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777A -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777A
KR20100055777A KR1020080114647A KR20080114647A KR20100055777A KR 20100055777 A KR20100055777 A KR 20100055777A KR 1020080114647 A KR1020080114647 A KR 1020080114647A KR 20080114647 A KR20080114647 A KR 20080114647A KR 20100055777 A KR20100055777 A KR 2010005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b
light
mode
photograph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602B1 (ko
Inventor
문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602B1/ko
Priority to US12/604,119 priority patent/US7970270B2/en
Priority to JP2009261853A priority patent/JP5624752B2/ja
Publication of KR2010005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초점 모듈로 보내지는 입사 광량을 늘리고 빠른 위상차 자동 초점 맞춤을 가능하도록 하는 촬상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촬상 장치는,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결상시키는 촬영 렌즈; 상기 촬영렌즈를 통과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메인 미러;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초점 모듈; 및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 자동 초점, 서브 미러, 메인 미러

Description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AUTO FOCU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UB MIRROR}
본 발명은 피사체에서 나온 빛을 촬상 장치의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구비한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 초점 기능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자동 초점 방식에는 촬영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하는 TTL(Through The Lens) 자동 초점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자동 초점 모듈은 대비 검출 방식(contrast detection method), 위상차 검출 방식(phase difference detection method)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초점이 맞았는 지를 검출한다. 대비 검출 방식은 렌즈를 움직이면서 영상 일부(주로 중앙부분)의 대비를 계속적으로 계산하고, 대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초점이 맞았다고 판단한다. 대비 검출 방식은 비디오 카메라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이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한 쌍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초점이 맞았는지 판단한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스플릿 이미지 스크린(split image screen)을 통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동작한다.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필름 SLR 카메라 및 디지털 SLR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한다. TTL 자동 초점 방식에서는, 서브 미러가 사용되어 촬영 렌즈와 일부의 빛을 접안 렌즈 쪽으로 반사하는 메인 미러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한다.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는 같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동 초점 모듈로 보내지는 광량이 전체 입사광량의 일부만이 입사됨으로써 저조도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기가 어렵다. 또한 촬상 영역으로 들어온 빛을 전자적 처리를 통하여 액정화면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뷰 모드에서 위상차 자동 초점 맞춤이 필요할 경우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셔텨랙 때문에 속도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초점 모듈로 보내지는 입사 광량을 늘리기 위한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동작 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이브뷰 모드에서 빠른 위상차 자동 초점 맞춤이 필요한 경우 셔터랙을 줄이는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동작 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결상시키는 촬영 렌즈; 상기 촬영렌즈를 통과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메인 미러;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초점 모듈; 및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미러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정의 모드에 맞는 서브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저조도 모드시에 상기 촬영렌즈를 통과한 빛은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될 수 있다.
라이브뷰 모드시에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량의 부족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광량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미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서브 미러가 구비되어 소정 모드에 맞는 서브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모드는 라이브뷰 모드 및 뷰파인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미러는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 및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할 수 있다.
상기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전부를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 초점 장치는, 촬영 렌즈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초점 모듈; 및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에 촬상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촬상 장치(100)는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인 경우이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DSLR 카메라 이외의 다른 촬상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100)는 촬영 렌즈(110), 조리개(115), 마운트(120), 메인 미러(130), 서브 미러(140), 자동 초점 모듈(150; Auto Focus Module), 포컬 플레인 셔터(160), 촬상 영역(170), 포커싱 스크린(focusing screen)(180), 펜타 프리즘(185) 및 접안 렌즈(190)를 포함한다.
촬영 렌즈(110)는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촬상 영역(170)에 결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렌즈(110)는 복수 개의 렌즈들로 구성된다. DSLR 카메라의 경우 촬영 렌즈(110)는 교환 가능하다.
