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862A - 테이블 피더 - Google Patents

테이블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862A
KR20100054862A KR1020107008141A KR20107008141A KR20100054862A KR 20100054862 A KR20100054862 A KR 20100054862A KR 1020107008141 A KR1020107008141 A KR 1020107008141A KR 20107008141 A KR20107008141 A KR 20107008141A KR 20100054862 A KR20100054862 A KR 2010005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owder
cone
rotary blad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540B1 (ko
Inventor
후미오 가토
Original Assignee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65G65/483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moving material over a stationary surface, e.g. sweep arm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65G65/481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having the form of rotating tables or pans
    • B65G65/4827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having the form of rotating tables or pans with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ribs, rough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저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하고, 구동 수단을 소형화해, 분체의 고체화 현상을 회피하고, 배출부에 분체를 모으기 쉽고, 배출 효율을 높게 한다. 테이블 피더 1은 분체 처리 용기 2의 저부 3과, 저부 3에 형성되어 분체 처리 용기 2 내에 수용된 분체 P가 배출되는 배출부 4와, 저부 3에 있는 저판 5와, 저판 5의 중심에서 회전하도록, 저판 5의 주면 5 a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되는 회전축 6과, 저판 5 상에서 회전축 6에 의해서 회전해, 분체 처리 용기 2 내에 수용된 분체 P를 배출부 4로부터 배출시키는 회전 날개 7과, 회전 날개 7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8을 갖추고, 회전 날개 7의 상부 공간에 회전 날개 7의 중심부를 가리도록, 회전 날개 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콘 10을 같은 축 상에 설치해 회전 날개 7과 콘 10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테이블 피더{Table feeder}
[0001]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식품, 화학품, 의약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 등의 분체가 수용되는 분체 처리 용기의 저부에 배치되는 테이블 피더(Table feeder)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의 테이블 피더는, 분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 처리 용기의 저부에 고정되어, 당해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 테이블 피더는 예를 들면, 분체로 가공된 식품, 의약품, 화장품, 사료 또는 비료 등 혹은 이러한 재료가 모여지는 저판과, 이 저판에 형성되어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저판 위에서 회전 구동하는 것과 동시에 저판 위의 분체를 배출부로 이끄는 회전 날개로 대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 날개는 저판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은 저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회전 날개의 중심부는 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는 회전 날개의 구동에 의해 배출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특허 문헌 1 및 2 참조).
[0003]
전술의 저판은, 회전축을 설치한 중앙부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서서히 내려오도록 삿갓 모양으로 경사진 발명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1 : 특개평 8268558호 공보
특허 문헌2 : 특개 200163828호 공보
특허 문헌3 : 특개 2005193997호 공보
[0004]
그렇지만, 근간의 특허 문헌 1~3에서도, 1개의 배출부를 저판의 외주부에 설치해 브레이드 내지 스크레이파로 불리는 회전 날개에 의해서, 저판의 중심으로부터 주위로 분체가 선회하면서 배출부를 향해 분체가 흐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저판에 추가되는 분체압이 커지고 분압이 회전 날개에 온전히 걸리며, 또, 분체가 빠져나갈 장소가 없으며, 회전 날개의 회전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회전 날개의 구동장치의 동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분체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저판을 두껍고 구동 모터를 크게 해야 했다. 게다가 유동성이 나쁜 분체, 예를 들어, 그라뉴당과 같은 결정물, 혹은, 유분을 포함한 후스마 등이 굳어지는 고체화 현상을 일으키기 쉬워, 회전 날개가 한층 회전하기 어려워진다든지, 혹은, 회전하지 않는 과부하(overload) 현상이 생기고 있다.
[0005]
여기서, 본 발명은, 앞에서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기재대로 발명을 한 것이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은, 분체 처리 용기의 저부와 당해 저부에 형성되어 전기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전기 저부에 위치한 저판과, 전기 저판의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전기 저판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회전축과, 전기 저판 위에서 전기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해 전기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를 전기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키는 회전 날개와, 전기 회전 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추고, 전기 저부를 전기 저판과, 전기 저판을 둘러싸듯이 접속하는 측판과, 전기 회전 날개의 상부 공간에 전기 회전 날개의 중심부를 가리도록 전기 회전 날개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피더이다.
