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168A -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 Google Patents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168A
KR20100053168A KR1020080112168A KR20080112168A KR20100053168A KR 20100053168 A KR20100053168 A KR 20100053168A KR 1020080112168 A KR1020080112168 A KR 1020080112168A KR 20080112168 A KR20080112168 A KR 20080112168A KR 20100053168 A KR20100053168 A KR 20100053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functional
dried
biological process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095B1 (ko
Inventor
서상춘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서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춘 filed Critical 서상춘
Priority to KR102008011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0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2) 생물공정을 거친 강장제 및 보약비방 등의 한약재를 추출하는 단계; (3) 말린 대추를 깨끗이 세척한 후 대추씨를 제거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는 단계; (4) 건조된 말린 대추에 생물공정을 거친 후 추출된 한약재 처방 추출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5) 상기 (4)단계의 과정을 무균 맥반석 발효 숙성실에서 온도 36∼37℃, 습도 80% 내외로 5∼7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6) 충분히 숙성된 대추를 수분율 25∼35%로 건조하고, 숙성 안정화를 거쳐 표면에 꿀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말린 대추의 가공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함으로써 대추농가의 생산성 제고와 고부가성을 가져다주며, 식품 · 건강식품 · 드링크 등으로 음용할 시 인체에 흡수와 배설이 순조롭고 그 효능의 전달이 신속한 효과가 있다.
대추, 말린, 건조, 식품, 한약, 생물공정

Description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jujube using bioprocess and functional jujube}
본 발명은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강장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진 말린 대추의 탁월한 효과를 바탕으로 현대 한의학적인 방법을 접목시켜 현대식품가공에 응용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국의 고서인 옥방비결이나 소녀경, 녹험방, 습유기, 우리나라 동의보감, 방약합편, 의방유취 등에 기록되어 있는 바에 의하면, 대추는 혈액순환 · 기력회복 · 강장보호 · 아토피 · 신경안정 ·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고, 특히 소녀경에 보면 남성용 방중비약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습유기에도 그와 유사한 내용으로 소개되어 있다. 또 고서에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말린 대추는 음과 양의 모든 기운과 영양분을 빨아들여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가, 음용한 후에 인체 소화기관을 거쳐 약성이나 영양분이 흡수되는 기작이 알려진다.
이와 같이 말린 대추는 한약재명으로는 대조로 불리며 예로부터 여러 한약재 처방의 첨가약제로 상용되었고, 또 민간요법에는 부부화합의 묘약으로 1회에 약 100g씩 1일 1회 다려 마시라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활용법에 대하여 아직까지 국내외에 특허로 등록된 부분이 없으며, 특히 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가공된 기능성 식품으로 판매되는 상품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443764호는 『본 발명은 대추를 포함한 한약재로부터 천연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부 한약재는 발효과정을 거친 뒤 물로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고, 다른 일부 한약재는 알코올로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은 후, 두 엑기스를 서로 배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발효시킨 한약재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과정에서 대추 성분을 활용하는 점이 일부 유사하나, 추출액에 대추를 함침 시켜 한약재의 약성이 대추에 흡수되도록 하는 공정이 결여되어 대추의 기능성에서 미흡함이 추정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464591호는 『인삼, 대추, 감초를 함유시킨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삼 · 대추 · 감초를 끓인 물에 도정된 찐 쌀을 혼합시킨 다음 숙성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약재 추출물에 특정 작물을 침수시켜 약재의 유효성분을 특정 작물에 함유시킨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한약재를 생물공정으로 처리한 후 추출하고 이를 대추에 흡수시키는 공정이 결여된다. 또한, 약재의 유효성분을 대추가 아닌 쌀에 함유시키는 점에서 대추 성분에 의한 기능성의 한계가 추정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5-10463호는 『천연 생약재로 구성된 식품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기자, 연자육 및 대추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개시한다. 천연 생 약재 및 대추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을 시도한 점에서 참신한 면이 있으나, 대추를 포함한 천연 생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에서 대추의 효능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360688호는 『디핑(dippning) 처리 또는 삼투처리 방법을 이용한 대추의 건조 전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 대추에 관한 것으로, 대추를 NaOH, K2CO3, 에틸올레산염, 글리세롤 용액으로 디핑 처리 하거나 NaCl, 비타민, 당용액으로 삼투처리 한 뒤 건조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대추를 건조 전처리 하는 점에서 고서의 방법에 유사하지만, 건조 대추의 물리 화학적 변화를 막기 위해 특정 용액에 함침 시키는 점에서 효능상의 약화가 예상된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0443764호 “건강식품 제조방법”
