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303A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303A
KR20100061303A KR1020090066386A KR20090066386A KR20100061303A KR 20100061303 A KR20100061303 A KR 20100061303A KR 1020090066386 A KR1020090066386 A KR 1020090066386A KR 20090066386 A KR20090066386 A KR 20090066386A KR 20100061303 A KR20100061303 A KR 20100061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device
start time
exposure
exposure 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419B1 (ko
Inventor
야스히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6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연속하여 정지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신호와,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을 제어하고, 제1 촬상소자와 제2 촬상소자가 연속하여 노광되어 판독 처리될 때 제1 촬상소자와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쪽의 촬상소자의 연속하는 2개의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노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정지화상의 촬영이 가능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1장의 정지화상을 촬영할 뿐만 아니라, 연속하여 복수장의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다(연사). 종래, 하나의 광학계와 그 광학계에 대응한 하나의 촬상계(촬상소자 등)를 갖는 촬상 장치에서는, 연사를 실현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1) 메카니컬 셔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셔터만으로 촬영을 한다. (2) 촬상소자 전체에서 풀 프레임을 판독하지 않고 추출 판독을 한다. (3)한쪽 필드만을 판독한다.
그러나, 상술한 (1)의 기술에서는, 촬상소자가 CMOS소자인 경우, 롤링 셔터의 영향으로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면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나 (3)의 기술에서는, 본래의 촬상소자의 특성에 비해 화소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해상도의 열화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하나의 광학계와 복수의 촬상소자를 가지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렌즈를 투과한 광을 프리즘에 의해 광속을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광속을 각각 다른 촬상소자에서 수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2-19097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복잡한 광학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고, 또한 프리즘 등의 영향에 의해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 및 그 밖의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 감도를 저하 및 화질 열화를 방지한 연속하는 정지 화상들을 얻을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 촬상소자와,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촬상소자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노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간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의 간격 중심에 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으로부터 노광되는 시간 중에 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고,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지 않는 발광부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화상 신호는 플래시를 조사하여 얻은 화상 신호고, 다른 하나는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아 얻은 화상 신호로서,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합성부에서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위치 어긋남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화상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들을 이용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얻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 촬상소자와,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촬상소자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과 동일 타이밍이 되도록 제어하는 노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연속하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들 각각과 연속하는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들 각각이 동일한 타이밍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장치는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위치 어긋남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화상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들을 이용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촬상소자가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제2 촬상소자가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함은,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가 연속하여 노광되어 판독 처리될 때,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방법은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고,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지 않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화상 신호는 플래시를 조사하여 얻은 화상 신호고 다른 하나는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아 얻은 화상 신호로서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방법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방법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위치 어긋남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화상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들을 이용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촬상소자가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제2 촬상소자가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과 동일 타이밍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동일 타이밍이 되도록 제어함은, 연속하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들 각각과 연속하는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들 각각이 동일한 타이밍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방법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방법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위치 어긋남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화상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들을 이용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도를 저하하지 않으면서,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는 연속하는 정지화상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불가능하였던 연사 간격 이상의 노광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조도시의 셔터 속도가 장초시(長秒時)가 될 때에도 연사 간격이 늘어나지 않고 고속 연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2개의 광학계들 및 촬상계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각각에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브 뷰 표시를 하고 있을 때는 어느 하나의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 라이브 뷰(Live-view) 화상을 취득하고, 다른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 측광을 할 수 있다. 또한, 광학계들이 서로 좌우에 배치되어 동일 타이밍의 화상들을 취득함으로써,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0)는, 예를 들면 결상 광학계들(101, 102), 이미지 센서들(103, 104), SDRAM(105, 106), 메모리 카드(107), ROM(109), 구동모드 절환부(111), 감도모드 절환부(113), 릴리스 버튼(115), 타이밍 발생기(117), DSP(121, 122), 플래시 콘트롤러(131), 플래시(133), LCD 콘트롤러(135), LCD(137) 등으로 이루어진다.
