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6994A2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6994A2
WO2010076994A2 PCT/KR2009/007596 KR2009007596W WO2010076994A2 WO 2010076994 A2 WO2010076994 A2 WO 2010076994A2 KR 2009007596 W KR2009007596 W KR 2009007596W WO 2010076994 A2 WO2010076994 A2 WO 201007699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front plate
banknote
teller machine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5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76994A3 (ko
Inventor
박창호
정윤석
황진용
신경주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0801386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858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38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56665B1/ko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007699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6994A2/ko
Publication of WO201007699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699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 입출금 장치의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면플레이트의 각도와 분리부의 픽업 롤러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지폐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입출금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면플레이트의 각도와 분리부의 픽업 롤러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지폐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입출금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접객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객부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객부(1)에는 입금시 지폐를 투입하거나 출금시 지폐를 수취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접객부 셔터(10)와, 접객부 셔터(10)의 하부에 형성된 지폐 수납공간(20)이 구비된다. 지폐 수납공간(20)은 스택플레이트(Stack plate)(30)의 좌우측으로 제1지폐 수납공간(20a)과 제2지폐 수납공간(20b)이 형성되고, 입출금을 위한 준비단계인 초기화상태에서 스택플레이트(30)와 접하도록 위치되는 트랜스퍼 플레이트(transfer plate)(40)가 구비된다.
입금 시 제1지폐 수납공간(20a)에 지폐가 적재되면, 제1지폐 수납공간(20a)의 하부에 설치된 엘리베이션 플레이트(Elevation plate)(50)가 하강하게 되어 투입된 지폐를 분리부(7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1지폐 수납공간(20a)의 지폐가 분리부(70)의 상부로 이동되면 푸쉬플레이트(Push plate)(60)가 지폐를 압축시키고, 전면플레이트(80)는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픽업롤러(71)에 지폐가 접촉하게 된다.
픽업롤러(71)에 의해 분리된 지폐는 피드 롤러(72) 및 가이드롤러(73)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감별부(미도시)를 통해 임시보관함(미도시)나 임시 리젝트함(미도시)에 적재된다.
이 경우 상기 픽업롤러(71)에 의해 지폐를 분리시킬 때 상기 전면가이드판(80)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전면가이드판(80)이 힌지부(81)를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어 지폐분리시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금 시에는 스택플레이트(30)가 전면플레이트(8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지폐 수납공간(20b)에 지폐가 투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확보되고, 제2지폐 수납공간(20b)으로 출금될 지폐가 적재된다. 이때, 제2지폐 수납공간(20b)으로 지폐가 유입될 때 스택플레이트(30)나 전면플레이트(8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 유입되는 지폐가 제1지폐 수납공간(20a) 등 다른 부위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지폐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전면플레이트(80) 등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게다가, 출금시 제2지폐 수납공간(20b)으로 유입되는 지폐가 픽업 롤러(71) 등에 부딪혀서 유입되는 지폐의 방향이 일률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어 지폐 흐름의 향상을 위해 출금 계수 시 픽업 롤러(71)의 진퇴를 조절하여 지폐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분리부의 픽업 롤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폐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지폐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입출금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더 롤러 및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판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드 롤러 및 게이트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와; 상기 픽업 롤러의 회전축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픽업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브라켓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2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제2고정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접객부에서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통해 지폐를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입금 시 지폐를 분리할 때 전면플레이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금 시 지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입출금 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장치는, 지폐의 출금 시 픽업 롤러를 지폐 수납공간으로부터 후퇴시켜 지폐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지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입출금 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접객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고정판에 형성된 가이드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카드처리부
120 : 카드삽입구 130 : 통장투입구
140 : 접객부 셔터 150 : 통장처리부
160 : 입출력부 170 : 지폐 입출금장치
200 : 접객부 210 : 전면플레이트
211 : 브라켓 212 : 힌지
213 : 제1고정편 214 : 제2고정편
215 : 제1핀 슬라이더 216 : 제2핀 슬라이더