[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0464591호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문헌3]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10463호 “구기자, 연자육 및 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문헌4] 한국 등록특허 제0360688호 “건조 대추 제조를 위한 전처리 방법”
본 발명은 말린 대추 원형을 그대로 자연식품으로 만들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거부감 없는 대추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한편, 말린 대추의 가공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함으로써 대추농가의 생산성 제고와 고부가성을 가져다주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 건강식품, 드링크 등으로 음용할 시 인체에 흡수와 배설이 순조롭고, 그 효능의 전달이 신속한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생물공정을 통한 산물로 기능성의 말린 대추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2) 생물공정을 거친 강장제 및 보약비방 등의 한약재를 추출하는 단계; (3) 말린 대추를 깨끗이 세척한 후 대추씨를 제거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는 단계; (4) 건조된 말린 대추에 생물공정을 거친 후 추출된 한약재 처방 추출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5) 상기 (4)단계의 과정을 무균 맥반석 발효 숙성실에서 온도 36∼37℃, 습도 80% 내외로 5∼7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6) 충분히 숙성된 대추를 수분율 25∼35%로 건조하고, 숙성 안정화를 거쳐 표면에 꿀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의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란 전통 한방의 공진단 처방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녹용(160g) · 당귀(160g) · 산수유(160g) · 사향(2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녹용 · 당귀 · 산수유 · 사향의 중량 배합비율은 공진단 1환의 제조중량을 5.2g으로 잡았을 때 약 90~93환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녹용 160g · 당귀 160g · 산수유 160g · 사향 20g을 합하면 총 500g이지만 환 제조 시에는 약 8~10% 내외의 재료 손실이 있어 환 제조개수는 적어짐), 동 배합비율은 말린 대추의 량에 비례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기 공진단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의 함량 오차범위는 대략 2% 내외이다.
제2실시예의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란 전통 한방의 경옥고 처방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생지황(950g) · 인삼(90g) · 흰 송풍령(180g) · 졸인 꿀(60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생지황 · 인삼 · 흰 송풍령 · 졸인 꿀의 중량 배합비율은 경옥고 1환의 제조중량을 2.2g으로 잡았을 때 약 150~160환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 동 배합비율은 말린 대추의 량에 비례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경옥고의 환(丸) 수치에 관하여 보충 설명하면, 상기 경옥고를 제조하기 위해 준비한 생지황 950g · 인삼90g · 흰 송풍령 180g · 졸인 꿀 600g의 무게를 모두 합하면 총 1,720g이 되지만 이것을 경옥고 농축액으로 제조했을 때의 무게는 약 370g 내외가 되고, 경옥고 농축액을 다시 고형분(固形粉)으로 만들 경우의 손실율이 약 8~10%가 되므로 고형분의 최종 무게는 대략 330g 내외가 되며, 이것을 경옥고 1환(2.2g)으로 환산할 경우에 최종 생성되는 경옥고의 개수는 대략 150~160환 정도가 된다.
덧붙여 상기 경옥고를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의 함량 오차범위는 대략 2% 내외이다.
제3실시예의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란 전통 한방의 사물탕 처방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숙지황(50g) · 백작약(50g) · 천궁(50g) · 당귀(50g)를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숙지황 · 백작약 · 천궁 · 당귀의 중량 배합비율은 사물탕 1환의 제조중량을 4.2g으로 잡았을 때 약 45환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숙지황 50g · 백작약 50g · 천궁 50g · 당귀 50g을 합하면 총 무게가 200g이지만 환 제조 시에는 약 8~10% 내외의 재료 손실이 있어 환 제조개수는 적어짐), 동 배합비율은 말린 대추의 량에 비례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붙여 상기 사물탕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의 함량 오차범위는 대략 2% 내외이다.
4실시예의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란 전통 한방의 오자환 처방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기자(320g) · 토사자(320g) · 오미자(40g) · 복분자(160g), 차전자(8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기자 · 토사자 · 오미자 · 복분자, 차전자의 중량 배합비율은 오자환 1환의 제조중량을 4.2g으로 잡았을 때 약 200환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구기자 320g · 토사자 320g · 오미자 40g · 복분자 160g, 차전자 80g 을 합하면 총 920g이지만 환 제조 시에는 약 8~10% 내외의 재료 손실이 있어 환 제조개수는 적어짐), 동 배합비율은 말린 대추의 량에 비례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붙여 상기 오자환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의 함량 오차범위는 대략 2% 내외이다.
