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915A -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915A
KR20100081915A KR1020090094183A KR20090094183A KR20100081915A KR 20100081915 A KR20100081915 A KR 20100081915A KR 1020090094183 A KR1020090094183 A KR 1020090094183A KR 20090094183 A KR20090094183 A KR 20090094183A KR 20100081915 A KR20100081915 A KR 2010008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feit
banknote
counterfeit right
process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621B1 (ko
Inventor
요타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권류 처리장치는, 오퍼레이터로부터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권류 처리장치, 지폐 입출금기, 위조권 감별, 권류 수납

Description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BILL HANDLING MACHINE, RECODRING MEDIUM AND BILL HANDLING METHOD}
본 발명은, 권류(券類)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지폐 등을 은행원이 입출금하는 처리를 행하는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일반적인 입금처리에서 입금된 지폐를 진권(眞券)으로 감별할 수 없어 아무리 해도 접수할 수 없는 경우(리젝트되는 경우)에, 은행원이 리젝트된 지폐를 육안 등으로 확인후, 강제로 지폐를 장치 내에 수납하는 처리(이하 「강제 입금처리」라고 한다)가 행해진다.
종래, 지폐의 입출금처리를 행하는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4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가 있지만, 이들 장치를 전술한 강제 입금처리에 적용한 경우에는, 은행원이 미리 돈의 종류를 설정하고, 장치측은 그 돈의 종류가 입금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입금하고, 수납후에는 해당 돈의 종류의 현금 카운터를 매수만큼 플러스하고 있었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2-23569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07-23998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4-24071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 2004-318335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장치를 강제 입금처리에 적용한 경우, 고객으로부터 은행원이 맡은 지폐로서 확실하게 진권으로 오퍼레이터가 인식한 지폐를, 강제 입금처리로 장치 내에 입금 수납해서 마치 통상 입금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입금 금액을 호스트 컴퓨터에 통지하여 그 거래를 성립시키는 것이지만, 은행원이 잘못해서 위조권에 대해서 강제 입금처리를 적용해서 수납해 버릴 위험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제 1의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는, (1)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2)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를, (1)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2)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본 발명의 권류 처리방법은, (1)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2) 위조권 감별수단, 위조권 처리수단, 권류 수납수단을 갖고, (3)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은,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적어도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고, (4) 상기 위조권 처리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고, (5) 상기 권류 수납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지폐나 유가증권 등의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위조권을 수납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A)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A-1) 제 1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지폐를 출납하는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은행의 은행원 등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지폐가 투입되면 수납하거나, 은행원의 조작에 따라 지폐를 지불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은행의 은행원 등, 지폐 입출금기(100)(권류 처리장치)의 조작을 행하는 자를 「오퍼레이터」라고도 한다.
지폐 입출금기(100)는, PC부(2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고, 입출금의 결과에 대하여 PC부(200)에 제공하는 것이다.
PC부(200)는, 오퍼레이터가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처리를 행할 때의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대하여 지폐의 입출금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PC부(200)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데이터 처리(트랜잭션)를, 호스트 컴퓨터(이하, 「HOST」라고 한다)(300)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지폐 입출금기(100)는, 제어부(101), 입금구(入金口)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 인식부(107)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지폐 입출금기(100)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인 지폐의 출납이나 수납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나, 지폐의 인식을 행하는 센서 부분 등의 이외는, 지폐의 처리에 관한 정보처리, 프로파일 정보의 등록 등을 실행하기 위한 CPU, ROM, RAM 등을 갖고 있어,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권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이 인스톨되어 있다. 전술한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지폐 입출금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면 도 1과 같이 된다.