또한, 촬영 렌즈(110)에는 손떨림 보정장치(미도시) 및 자동 초점 구동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손떨림 보정장치는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사진의 화질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자동 초점 구동부는 자동 초점 모 듈(150)로부터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촬영 렌즈(110)에는 조리개(115)가 포함되어 있다. 조리개(115)는 촬영 렌즈(110)를 통과하는 빛의 양 및 화상의 심도를 조절한다. 즉, 조리개(115)를 넓히면, 촬영렌즈(110)는 더욱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밝은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조리개(115)를 넓히면 구경이 커지므로 사진의 심도는 낮아진다. 반면, 조리개(115)를 좁히면, 촬영 렌즈(110)는 보다 적은 빛을 통과시키기게 되므로, 사진은 좀더 어둡게 촬영된다. 그리고 조리개(115)를 좁히면 구경이 작아지므로 심도가 깊은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조리개(115)는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렌즈에 의해 상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조리개(115)의 앞쪽(피사체에서 조리개 사이)에 배치된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개(115)의 허상을 입사동(entrance pupil)이라 하고, 조리개(115)의 뒷쪽(조리개에서 촬상 영역 사이)에 배치된 렌즈에 의해 형성된 조리개(115)의 허상을 사출동(exit pupil)이라고 한다. 특히, 사출동은 사진의 밝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조리개(115)의 상이므로, 밝기 조절 및 자동 초점 기능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운트(120)는 촬영 렌즈(110)와 촬상 장치(100)의 바디(101)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운트(120)는 촬상 영역(170)의 중심을 촬영 렌즈(110)의 광축과 일치시켜준다. 또한, 마운트(120)는 촬영 렌즈(110)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된다.
마운트(120)는 렌즈 마운트(123)와 바디 마운트(126)로 구성된다. 렌즈 마운트(123)와 바디 마운트(126)가 서로 맞물린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촬영렌즈(110)는 촬상 장치(100)의 바디(101)에 고정된다.
메인 미러(130)는 촬영 렌즈(110)를 통과한 빛을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한다. 메인 미러(130)에서 반사된 빛은 포커싱 스크링(18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는 접안 렌즈(190)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미러(130)를 투과한 빛은 자동 초점 모듈(150)로 진행하여, 자동 초점 모듈(150)이 피사체의 초점상태를 검출한다.
서브 미러(140)는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촬영 렌즈(110)를 통과한 빛을 자동 초점 모듈(150)로 가이드한다. 서브 미러(14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자동 초점 모듈(150)은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검출한다.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에 대한 정보는 촬영 렌즈(110)의 자동 초점 구동부(미도시)로 전해진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상차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자동 초점 모듈(150)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기고 한다. 자동 초점 모듈(150)은 반사 미러(151), 시야 마스크(152), 세퍼레이팅 렌즈(153, separating lens), 필터(154), 자동 초점 센서(155)를 포함한다.
반사 미러(151)는 자동 초점 모듈(150)로 입사된 빛을 자동 초점 센서(155) 방향으로 반사한다. 그에 따라 촬상 장치(10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하게 촬상 장치(100)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시야 마스크(152)는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개구를 통과한 빛은 세퍼레이팅 렌즈(153)를 통과하여 자동 초점 센서(155) 상에 복수 개의 피사체 상이 형성된다.
필터(154)는 가시광선 영역 이외의 빛을 필터링한다. 이는 가시광선 이외의 빛에 의해 자동 초점 센서(155)가 반응하여,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필터(154)는 예컨대 적외선 컷 필터가 될 수 있다.
자동 초점 센서(155)는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전 소자들을 포함한다. 광전 소자에 의해 자동 초점 센서(155) 상에 결상된 피사체 상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이런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위상차 검출 방식은 공지 기술로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컬 플레인 셔터(160)는 촬상 영역(170) 바로 앞에 설치되며, 선막, 후막으로 부르는 두 장의 검정 커튼 또는 금속 막으로 구성된다. 포컬 플레인 셔터(160)는 촬영 시에 선막이 열려 촬상 영역(170)이 빛에 노출되고, 후막이 닫혀 촬상영역(170)의 빛이 다시 차단되는 형태의 셔터방식이다. 즉, 포컬 플레인 셔터(160)는 선막과 후막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셔터 스피드를 조절하게 된다.