결상광학계들(101, 102)은 일 예로서 제1 광학계, 제2 광학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상광학계들(101, 102)은 외부의 광 정보를 이미지 센서(103, 104)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이미지 센서(103, 104)까지 투과시킨다. 제1 결상광학계(101)를 통과한 광은 제1 이미지 센서(103)에 도달하고, 제2 결상광학계(102)로부터의 광은 이미지 센서(104)에 도달한다. 결상광학계들(101, 102) 각각은 줌렌즈, 조리개, 포커스 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줌렌즈는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고, 조리개는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포커스 렌즈는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또는 다른 쪽에서 한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미지 센서들(103, 104) 각각의 촬상면에 피사체상을 합초시킨다.
이미지 센서들(103, 104)은 제1 촬상소자, 제2 촬상소자(광전변환소자)의 일례로서, 결상광학계들(101, 102)을 투과하여 입사한 광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자들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들(103, 104) 각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들(103, 104)의 노광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비촬영시에 광을 차단하여 촬영시만 광이 조사하도록 메카니컬 셔터(도시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셔터(도시생략)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메카니컬 셔터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은 릴리스 버튼(115)(조작부재)의 스위치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릴리스 버튼(115)에 연결된 DSP들(121, 122)의 제어에 의해 메카니컬 셔터 또는 전자 셔터의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미지 센서들(103, 104)은 CDS/AMP부, A/D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DS/AMP부(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 기(amplifier))는, 이미지 센서들(103, 104)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한다. A/D변환부는 CDS/AMP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변환부는 생성한 상기 디지털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 출력한다.
또한, SDRAM들(105, 106) 각각은 VRAM으로서의 영역이 확보된다. VRAM은 화상 표시용의 메모리로서, 복수의 채널을 가진다. VRAM은 화상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과 LCD 콘트롤러(135)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LCD(137)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는 VRAM의 용량에 의존한다.
SDRAM(synchronous DRAM)들(105, 106) 각각은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SDRAM(105, 106)들은 복수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SDRAM(105, 106)들 각각은 DSP(121, 122)들 각각에 연결된다. SDRAM들(105, 106)에 화상을 판독/기입함은 메모리 콘트롤러(도 2의 151)에 의해 제어된다.
메모리 카드(107)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억 매체이다. 촬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107)에 기록되거나, 메모리 카드(107)로부터 판독된다. 또한, 기록 매체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107)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107)는 촬상 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ROM(109)은 DSP들(121, 122)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동모드 절환부(111)는 촬상 장치(100)에서의 통상 연사 모드, 고속 연사 모드, 단사 모드를 절환한다. 감도모드 절환부(113)는 통상의 감도인지 또는 고감도 모드인지를 절환한다.
릴리스 버튼(115)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 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릴리스 버튼(115)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에 포커스 제어 개시의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반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릴리스 버튼(115)은 완전누름(S2조작)되었을 때에 촬영 개시의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촬상 장치(100)는 릴리스 버튼(115) 이외의 조작 부재(도시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 부재로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에 설치된 상하좌우 키,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등이 있다. 조작 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DSP들(121, 122) 등에 보낸다.
타이밍 발생기(117)는 이미지 센서들(103, 104)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이미지 센서들(103, 104)을 구성하고 있는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의 제어나 전하의 판독 제어를 한다. 또한 CDS/AMP부에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DSP들(121, 122)은 화상 신호 처리부의 일례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촬상 장치(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들(121, 122)은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도시생략)에 신호를 출력하여 결상광학계들(101, 102)를 구동한다. 또한, DSP들(121, 122)은 조작 부재(도시생략)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촬상계마다 DSP들(121, 122) 각각이 설치될 수 있다. DSP들(121, 122) 각각이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로 행하도록 개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P(221)가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하나의 CPU에서 행한다고 하여 하나만의 CPU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변경 예인 촬상 장치(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세 부분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1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플래시 콘트롤러(131)는 제1 DSP(121)로부터 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플래시(133)에 전송한다. 플래시(133)는 본 촬영 시나 본 촬영 전의 포커스 제어 시에 피사체에 대해 광을 조사한다.