제어부(101)는, 지폐 입출금기(100) 전체의 제어를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PC부(200)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어, PC부(2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입금구부(102)는, 오퍼레이터가 지폐 입출금기(100)에 지폐를 입금하는 지폐를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출금구부(103)는, 예를 들면, 거래가 취소 등에 의해 확정하지 않은 경우나, 위조권 등, 지폐 입출금기(100)로부 터 지폐를 오퍼레이터에게 내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입금구부(102) 및 출금구부(103)는, 기존의 지폐 출금기 등에서 지폐를 입금/출금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지폐 반송로부(106)는, 지폐 입출금기(100) 내부에서, 각 부의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 등에 있어서 지폐를 반송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지폐 수납부(105)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입금한 지폐나 출금할 지폐를 수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 등에 있어서 지폐를 수납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입금/출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를 돈의 종류마다 다른 카세트(박스)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입금할 지폐와 출금할 지폐에 대하여, 각각 별개의 카세트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폐 수납부(105)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전용의 카세트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인식부(107)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 등을 감별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인식부(107)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강제 입금처리에 관한 구성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시 보류부(104)는,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와 HOST(300) 사이에서 거래 확정, 즉, 트랜잭션이 확정될 때까지, 강제 입금처리에 의해 입금된 지폐를 보류해 두는 것이다.
PC부(200)는, 지폐 입출금기(100)에 관한 제어와,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의 유 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메인 제어부(201),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 메모리(205)를 갖고 있다. PC부(200)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1대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를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상에, 지폐 입출금기(100)에 관한 제어처리나, 오퍼레이터와의 사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인스톨함으로써 구축하여도 되고, 기능적으로는 도 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있어서는, 지폐 입출금기(100)와 PC부(200)는 나뉘어진 장치로 되어 있지만, PC부(200)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폐 입출금기(100)측에 탑재하도록 해도 된다.
메인 제어부(201)는, PC부(200) 내부의 제어를 행하고, 더구나, I/F부(204)를 통해 지폐 입출금기(100)와 접속하여, 지폐 입출금기(100)에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지시를 주거나, 입출금의 결과에 관한 처리의 실행을 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01)는, 지폐의 입출금에 관한 데이터 처리(트랜잭션)를, HOST(300)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I/F부(204)는, 지폐 입출금기(100)와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는, 오퍼레이터와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키 입력부(202)에 의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들이고, 화면 표시부(203)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지폐의 처리에 관한 결과 등을 출력한다. 이때,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로서는, 기존의 지폐 입출금기에 탑재되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구성을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지폐 입출금기(100), 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에 관한 처리 를 행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강제 입금을 행하는 경우, PC부(200)에서, 오퍼레이터에게,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시키는 것으로 한다. 오퍼레이터에게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시킬 때에는, 화면 표시부(203)에 강제 입금을 행하는 메뉴를 표시(키 입력부(202)의 키 입력에 따라 메뉴 표시를 하도록 하여도 된다)하여, 그 메뉴를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되고, 키 입력부(202)에서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하는 전용의 버튼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되며,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구성의 상세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입금 지폐의 처리에 있어서, 적어도,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와,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의 2개의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키 입력부(202)의 조작에 따라 어느 한쪽의 모드를 선택하여 적용된다.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식부(107)에서 진권인지의 여부만을 감별하여, 진권으로 감별할 수 있었던 지폐만을, 지폐 수납부(105)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입출금기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도록 하여도 되며,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PC부(200)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되면, PC부(200)에서는, I/F부(204)를 통해 「강제 입금」의 지시를, 지폐 입출금기(100)에 통지한다. 지폐 입출금기(100)의 제어부(101)에 있어서 강제 입금의 지시가, PC부(200)로부터 통지되면, 제어부(101)는, 우선, 인식부(107)에 이번의 입금이 「강제 입금」인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인식부(107)는, 강제 입금인 취지가 통지되면, 그후에 입금구부(102)에서 입금되는 지폐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한다.
인식부(107)에 있어서,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폐의 외형 사이즈를 검지하여 정확한 외형 사이즈인지의 여부에 따라 감별해도 되고(예를 들면, 정확한 외형 사이즈와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라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해도 된다), 지폐의 인쇄 패턴이나 자기 패턴을 검지하여 기지의 위조권 패턴과 일치하는지 아닌지(기지의 위조권 패턴을 미리 등록해 둔다)에 따라 감별해도 되고, 복수의 감별방법을 조합하여 평가하도록 하여도 되고,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인식부(107)에 있어서,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구성으로서는, 기존의 위조권 감별기 등에서 위조권을 감별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인식부(107)에 있어서, 외형 사이즈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지폐의 외형 사이즈(예를 들면, 종횡의 치수나 두께 등)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입금을 예정하고 있는 돈의 종류마다 등록해 두고,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 아닌지로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도록 해도 된다.