5실시예의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란 전통 한방의 불로환 처방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인삼(120g), 우슬(60g), 파극천(120g), 두충(60g), 당귀(120g), 백자인(40g), 토사자(120g), 석창포(40g), 숙지황(80g), 구기자(40g), 생건지황(80g), 지골피(4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인삼, 우슬, 파극천, 두충, 당귀, 백자인, 토사자, 석창포, 숙지황, 구기자, 생건지황, 지골피의 중량 배합비율은 불로환 1환의 제조중량을 4.2g으로 잡았을 때 약 200환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인삼 120g, 우슬 60g, 파극천 120g, 두충 60g, 당귀 120g, 백자인40g, 토사자 120g, 석창포 40g, 숙지황 80g, 구기자 40g, 생건지황 80g, 지골피 40g을 합하면 총 920g이지만 환 제조 시에는 약 8~10% 내외의 재료 손실이 있어 환 제조개수는 적어짐), 동 배합비율은 말린 대추의 량에 비례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기 불로환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의 함량 오차범위는 대략 2% 내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5)는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추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말린 대추 원형을 그대로 자연식품으로 만들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거부감 없는 대추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말린 대추의 기능적 가공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함으로써 대추농가의 생산성 제고와 고부가성을 가져다주며, 식품 · 건강식품 · 드링크 등으로 음용할 시 인체에 흡수와 배설이 순조롭고 그 효능의 전달이 신속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서에 비방으로 전해오는 처방을 바탕으로 처방전 원방에 기록되어있는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처리하되, 말린 대추에 이러한 한약재의 흡수가 잘될 수 있도록 약성이나 영양소의 분자 클러스터(cluster) 단위를 미세하게 만들어 완숙발효 및 숙성단계를 거친 뒤, 그 추출물에 말린 대추를 충분히 잠기게 함침하여 추출물에 용해되어 있는 약성이 고형분만 남기고 완전하게 흡수시켜 대추만 음용하더라도 강장 · 보약 · 혈액순환 · 노화억제 · 신경안정 등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1) 고서에 기록 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2) 생물공정을 거친 강장제 및 보약비방 등의 한약재를 추출하는 단계; (3) 말린 대추를 깨끗이 세척한 후 대추씨를 제거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는 단계; (4) 건조된 말린 대추에 생물공정을 거친 후 추출된 한약재 처방 추출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5) 상기 (4)단계의 과정을 무균 맥반석 발효 숙성실에서 온도 36∼37℃, 습도 80% 내외로 5∼7일간 숙성하는 단계; 및 (6) 충분히 숙성된 대추를 수분율 25∼35%로 건조하고, 숙성 안정화를 거쳐 표면에 꿀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5)는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포함한다.
[실시예 1]
고서에 기록된 공진단의 원방 처방전대로 녹용(160g), 당귀(160g), 산수유(160g), 사향(20g)을 준비하고 동 한약재를 잘게 분쇄한 뒤,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거쳐 저온 추출한 다음, 말린 대추를 상기 공진단 한약재의 추출액에 함침 시켜 약성과 성분이 말린 대추 속으로 충분히 흡수되면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약 50∼60%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 뒤, 꿀이나 초콜릿, 기타 기호식품을 코팅하여 말린 대추를 제품화한다.
그리고 상기한 녹용은 사슴의 골화되지 않은 어린 뿔로 맛은 달고, 짜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고 간경 및 신경에 작용하며, 신양과 혈을 보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실험에서는 강장작용 · 중추신경 흥분작용 · 피로회복 촉진작용 · 강심작용 · 조혈기능강화작용 ·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작용 · 이뇨작용 · 혈액 응고성을 높이는 작용 · 기능 강화작용 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
산수유는 맛이 시고 성질이 약간 따뜻하며 간경 및 신경에 작용하여 간신을 보하고 유정을 낫게 하며 땀을 멈춘다. 약리실험에 의하면, 이뇨작용 · 혈압강하 작용 ·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작용 · 항암작용 · 억균작용 · 유정 · 빈뇨 · 음위증 · 어지러움 · 이명 · 이롱 · 자한 · 월경과다 등에 효능이 있다.
