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017A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017A
KR20100080017A KR1020080138632A KR20080138632A KR20100080017A KR 20100080017 A KR20100080017 A KR 20100080017A KR 1020080138632 A KR1020080138632 A KR 1020080138632A KR 20080138632 A KR20080138632 A KR 20080138632A KR 20100080017 A KR20100080017 A KR 2010008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fixing piece
banknote
teller machin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818B1 (ko
Inventor
박창호
정윤석
황진용
신경주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3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18B1/ko
Priority to PCT/KR2009/007596 priority patent/WO2010076994A2/ko
Priority to CN2009102229940A priority patent/CN101783038B/zh
Publication of KR2010008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통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되는 지폐의 흐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연결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더 롤러 및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융자동화기기, 지폐 입출금장치, 접객부, 전면플레이트, 가이드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A bill deposit/withdrawal apparatus of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통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되는 지폐의 흐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접객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객부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객부(1)에는 입금시 지폐를 투입하거나 출금시 지폐를 수취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접객부 셔터(10)와, 접객부 셔터(10)의 하부에 형성된 지폐 수납공간(20)이 구비된다. 지폐 수납공간(20)은 스택플레이트(Stack plate)(30)의 좌우측으로 제1지폐 수납공간(20a)과 제2지폐 수납공간(20b)이 형성되고, 입출금을 위한 준비단계인 초기화상태에서 스택플레이트(30)와 접하도록 위치되는 트랜스퍼 플레이트(transper plate)(40)가 구비된다.
입금 시 제1지폐 수납공간(20a)에 지폐가 적재되면, 제1지폐 수납공간(20a)의 하부에 설치된 엘리베이션 플레이트(Elevation plate)(50)가 하강하게 되어 투입된 지폐를 분리부(7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1지폐 수납공간(20a)의 지폐가 분리부(70)의 상부로 이동되면 푸쉬플레이트(Push plate)(60)가 지폐를 압축시키고, 전면플레이트(80)는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픽업롤러(71)에 지폐가 접촉하게 된다.
픽업롤러(71)에 의해 분리된 지폐는 피드 롤러(72) 및 가이드롤러(73)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감별부(미도시)를 통해 임시보관함(미도시)나 임시 리젝트함(미도시)에 적재된다.
이 경우 상기 픽업롤러(71)에 의해 지폐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전면가이드판(80)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어 지폐분리시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금 시에는 스택플레이트(30)가 전면플레이트(8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지폐 수납공간(20b)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확보되고, 제2지폐 수납공간(20b)으로 출금될 지폐가 적재된다. 이때, 제2지폐 수납공간(20b)으로 지폐가 유입될 때 스택플레이트(30)나 전면플레이트(8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 유입되는 지폐가 제1지폐 수납공간(20a) 등 다른 부위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어, 지폐 출금 시 지폐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안정적인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전면플레이트 등이 적절한 각도로 조절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고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연결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더 롤러 및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통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입금 시 지폐를 분리할 때 전면플레이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금 시 지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입출금 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케이스(10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카드삽입구(120) 및 통장투입구(130)와 각각 연통하여 투입된 카드 및 통장을 처리하는 카드처리부(110) 및 통장처리부(150)가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전면 중간부에 설치된 접객부 셔터(140)와 연통하여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을 처리하는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17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장치(170)의 하부에는 고객에게 거래의 내용을 표시하고 고객으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출력부(1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지폐 입출금장치(170)는 접객부 셔터(140)를 통해 접객부로 입금된 지폐를 권종별로 수납해두는 동시에 고객의 출금 요청에 따라 필요한 권종의 지폐를 취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고정판에 형성된 가이드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객부(200)는 전면플레이트(210)와, 전면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을 형성하며,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220)와, 전면플레이트(210)와 푸쉬플레이트(22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252)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250)과, 전면플레이트(210) 타측에 구비되어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힌지(212)를 통해 연결되는 브라켓(211)과, 브라켓(211)의 양측에 구비되어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한 쌍의 고정 판(250)에 연결하는 한 쌍의 제1고정편(213)과,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는 제2고정편(214)과, 제2고정편(214)에 연결되어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40) 및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방에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미도시)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232), 피드 롤러(234) 및 가이드 롤러(236)로 구성되는 분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고정판(250)에는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25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252)는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직선 상의 수평 영역(a)과, 수평 영역(a)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며 상승하는 상승 영역(b) 및 상승 영역(b)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영역(a)의 높이로 하강하는 하강 영역(c)로 구분된다. 또한, 가이드(252) 하부에는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슬라이더 가이드(2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25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40)은 전면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풀리(241, 242)와, 한 쌍의 풀리(241, 242)를 서로 연결해주는 벨트(244) 및 풀리(241, 242)를 회전시키는 모터(246)로 구성된다.
제1고정편(213)은 한 쌍의 제1핀 슬라이더(215)와 제2핀 슬라이드(216)를 통해 브라켓(211)을 가이드(252)에 연결하며, 제2고정편(214)은 제1핀 슬라이더(215)를 통해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어 있다. 제2고정편(214)은 제1핀 슬라이더(215)를 통해 제1고정편(213)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벨트(244)와 슬라이더 가이 드(25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브라켓(211) 및 전면플레이트(210)가 가이드(25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 또는 하강 영역(c)에서 제1고정편(213)과 제2고정편(214)이 회동하며 전면플레이트(210)의 각도가 자연스럽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는 모터(246)의 구동에 따라 벨트(244)가 회전하면, 제2고정편(214)이 슬라이더 가이드(25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이 가이드(252)를 따라 이동하면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 및 브라켓(211)이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입금 또는 출금과정 시 접객부(200)의 전면플레이트(210)가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금 대기 상태]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11)에 힌지(212)를 통해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는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수직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한 쌍의 핀 슬라이더(215, 216)는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위치하여 전면플레이트(210)와 브라켓(211)가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전면플레이트(21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지폐 수납공간(222) 에 지폐를 투입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입금 계수 상태]
도 4를 참조하면, 지폐 수납공간(222)에 지폐가 투입되고, 투입된 지폐를 분리부(230)를 통해 1매씩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246)를 구동하여 풀리(241, 242)를 회전시켜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플레이트(210)와 블라켓(211)이 가이드(252)를 따라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편(214)은 연결된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 그리고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전면플레이트(210)와 브라켓(211)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핀 슬라이더(215)는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하강 영역(c)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고정편(213)은 수평을 유지하며, 이로 인해 전면플레이트(210) 및 브라켓(211)은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는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가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지폐 수납공간(222)에 투입된 지폐가 분리부(230)를 통해 감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출금 준비 상태]
도 5를 참조하면, 출금 업무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모터(246)를 구동하여 풀리(241, 242)를 회전시켜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플레이트(210)와 브라켓(211)이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폐 수납공간(222)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때,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편(214)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 그리고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전면플레이트(210)와 브라켓(211)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폐 수납공간(222) 방향으로 5° 내지 20°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핀 슬라이더(215)는 수평 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제2고정편(214)이 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제1고정편(213)이 기울어지게 되고,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 및 브라켓(211)도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전면플레이트(210)는 가이드(2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가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에 밀착되어, 지폐가 픽업 롤러(232)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결국, 유입되는 지폐는 기울어진 전면플레이트(210)의 표면을 따라 비스듬히 지폐 수 납공간(222)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지폐가 전면플레이트(210)와 푸쉬플레이트(220)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고정판에 형성된 가이드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00 : 카드처리부
120 : 카드삽입구 130 : 통장투입구
140 : 접객부 셔터 150 : 통장처리부
160 : 입출력부 170 : 지폐 입출금장치
200 : 접객부 210 : 전면플레이트
211 : 브라켓 212 : 힌지
213 : 제1고정편 214 : 제2고정편
215 : 제1핀 슬라이더 216 : 제2핀 슬라이더
220 : 푸쉬플레이트 222 : 지폐 수납공간
230 : 분리부 240 : 구동수단
250 : 고정판 252 : 가이드
254 : 슬라이더 가이드