인식부(107)는, 입금된 지폐의 외형 사이즈 등에 근거하여 돈의 종류를 감별 하고, 감별된 지폐의 돈의 종류를 제어부(101)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지폐 입출금기(100)에 있어서, 강제 입금된 지폐의 돈의 종류 및 매수를 인식하도록 해도 된다. 인식부(107)에 있어서,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외형 사이즈에 근거하여 감별해도 되고, 인쇄 패턴에 의해 감별(예를 들면, 지폐의 액면의 부분을 스캐닝하여 감별)해도 되고, 복수의 감별방법을 조합하여 평가하도록 해도 되고,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인식부(107)는, 지폐의 외형으로부터 돈의 종류를 확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1)에 통지하고, 인식 완료의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일시 보류부(104)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로부터, 상위 I/F부를 거쳐, 인식한 지폐의 돈의 종류와 매수 정보가, PC부(200)의 메인 제어부(201)에 통지된다.
그후 오퍼레이터의 「확정」 조작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201)로부터 수납 지시가 제어부(101)에 통지되어 일시 보류부(104)의 지폐는 인식부(107)를 통해 지폐 수납부(105)의 돈의 종류마다의의 카세트에 수납된다. 이때의 인식부(107)의 처리도 외형 및 위조권의 감별을 행하는 강제 입금 모드에서 실시된다.
(A-2) 제 1 실시예의 동작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의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몇번 입금하여도 리젝트되는 지폐가 존재한 경우, 오퍼레이터에 의해, PC부(200)에 있어서,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메뉴 선택 등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한다(S101). 이때, 강제 입금 이전에, 오퍼레이터가 육안으로 진권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C부(200)에서는,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면, 지폐 입출금기(100)(제어부(101))에 대하여,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어, 제어부(101)에서 그 처리가 개시된다(S102).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면, 제어부(101)에 의해 인식부(107)에 강제 입금 지시가 통지된다(S103).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가 입금구부(102)에 투입되면(S104), 입금구부(102)에 의해 투입된 지폐가 받아들여져, 다시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받아들인 지폐가 인식부(107)로 반송되고, 인식부(107)에 의해, 그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외형 사이즈에 의해 감별)하고, 다시 그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가 감별된다(S105).
그리고, 전술한 스텝 S105의 감별결과에 대하여 평가가 행해지고(S106),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7로부터 동작하고,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08로부터 동작한다.
전술한 스텝 S106에 있어서,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 권이 아니다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일시 보류부(104)에 보내져, 일시 보류부(104)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지폐가 보류된다(S107).
한편, 전술한 스텝 S106에 있어서, 인식부(107)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인식부(107)로부터,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출금구부(103)로 보내져, 출금구부(103)에 의해 그 지폐가 오퍼레이터에게 되돌려진다(S108).
전술한 스텝 S107 또는 S108의 처리가 종료하면, 입금구부(102)에 오퍼레이터에게서 투입된 지폐의 남은 것의 유무가 판정되어(S109),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남아있는 지폐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 S105로부터 재차 동작하고,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110으로부터 동작한다.
전술한 스텝 S109에서,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반환되지 않고 일시 보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돈의 종류마다의 매수가, 제어부(101)로부터, PC부(200)에 통지되고, 그 정보가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되어, 오퍼레이터에게 출력된다(S110).