[0006]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전기 콘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긁어내는 부분을 마련해, 전기 콘의 표면에 퇴적된 분체를 전기 긁어내는 부분이 긁어내, 전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전기 콘의 아래쪽 면으로 떨어뜨리는 청구항 1의 테이블 피더이다.
[0007]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분체 처리 용기」에는 사이로, 벙커, 탱크, 빈, 호퍼 등을 들 수 있다.「처리」란, 분체의 저장, 교반, 계량, 또는, 혼합 등을 말한다. 「저부」의 구체적 모양은 일반적인 호퍼의 저부를 들 수 있다. 그 외 , 예를 들면, 하부로 향해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대략적으로 역원추 형상의 통을, 그 원추형의 저면과 경사한 면에 의해 비스듬하게 절단해, 이 절단 하단면에 테이블 피더의 원형의 저판을 경사시킨 상태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테이블 피더의 회전축, 회전 날개가 수평, 수직에 대해서 경사해 설정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0008]
「저판」은 수평 상태라도, 경사 상태라도 좋고, 또, 형상은, 평판, 콘 형상 등의 어떤 것이라도 좋다. 저판의 경사 각도는, 분체의 성질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는 것이지만, 분체의 중력 붕괴를 촉진시키거나 분체의 브릿지 등이 망가뜨리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소정의 각도 범위의 경사를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으로부터 계측했을 경우의 각도 범위는 5~40˚ 의 범위가 예시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소의 각도 예인 5˚는, 세정수의 수세 한계 기울기를 고려한 것이다. 측판의 경사 각도는, 45~60˚의 범위가 예시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09]
「분체 처리 용기」의 「배출부」가 설치되는 부위는, 최심부가 바람직하다. 이 예로 「저부」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가장 바닥 부분을 들 수 있다. 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저판과 측판의 경계부이며, 굽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출 효율을 고려해, 「회전 날개」의 끝부분의 궤적이 「배출부」의 통로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판」이 경사진 경우에는, 분체의 중력 붕괴나 회전 날개의 작용에 의해서, 분체는 「배출부」에 모여든다. 또, 물로 씻어내는 경우, 물은 「배출부」로 흐르기 쉬워져, 청소 등이 하기 쉬워진다.
[0010]
「저판」에 경사를 두는 경우, 수평으로부터 경사 각도 θ1과 측판의 수평으로부터 경사 각도θ2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하게 설정을 할 수 있지만, θ1≤θ2의 관계가 바람직하다. 또, 「저판」의 직경 R1과 「분체 처리 용기」의 직경 R2와의 관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하게 설정을 할 수 있지만, R1≤R2의 관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 각도나 직경은, 분체의 매스 플로우(mass
flow)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관계가 바람직하다. 분체 처리 용기에 투입한 분체를 선입선출 하기 위해서는 분체가 중앙부, 측벽부 모두 일률적으로 하강하는 매스 플로우가 효과적이다. 전기 경사 각도가 매우 크거나 매우 느슨하거나, 혹은, 전기 직경이 매우 작거나 매우 크거나 하면, 매스 플로우의 효과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0011]
「콘」은, 회전 날개와 동축 회전하는 것이라도 좋고, 「콘」이 축으로 고정되어 「회전 날개」가 회전하는 것이라도 좋다. 「콘」을 「회전 날개」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분체의 잔류를 생기기 어렵게 한다. 「콘」이 내벽에 고정되어 회전 날개와 분리되는 구조라도 좋다.「콘」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분체 처리 용기」의 내벽에 횡방향으로부터 고정해도 괜찮고, 고정축에서 저판에 수직으로 고정해도 괜찮다. 「구동장치」는 모터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종류의 구동장치라도 괜찮다.
[0012]
덧붙여 「회전 날개」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1 또는 복수의 회전 날개가 구성요소가 되어도 괜찮다.