LCD 콘트롤러(135)는 예를 들면 인코더 LCD 제어부(도 2의 16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아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화면)(137)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LCD(137)는 촬상 장치(100) 본체에 설치된다. LCD(137)가 표시하는 화상은 예를 들면 SDRAM(105)으로부터 판독된 촬영 전의 화상(라이브 뷰 표시),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상하여 기록된 화상 등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로서 LCD(137), 표시 구동부로서 LCD 콘트롤러(135)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EL 디스플레이, 그 표시 제어부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DSP들(121, 12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DSP들(121, 122) 각각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DSP들(121, 122) 각각은 화상 신호 처리부(141), AE/AF/AWB 산출부(142), 메모리 콘트롤러(151), 화상 합성 처리부(152), 대응점·특징점 검출부(153), 화상 상관 검출부(154), 장면 인식부(155), 기억 매체 제어부(161), 외부 통신 제어부(162), 인코더 LCD 제어부(163), 화상 압축 신장 처리부(164), CPU(171), SIO(172), I/O포트(173) 등으로 이루어진다.
화상 신호 처리부(141)는 이미지 센서들(103, 104) 각각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고, 이미지 센서들(103, 104) 각각의 A/D변환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41)는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41)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AE 평가값, AWB 평가값 및 AF 평가값을 산출한다.
AE/AF/AWB 산출부(142)는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서 산출된 AE(auto exposure: 자동노광) 평가값에 기초하여 조리개의 압축량이나 셔터 속도를 산출한다. AE/AF/AWB 산출부(142)는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서 산출된 AWB(auto white balance: 자동 화이트 밸런스) 평가값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3원색의 색신호의 게인을 산출한다. 또한, AE 평가값, AWB 평가값은 화상 신호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서 산출된 것이다.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는, AE/AF/AWB산출부(142)에서 산출된 압축량을 제어 신호로서 결상광학계(101)의 드라이버(도시생략)에 출력한다. 드라이버는,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로부터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 성한다.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는 그 밖에 노광시간, 게인, 이미지 센서들(103, 104)의 판독 모드에 의해 노광을 제어한다. 게인은 콘트라스트 값의 산출에 이용된다. 이미지 센서들(103, 104)의 판독 모드란,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들(103, 104)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신호 처리 모드이고, 피사체상이 어두울 때는 화소 가산을 하거나 또는 피사체상이 밝을 때는 화소 전부를 그대로 판독하는 등의 처리이다.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는 노출량 설정부의 일례이다.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는 포커스 제어 개시의 조작신호를 받으면, 포커스 렌즈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143)에 출력한다. 노광 제어·AF동작 제어부(143)는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서 산출된 AF(auto focus: 자동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의 합초위치를 산출한다. 또, AF 평가값은 화상 신호의 휘도값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141)에서 산출된 것이다. AF 평가값은 예를 들면 화상의 콘트라스트 값이고, 콘트라스트 값이 피크가 되었을 때, 피사체상이 이미지 센서들(103, 104)의 촬상면에서 합초하고 있다고 판단한다(콘트라스트 검출 방식).
메모리 콘트롤러(151)는 SDRAM들(105, 106)에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한다. 또한, SDRAM들(105, 106)은 DRAM이어도 된다.
화상 합성 처리부(152)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152a) 및 합성부(15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들(103, 104)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타이밍에서 노광하여 제1 화상 신호와 제2 화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화상 합성 처리부(152) 의 합성부(152b)는 상기 제1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어긋남 검출부(152a)는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 간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고, 그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부(152b)에서 상기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합성 처리할 수 있다.
대응점·특징점 검출부(153)는 프레임 화상들 각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프레임 화상들 간에 대응점을 발견하여 화상들 간의 대응 부여를 하거나 대응점을 추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 각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 간의 대응점을 발견하여 상기 대응점을 추적할 수 있다.