220 : 푸쉬플레이트 222 : 지폐 수납공간
230 : 분리부 232 : 픽업 롤러
234 : 피드 롤러 236 : 가이드 롤러
237 : 제2고정판 238 : 돌출부
240 : 구동수단 241, 242 : 풀리
244 : 벨트 246 : 모터
250 : 제1고정판 252 : 가이드
254 : 슬라이더 가이드 260 : 위치조절수단
262 : 몸체 264 : 탄성부재
266 : 볼 268 : 스토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케이스(10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카드삽입구(120) 및 통장투입구(130)와 각각 연통하여 투입된 카드 및 통장을 처리하는 카드처리부(110) 및 통장처리부(150)가 구비되며, 케이스(100)의 전면 중간부에 설치된 접객부 셔터(140)와 연통하여 지폐의 입금 및 출금을 처리하는 환류식 지폐 입출금장치(17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장치(170)의 하부에는 고객에게 거래의 내용을 표시하고 고객으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출력부(1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지폐 입출금장치(170)는 접객부 셔터(140)를 통해 접객부로 입금된 지폐를 권종별로 수납해두는 동시에 고객의 출금 요청에 따라 필요한 권종의 지폐를 취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고정판에 형성된 가이드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객부(200)는 전면플레이트(210)와, 전면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을 형성하며,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220)와, 전면플레이트(210)와 푸쉬플레이트(22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252)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판(250)과, 전면플레이트(210) 양측에 구비되어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힌지(212)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211)과, 한 쌍의 브라켓(211)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한 쌍의 제1고정판(250)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고정편(213)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고정편(214)과,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편(214)에 연결되어 한 쌍의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40) 및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방에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미도시)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232), 피드 롤러(234) 및 가이드 롤러(236)로 구성되는 분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1고정판(250)에는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25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252)는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직선 상의 수평 영역(a)과, 수평 영역(a)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며 상승하는 상승 영역(b) 및 상승 영역(b)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영역(a)의 높이로 하강하는 하강 영역(c)로 구분된다. 또한, 가이드(252) 하부에는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슬라이더 가이드(254)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고정판(25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240)은 전면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풀리(241, 242)와, 한 쌍의 풀리(241, 242)를 서로 연결해주는 벨트(244) 및 풀리(241, 242)를 회전시키는 모터(246)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1고정편(213)은 한 쌍의 브라켓(211)을 한 쌍의 제1핀 슬라이더(215) 및 제2핀 슬라이드(216)를 이용하여 가이드(252)에 각각 연결하며, 한 쌍의 제2고정편(214)은 한 쌍의 제1핀 슬라이더(215)를 통해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2고정편(214)은 제1핀 슬라이더(215)를 통해 제1고정편(213)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벨트(244)와 슬라이더 가이드(25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 쌍의 브라켓(211) 및 전면플레이트(210)가 가이드(252)를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 또는 하강 영역(c)에서 제1고정편(213)과 제2고정편(214)이 회동하며 전면플레이트(210)의 각도를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는 모터(246)의 구동에 의해 벨트(244)가 회전하면, 제2고정편(214)이 슬라이더 가이드(254)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이 가이드(252)를 따라 이동하면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 및 브라켓(211)이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선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한 입출금업무 시 각 상태에 따른 전면플레이트(21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금 대기 상태]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브라켓(211)에 힌지(212)를 통해 각각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는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수직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제1핀 슬라이더(215) 및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위치하여 전면플레이트(210)와 브라켓(211)이 푸쉬플레이트(220) 측에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전면플레이트(210)를 푸쉬플레이트(220) 측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면,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부(230) 측이 가려지기 때문에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지폐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투입되는 지폐가 분리부(230) 등 다른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금 계수 상태]
도 4를 참조하면, 지폐 수납공간(222)에 지폐(미도시)가 투입된 이후, 투입된 지폐를 분리부(230)를 통해 1매씩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모터(246)를 구동시켜 풀리(241, 242)를 회전시킴으로써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켜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블라켓(211)을 가이드(252)를 따라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투입된 지폐가 분리부(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푸쉬 플레이트(220)를 전면플레이트(210) 측으로 이동시켜 지폐를 가압한다.