[0013]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콘의 표면에서 분체압을 받는 동시에, 콘의 아래쪽 공간에 빈틈이 형성되므로, 회전 날개가 분체를 움직이는 주요한 범위를 저판의 외주부 영역(평면으로 봤을 때 도너츠 형상의 부위)에 한정할 수 있고, 또, 회전 날개가 분체를 움직일 때 분체를 전기 형성된 빈틈으로 배출 할 수 있으므로, 회전 날개의 부하가 저감한다. 따라서, 유동성이 나쁜 분체라도 회전 날개에 의해 배출부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0014]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동성이 나쁜 분체가 분체 처리 용기 내에서 굳어졌다 해도, 콘의 표면에 퇴적한 분체가 긁어내는 부분에 의해 절삭되고, 콘의 하부에 있는 빈틈으로 배출되므로, 유동성이 나쁜 분체를 배출부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0015]
[도 1] 본 발명 제 1 실시 형태의 테이블 피더에 관해서 부분적으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동 테이블 피더의 저부와 구동장치에 관해서 부분적으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동 테이블 피더의 저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동 테이블 피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a)는 동 테이블 피더의 콘의 변경 형태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동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a)은 동 콘의 변경 형태의 평면도, (b)는 다른 변경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7] (a)은 동 콘의 부분 확대 평면도, (b)는 관통 구멍과 긁어내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8] (a)은 다른 실시 형태의 관통 구멍과 긁어내는 부분의 정면도, (b)는 동 측면도, (c)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관통 구멍과 긁어내는 부분의 정면도, (d)는 동 측면도이다.
[도 9] 본 발명 제 2 실시 형태의 테이블 피더에 관해서 부분적으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동 평면도이다.
[도 11] 동 콘과 회전 날개와 저판의 정면도이다.
[0017]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테이블 피더 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테이블 피더 1은, 도1~도4에 나타나는 대로, 분체 처리 용기 2의 저부 3과, 저부 3에 형성되어 분체 처리 용기 2 내에 수용된 분체 P(도 4 참조)가 배출되는 배출부 4와, 저부 3에 위치한 저판 5와, 저판 5의 중심에서 회전하도록 저판 5의 주면 5 a에 대해서 수직으로 장착되는 회전축 6과, 저판 5 상에서 회전축 6에 의해서 회전해, 분체 처리 용기 2 내에 수용된 분체 P를 배출부 4로부터 배출시키는 회전 날개 7과, 회전 날개 7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8을 갖추고 있다. 저부 3을 저판 5와, 저판 5를 둘러싸듯이 접속하는 측판 9로 구성되어 있다.
[0018]
또, 회전 날개 7의 상부 공간에 회전 날개 7의 중심부를 가리도록, 회전 날개 7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콘 10을 같은 축 상에 설치해, 회전 날개 7과 콘 10이 같은 축에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설정해 둔다. 여기의 콘 1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덧붙여 도4~도6에서 보여지는 대로, 특히 유동성의 나쁜 분체 P의 경우에는, 콘 10에 복수의 관통 구멍 11과, 각각에 긁어내는 부분 12를 설치해, 콘 10의 표면에 굳어진 상태로 퇴적된 분체 P를 긁어내는 부분 12가 긁어내어, 관통 구멍 11을 경유해, 콘 10의 아래쪽 면 13(도 2 참조)에 떨어뜨리는 구성을 갖추어도 괜찮다. 이하, 각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0019]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판 5, 회전축 6 및 회전 날개 7이 수평에 대해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또, 저부 3을 그 횡단면적이 하부로 향하면서 서서히 감소하도록 설정하고, 저부 3의 최심부에 배출부 4를 형성하고 있다.
[0020]
분체 처리 용기 2는 원통부 20과 이 원통부 20의 상단에 접속하는 원추형의 천판 21을 갖추고 있다. 분체 처리 용기 2의 하단과 저부 3의 상단이 플랜지 22로 접속되어 있다.
[0021]
1개의 배출부 4가 저판 5와 측판 9의 경계부에 있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14와, 측판 9에 걸쳐 통로가 형성된 배출 통로 40을 가리는 통체 41을 갖추고 있다. 이 통체 41은 저부 3으로부터 팽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저판 5와 회전 날개 7의 앞쪽 끝부분이 배출부 4의 내부 공간 내에 돌출되어 있다. 이 통체 41로 회전 날개 7에 의해서 분체 P가 유입된다. 통체 41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로터리 밸브 등을 고정해도 괜찮다.