그리고,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된 내용에 문제가 없으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입력부(202)에서, 확정의 신호가 입력(확정 키의 누름)되면(S111), PC부(200)로부터 지폐 입출금기(100)에, 수납 지시가 통지된다(S112).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PC부(200)로부터 수납 지시가 통지되면, 일시 보 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수납이 개시되어(S113), 일시 보류부(104)에 보류되어 있는 지폐가, 지폐 수납부(105)의 돈의 종류마다 지정된 카세트에 수납된다(S114). 이때, 스텝 S114에서, 지폐 수납부(105)에 있어서는, 강제 입금 전용의 카세트를 구비하여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지폐 입출금기(100)로부터, PC부(200)에 거래 종료(지폐의 수납 완료)가 통지되고(S115), 더구나, PC부(200)로부터 HOST(300)에 거래 종료가 통지되어(S116), 강제 입금에 관한 처리가 종료된다(S117).
(A-3) 제 1 실시예의 효과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있어서, 잘못하여 오퍼레이터가 위조권을 보지 못해, 장치에 입금하여도, 지폐 입출금기(100)측에서 위조권으로 판단한 지폐는 반환되므로, 잘못하여 위조권을 거래 성립으로서 지폐 입출금기(100)에 받아들이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강제 입금처리에 있어서, 위조권까지 감별할 수 없는 지폐는, 모두 리젝트되지 않고 지폐 입출금기(100)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잘못하여 위조권을 거래 성립으로서 지폐 입출금기(100)에 받아들이는 빈도를 저감하고, 또한, 고객에게의 지폐 반환의 빈도도 저감할 수 있다.
(B) 제 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 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B-1) 제 2 실시예의 구성
제 1 실시예에서는, 강제 입금의 처리에 있어서는, 고정된 감별 기준에 따라 위조권으로 감별된 지폐에 대해서는, 강제 입금의 처리에 상관없이 반환되는 구성이지만, 고정된 감별 기준을 적용하면, 지폐나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위조권으로 감별되어 반환되는 지폐가 다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해 감별할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 및 관련되는 각종 장치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A)는, 제어부(101A), 입금구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 인식부(107A)를 갖고 있다. 이때, 입금구부(102), 출금구부(103), 일시 보류부(104), 지폐 수납부(105), 지폐 반송로부(106)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인식부(107)는, 고정된 감별 기준에 근거하여 입금된 지폐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고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인식부(107A)는, 후술하는 PC부(200A)로부터 통지되는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을 행하는 레벨(이하, 「위조권 감별 레벨」이라고 한다)에 따른 기준으로 위조권 감별을 행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예를 들면, 입금 지폐의 외형 사이즈에 따라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권의 정확한 외형 사이즈와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하는 경우에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은 경우에는, 보다 낮은 임계값을 설정하고,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보다 높은 임계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검사 항목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을 경우에는, 보다 많은 검사 항목을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인쇄 패턴이나 자기 패턴 등에 근거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경우에는, 센서를 사용하여 지폐를 스캐닝할 때에, 위조권 감별 레벨이 보다 높을 경우에는, 보다 고정밀도(고선명)로 스캐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위조권 감별 레벨에 따른 위조권 감별의 기준은, 보다 낮은 위조권 감별 레벨에서 감별되었을 경우에, 인식부(107A)에서 위조권이라고 감별되어 반환되는 확률이 보다 낮아지는 것이면, 그 기준의 설정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제어부(101A)는, 전술한 인식부(107A)에, 위조권 감별에 있어서 적용할 위조권 감별 레벨의 정보가, PC부(200A)에서 주어지면, 그것을 인식부(107A)에 통지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어부(101)와 다르다.
제 2 실시예의 PC부(200A)는, 메인 제어부(201A),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 메모리(205)를 갖고 있다. 이때,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 I/F부(204)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다.