촬상 영역(170)은 피사체 상에 대한 감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피사체 상에 대한 감광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가 광 경로 상에서 후퇴한다. 필름 카메라의 경우, 촬상 영역(170)에 필 름이 놓여지고,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는, 촬상영역(170)에 이미지 센서들이 배열된다. 이런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s)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구분될 수 있다. CCD는 약한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미지품질이 높아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에 사용된다. 하지만 생산 공정이 까다롭고 생산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CMOS는 CCD에 비해 생산 단가가 적게 들고 생산과정도 비교적 쉬워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로 많이 사용됐었으며, 최근에는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화질 고품질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져 전문가용 DSLR에도 쓰이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포커싱 스크린(focusing screen)(180)은 매트면과 프레넬(fresnel) 렌즈로 구성된다. 매트면은 촬영시의 초점면과 광학적으로 등가적인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매트면에는 촬영 화상과 동일한 화상이 나타나게 된다. 프레넬 렌즈는 매트면을 통과한 빛을 다시 집광시켜, 사용자가 접안렌즈(190)를 통해 더욱 밝은 상을 볼 수 있게 한다.
펜타 프리즘(185)은 오각형 형태의 프리즘을 의미한다. 펜타 프리즘(185)은 포커싱 스크린(180)에 결상된 정립역상(상하는 똑바로이고, 좌우는 반대인 상)을 정립정상(상하좌우 모두 똑바로인 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촬영될 영상을 뷰파인더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접안 렌즈(190)는 사용자가 포커싱 스크린(180)에 결상된 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1미터 전방에 허상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안 렌즈(190)를 통해 촬영될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자동 초점 모듈(15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자동 초점 모듈(150)로 충분한 광량이 들어와야 한다. 그러나 자동 초점 모듈(150)로 너무 많은 광량이 들어오면, 메인 미러(140)에서 반사되어 접안렌즈(190)로 향하는 광량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피사체를 선명하게 볼 수 없다. 따라서 자동 초점 모듈(150)로 들어오는 광량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3a는 자동 초점 맞춤시 종래의 메인 미러(230)와 서브 미러(240)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b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에 자동 초점 맞춤시 종래의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미러(230)와 서브 미러(240)가 항상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메인 미러(230)를 통과한 빛은 서브 미러(240)에서 반사되어 바로 자동 초점 모듈로 입사한다. 따라서 자동 초점 모듈로 들어가는 광량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미러(230)와 서브 미러(240)는 항상 같이 동작하므로 촬상 영역으로 들어온 빛을 전자적 처리를 통하여 액정화면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뷰 모드에서 위상차 자동 초점 맞춤을 사용할 때 메인 미러(230)와 서브 미러(240)의 셔텨랙 때문에 속도저하가 발생한다. 위상차 자동 초점 방식의 라이브뷰는 도 3b처럼 라이브뷰를 실행하다가, 그림 3a 처럼 자동 초점시 미러가 내려와 초점을 잡고 촬영된다. 이 방식은 자동 초점을 위하여 미러(230, 240)가 내려와야 하며, 촬영을 할 때에도 다시 한 번 미러(230, 240)가 내려오게 된다. 즉, 미러(230, 240)와 포컬 플레인 셔터(160) 가 총 2회 반복적으로 움직인 후에야 촬영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셔터 버튼을 누른 후 바로 촬영이 안되고, 일정 시간 후에 촬영이 되는 셔터랙이 생겨나 움직임이 많은 피사체를 순간 포착 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뛰어가는 사람을 촬영할 때, 사람이 중앙에 왔을 때 셔터 버튼을 눌렀지만 오른쪽 끝에서 촬영이 되는 식이다. 또, 포컬 플레인 셔터가 닫혔을 때나 미러가 내려왔을 때에는 라이브뷰가 잠시 불가능 하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와 라이브뷰 모드에서의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c는 저저도 모드와 라이브뷰 모드에서 자동 초점 맞춤시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메인 미러(130)와 상기 메인 미러(13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서브 미러(1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 한다.