[0022]
저판 5는 측판 9와 함께 저부 3을 구성하지만, 저판 5가 측판 9와 대면하도록 경사져 있다. 저판 5는 콘 형상이며, 평면으로 봤을 때에는 경사져 있으므로 타원형이 된다. 저판 5의 외주 부위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회전 날개 7의 회전 궤적 앞쪽 끝부분이 합치하는 외형을 갖추기 위해서이다. 그것보다 면적이 넓다면, 회전 날개 7이 닿지 않고, 배출 효율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저판 5는 스틸, 즉,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 일체 성형 되어, 중앙에는 구동장치 8의 설치를 위해 중심에 원형 모양의 통로 50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0023]
배출부 4쪽을 향하고, 저판 5와 측판 9은 경사져 있으며, 저판 5의 직경 R1을 용기 2의 상부의 직경 R2이하로 설정해 둔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예로 저판 5의 경사 각도θ1=20˚, 측판의 경사 각도θ2=53˚를 들 수 있지만, 수치는 한정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는 θ12가 되도록 설정해 둔다. 원통부 20으로 분체 P의 매스 플로우가 일어나, 브릿지 등이 망가지지 않을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14의 각도θ3=70˚, 측판 9의 경사 각도θ4=69˚가 예시되어 있지만, 수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0024]
회전축 6이 통로 50에 삽입 통과되어 베어링 15에 회전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축 6의 상단에는 캡 6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캡 63에는 노브 64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 64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의 조각이거나 링이여도 괜찮다. 노브 6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나사를 끼우거나 해제해, 콘 10이 회전축 6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회전축 6의 상부에는 콘 10이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회전 날개 7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 6과 콘 10의 일체 회전이 가능하다. 두 개의 회전 날개 7이 서로 소정의 각도(여기에서는 180˚ )를 이루며 반경 방향으로 뻗어있다.
[0025]
측판 9는 하부로 향하면서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대략적으로 역원추형태의 통을 그 원추형의 저면과 경사진 면에 의해 비스듬하게 직선으로 절단 된 형상이다. 이 측판 9에 통로 90이 형성되어 있다. 콘 형상의 저판 5를 기울인 상태로 두어, 저판 5가 측판 9에 접속하고 있다. 측판 9의 절단 단면에 배출부 4가 접속되어 있다.
[0026]
회전 날개 7은 도1에 나타나듯이, 저판 5의 경사 각도에 대응해 기단측으로부터 앞쪽 끝부분에 걸쳐 서서히 낮아지도록 기울여, 각각의 아래쪽 면과 저판 5 표면과의 틈은 많지 않다.
[0027]
구동장치 8이 회전축 6과 연결되어 있어, 회전축 6을 회전시키면 날개 7과 콘 10이 일체 회전된다.
[0028]
측판 9는 저판 5를 둘러싸듯이 위치하여 저판 5로부터 윗쪽으로 뻗어, 상단이 원통부 20과 접속하는 판재이다.
[0029]
콘 10은 원추판 101과, 원추판 101의 이면에 고정된 역원추판 102로 구성되어 있다. 역원추판 102를 설치한 것은 청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역원추판 102의 내부에 회전축 6의 상부가 삽입된다. 콘 10의 직경 R2와 저판 5의 직경 R1과의 비율은, 40~90%, 특히, 50~80%가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너무 커지면 배출 효율이 떨어지고 또, 비율이 너무 작으면 분체압이 너무 높아진다. 또, 콘 10의 외주 부위에서 저판 5의 저면과 콘 10과의 거리 L, 저판 5의 직경 R1과의 비율은 5~25%가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너무 크면 분체 P의 안식각에 의한 경계층 B(도 4 참조)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또, 너무 작으면 분체 P가 빈틈 S로 빠져나갈 장소가 적어진다. 콘 10은 저부 3의 치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해 둔다. 또한 콘 10의 경사 각도 θ5=20~60˚의 범위가 예시된다. 상기의 범위는 예시이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0]
그 외, 테이블 피더 1은 상류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분체 P를 분체 처리 용기 2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해 용기 2의 꼭대기 부분에 배치되는 공급부 16과, 공급부 16의 근방에 배치되어 기체와 분체 P를 분리하는 필터부 17과, 분체 처리 용기 2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부 16, 필터부 17, 지지다리 18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삭제, 변경, 추가 할 수 있다.
[0031]
콘 10의 변경 형태에 대해 다음의 도5~도8을 참조해 설명한다. 관통 구멍 11 및 긁어내는 부분 12는 도6 및 도7에 나타나는 대로, 점선으로 나타낸 인보류트 곡선 I를 따라서, 여러 개의 소정의 간격 또는 적당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 인보류트 곡선 I는 가상선이며, 복수의 선이 콘 10의 중심부에 있는 캡 63에서 주변부로 향하며,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관통 구멍 11 및 긁어내는 부분 12의 형성 방향은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자면,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가상의 설정 위치로부터 인보류트 곡선 I와 교차하듯 물려져 있을 수 있다.
