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584A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584A
KR20100052584A KR1020080111372A KR20080111372A KR20100052584A KR 20100052584 A KR20100052584 A KR 20100052584A KR 1020080111372 A KR1020080111372 A KR 1020080111372A KR 20080111372 A KR20080111372 A KR 20080111372A KR 20100052584 A KR20100052584 A KR 2010005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fuel
container
combustion system
ignition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703B1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08011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for ignit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용기로 공급되는 펠릿연료를 신속하게 점화시켜 발화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용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설치하되, 가스가 공급되어 펠릿연료를 점화시키는 발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펠릿연료, 점화장치, 발화부, 용기, 구이기

Description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A igniting apparatus for a pellet fuel burning system}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용기로 공급되는 펠릿연료를 신속하게 점화시켜 발화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어류를 포함한 육류 등과 같은 음식재료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 연탄 또는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연소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사용한 연소시스템은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어 최근에는 화석연료 대신에 자연 친화적인 연료원을 사용한 연소시스템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펠릿연료 버닝장치(pellet fuel burning device)에 관한 "미국등록특허 US6,223,737호에서는 모터(78) 및 기어(79)에 의해 회전하는 오거장치(70)에 호퍼(68)를 통해 옥수수 낱알(100)이 투입되면, 오거장치(70)가 파이어 박스(30) 내에 장치된 펠릿버너장치(50)로 옥수수 낱알(10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박스(82)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펠릿버너장치(50) 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옥수수 낱알(100)을 발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펠릿연료 버너장치는 톱밥, 종이 및 목재조각 등을 파이어 박스(30)의 하부에 쌓은 뒤 거기에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등 수작업에 의해 옥수수 낱알(100)의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당해 초기발화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가 커짐에 따라 공급된 펠릿연료가 한곳에만 쌓이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열전달시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연전달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옥수수 낱알(100)의 발화에 의한 열기로 구운 육류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낙하하여 펠릿버너장치(50)에 떨어지면 연기가 심하게 발생하여 실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음은 물론, 육류로부터 흘러나온 기름은 연료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기름으로 인한 청소의 번거로움과 자원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에 공급되는 공기량 및 오거장치(70)를 통한 옥수수 낱알(100)의 공급량 조절에 대한 기능이 없어 음식재료에 따른 적정 온도 유지가 어려움은 물론, 야간 등 어두운 환경에서는 음식의 조리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2761호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등록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0752761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경우에는 연료를 버너의 외측용기 내에 구비된 내측 용기로 공급시킨 후 초기발화을 하기 위한 점화수단이 내측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어 내측 용기에 공급된 낱알갱이인 펠릿연료를 점화시 상단부에서부터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측 용기에 공급된 펠릿연료에 점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 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92324호"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가 제시 된바 있다.
그러나, 이는 용기로 공급된 펠릿연료에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점화시키는 점화기가 공기가 선회하는 공기선회공간, 즉 화덕의 내측에 하부가 이격되게 구비된 용기의 외측 공기선회공간에 용기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점화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되는 점화기의 발열선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여 옥수수 알갱이를 발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화기는 용기로 공급된 옥수수 알갱이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점화기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용기의 하부를 가열하여야 함으로써, 옥수수 알갱이에 점화시키기 위한 시간, 즉 용기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옥수수 앨갱이를 점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화기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옥수수 알갱이(펠릿연료)를 점화시는 방식은 용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장시간 점화기에 에너지를 공급하 여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와 고열에 의하여 점화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용기의 공간부를 격판을 이용하여 분리 형성한 후 상부에 펠릿연료가 수용되고, 하부의 공간에 가스가 공급되어 펠릿연료를 점화시키는 발화부가 수용되도록 하여 용기의 상부 공간부에 수용된 펠릿연료에 초기 점화시킴으로써, 단시간에 펠릿연료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용기의 외주면과 격판에 다수개의 통공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발화부의 작동에 의해 펠릿연료에 점화시 불꽃이 펠릿연료의 하부와 측면 및 상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펠릿연료의 점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를 커버하되 일측이 개방되게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펠릿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는 커버부재가 커버하지 않은 부분으로 배출되고, 불꽃은 커버부재의 안내에 따라 용기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용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설치하되, 가스가 공급되어 펠릿연료를 점화시키는 발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는 내측에 공기순환공간이 구비되고, 이 공기순환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외부용기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내부용기는 외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게 단턱이 형성되고, 내측에 격판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며, 하부공간 하단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격판은 중앙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격판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 관통공의 상부에는 일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화부는 내부용기의 하부 관통공에 끼워져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가스분사노즐과 스타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용기의 공간부를 격판을 이용하여 분리 형성한 후 상부에 펠릿연료가 수용되고, 하부의 공간에 가스가 공급되어 펠릿연료를 점화시키는 발화부가 수용되도록 하여 용기의 상부 공간부에 수용된 펠릿연료를 초기 점화시킴으로써, 단시간에 펠릿연료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 