일반 조도 모드에서는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의 동작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다. 즉,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 모두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메인 미러(130)는 촬영 렌즈(110)를 통과한 빛의 일부를 접안 렌즈(190) 쪽으로 가이드 하고 서브 미러(140)는 메인 미러를 통과한 빛을 자동 초점 모듈(150)로 가이드 한다.
저조도 모드에서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검출할 경우, 메인 미러(130) 와 서브 미러(140)는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와 같은 상태로 변한다. 즉, 메인 미러(130)는 광 경로 상에서 후퇴하고, 서브 미러(140) 만이 광 경로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동작은 서브 미러(140)가 메인 미러(130)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4c와 같이 서브 미러(140) 만으로 촬영 렌즈(110)로 입사된 빛을 자동 초점 모듈(150)로 반사 시킨다. 촬영 렌즈(110)로 입사된 빛은 메인 미러(130)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자동 초점 모듈(150)로 들어가는 광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조도 모드에서도 자동 초점 모듈(150)이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c와 같이 메인 미러(130)가 광경로에서 후퇴하여 자동 초점을 수행하는 짧은 시간 동안 피사체가 안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매우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저저도 모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광량의 부족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미 도시된 광량 검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광량 검출 센서가 검출한 광량에 따라 일반 조도 모드 인지 저저도 모드인지가 결정된다. 그에 따라,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는 일반 조도 모드와 저저도 모드에서 서로 다르게 작동한다.
라이브뷰 모드에서는 도 4b처럼 동작하다가 자동 초점을 수행하는 동안 4c 처럼 동작하여 셔터랙을 줄일 수 있고 빠른 자동 초점 맞춤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고속촬영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라이브뷰 모드에서는 도 4b와 같이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가 모두 광 경로 상에서 후퇴한다. 라이브뷰 모드에서 촬영 렌즈(110)의 초점상태를 검출할 경우, 메인 미러(130)와 서브 미러(140)는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와 같은 상 태로 변한다. 즉, 메인 미러(130)는 움직이지 않고 서브 미러(140) 만이 광 경로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셔터랙을 줄일 수 있고 빠른 자동 초점 맞춤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고속촬영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복수개의 서브 미러가 구비 되어 각 모드에 맞는 서브 미러를 사용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540)와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서브 미러(540, 541)는 메인 미러(130)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540) 및 라이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는 광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뷰파인더 모드에서는,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540)가 광 경로 상에 위치하고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는 광 경로 상에서 후퇴한다. 기존의 서브 미러와 동일하게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540)는 반사율이 100%이다.
라이브뷰 모드에서는,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가 광 경로 상에 위치하고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540)는 광 경로 상에서 후퇴한다.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는 투과와 반사가 가능한 성질을 지진다. 따라서,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로 입사하는 빛의 일부는 자동 초점 모듈(150)로 입사하고, 나머지 빛은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를 통과하여 촬상 영역(170)에 도달한다. 촬상 영역(170)으로 들어온 빛은 전자적 처리를 통하여 미 도시된 액정화면에 나타난다. 이런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를 사용하게 되면, 촬영 렌즈(110)를 통과한 빛의 일부가 항상 자동 초점 모듈(150)로 입사하기 때문에, 앞선 실시 예와 는 다르게 촬영 렌즈(110)의 초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서브 미러(140)를 구동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빠른 자동 초점 맞춤이 가능해 진다.
자동 초점 모듈(15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541)의 반사율은 대략 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자동 초점 맞춤시 종래의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b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에 자동 초점 맞춤시 종래의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피사체 상을 감광할 경우와 라이브뷰 모드에서의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저저도 모드와 라이브뷰 모드에서 자동 초점 맞춤시 메인 미러와 서브 미러의 독립적인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와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촬상 장치 110; 촬영 렌즈
130; 메인 미러 140; 서브 미러
150; 자동 초점 모듈 152; 시야 마스크
153; 세퍼레이팅 렌즈 155; 자동 초점 센서
170; 촬상 영역 540;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
541;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

Claims (16)

  1.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결상시키는 촬영 렌즈;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메인 미러;
    상기 촬영 렌즈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초점 모듈; 및
    상기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저조도 모드시에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라이브뷰 모드시에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의 부족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광량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미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서브 미러가 구비되어 소정 모드에 맞는 서브 미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모드는 라이브뷰 모드 및 뷰파인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미러는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 및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전부를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촬영 렌즈의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초점 모듈; 및
    메인 미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을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하는 서브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저조도 모드시에 상기 촬영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라이브뷰 모드시에 상기 촬영 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메인 미러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서브 미러에서 반사되어 상기 자동 초점 모듈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의 부족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광량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미러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서브 미러가 구비되어 소정 모드에 맞는 서브 미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모드는 라이브뷰 모드 및 뷰파인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미러는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 및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뷰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 모드용 서브 미러는 빛의 전부를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장치.