[0032]
도8에 나타나는 대로, 긁어내는 부분 12는 각 형판에 한정되지 않고, 고체화 된 분체 P를 절삭 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예를 들어, 도8(a)에 나타난 긁어내는 부분 12′은 윗쪽에서 규율하는 각형의 판재이며, 사판 12a′와 한 벌의 측판 12b′로 구성되어, 관통 구멍 11′의 윗쪽 공간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에는 통로 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8(b)에 나타난 긁어내는 부분 12′′는 관통 구멍 11′′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0033]
상술한 변경 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콘 10이 회전하면 긁어내는 부분 12, 12′, 12′′가 분체 P를 절삭해, 절삭 한 만큼의 분체 P의 상층이 중력 붕괴에 의해 떨어져, 차례차례 절삭되어 간다. 이와 같이 절삭된 분체 P는 관통 구멍 11, 11′, 11′′을 통과해 아래쪽 면 13으로 낙하해, 회전 날개 7에 의해 배출부 4로 긁어 내어진다.
[0034]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테이블 피더 1에 관한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콘 10이 회전 날개 7을 윗쪽에서 가리도록 설치함으로 해서 틈새 S를 형성하여, 저판 5와 회전 날개 7에 가해지는 분체압을 감소시키고, 또한 분체P의 안식각의 성질에 의해 분체 P와 틈새 S의 경계면 B(도4 참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 날개 7에서 틈새 S로 분체 P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회전 날개 7에 부하를 감소시켜, 회전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저판 5에서의 분체압의 억제로 저판 5를 얇게 할 수 있어, 회전 날개 7의 구동장치의 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원통부 20에 있어서 매스 플로우가 실현되어 배출 효율이 한층 더 높아진다.
[0035]
콘 10에 관통 구멍 11 및 긁어내는 부분 12를 설치했으므로, 유동성이 나쁜 분체 P, 예를 들면, 그라뉴당과 같은 결정물, 혹은, 유분을 포함한 후스마 등의 고체화 현상이 생겼다고 해도, 분체 P를 절삭해 고체화 한 분체층을 무너뜨려 회전 날개 7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어, 배출부 4에서의 분체 P의 배출이 원활히 행해진다.
[0036]
저판 5를 경사지게 함으로 인해, 저판 5 상에서는 회전 날개 7에 의한 선회 흐름과 중력 흐름에 의해, 분체 P에서 배출부 4로 향하는 흐름을 일으키게 하는 한편, 측판 9의 안쪽 영역은 중력 흐름에 의해, 분체 P에서 배출부 4로 향하는 흐름을 일으키게 한다. 이와 같이, 회전 날개 7의 선회력과 분체 P의 중력에 의한 붕괴 작용이 함께해, 저판 5에 가해지는 압력을 경감하여 저판 5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 8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분체 P의 고체화 현상 등이 방지되어 배출부 4에 분체 P가 모이기 쉬워져, 배출 효율이 높아진다.
[0037]
테이블 피더 1으로부터 이 잔류물을 청소하기 위해서 세정수로 세정하는 경우, 저판 5의 한 장소에서 형성된 배출부 4에 세정수가 원활히 흘러 유지도 용이하게 된다. 회전 날개 7의 아래쪽 면과 저판 5의 틈 부분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틈에 다량의 분체 P가 잔류해, 배출되지 않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부 3에 분체 P가 잔류하는 일 없이 제거할 수 있으므로, 콘터미네이션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HACCP, GMP에 따라, 위생적인 설비, 청소하기 쉬운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0038]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테이블 피더 201에 대해 도9~도11를 참조해 설명한다. 이 테이블 피더 20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테이블 피더 1과 대체로 공통되므로, 부품 번호를 200 번대로 설명을 원용해, 주로 차이점을 설명한다. 저판 205와, 이 저판 205 상에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 날개 207을 갖추고 있다. 저판 205는 콘 형상이며,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저판 205는 상기 통로 250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서서히 낮아지게 경사져 있다. 저판 205는 분체 P가 올려진 부위이며, 경사 각도는 모두 같은 각도로 되어 있다. 저판 205의 외주에는 절곡 원호 모양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브 264는 링이다.