화상 상관 검출부(154)는 프레임 화상들 간의 상관을 산출한다. 화상 상관 검출부(154)는, 대응점·특징점 검출부(153)에서 검출된 상기 특징점이 적을 때나 대응점을 취할 수 없을 때에 화상들 간의 대응 부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상과 제2 화상 간의 상관을 산출할 수 있다.
장면 인식부(155)는, 대응점·특징점 검출부(153)나 화상 상관 검출부(154)의 검출 결과로부터 촬영 장면이 풍경, 인물, 스포츠 등 어떠한 장면인지를 판별한다.
기억 매체 제어부(161)는 메모리 카드(도 1의 107)에 화상 데이터를 기입 또는 메모리 카드(107)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판독을 제어한다.
외부 통신 제어부(162)는 PC, 프린터 등의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인코더 LCD 제어부(163)는 화상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LCD(137)에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생성한다.
화상 압축 신장 처리부(164)는 압축 처리 전의 화상 신호를 받아, 예를 들면 JPEG 압축 형식 또는 MPEG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화상 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화상 압축 신장 처리부(164)는 압축 처리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억 매체 제어부(161)에 보낸다.
CPU(171)는 DSP들(121, 122)의 연산 처리부 및 제어부이다. SIO(172) 또는 I/O포트(173)와 연결되어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촬상 장치(100)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컴퓨터 상의 프로그램에 의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2개의 광학계들 및 촬상계들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3 이상의 복수의 광학계들 및 촬상계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촬상 장치(100)는 복수의 광학계들 및 촬상계들을 구비하고, 각각으로부터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타이밍에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100)는 복수의 촬상소자들 각각의 노광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0)는 통상 연사 모드와 통상보다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높은 고속 연사 모드를 갖는다. 통상 연사 모드는 복수의 촬상소자들 중 하나의 촬상소자만을 이용하여 촬상하고, 고속 연사 모드는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타이밍이 다른 촬상소자의 노광과 노광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오도록 노광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연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연사 모드 또는 연사가 아니라 1장씩 촬영을 하는 단사 시에는 SN열화가 적은 고감도 모드를 가진다. 고감도 모드는 복수의 촬상을 같은 타이밍에서 행하고, 포스트 처리에서 생성된 복수의 화상들에 대해 고정밀도의 위치 맞춤을 행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한다. 그리고, 합성된 1장의 화상을 출력함으로써, SN열화가 적은 고감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위상으로 촬영된 화상을 가산 처리함으로써, 화질 열화 없이 고감도의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연사 모드에서는 복수의 촬상소자들 중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 타이밍에 맞추어 플래시를 조사함으로써, 플래시 촬영 화상과 플래시 없이 촬영 화상을 교대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촬상 장치(100)는 통상의 평면 화상(2차원 화상)을 촬상하는 2D 촬상 시퀀스와는 별도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촬상 하는 3D 촬상 시퀀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동작)
[제1 동작 예]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1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1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1 동작 예는 통상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높은 고속 연사 모드이다. 고속 연사 모드는,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a)의 노광 타이밍이 다른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b)의 노광과 노광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촬영한다. 판독 후의 처리는, 촬상소자 a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촬상소자 b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처리함으로써, 연속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대의 촬상 장치(100)에서 촬영했어도, 하나의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연사 하는 경우에 비해 2배의 프레임 레이트로 연사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연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광학계 및 촬상계만을 구동시킨 경우에는, 도 3의 촬상소자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3)→(5)의 간격으로만 연사할 수 있다. 촬상소자 a에서의 노 광시간이나 촬상소자 a의 처리능력(판독처리 등)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광학계들 및 촬상계들을 사용함으로써 (1)→(2)→(3)→(4)→(5)의 간격으로 연사가 가능하게 된다.