당귀는 심경 · 간경 · 비경에 작용하며, 혈을 생겨나게 하면서 잘 돌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통증을 멈추게 하며, 대변을 통하게 하고 출혈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는 진정작용 진통작용 · 강압작용 · 억균작용 · 약한 이뇨작용 · 이담작용 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
사향은 동의학 사전에서 중추신경 · 흥분작용 · 강심작용 · 소염작용 · 기관지 확장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실시예 2]
고서에 기록된 경옥고의 원방 처방전대로 생지황(950g), 인삼(90g), 흰 송풍령(180g), 졸인 꿀(600g)을 준비하고 동 한약재를 잘게 분쇄 내지 파쇄한 뒤,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거쳐 저온 추출한 다음, 말린 대추를 상기 경옥고 한약재의 추출액에 함침 시켜 약성과 성분이 말린 대추 속으로 충분히 흡수되면 건조기에서 수 분율이 약 25∼3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 뒤, 꿀이나 초콜릿, 기타 기호식품을 코팅하여 말린 대추를 제품화한다.
그리고 주성분인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홍삼, 인삼, 수삼, 백삼, 당삼으로 나누며 산삼은 여러 지방에 깊은 산속에서 자생한다. 인삼은 성질이 따뜻하고 비경과 폐경에 작용하며, 비기와 폐기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갈증을 멈추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또 기억력을 좋게 하고 오래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오래 살게 한다고 전해오고 있다.
생지황은 혈액응고 촉진작용 · 강심작용 · 이뇨작용 · 혈당량 감소작용 · 혈압상승작용 등에 효과가 있고, 흰 송풍령은 이뇨작용 · 혈당량 감소작용 · 진정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시예 3]
고서에 기록된 사물탕의 원방 처방전대로 숙지황(5g), 백작약(5g), 천궁(5g), 당귀(5g)를 준비하고 동 한약재를 잘게 분쇄한 뒤,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거쳐 저온 추출한 다음, 말린 대추를 상기 사물탕 한약재의 추출액에 함침 시켜 약성과 성분이 말린 대추 속으로 충분히 흡수되면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약 50∼60%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 뒤, 꿀이나 초콜릿, 기타 기호식품을 코팅하여 말린 대추를 제품화한다.
그리고 상기한 당귀는 진정작용 · 진통작용 · 강압작용 · 억균작용 · 약 한 이뇨작용 · 이담작용 등이 있고, 숙지황은 혈허증 · 월경부조 · 신음허로 인한 골절 등에 사용되며, 백작약은 진정작용 · 진통작용 · 진경작용 · 해열작용 등이 있고, 천궁은 진정작용 · 강압작용 · 자궁수축작용 · 억균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4]
고서에 기록된 오자환의 원방 처방전대로 구기자(320g), 토사자(320g), 오미자(40g), 복분자(160g), 차전자(80g)를 준비하고 동 한약재를 잘게 분쇄한 뒤,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거쳐 저온 추출한 다음, 말린 대추를 상기 사물탕 한약재의 추출액에 함침 시켜 약성과 성분이 말린 대추 속으로 충분히 흡수되면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약 50∼60%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 뒤, 꿀이나 초콜릿, 기타 기호식품을 코팅하여 말린 대추를 제품화한다.
그리고 상기한 토사자는 음위증 · 요슬산통 · 배뇨장애 · 설사 등에 사용하며, 구기자는 명안작용 · 간 보호작용 ·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감소작용에 사용되고, 차전자는 이뇨작용 · 거담작용 · 진해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실시예 5]
불로환-인삼(120g), 우슬(60g), 파극천(120g), 두충(60g), 당귀(120g), 백자인(40g), 토사자(120g), 석창포(40g), 숙지황(80g), 구기자(40g), 생건지황(80g), 지골피(40g) 등을 분쇄하여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효모, 효소, 진균, 방선균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거쳐 저온 추출한 다음, 말린 대추를 추출액에 함침하여 약성과 성분이 충분히 흡수되면 건조기에서 수분율이 약 50∼60% 정도로 건조한 뒤 꿀이나 초콜릿, 기타 기호식품을 코팅하여 제품화 한다.