[0039]
측판 209는 원추형이며, 하단부가 잘려 저판 205와 수평으로 접속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소형의 배출부 204가 회전 날개 207 앞부분의 궤적 근방의 여러 장소(도9에서는 2개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0040]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테이블 피더 201에 의하면, 분체 P의 하중이 더해지는 저판 205가, 중앙에서부터 외주 측에 걸쳐 서서히 내려오듯이 경사져 있고, 저판 205에 작용하는 분체 P의 하중은 저판 205의 경사 각도에 따라 2차 모멘트가 커져, 이 결과, 저판 205의 두께를 종래의 테이블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어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저판 55 상에서 회전 구동하는 2개의 회전 날개 207도 저판 205와 같이 경사져 있고, 분체 P의 하중을 고려해, 회전 날개 207의 아래쪽 면과 저판 205와의 틈을 크게 할 필요는 없어 지극히 좁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틈에 다량의 분체 P가 잔류해 배출되지 않는 사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제2 실시 형태 외의 상세한 구조는 특개2005-193997호 공보를 참조 할 수 있다.
[0041]
덧붙여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용을 바꾸거나 더할 수 있고, 그러한 내용의 변경, 균등물 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콘 10의 경사, 형상, 크기, 배치 등은 실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발명의 취지에 따라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테이블 피더 1에는 2개의 회전 날개 7이 구성요소로 되어 있지만, 회전 날개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판 5, 회전 날개 7의 치수, 형상, 위치도 도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판 5의 경사 각도θ1 =20˚ 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각도보다 급각도의 범위인 21~40˚, 예를 들면 25˚ 라도 좋고, 또, 이러한 각도보다 완각도의 범위인 5~19˚ 라도 좋다. 이 경우, 주로 세정수에 의한 세면 효율을 고려한 것이다.
1…테이블 피더 2…분체 처리 용기 3…저부 4…배출부
5…저판 6…회전축 7…회전 날개 8…구동장치 9…측판
10…콘 11…관통 구멍 12…긁어내는 부분 14…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15…베어링 16…공급부 17…필터부 18…지지다리
20…원통부 21…천판 40…배출 통로 41…통체
51…통로 63…캡

Claims (2)

  1. 분체 처리 용기와,
    해당 분체 처리 용기의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저부에 설치된 저판과,
    상기 저판의 중심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저판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회전축과,
    상기 저판 상에서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해, 상기 분체 처리 용기 내에 수용된 분체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키는 회전 날개와,
    상기 회전 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갖추고,
    상기 저부를, 상기 저판을, 상기저판을 둘러싸듯이 접속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날개의 상부 공간에, 상기 회전 날개의 중심부를 가리도록, 상기 회전 날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피더.
  2. 상기 콘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긁어내는 수단을 마련해 상기 콘의 표면에 퇴적한 분체를 상기 긁어내는 수단이 긁어내어 상기 관통 구멍에서 상기 콘의 아래쪽 면으로 떨어뜨리는 청구항 1 기재의 테이블 피더.
KR1020107008141A 2008-07-01 2009-06-27 테이블 피더 KR101214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2430 2008-07-01
JPJP-P-2008-172430 2008-07-01
PCT/JP2009/002974 WO2010001571A1 (ja) 2008-07-01 2009-06-27 テーブルフィ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62A true KR20100054862A (ko) 2010-05-25
KR101214540B1 KR101214540B1 (ko) 2013-01-09

Family

ID=4146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141A KR101214540B1 (ko) 2008-07-01 2009-06-27 테이블 피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31280A1 (ko)
JP (1) JP5385271B2 (ko)
KR (1) KR101214540B1 (ko)
CN (1) CN102083721B (ko)
WO (1) WO2010001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9365B2 (ja) * 2011-12-08 2016-08-02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供給装置
CN103303693A (zh) * 2012-03-06 2013-09-18 孙新华 餐厅自动分菜机