이렇게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블라켓(211)을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편(214)은 연결된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 그리고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브라켓(211)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 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가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위치됨으로써, 지폐가 분리부(230)를 통해 감별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분리부(23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핀 슬라이더(215)는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하강 영역(c)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고정편(213)은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면플레이트(210) 및 브라켓(211)도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출금 준비 상태]
도 5를 참조하면, 출금 업무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모터(246)를 구동하여 풀리(241, 242)를 회전시켜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브라켓(211)을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폐 수납공간(222)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때, 제1고정편(2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고정편(214)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2고정편(214)에 연결된 제1고정편(213), 그리고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브라켓(211)은 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폐 수납공간(222) 방향으로 5° 내지 20°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핀 슬라이더(215)는 수평 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2고정편(214)이 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한 쌍의 제1고정편(213)이 기울어지게 되고,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브라켓(211)도 함께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전면플레이트(210)는 가이드(2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가 분리부(230)의 픽업 롤러(232)에 밀착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유입되는 지폐가 기울어진 전면플레이트(210)의 표면을 따라 비스듬히 유입되어 전면플레이트(210)와 푸쉬플레이트(220) 사이의 지폐 수납공간(222)에 자연스럽게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는 한 쌍의 브라켓(211)과 힌지(212)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바, 필요한 경우 전면플레이트(210)를 힌지(212) 중심으로 지폐 수납공간(222) 측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켜 전면플레이트(210)의 경사각을 증가시킴으로써 지폐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는 입금 또는 출금업무시 해당 과정에 대응하여 전면플레이트(2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입출금업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대기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입금 계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에서의 출금 준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픽업 롤러(2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260)을 추가로 구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를 구성하는 접객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접객부(200)는 전면플레이트(210)와, 전면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을 형성하며,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220)와, 전면플레이트(210)와 푸쉬플레이트(22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전면플레이트(210)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252)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판(250)과, 전면플레이트(21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면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힌지(212)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211)과, 한 쌍의 브라켓(2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한 쌍의 제1고정판(250)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고정편(213)과,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고정편(214)과, 한 쌍의 제2고정편(214)에 연결되어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40)과, 한 쌍의 브라켓(2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폐 수납공간(222)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미도시)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232), 피드 롤러(234) 및 가이드 롤러(236)으로 구성되는 분리부(230)와, 픽업 롤러(232)의 회전축(미도시) 양단에 구비되어 픽업 롤러(232)를 지지하며, 상부면에 하나의 돌출부(238)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고정판(237) 및 한 쌍의 브라켓(211)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브라켓(211)과 한 쌍의 제2고정판(237) 사이에서 한 쌍의 제2고정판(237)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픽업 롤러(232)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위치조절수단(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의 접객부(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되, 픽업 롤러(232)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2고정판(237) 및 위치조절수단(26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리부(230)를 구성하는 픽업 롤러(232)는 회전축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고정판(237)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237)은 전면플레이트(210) 측 상부면에 소정 높이의 돌출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8)는 '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돌출부(238)의 양측면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위치조절수단(260)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조절수단(260)은 소정 길이의 바(bar)형태의 몸체(262)와, 몸체(262)의 일측에 연결되는 힌지(261)와, 힌지(261)를 통해 브라켓(211)에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264)와, 몸체(26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2고정판(237)에 형성된 돌출부(238)를 따라 이동하는 볼(266)과, 몸체(262)의 중심부와 브라켓(211)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265) 및 브라켓(211)에 형성되되, 제2탄성부재(265)가 연결되는 하방에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2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힌지(261)는 위치조절수단(260)의 몸체(262)가 힌지(26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고정판(237)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38)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제2탄성부재(265)는 위치조절수단(260)의 몸체(262)의 돌출부(238)를 따라 이동할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토퍼(267)는 볼(266)이 브라켓(211)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2고정판(237)의 돌출부(238)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벨트(244)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브라켓(211)과 전면플레이트(210)가 이동하면, 한 쌍의 브라켓(211)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위치조절수단(260)의 볼(238)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2고정판(237) 일측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38)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고정판(237)을 픽업 롤러(232)의 회전축을 따라 선회시켜 제2고정판(237)에 고정되어 있는 픽업 롤러(23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폐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입금 또는 출금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살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한 입출금업무 시 각 상태에 따른 전면플레이트(210)와 픽업 롤러(232)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금 대기 상태]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브라켓(211)에 힌지(212)를 통해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는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의해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수직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된 제1핀 슬라이더(215) 및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수평 영역(a)에 위치하여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브라켓(211)을 수직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위치조절장치(260)의 볼(266)은 브라켓(211)에 인접한 제2고정판(237)의 측면에 접촉되어 픽업 롤러(232)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픽업 롤러(232)는 회전하면서 지폐를 계수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222) 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렇게 전면플레이트(210)를 푸쉬플레이트(220) 측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면,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부(230) 측이 가려지기 때문에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지폐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투입되는 지폐가 분리부(230) 등 다른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금 계수 상태]
도 8을 참조하면, 지폐 수납공간(222)에 지폐(미도시)가 투입된 이후, 투입된 지폐를 분리부(230)를 통해 1매씩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모터(246)를 구동시켜 풀리(241, 242)를 회전시킴으로써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켜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블라켓(211)을 가이드(252)를 따라 분리부(2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투입된 지폐가 분리부(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푸쉬 플레이트(220)를 전면플레이트(210) 측으로 이동시켜 지폐를 가압한다.