[제2 동작 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2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2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2 동작 예는 통상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높은 고속 연사 모드이고, 제1 동 작 예에 비해 각 노광 시간이 긴 경우이다. 제2 동작 예에서도 제1 동작 예와 같이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a)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b)의 연속하는 2개의 노광 개시 시각들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촬영한다. 판독 후의 처리는, 촬상소자 a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촬상소자 b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처리함으로써, 연속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대의 촬상 장치(100)에서 촬영했어도, 하나의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연사하는 경우에 비해 2배의 프레임 레이트로 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연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광학계 및 촬상계만을 연사 모드로 구동시킨 경우는, 촬영 간격(노광 및 판독에 필요한 시간)(M) 이하로 노광간격(어떤 노광의 개시와 다음 노광의 개시의 간격)(N)을 설정할 수는 없었다. 하나의 촬상소자에 있어서 노광 중 또는 판독 중에 다음의 노광을 개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b)의 (2)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a)의 (1)의 노광 개시 시각과 (3)의 노광 개시 시각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타이밍 발생기(117)를 제어하고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촬영한다. 그 결과, 촬영 간격(M) 이하로 노광간격(N)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상의 연사보다 노광 시간이 긴(셔터 속도가 느린) 연사가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촬영 환경이 어두운 장면도 고속 연사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동작 예]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3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3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3 동작 예는 연사 모드로 플래시 촬영과 플래시 없이 촬영을 동시에 하는 모드이다. 제3 동작 예에서도 제1 동작 예와 같이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a)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촬상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b)의 연속하는 2개의 노광 개시 시각들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촬영한다. 판독 후의 처리는 촬상소자 a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촬상소자 b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를 합성 처리함으로써, 연속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상소자 a의 노광 타이밍에 맞추어 플래시를 피사체에 조사한다. 종래, 플래시 촬영은 프리 발광이나 충전 시간에 제약을 받아 연사 속도를 높이기는 어려웠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어 촬상소자 a)에서 플래시 촬영을 하고,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예를 들어 촬상소자 b)에서 플래시 없이 촬영을 함으로써 고속 연사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촬상소자 a는 통상의 플래시 촬영 시와 같은 촬영 조건으로 셔터 속도, 압축, 감도가 설정된다. 플래시 촬영에 의해, 예를 들면 야경 장면 등에서 인물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상소자 b는 고감도로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어두운 장면에서도 적정 노출로 할 수 있다. 고감도 촬영에 의해, 예를 들면 야 경 장면 등에서 배경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 처리에 의해 플래시 조사하여 얻은 촬영 화상(촬상소자 a로부터 얻은 제1 화상)과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고 얻은 촬영 화상(촬상소자 b로부터 얻은 제2 화상)을 합성 처리함으로써, 플래시가 닿지 않는 장소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내의 촬영 장면 등에서 플래시의 색온도와 실내 조명의 색온도가 다른 경우에서도, 각각의 촬상소자에서 적정한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래시를 조사하여 촬영한 제1 화상과 플래시 없이 촬영한 제2 화상을 합성 처리함으로써, 피사체의 색이 적정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플래시를 발광하여 촬상소자 a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상을 얻고, 촬상소자 b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제2 화상을 얻은 후,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을 합성하여 제1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촬상소자 a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여 제3 화상을 얻고, 상기 제2 화상과 상기 제3 화상을 합성하여 제2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를 조사하여 제1 촬상소자로부터 얻은 제1 화상과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촬상소자로부터 얻은 연속하는 제2 화상들 각각을 합성할 수 있다. 또는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얻은 제2 촬상소자로부터 얻은 제2 화상과 플래시를 조사하여 얻은 제1 촬상소자로부터 얻은 연속하는 제1 화상들 각각을 합성할 수 있다.