US9381550B2 (en) * 2013-05-06 2016-07-05 Spokane Industires Self-cleaning tank
KR101909333B1 (ko) * 2014-06-27 2018-10-1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멀티 피더
ES2884264T3 (es) * 2015-12-09 2021-12-10 Oerlikon Metco Us Inc Tolva de polvo para polvos difíciles de fluir para su uso en pulverización térmica y procedimiento para fabricación y uso de la misma
JP2017137135A (ja) * 2016-02-01 2017-08-10 株式会社ヒューブレイン パーツフィーダ
CN105752704B (zh) * 2016-03-09 2018-07-06 旌德县圣裕莹石加工有限公司 一种用于萤石矿料加工的圆盘给料机
CN110844629B (zh) * 2019-11-16 2021-01-12 安徽翰联色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纱原料输送装置
CN110999614A (zh) * 2019-12-31 2020-04-14 东北农业大学 一种内旋式电动排肥器
CN113479595A (zh) * 2021-07-05 2021-10-08 安徽豪家管业有限公司 一种间歇式的双壁波纹管供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9808A (en) * 1959-08-22 1962-06-27 Hull Fish Meal & Oil Co Ltd Improvements in storage of materials
US4020980A (en) * 1976-03-03 1977-05-03 Flow Star Industries Inc. Volumetric feeder
US4254896A (en) * 1978-07-03 1981-03-10 King-Seeley Thermos Co. Ice dispensing machine having an agitator and a fixed deflector
US4203535A (en) * 1978-09-12 1980-05-20 William C. Burnett Method and apparatus for low-dust discharge of particulate material through a nozzle
JPS5612233A (en) * 1979-07-10 1981-02-06 Nobuo Serizawa Constant quantity feeder
DE3107966C2 (de) * 1981-03-03 1984-06-14 Lothar Dipl.-Ing. 5000 Köln Teske Vorrichtung zum Entleeren eines aufrecht angeordneten Schüttgut-Rundsilos
JPS58122057A (ja) * 1982-01-16 1983-07-20 山本機械株式会社 ブリツジ破壊機構を備えた粉体均質排出方法および装置
JPH039172U (ko) * 1989-06-08 1991-01-29
JPH0747381Y2 (ja) * 1992-12-28 1995-11-01 修 吉川 粉粒体フィーダ
US5622467A (en) * 1994-07-05 1997-04-22 Portasilo Limited Discharge means for a silo
JP3009172U (ja) * 1994-09-17 1995-03-28 石山 文鎔 給粉機
US5891246A (en) * 1997-08-15 1999-04-06 Gustafson, Inc. Seed coating apparatus
US5960990A (en) * 1997-09-06 1999-10-05 Radosevich; Paul T. Product discharge activator and method of use
JP4039885B2 (ja) * 2002-05-17 2008-01-30 株式会社ヨシカワ 粉粒体供給機
CN2590988Y (zh) * 2002-12-13 2003-12-10 江苏正昌粮机股份有限公司 物料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1280A1 (en) 2011-02-10
CN102083721A (zh) 2011-06-01
KR101214540B1 (ko) 2013-01-09
JPWO2010001571A1 (ja) 2011-12-15
WO2010001571A1 (ja) 2010-01-07
JP5385271B2 (ja) 2014-01-08
CN102083721B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40B1 (ko) 테이블 피더
KR20130064690A (ko) 분립체 공급 장치
JP6066199B2 (ja) 撹拌機
JP2009255000A (ja) 短繊維供給装置
WO2016001977A1 (ja) 粉粒状洗剤自動供給装置
KR200472745Y1 (ko) 오거피더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장치
CN107243392A (zh) 中药切粉灌装一体机
JP2011245415A (ja) 撹拌翼及び撹拌造粒装置
JP2007044152A (ja) 粉末原料供給装置
CN108582553A (zh) 一种便于对原料筛选的塑料改性用混合装置
CN212653673U (zh) 一种塑料加工用拌料机
CN207446021U (zh) 一种锥形螺旋混合机
CN217698716U (zh) 一种胶囊原液制备设备
US7020984B2 (en) Device for feeding a drying gas to a mixing granulator
CN211026581U (zh) 一种混凝土粉料卸料装置
KR101224966B1 (ko) 다량의 세립분 함유 토사 혼합을 위한 원통형 분쇄기 탑재형 교반장치
JP5584528B2 (ja) 粉粒体定量排出機
JP2017213516A (ja) 晶析分級装置
CN215209187U (zh) 一种改性铵油炸药生产用下料设备
JP2010052883A (ja) 貯留タンクの粉粒体排出装置
JP2020093913A (ja) 繊維状脱水助剤の供給装置
JP5302521B2 (ja) 粉粒体供給装置
CN215438301U (zh) 圆盘给料机
CN112588393B (zh) 一种陶瓷纤维破碎机构
CN219325369U (zh) 一种生料流速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