이때,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연결되어 있는 제1핀 슬라이더(215)는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하강 영역(c)에 위치하게 되며, 브라켓(211)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조절수단(260)의 볼(266)은 제2고정판(237)의 일측면, 즉 브라켓(211) 방향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다가 제1탄성부재(264) 및 제2탄성부재(265)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돌출부(238)를 지나 제2고정판(237) 상부면에 접촉되게 되고, 픽업 롤러(232)가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노출되어 푸쉬 플레이트(220)에 의해 분리부(230)측으로 이동된 지폐를 1매씩 감별부로 송출시킨다.
[출금 준비 상태]
도 9를 참조하면, 출금 업무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모터(246)를 구동하여 풀리(241, 242)를 회전시켜 풀리(241, 24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244)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브라켓(211)을 푸쉬 플레이트(220)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1고정편(213)을 통해 가이드(25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제1핀 슬라이더(215)는 수평 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제2핀 슬라이더(216)는 가이드(252)의 상승 영역(b)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2고정편(214)이 일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한 쌍의 제1고정편(213)이 기울어지게 되고, 한 쌍의 제1고정편(213)에 연결된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브라켓(211)도 5° 내지 20°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브라켓(211)에 각각 연결된 위치조절수단(260)은 한 쌍의 제2고정판(237)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한 쌍의 제2고정판(237)이 픽업 롤러(232)의 회전축을 따라 선회하고, 이에 따라 픽업 롤러(232)가 지폐 수납공간(222)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된다. 이때, 볼(266)은 브라켓(211)에 인접한 방향에 위치하는 돌출부(238)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2고정판(237)을 가압함으로써 픽업 롤러(232)를 지폐 수납공간(222)으로부터 후퇴시키고, 브라켓(211)에 연결된 스토퍼(267)는 볼(266)이 제2고정판(237)의 돌출부(238)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동안 몸체(262)가 브라켓(211) 방향으로 밀려오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고정판(237)은 전면플레이트(210) 및 한 쌍의 브라켓(211)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은 5° 내지 20°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출금 과정 시 지폐가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유입되는 입구가 충분히 개방되어, 지폐가 픽업 롤러(232)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지폐 수납공간(2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 전면플레이트(210)를 힌지(212) 중심으로 지폐 수납공간(222) 측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켜 전면플레이트(210)의 경사각을 증가시킴으로써 지폐의 유입을 더욱 원활하게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는 하나의 지폐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입출금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다양한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되어 보다 향상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더 롤러 및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2.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접객부 셔터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이동경로로 사용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판과;
    상기 전면플레이트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판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전면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폐 수납공간에 투입된 지폐를 감별부로 송출하기 위해 지폐를 1매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 롤러, 피드 롤러 및 게이트 롤러로 구성되는 분리부와;
    상기 픽업 롤러의 회전축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픽업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브라켓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 한 쌍의 제2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제2고정판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한 쌍의 위치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일직선 상의 수평 영역과;
    상기 수평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며 상승하는 상승 영역; 및
    상기 상승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평 영역의 높이로 하강하는 하강 영역;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입금 대기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수평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분리부 전면(前面)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입금 계수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상승 영역 및 하강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분리부의 픽업 롤러 중심부측에서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입출금장치는,
    출금 준비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가이드의 수평 영역 및 상승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가 상기 분리부의 픽업 롤러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폐 수납공간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지폐 수납공간 방향으로 5° 내지 20°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가이드에 연결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을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하는 제2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판에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볼과;