KR1020080114647A 2008-11-18 2008-11-18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KR10150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7A KR101505602B1 (ko) 2008-11-18 2008-11-18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US12/604,119 US7970270B2 (en) 2008-11-18 2009-10-22 Auto focu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ub-mirror
JP2009261853A JP5624752B2 (ja) 2008-11-18 2009-11-17 サブミラーを備える自動焦点装置及び撮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647A KR101505602B1 (ko) 2008-11-18 2008-11-18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777A true KR20100055777A (ko) 2010-05-27
KR101505602B1 KR101505602B1 (ko) 2015-03-30

Family

ID=4217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47A KR101505602B1 (ko) 2008-11-18 2008-11-18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70270B2 (ko)
JP (1) JP5624752B2 (ko)
KR (1) KR101505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8849B2 (ja) * 2010-06-22 2014-12-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8760563B2 (en) 2010-10-19 2014-06-24 Hand Held Products, Inc. Autofocusing optical imaging device
US8692927B2 (en) 2011-01-19 2014-04-08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terminal having focus control
JP6792902B2 (ja) * 2016-06-15 2020-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フォーカス制御装置、撮像装置、焦点検出方法および焦点検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7629A (ja) * 1988-03-18 1989-09-22 Fuji Photo Film Co Ltd Ae、af及び確認機能付一眼レフカメラ
JPH03148968A (ja) * 1989-11-02 1991-06-25 Sony Corp 2板式電子カメラ
JP4143622B2 (ja) * 2003-02-12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3697256B2 (ja) * 2003-02-12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JP4411124B2 (ja) * 2004-03-31 2010-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317918A (ja) * 2005-04-11 2006-11-24 Canon Inc 撮像装置
JP4830335B2 (ja) * 2005-04-19 2011-12-07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2006340126A (ja) * 2005-06-03 2006-12-14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32229B2 (ja) * 2005-11-18 2012-05-16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5347269B2 (ja) * 2008-01-04 2013-11-20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KR101449578B1 (ko) * 2008-10-24 2014-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미러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602B1 (ko) 2015-03-30
JP5624752B2 (ja) 2014-11-12
US20100124413A1 (en) 2010-05-20
US7970270B2 (en) 2011-06-28
JP2010122686A (ja)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2444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793698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ickup system
US8184197B2 (en) Focus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424708B2 (ja) 焦点検出装置
KR101700658B1 (ko) 초점 검출 장치가 구비된 일안 반사식 카메라 및 그의 촬영방법
JP2007233032A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1449578B1 (ko) 서브 미러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101505602B1 (ko)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JP2003158666A (ja) 交換レンズ式電子撮像装置および電子撮像システム
JP495063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6072084A (ja) 自動焦点検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20090095819A (ko) 초점 검출 장치가 구비된 일안 반사식 카메라
JP5463657B2 (ja) カメラ
JPH0424338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6672841B2 (ja) ファインダー内表示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6503625B2 (ja) 撮像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2225997A (ja) 撮像装置
JP2006003460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KR100573578B1 (ko) 이안 반사식 카메라의 초점 확인 장치
JP5157155B2 (ja)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2013231885A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2012154694A (ja) 撮像装置
JP2000152092A (ja) 電子カメラ
JP200812946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H08220601A (ja) 光学機器のファインダーおよび電子スチ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