[제4 동작 예]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4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4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4 동작 예는 하나의 광학계 및 촬상계에서 통상 연사를 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 예의 촬상 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촬상소자 a만을 구동시키고 다른 쪽의 촬상소자 b는 사용하지 않는 촬영 모드도 가능하다. 이 때, 촬상소자 b는 슬리프(sleep)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동작 예에서 나타낸 고속 연사 모드와 제4 동작 예의 통상 연사 모드를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5 동작 예]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5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의 제5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5 동작 예는 고감도 모드이다. 고감도 모드는 통상 연사 모드 또는 연사가 아니라 1장씩 촬영을 하는 단사 시에 실현할 수 있다.
통상 연사 모드는 복수의 촬상을 같은 타이밍(동위상)에서 행하고, 포스트 처리로 생성된 복수의 화상들에 대해 고정밀도의 위치 맞춤을 행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한다. 그리고, 합성된 1장의 화상을 출력함으로써, SN열화가 적은 고감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위상으로 촬영된 화상을 가산 처리함으로써, 화질 열화 없이 고감도의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제5 동작 예에서는, 제1 동작 예와 달리, 하나의 촬상 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a)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촬상 소자(예를 들면, 촬상소자 b)의 노광 개시 시각과 동일 타이밍이 되도록 위상을 맞추어 촬영한다. 판독 후의 처리는, 촬상소자 a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촬상소자 b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 중 기준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먼저 화상 처리하고, 그 후 합성 처리한다. 이를 반복하는 경우는 통상 연사 모드이고, 1장의 정지 화상만을 취득하는 경우는 단사모드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 예 또는 수정 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DSP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제1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제2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제3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제4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제5 동작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변경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00, 200: 촬상 장치
101, 102: 결상광학계
103, 104: 이미지 센서
105, 106: SDRAM
107: 메모리 카드
109: ROM
111: 구동모드 절환부
113: 감도모드 절환부
115: 릴리스 버튼
117: 타이밍 발생기
121, 122, 221: DSP
131: 플래시 콘트롤러
133: 플래시
135: LCD 콘트롤러
137: LCD
141: 화상 신호 처리부
142: AE/AF/AWB 산출부
151: 메모리 콘트롤러
152: 화상 합성 처리부
153: 대응점·특징점 검출부
154: 화상 상관 검출부
155: 장면 인식부
161: 기억 매체 제어부
162: 외부 통신 제어부
163: 인코더 LCD 제어부
164: 화상 압축 신장 처리부
171: CPU
172: SIO
173: I/O포트

Claims (9)

  1.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1 촬상소자;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촬상소자;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노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간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의 간격 중심에 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제어부는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으로부터 노광되는 시간 중에 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중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고, 다른 하나의 촬상소자의 노광시에 플래시의 조사를 하지 않는 발광부;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의 화상 신호는 플래시를 조사하여 얻은 화상 신호고, 다른 하나는 플래시를 조사하지 않아 얻은 화상 신호로서,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부는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합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 사이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
    검출된 상기 위치 어긋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위치 어긋남이 없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화상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한 복수의 위치 어긋남 정보들을 이용한 스테레오 화상(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1 촬상소자가 피사체로부터 제1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제2 촬상소자가 상기 피사체로부터 제2 광학계를 통하여 받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1 화상 신호와,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2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촬상소자에서의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촬상소자에서의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르도록 제어함은,
    상기 제1 촬상소자와 상기 제2 촬상소자가 연속하여 노광되어 판독 처리될 때, 상기 제1 노광 개시 시각과 상기 제2 노광 개시 시각 중 어느 하나의 노광 개시 시각이 다른 하나의 연속하는 노광 개시 시각들 사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KR1020090066386A 2008-11-28 2009-07-2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60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5454A JP5167094B2 (ja) 2008-11-28 2008-11-28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JP-P-2008-305454 200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303A true KR20100061303A (ko) 2010-06-07
KR101605419B1 KR101605419B1 (ko) 2016-03-22

Family

ID=4222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386A KR101605419B1 (ko) 2008-11-28 2009-07-2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97932B2 (ko)
JP (1) JP5167094B2 (ko)
KR (1) KR101605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JP2012205117A (ja) * 2011-03-25 2012-10-22 Kyocera Corp 電子機器
JP5821300B2 (ja) * 2011-06-07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245022B1 (ja) 2011-08-15 2013-07-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3104826A (ja) * 2011-11-15 2013-05-30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6285958B2 (ja) 2013-01-15 2018-02-28 モービルアイ ビジ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ローリングシャッターを伴うステレオ支援