메인 제어부(201A)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키 입력부(202)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입력하게 하여,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205)에 유지시키고, 지폐 입출금기(100A)에 강제 입금의 처리의 개시를 지시할 때, 메모리(205)가 유지하고 있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지폐 입출금기(100A)에 제공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키 입력부(202), 화면 표시부(203)에 있어서, 장치 설정 모드 등의 특수 모드 또는 특수 유틸리티 등을 구비하여, 키 입력부(202)에서 설정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을 입력시키고, 화면 표시부(203)에서 그 레벨을 확인한 후, 키 입력부(202)에서 「확정」에 상당하는 키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지면, 그 데이터를 메모리(205)(전원이 OFF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키 입력부(202)에 있어서, 위조권 감별 레벨을 높이는 버튼이나, 낮추는 버튼을 구비하도록 해도 되고,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B-2) 제 2 실시예의 동작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및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본 실시예의 권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B-2-1)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동작
도 5는, 지폐 입출금기(100A)(PC부(200A))에 있어서, 위조권 감별 레벨의 설정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오퍼레이터의 키 입력부(202)에의 조작에 따라, PC부(200A)에서, 위조권 감별 레벨 설정 모드의 메뉴 조작으로 이행한 것으로 한다(S201).
그리고, 그 위조권 감별 레벨 설정 모드의 메뉴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이 오퍼레이터의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입력(S202)되면, 설정된 위조권 감별 레벨이 화면 표시부(203)에 표시되고, 그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키 입력부(202)의 확인 키가 눌러지면(S203, S204), 전술한 스텝 S202에서 입력된 위조권 감별 레벨이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로서, 메모리(205)에 보존된다(S205).
(B-2-2) 강제 입금처리의 설정 동작
도 6 및 도 7은, 지폐 입출금기(100)(PC부(200))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의 동작에 대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몇번 입금하여도 리젝트되는 지폐가 존재한 경우, 오퍼레이터에 의해, PC부(200A)에서, 키 입력부(202) 및 화면 표시부(203)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메뉴 선택 등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한다. 이때, 강제 입금 이전에, 오퍼레이터가 육안으로 진권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C부(200A)에서는, 강제 입금을 행하는 취지의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면, 지폐 입출금기(100A)(제어부(101A))에 대하여, 강제 입금 개시의 통지(S301)와 함께, 메모리(205)에 유지되어 있는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가 통지되어(S302), 제어 부(101A)에서 그 처리가 개시된다(S303).
강제 입금 개시의 지시가 통지되면, 제어부(101A)에 의해 인식부(107A)에 강제 입금 지시가 통지된다(S304).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강제 입금의 대상이 되는 지폐가 입금구부(102)에 투입되면(S305), 입금구부(102)에 의해 투입된 지폐가 받아들여지고, 지폐 반송로부(106)에 의해, 받아들인 지폐가 인식부(107A)로 더 반송되어, 인식부(107A)에 의해, 그 지폐의 돈의 종류가 감별(외형 사이즈에 의해 감별)되고, 그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가, 전술한 스텝 S302에서 통지된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에 근거한 위조권 감별 레벨의 모드를 사용하여 더 감별된다(S306).
그리고, 전술한 스텝 S305의 감별 결과에 대하여 평가가 행해져(S307),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08로부터 동작하고,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감별된 지폐이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09로부터 동작한다.
전술한 스텝 S307에서,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 아니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지폐 반송로부(106)를 통해, 일시 보류부(104)로 보내져, 일시 보류부(104)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 지폐가 보류된다(S308).
한편, 전술한 스텝 S307에서, 인식부(107A)에 의해 인식 처리된 지폐가, 위조권이라고 하는 평가이었을 경우에는, 그 지폐는, 인식부(107A)로부터, 지폐 반송 로부(106)를 통해, 출금구부(103)로 보내져, 출금구부(103)에 의해 그 지폐가 오퍼레이터에게 되돌려진다(S309).
전술한 스텝 S308 또는 S309의 처리가 종료하면, 입금구부(102)에 오퍼레이터에 투입된 지폐의 남은 것의 유무가 판정되어(S310),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남아있는 지폐에 대해 전술한 스텝 S306으로부터 다시 동작하고, 입금구부(102)에 지폐가 남아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311로부터 동작한다.
이후, 스텝 S311∼S318의 동작은, 상기 한 제 1 실시예의 스텝 S110∼S117과 동일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3) 제 2 실시예의 효과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덧붙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에서는, 지폐 입출금기(100)측에서 위조권으로 판단한 지폐는 반환하기 때문에, 강제 입금에도 불구하고 반환율이 많아졌을 경우 편리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기(100A)에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해 감별하는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환율을 저감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서 예시하는 것과 같은 변형 실시예도 들 수 있다.