그리고 상기한 우슬은 항 알레르기 작용 · 자궁수축작용 · 이뇨작용 등이 있고, 두충은 강압작용 · 진정작용 · 소염작용 등에 사용되며, 석창포는 소화 장애 · 건위작용 · 진통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 · 가공된 말린 대추를 다시 잘게 분쇄하여 분말 · 과립 · 환 · 슬라이스 형태 등의 원료로 재가공한 뒤 건강식품 · 드링크 · 일반식품 첨가물 등에 사용할 경우에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기능성 대추를 상용할 수 있는 작용 ·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생물공정을 통한 산물로 기능성의 말린 대추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고서에 기록된 처방전 원방의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2) 생물공정을 거친 강장제 및 보약비방 등의 한약재를 추출하는 단계;
    (3) 말린 대추를 깨끗이 세척한 후 대추씨를 제거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는 단계;
    (4) 건조된 말린 대추에 생물공정을 거친 후 추출된 한약재 처방 추출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5) 충분히 숙성된 대추를 수분율 25∼35%로 건조하고, 숙성 안정화를 거쳐 표면에 꿀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공진단의 한약재로 녹용(160g), 당귀(160g), 산수유(160g), 사향(2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경옥고의 한약재로 생지황(950g), 인삼(90g), 흰 송풍령(180g), 졸인 꿀(60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사물탕의 한약재로 숙지황(5g), 백작약(5g), 천궁(5g), 당귀(5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오자환의 한약재로 구기자(320g), 토사자(320g), 오미자(40g), 복분자(160g), 차전자(80g)을 주성분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로서 고서에 기록된 불로환의 한약재로 인삼(120g), 우슬(60g), 파극천(120g), 두충(60g), 당귀(120g), 백자인(40g), 토사자(120g), 석창포(40g), 숙지황(80g), 구기자(40g), 생건지황(80g), 지골피(40g)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5)는 발효실에서 온도 28∼32℃, 습도 80% 내외에서 미생물 균주인 유산균 · 효모 · 효소 · 진균 · 방선균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 조합해서 10-6∼10-5으로 투여하는 생물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상기 각각의 함량은 오차범위 ± 2% 내외임)
  8.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대추.
KR1020080112168A 2008-11-12 2008-11-12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KR10112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68A KR101126095B1 (ko) 2008-11-12 2008-11-12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68A KR101126095B1 (ko) 2008-11-12 2008-11-12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68A true KR20100053168A (ko) 2010-05-20
KR101126095B1 KR101126095B1 (ko) 2012-03-29

Family

ID=422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68A KR101126095B1 (ko) 2008-11-12 2008-11-12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94B1 (ko) * 2011-10-10 2014-06-03 박준홍 대추건과 및 그 제조방법
CN103948025A (zh) * 2014-04-22 2014-07-30 刘宇嘉 一种营养健康调味品添加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27B1 (ko) * 2018-11-22 2020-11-25 전태익 유산균 발효 대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812B2 (en) 2002-02-04 2004-11-30 The State Of Israel -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Process of treating dates
KR100647426B1 (ko) 2005-09-07 2006-11-23 전태익 슬라이스 대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94B1 (ko) * 2011-10-10 2014-06-03 박준홍 대추건과 및 그 제조방법
CN103948025A (zh) * 2014-04-22 2014-07-30 刘宇嘉 一种营养健康调味品添加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095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321B1 (ko) 선옥균과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496636A (zh) 造纸法薄片原料用功能性植物填料的制备和应用方法
CN105524822B (zh) 一种刺梨蜂蜜晒醋制备工艺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59063A (ko) 강아지 간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04694353A (zh) 女士用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CN105567501A (zh) 一种威灵仙风味荸荠果酒的酿制方法
KR101126095B1 (ko) 생물공정을 통한 기능성 대추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대추
CN107259182A (zh) 肉鸡饲料
CN106701410A (zh) 健胃益气保健酒及其生产方法
CN103494921B (zh) 一种中药材纸张及其制备方法
KR20070025584A (ko) 약재를 이용한 혼성주의 제조방법
KR102202065B1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2986983A (zh) 一种玫瑰荷叶茶的制作方法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CN106620624B (zh) 用于提高免疫力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5211652A (zh) 提高野猪母猪产乳量的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CN109198109A (zh) 一种无花果茶及其制备方法
KR20200025245A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116382A (ko) 고함량 쌀눈함유 고영양식 쌀눈국수 제조방법
CN110804518A (zh) 一种茉莉花香酒的制备方法
CN103484301A (zh) 板栗马铃薯果酒及其生产方法
CN107569630A (zh) 一种用于蛋鸡的中草药制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