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부용기의 외주면과 격판에 다수개의 통공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발화부의 작동에 의해 펠릿연료에 점화시 불꽃이 펠릿연료의 하부와 측면 및 상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펠릿연료의 점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용기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를 커버하되 일측이 개방되게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펠릿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는 커버부재가 커버하지 않은 부분으로 배출되고, 불꽃은 커버부재의 안내에 따라 용기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260)는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치된 연소챔버(220)와, 상기 연소챔버(220) 내에 장치되며 옥수수 낱알과 같 은 펠릿연료(pellet fuel, 200)의 발화가 이루어지는 용기부(262)와, 상기 용기부(262)에 펠릿연료(20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펠릿공급부(240)와, 상기 용기부(262)에 공급된 펠릿연료(200)의 발화가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부(250)와, 상기 공기송풍부(25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펠릿연료(200)가 발화하기에 적합한 상태에서 불씨를 제공함에 따라 초기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점화장치(260)와, 연소챔버(220)의 상부에 장치되어 열을 전달받아 육류 등 음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구이부(280) 및 열 전달에 의한 조리시 육류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을 수집함은 물론 연료원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름수거통(290) 등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262)는 내측에 공기순환공간(264a)이 형성되며, 이 공기순환공간(264a)으로는 공기송풍부(250)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공(264b)이 측면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기순환공간(264a)과 연통되게 설치공(264c)이 형성된 외부용기(26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외부용기(264)의 내측 공기순환공간(264a)에 구비되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266a)이 형성되고, 외부용기(264)의 상단부에 안착되게 절곡 형성된 단턱(266b)이 형성되며, 외부용기의 공기순환공간(264a)의 하부면과 이격되는 장착되어 하부면에 삽입공(266c)이 형성된 내부용기(26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용기(266)의 하부에는 공간부(267)가 형성되되, 이 공간부(267)은 격판(268)에 의해 상단부가 개방되어 펠릿연료가 공급되는 상부공간(267a)과 삽입공(266c)에 의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하부공간(267b)으로 분리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268)은 중앙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관통공(268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268)에 형성된 관통공(268a)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268b)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커버부재(268b)는 격판(268)의 중앙부를 기준하여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 개방되게 하여 상부로 돌출형성 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262)의 내측, 즉 내부용기(266)의 하부공간(267b)에 수용되어 펠릿연료(200)를 점화시키는 발화부(2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발화부(270)는 내부용기(266)의 삽입공(266c)에 끼워져 하부공간(267b)에 위치되는 가스분사노즐(272)이 구비되고, 이 가스분사노즐(272)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불을 점화시키는 스타터(27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발화부(270)를 작동시켜 가스분사노즐(272)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버튼(미도시)과 상기 가스분사노즐(272)로 외부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호스(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 화장치는 먼저, 상기 펠릿공급부(240)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연료(200)는 내부용기(266)의 상부공간(267a)에 수용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점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스타터(274)에 의해 가스분사노즐(272)로부터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스분사노즐(272)로부터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되게 되면 이 불꽃은 내부용기(266)의 하부공간(267b) 외주면에 형성된 통공(266a)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되고 외측으로 배출된 불꽃은 다시 상부공간(267a) 외주면에 형성된 통공(266a)을 통하여 상부공간(267a) 내측으로 유입되게 되고, 또한 격판(268)에 형성된 관통공(268a)을 통하여 상부공간(267a)으로도 불꽃이 유입되게 되어 상부공간(267a)에 수용된 펠릿연료(200)가 연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화부(270)에서 발생된 불꽃이 내부용기(266)의 외주면 통공(266a)과 격판(268)의 관통공(268a)을 통하여 동시에 상부공간(267a)에 수용된 펠릿연료(200)로 공급되게 되어 단시간에 펠릿연료(200)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66)의 상부공간(267a)에서 점화되어 연소되는 펠릿연료(200)의 재에 의해 격판(268)의 관통공(268a)이 막히는 것을 커버부재(268b)가 방지하게 되어 원활하게 불꽃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발화부(270)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되는 펠릿연료(200)의 재는 격판(268)에 형성된 관통공(268a)의 상부를 격판(268)과 일체로 형성된 커버부재(268b)의 반대측 개방부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고, 불꽃은 격판(268)과 일체로 형성된 방향으로 커버부재(268b)의 안내에 따라 상부공간(267a)으로 공급되게 되어 펠릿연료(200)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재에 의해서는 불꽃의 유동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발화부(270)에 의해 펠릿연료(200)가 점화될 때 공기송풍부(250)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공급되게 되어 외부용기(264)의 공기공급공(264b))을 통하여 공기순환공간(264a)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기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펠릿연료(200)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펠릿연료(200)에 점화가 완료된 후에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펠릿연료(200)에 점화된 불꽃을 이용하여 펠릿공급부(240)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연료(200)가 발화되도록 하여 구이부(280)에 올려지는 육류를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난로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보일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도 7 및 도 7은 난로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310)과 보일러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410)의 내부에 점화장치(260)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는 육류 등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난방기 등 펠릿연료를 이용하는 난로나 보일러 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며, 이외에도 펠릿연료를 이용하는 모든 점화 장치에 적용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용기로 공급되는 펠릿연료를 신속하게 점화시켜 발화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난로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보일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펠릿연료 210 : 하우징
220 : 연소챔퍼 240 : 펠릿공급부
250 : 공기송풍부 260 : 점화장치
262 : 용기부 264 : 외부용기
264a : 공기순환공간 264b : 공기공급공
264c : 설치공 266 : 내부용기
266a : 통공 266b : 단턱
266c : 삽입공 267 : 공간부
267a : 상부공간 267b : 하부공간
268 : 격판 268a : 관통공
268b : 커버부재 270 : 발화부
272 : 가스공급노즐 274 : 스타터
310 : 난로 410 : 보일러