(C-1) 상기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대하여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품판매나 서비스업 등의 점포에서 설치되는 레지스터 단말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를 지폐 입출금기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권류 처리장치가 처리대상으로 하는 권류는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수표, 금권, 주권, 어음 등의 유가증권이라도 된다.
(C-2)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진권으로 감별할 수 없어 리젝트된 지폐에 대해,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강제 입금처리를 행하는 지폐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진권으로 감별할 수 없었던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치에서 감별된 지폐 등이라도 되고,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각 실시예에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서, 강제 입금처리가 아닌 통상시의 모드에 있어서는, 입금된 지폐를 진권인지 아닌지 감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해당 지폐 입출금기를 강제 입금처리 전용의 장치로서 구축하고, 상기 한 통상의 입금처리를 행하는 모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구성을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C-3)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외형 사이즈 등에 근거하여 지폐의 돈의 종류를 감별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 지만, 지폐의 돈의 종류의 감별을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입금되는 지폐의 돈의 종류의 감별을 생략할 때에는, 오퍼레이터에게 미리 입금하는 지폐의 돈의 종류이나 매수를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C-4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PC부의 메모리에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미리 등록시키고, 강제 입금 처리시에 지폐 입출금기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강제 입금 처리시마다, 오퍼레이터에게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미리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등록할 때에는, 지폐 입출금기측에서 그 정보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C-5)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기 및 PC부는, HOST의 아래에서 동작하는 단말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지폐 입출금기 및 PC부는,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장치로서 구축해도 된다.
(C-6)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기에서는, 강제 입금된 지폐가 위조권이었을 경우에는, 출금구부로부터 지폐를 오퍼레이터에게 반환하는 것 뿐이었지만, 그 밖에도 강제 입금의 처리결과에 대해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식부에 의한 감별 결과에 따라 점등하는 램프를 구비하여, 오퍼레이터에게 감별결과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스피커를 구비하여 음성에 의해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PC부의 화면 표시부 위에 감별 결과(예를 들면, 「위조권을 발견했으므로 반환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표시시켜서, 오퍼레이터에 출력 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에서, 감별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C-7) 상기 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강제 입금 처리시에, 오퍼레이터에게, PC부의 키 입력부(202)를 사용하여, 강제 입금하려고 하는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입력시키록 하여, 인식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감별에서, 입력시킨 정보도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강제 입금처리를 행할 때에, 오퍼레이터에게 「1만엔 짜리×3매, 천엔 짜리×2매」 등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돈의 종류에 대하여, 돈의 종류의 감별이나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감별 등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미리 강제 입금되는 돈의 종류가 입력됨으로써, 그 이외의 돈의 종류에 대해서는 감별이 필요가 없어지므로, 인식부에서의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다.
(C-8)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조권으로 감별하는 감별 기준에 대하여 감별하는 레벨의 고저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입금 지폐의 반환율을 조절할 수 있다. 더구나,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지 않고 지폐를 수납하는 모드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위조권 감별 레벨을 최저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입금 지폐가 반환되어 버리는 경우에도, 전술한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그 지폐를 확실하게 입금할 수 있다.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 전술한 입금 지폐가 위조권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지 않는 모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기동하도록 해도 되고, 연속하여 소정 회수 입금 지폐가 반환되어 버리는 경우 등에 기동하도록 해도 된다.
도 1에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1)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2)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위조권 감별 레벨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1)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강제 입금처리의 동작(2)에 대해 설명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지폐 입출금기(권류 처리장치)
101…제어부 102…입금구부
103…출금구부 104…일시 보류부
105…지폐수납부 106…지폐 반송로부
107…인식부 200…PC부
201…메인 제어부 202…키 입력부
203…화면 표시부 204…I/F부
300…HOST

Claims (5)

  1.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있어서, 투입 권류를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을 설정하는 위조권 감별 레벨 설정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류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투입 권류를 처리하는 투입 권류 처리모드를 복수 구비하고,
    이 권류 처리장치에서 어느 한가지의 투입 권류 처리모드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권류 처리모드 선택수단을 더 갖고,
    상기 위조권 처리수단은, 상기 권류 처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소정의 권류 처리모 드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고,
    상기 권류 수납수단은, 상기 권류 처리모드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권류 처리모드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류 처리장치.