    상기 몸체의 중심부와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브라켓에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는 하방에 형성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입금 대기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인접한 상기 제2고정판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입금 계수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거쳐 상기 제2고정판의 상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출금 준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에 인접한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고정판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지폐 수납공간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PCT/KR2009/007596 2008-12-31 2009-12-18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WO201007699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633 2008-12-31
KR20080138632A KR101485818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KR1020080138633A KR101056665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KR10-2008-0138632 200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6994A2 true WO2010076994A2 (ko) 2010-07-08
WO2010076994A3 WO2010076994A3 (ko) 2010-09-23

Family

ID=4231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596 WO2010076994A2 (ko) 2008-12-31 2009-12-18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01783038B (ko)
WO (1) WO201007699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3601A1 (es) * 2011-03-15 2012-09-20 Hart Monetic, S.A. Aparato para el deposito y retirada de billetes adaptable a equipos de procesamiento de billetes.
CN107578532A (zh) * 2017-08-21 2018-01-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499B1 (ko) 2010-08-03 2011-12-20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CN102063760B (zh) * 2010-12-10 2013-11-2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可切换式钞票拾取装置
JP5457397B2 (ja) * 2011-05-26 2014-04-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CN103413376A (zh) * 2013-07-17 2013-11-27 深圳市怡化电脑有限公司 一种atm机存取单元和控制方法
TWI601681B (zh) * 2017-02-17 2017-10-1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儲存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2627A (ja) * 1999-05-12 2000-11-24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KR100596310B1 (ko) * 2004-02-13 2006-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JP2007072972A (ja) * 2005-09-09 2007-03-22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KR100802288B1 (ko) * 2006-12-29 2008-02-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706B2 (ja) * 2001-03-01 2007-08-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545575B2 (ja) * 2004-12-14 2010-09-1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取込装置
JP2008084170A (ja) * 2006-09-28 2008-04-10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羽根車集積装置
KR100799460B1 (ko) * 2006-12-29 2008-02-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2627A (ja) * 1999-05-12 2000-11-24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KR100596310B1 (ko) * 2004-02-13 2006-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JP2007072972A (ja) * 2005-09-09 2007-03-22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装置
KR100802288B1 (ko) * 2006-12-29 2008-02-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3601A1 (es) * 2011-03-15 2012-09-20 Hart Monetic, S.A. Aparato para el deposito y retirada de billetes adaptable a equipos de procesamiento de billetes.
CN102792343A (zh) * 2011-03-15 2012-11-21 哈特莫尼提克股份有限公司 适用于现金存取款操作的纸币处理设备
CN102792343B (zh) * 2011-03-15 2016-02-17 哈特莫尼提克股份有限公司 适用于现金存取款操作的纸币处理设备
CN107578532A (zh) * 2017-08-21 2018-01-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3038A (zh) 2010-07-21
WO2010076994A3 (ko) 2010-09-23
CN101783038B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6994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EP2328128B1 (en) Paper money deposit/withdrawal machine
KR101157741B1 (ko) 지엽 취급 장치
WO2010018962A2 (ko) 금융자동화기기
JP6483281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089655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WO2011081497A2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5080419A1 (ko) 매체 처리 장치
WO2017065471A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WO2013022275A2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165517B1 (ko) 지엽 취급 장치
KR10105666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WO2010077059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WO2011132899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드리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581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장치
WO2011105868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WO2011081495A2 (ko) 금융 자동화기기
WO2011081494A2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693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100267563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정렬장치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991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가이드판 록킹장치
WO2024076037A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커넥팅 장치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6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63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