying such orange juice
US3692532A (en) * 1970-10-27 1972-09-19 David R Shenkenberg Milk-fruit juice beverag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3787591A (en) * 1971-09-16 1974-01-22 Japan Natural Food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wders of green leaves of wheat and barley
US4078092A (en) * 1975-12-30 1978-03-07 Kazuhiro Nishiyama Apple juice compositions and milk-apple juice drink containing such compositions
US4200662A (en) * 1976-11-05 1980-04-29 Stauffer Chemical Company Fortification of soft drinks with protein
DE3137440A1 (de) * 1981-09-21 1983-03-31 Eckes, Peter, 6501 Nieder-Olm Proteinhaltiges konditionsgetraenk
US4478855A (en) * 1981-12-28 1984-10-23 Arla, Ekonomisk Forening Protein containing fruit drink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4676988A (en) * 1984-03-19 1987-06-30 General Mills, Inc. Low-acid juice-milk beverages, juice and milk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4643902A (en) * 1984-09-07 1987-02-17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ethod of producing sterile and concentrated juices with improved flavor and reduced acid
ATE94351T1 (de) * 1987-12-28 1993-10-15 Procter & Gamble Herstellung von fruchtsaftgetraenken durch dispersion einer calziumhydroxidaufschlaemmung in einen strom von pasteurisiertem saft.
US4988529A (en) * 1989-03-24 1991-01-29 Nissei Kabushiki Kaisha Milk sha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202145A (en) * 1991-06-05 1993-04-13 Kraft General Foods, Inc. Method of making a shelf-stable milk-containing beverage product
US5260085A (en) * 1991-06-05 1993-11-09 Kraft General Foods, Inc. Shelf-stable milk-containing beverage products
US5286511A (en) * 1992-10-23 1994-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Clouding agent for beverages and method of making
US5411755A (en) * 1993-02-16 1995-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sweet juice from cucurbitaceae fruit
US5665415A (en) * 1995-07-26 1997-09-09 Akpharma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pH of acid foods
US6495180B1 (en) * 1995-12-22 2002-12-17 Tamer International, Ltd. Acid reduced whole bean coffee and process
US5853787A (en) * 1995-12-22 1998-12-29 Tamer International Method for reducing coffee acidity
US6066342A (en) * 1995-12-22 2000-05-23 Tamer International, Ltd. Antacid composition
US6045843A (en) * 1995-12-22 2000-04-04 Tamer International, Inc. Acid-reduced, whole bean coffee process
ES2140173T3 (es) * 1997-08-20 2000-02-16 Plantamed Arzneimittel Gmbh Procedimiento para impedir las precipitaciones en los jugos recien prensados de echinacea.
CA2252691C (en) * 1997-11-07 2005-12-06 Kyowa Hakko Kogyo Co., Ltd. Protein-containing acidic foods and drinks
US6171633B1 (en) * 1998-08-14 2001-01-09 Natura, Inc. Milk-based drink
US6706309B1 (en) * 1998-11-25 2004-03-16 William F. Aftoora Liquefied water soluble acidity-reducing formulation for food and beverage products
US6406730B1 (en) * 1998-12-01 2002-06-18 Carl E. Banyard Process for producing low acid food products
RU2147205C1 (ru) * 1999-07-05 2000-04-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Лианозовский молочный комбинат" Клюквенный сокосодержащий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RU2160549C1 (ru) * 2000-01-20 2000-12-20 Соколов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US6344223B1 (en) * 2000-03-10 2002-02-05 Nestec S.A Food fortified with iron
AUPQ847000A0 (en) * 2000-06-29 2000-07-27 Adventures Plus Pty Ltd Nutrient beverage
JP4164228B2 (ja) * 2000-12-07 2008-10-1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果汁入り乳飲料
US20050074535A1 (en) * 2000-12-20 2005-04-07 Dulebohn Joel I. Soy milk juice beverage
ES2390447T3 (es) * 2001-01-23 2012-11-13 Pepsico, Inc. Producto lácteo estabilizado que contiene frutas y zumo de frutas
US6565898B2 (en) * 2001-05-03 2003-05-20 Tropicana Products, Inc. Reduction of heartburn episodes after ingestion of orange juice
US6811804B2 (en) * 2001-06-07 2004-11-02 Abbott Laboratories Juice and soy protein beverage and uses thereof
EP1269854A1 (en) * 2001-06-29 2003-01-02 Camoina Melkunic B.V. Clear dairy drink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074448B2 (en) * 2001-09-28 2006-07-11 Tropicana Products, Inc. Juice deacidification
US6730343B2 (en) * 2001-09-28 2004-05-04 Yongsoo Chung Single strength juice deacidification incorporating juice dome
US7241467B2 (en) * 2002-01-23 2007-07-10 Pepsico, Inc. Stabilized milk product containing juice
JP3756837B2 (ja) * 2002-04-08 2006-03-15 日本ミルクコミュニティ株式会社 弱酸性乳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7264839B2 (en) * 2003-06-06 2007-09-04 Fuji Oil Company, Limited Protein beverage
JP4335120B2 (ja) * 2004-11-08 2009-09-30 カゴメ株式会社 混合飲料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48B1 (ko) * 2012-03-27 2014-08-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몰, 니신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존제
US10745658B2 (en) 2017-08-11 2020-08-18 Mark Anthony International Srl Clarified fermented beverages, and a method thereof
KR102356427B1 (ko) * 2021-06-21 2022-02-08 농업법인 주식회사 우리팜 메카노케미스트리 반응을 통한 기능성 양상추 음료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기능성 양상추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5392A (zh) 2010-09-15
AU2007360657A1 (en) 2009-04-30
WO2009054836A1 (en) 2009-04-30
BRPI0722137A2 (pt) 2014-04-15
JP2011500052A (ja) 2011-01-06
ZA201002476B (en) 2010-12-29
EP2205104A1 (en) 2010-07-14
RU2444214C2 (ru) 2012-03-10
US20110081455A1 (en) 2011-04-07
US20090104312A1 (en) 2009-04-23
MX2010004004A (es) 2010-04-30
CA2702471A1 (en) 2009-04-30
RU2010115224A (ru) 201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4214C2 (ru) Напитки на основе ней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сока и способ и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ES2923426T3 (es) Composiciones y comestibles
US7799363B2 (en) Protein beverage and protein beverage concentrat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645490C (en) Protein drink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080540B2 (ja) 飲料用ビタミン調製物
RU2658988C2 (ru) Получение и включение в напитки сопутствующих продуктов для улучшения обмена веществ и пищеварения
JP6649880B2 (ja) ゼロまたは低カロリーのフローズン飲料におけるd−プシコース
US20080050498A1 (en) Powdered protein beverage mix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8501449A (ja) 添加糖又は人工甘味料の含まれていないスポーツドリンク
KR20100051664A (ko)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11357A1 (ja) 酸性乳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1250845B1 (en) Method for producing milk-containing acidic beverage
KR20080081171A (ko) 우유 미네랄 워터, 그의 제조 방법 및 우유 미네랄 워터함유 음료
BR102014008054A2 (pt) bebidas nutricionais
US10820606B2 (en) Methods for increasing the clarity and refreshing attributes and reducing the bitterness and astringency of green tea
DK9300118U4 (da) Syrnet mælkedri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