  4.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장치에 탑재된 컴퓨터를,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는 위조권 감별수단과,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는 위조권 처리수단과,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권류 수납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 권류를 처리하는 권류 처리방법에 있어서,
    위조권 감별수단, 위조권 처리수단, 권류 수납수단을 갖고,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은, 투입된 투입 권류에 대하여, 적어도 위조권인지 아닌지를 감별하고,
    상기 위조권 처리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받아들이지 않고,
    상기 권류 수납수단은, 상기 위조권 감별수단에 의해, 위조권이 아닌 것으로 감별된 투입 권류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류 처리방법.
KR1020090094183A 2009-01-06 2009-10-05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 KR10116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0480 2009-01-06
JP2009000480A JP2010160532A (ja) 2009-01-06 2009-01-06 券類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915A true KR20100081915A (ko) 2010-07-15
KR101162621B1 KR101162621B1 (ko) 2012-07-05

Family

ID=4250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183A KR101162621B1 (ko) 2009-01-06 2009-10-05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160532A (ko)
KR (1) KR101162621B1 (ko)
CN (1) CN1017706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626A (ko) 2017-10-31 2020-09-02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입자 수집 방법 및 시험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5241B2 (ja) * 2010-09-28 2014-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CN103971447B (zh) * 2013-02-04 2017-11-1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识别装置及其处理方法和纸币处理状态记录方法
JP6225476B2 (ja) * 2013-05-16 2017-11-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取引装置
CN103996240B (zh) * 2014-05-06 2016-08-24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进出款系统
JP2016206873A (ja) * 2015-04-21 2016-12-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2017102843A (ja) * 2015-12-04 2017-06-0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処理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59B2 (ja) * 1988-02-17 1996-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H03113590A (ja) * 1989-09-28 1991-05-14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判別方法
JP2942136B2 (ja) * 1994-02-28 1999-08-3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Pos用貨幣処理装置
JP3537697B2 (ja) * 1999-03-10 2004-06-1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整理機
JP2003308553A (ja) * 2002-04-16 2003-10-31 Toshiba Corp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入金装置
KR100729299B1 (ko) * 2005-12-27 2007-06-19 코어뱅킹서비스(주) 다기능 현금 입출금기
JP2007226592A (ja) * 2006-02-24 2007-09-06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626A (ko) 2017-10-31 2020-09-02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성 입자 수집 방법 및 시험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621B1 (ko) 2012-07-05
CN101770664A (zh) 2010-07-07
JP2010160532A (ja) 2010-07-22
CN101770664B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621B1 (ko) 권류 처리장치, 기록매체 및 권류 처리방법
JP5539112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および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
JP4309232B2 (ja) 紙幣類取引装置、紙幣類取引方法及び紙幣類取引プログラム
JP2011113472A (ja) 紙幣取扱装置
JP2009217657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US9495844B2 (en) Money handling machine, money handling system and money handling method
JP2008299389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78073B2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取扱方法
JP5251108B2 (ja) 自動取引装置
JP5866834B2 (ja) 現金処理装置
JP4952144B2 (ja) 自動取引装置
KR20070042698A (ko) 불량지폐입금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방법
CN102870141B (zh) 通过自动柜员机支付纸币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自动柜员机
JP6175950B2 (ja) 現金処理装置
JP6245029B2 (ja) 媒体取引装置
JP5463744B2 (ja) 券類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336223B1 (ko) 지폐 입금기의 에스크로 기능 구현 장치 및 방법
JP200709447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7134509A (ja) 取引装置
JP2021117604A (ja) 自動取引装置、払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2866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1307180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JP431494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3162751A (ja) 現金処理装置
WO2015087605A1 (ja) 現金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