Claims (7)

  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연결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더 롤러 및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일직선 상의 수평 영역과;
    상기 수평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며 상승하는 상승 영역; 및
    상기 상승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평 영역의 높이로 하강하는 하강 영역;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입금 대기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수평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분리부 전면(前面)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입금 계수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상승 영역 및 하강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분리부의 픽업 롤러 중심부측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출금 준비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수평 영역 및 상승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가 상기 분리부의 픽업 롤러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폐 수납공간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지폐 수납공간 방향으로 5° 내지 20°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가이드에 연결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을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하는 제2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KR20080138632A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KR10148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8632A KR101485818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PCT/KR2009/007596 WO2010076994A2 (ko) 2008-12-31 2009-12-18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CN2009102229940A CN101783038B (zh) 2008-12-31 2009-12-31 自动柜员机的纸币存取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8632A KR101485818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017A true KR20100080017A (ko) 2010-07-08
KR101485818B1 KR101485818B1 (ko) 2015-01-26

Family

ID=426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8632A KR101485818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6063A (zh) * 2015-07-30 2015-10-2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的存取钞机构及存取钞方法
KR20230099105A (ko) * 2021-12-27 2023-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447B1 (ko) * 2016-03-31 2023-03-0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0B1 (ko) 2006-12-29 2008-02-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6063A (zh) * 2015-07-30 2015-10-2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的存取钞机构及存取钞方法
KR20230099105A (ko) * 2021-12-27 2023-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818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288B1 (ko) 지폐입출금장치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KR20120087077A (ko) 지폐 입출금기
US994718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105666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CN101783038B (zh) 自动柜员机的纸币存取款装置
US8961275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10008001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JP2011053801A (ja) 紙葉取扱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0526583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입금장치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KR10111693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0901071B1 (ko) 지폐입출금장치
KR20090054058A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지폐입출금방법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62868A (ko) 지폐입출금장치의 푸쉬플레이트 구동구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7091B1 (ko) 지폐 번들용 입금기의 지폐 분리장치 및 지폐 분리방법
JP2002175554A (ja) 紙幣入出金機
KR2007007180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푸쉬장치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