JP6056497B2 (ja) * 2013-01-18 2017-01-11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30179A (ja) * 2013-05-24 2014-12-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4869307B (zh) * 2015-04-22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的方法和装置
JP6752679B2 (ja) * 2016-10-15 2020-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KR102385844B1 (ko) * 2017-09-15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 1 이미지 센서에서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이미지 센서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AU2018415738B2 (en) 2018-03-27 2021-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otographing Mobile Terminal
US11172139B2 (en) * 2020-03-12 2021-11-09 Gopro, Inc. Auto exposure metering for spherical panoramic content
CN118200687A (zh) * 2024-02-18 2024-06-14 厦门瑞为信息技术有限公司 不同Sensor的画面亮度归一到同一个Sensor维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0262T2 (de) * 1994-09-07 1998-12-17 Imco Electro-Optics Ltd., Basildon, Essex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Hochgeschwindigkeitsbildaufnahme
JP3738654B2 (ja) 2000-03-29 2006-01-25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1292370A (ja) * 2000-04-05 2001-10-19 Furoobell:Kk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WO2001086348A1 (en) * 2000-05-09 2001-11-15 Jon Oshima Multiplexed motion picture camera
JP2002190978A (ja) 2000-12-21 2002-07-0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AU2002331768A1 (en) * 2001-08-31 2003-03-18 Timothy N. Huber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egistered motion picture image recording
JP2003189171A (ja) * 2001-10-12 2003-07-0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286168B2 (en) 2001-10-12 2007-10-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blur to an image
JP3956353B2 (ja) * 2002-04-04 2007-08-08 日本放送協会 スローモーションの撮影装置
JP2005086219A (ja) * 2003-09-04 2005-03-3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制御方法
JP4451730B2 (ja) * 2003-09-25 2010-04-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動画生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37505B2 (ja) * 2003-10-31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318450A (ja) 2004-04-30 2005-11-10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457477B2 (en) * 2004-07-06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photography with flash/no flash extension
US7663687B2 (en) * 2004-07-12 2010-02-16 Glenn Neufeld Variable speed, variable resolution digital cinema camera system
US8027531B2 (en) * 2004-07-21 2011-09-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 scene using staggered triggering of dense camera arrays
JP4260094B2 (ja) 2004-10-19 2009-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US20060221209A1 (en) * 2005-03-29 2006-10-05 Mcguire Morg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combining images of a scene with multiple optical characteristics at multiple resolutions
JP4742242B2 (ja) * 2005-09-30 2011-08-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288605A (ja) * 2006-04-18 2007-11-01 Fujifilm Corp 撮像装置
US7978239B2 (en) * 2007-03-01 2011-07-12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amera using multiple image sensors to provide improved temporal sampling
JP2010107900A (ja) * 2008-10-31 2010-05-13 Fujifilm Corp 撮像装置、複眼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30570A (ja) 2010-06-10
JP5167094B2 (ja) 2013-03-21
KR101605419B1 (ko) 2016-03-22
US8497932B2 (en) 2013-07-30
US20100134651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419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523037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74224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159538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120025872A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2150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0988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8276017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812704B2 (en) Focus detec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sensor operations
JP2010054730A (ja) 合焦位置検出装置、撮像装置及び合焦位置検出方法
JP201000844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7235893A (ja) 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678053B2 (ja) 撮像装置
JP200903328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15008517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7943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413059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077770A (ja) 固体電子撮像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532832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78114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117276A (ja) 撮像装置
JP2007274211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722614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1023290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2004304256A (ja) 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