Claims (6)

  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펠릿연료가 수용되는 용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설치하되, 가스가 공급되어 펠릿연료를 점화시키는 발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내측에 공기순환공간이 구비되고, 이 공기순환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외부용기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외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게 단턱이 형성되고, 내측에 격판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며, 하부공간 하단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중앙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 관통공의 상부에는 일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내부용기의 하부 관통공에 끼워져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가스분사노즐과 스타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1020080111372A 2008-11-11 2008-11-1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10115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72A KR101153703B1 (ko) 2008-11-11 2008-11-1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72A KR101153703B1 (ko) 2008-11-11 2008-11-1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84A true KR20100052584A (ko) 2010-05-20
KR101153703B1 KR101153703B1 (ko) 2012-06-12

Family

ID=4227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372A KR101153703B1 (ko) 2008-11-11 2008-11-1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76B1 (ko) * 2009-10-23 2012-05-04 김재화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로스터
KR101274326B1 (ko) * 2011-04-04 2013-06-13 김문수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413669B1 (ko) * 2014-01-15 2014-08-06 최정민 펠릿버너
WO2016190693A1 (ko) * 2015-05-27 2016-12-01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KR20170123216A (ko) * 2016-04-28 2017-11-07 부흥세이프 주식회사 펠릿 연소용 로스터
CN107339688A (zh) * 2016-04-28 2017-11-10 富兴Safe株式会社 颗粒燃料燃烧用烘烤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307Y1 (en) * 1980-08-21 1982-06-24 J Lee Rice bran combustor
JP2003130355A (ja) * 2001-10-22 2003-05-08 Yojin Fuse 固形燃料燃焼器具
KR100752761B1 (ko) * 2006-12-19 2007-08-29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76B1 (ko) * 2009-10-23 2012-05-04 김재화 옥수수를 연료로 이용한 로스터
KR101274326B1 (ko) * 2011-04-04 2013-06-13 김문수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413669B1 (ko) * 2014-01-15 2014-08-06 최정민 펠릿버너
WO2016190693A1 (ko) * 2015-05-27 2016-12-01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KR20170123216A (ko) * 2016-04-28 2017-11-07 부흥세이프 주식회사 펠릿 연소용 로스터
CN107339688A (zh) * 2016-04-28 2017-11-10 富兴Safe株式会社 颗粒燃料燃烧用烘烤机
CN107339688B (zh) * 2016-04-28 2020-06-16 富兴Safe株式会社 颗粒燃料燃烧用烘烤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703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703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20100052585A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0462938B1 (ko)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US10893777B2 (en) Cooking grill ignition system
KR101891402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036899B1 (ko) 구이기
US10624495B2 (en) Ignition device using pellet fuel
KR200457245Y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US20170016621A1 (en) Wood burning fireplace assembly with automatic igniter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150000302U (ko) 로스터의 숯통
KR20110039805A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828464B1 (ko) 가스버너가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EP2144005B1 (en) Military cooker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1092687B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200457250Y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JP2020085294A (ja) 調理用加熱器具
CN212307608U (zh) 具有万用口罩盒的万用瓦斯炉结构
KR101823535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KR101821308B1 (ko) 옥수수 연료를 이용한 구이용 화덕장치
KR20100104512A (ko) 구이용 화덕장치
KR200454115Y1 (ko)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