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512A - 구이용 화덕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용 화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4512A KR20100104512A KR1020090022969A KR20090022969A KR20100104512A KR 20100104512 A KR20100104512 A KR 20100104512A KR 1020090022969 A KR1020090022969 A KR 1020090022969A KR 20090022969 A KR20090022969 A KR 20090022969A KR 20100104512 A KR20100104512 A KR 20100104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burner
- outer cylinder
- hole
- flame
- guide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화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거나 별도의 냄비등을 가열하기 위한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는 테이블등에 설치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의 저면의 중앙에 설치된 가스버너부와, 상기 가스버너부에 착화를 하기 위한 점화부와, 상기 가스버너부 및 점화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통부의 중앙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갖으며, 상기 가이드링의 상부 선단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그 외부측으로 이물질 안착단을 갖도록 형성된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중앙측 내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숯불통 안착부와, 상기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감지부는 상기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로장치, 숯불, 화염감지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화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 및/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거나 별도의 냄비등을 가열하기 위한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기는 대개 숯불통에 불이 피워진 숯을 담아 이 숯의 열기로써 고기를 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숯불고기구이기는 숯불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 가지로 구분 지워지는 바, 예컨대 숯불통에 담긴 숯을 외부에서 별도의 착화장치를 사용하여 착화시킨 다음 실내로 가져와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 외부착화식과, 이 외부착화식에서 발전한 것이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두고, 숯불통에 숯을 담은 다음 숯불통 아래에서 가스불을 피워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키도록 하는 직접 착화식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에 따른 직접 착화식 고기구이기에서,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 에서 직접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숯불통 아래에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 착화식 고기구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의 숯을 자체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난도의 제조 기술을 요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의 점화장치로서 대개 사용과 설비가 다른 점화기구에 비해 편리한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즉, 도면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통(3) 아래에 가스버너(4)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자체점화식 숯불구이기의 점화장치인 바, 이와 같이 가스버너와 그 연료로서 가스를 사용하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컨대, 도면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점화수단으로 가스와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자체점화식 숯불고기구이기는, 숯(7)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3) 아래에 가스버너(4)가 배치되고, 이 가스버너(4)에 근접하여 가스버너(4)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수단(9')이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KS 규격의 가스안전규정에 따라 가스버너(4)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가스버너(4)에서 화염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 가스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화염감지수단(9)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숯불통(3)의 숯이 가스버너(4)에서 전달되는 불꽃에 의해 빠른 속도로 착화되게 하기 위해 바람을 불어 주기 위한 송풍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4)의 화염이 다른 곳으로 빠지지 않고 숯불통(3)으로만 전달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 역시 상기 숯불통(3)으로만 전달되게 하여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숯불통(3)이 안착되는 지지대(2)와 숯불통(3)사이가 밀착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3)과 가스버너(4) 사이 및 가스버너(4)의 주변에, 가스버너(4)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가스버너(4)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해주기 위한 내부공간(5)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고기구이기에서는 상기 점화수단(9')으로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소위, 이그나이터라 불리는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단 가스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켜 가스가 분출되게 한 상태에서 점화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같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가스버너(4)에서는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되게 되는데, 이때 연소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부공간(5)속에 정체하여 고이게 되고, 이렇게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5)속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점화시키기 위해 상기의 전기점화장치를 사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면 가스가 일순간에 연속적으로 연소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다른 경우로서, 가스가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가스버너(4)의 화염이 꺼지고, 상기 화염감지봉(9)이 가스버너(4)가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때, 이 화염감지봉(9)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개 화염이 꺼진 후 약 20 ~30 초 후에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작동 시키게 되는데, 그 동안에는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버너(4)를 통하여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하게 된다. 즉, 가스버너(4)에서 불꽃이 발생 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한 화염감지봉(9)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기까지 가스버너(4)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누출된 가스는 상기의 내부공간(5)속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이 숯불통(3)과 송풍기등에 의해 외부와 대체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공간(5)속으로 퍼져 나간 가스가 이 공간(5)속에 정체되어 모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5)속에 가스가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숯불을 착화시키기 위해 점화장치(9')를 작동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면, 내부공간(S)속에 고여 있는 가스가 점화되면서 일순간에 많은 양의 가스가 급작스럽게 연소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폭발하게 되는 위험한 문제가 있는바, 상기 화염감지봉(9)이 손상되면 안전에 큰 단점이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화염감지봉(9)이 가스버너(4)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가스버너(4)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그 열기에 의해 화염감지봉(9)이 손상되어 그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번거러움 및 사후관리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3)의 숯(7)이 연소됨에 따라 그 부산물인 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송풍기의 송풍압력 및 중력의 영향으로 그 재가 지지대(2) 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는 위생상 및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를 자주 해줘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하는데, 상기 지지대(2)가 숯불통(3)을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청소시 탈착이 불가능하여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용 화덕장치에서 사용하는 가스버너점화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염감지수단이 가스버너에서 이격된 곳에 설치되되, 안정성 있게 화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재 또는 음식물 조리시, 특히 고기등을 굽는 경우 발생하는 기름 찌꺼기등을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한 구이용 화덕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는 테이블등에 설치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의 저면의 중앙에 설치된 가스버너부와, 상기 가스버너부에 착화를 하기 위한 점화부와, 상기 가스버너부 및 점화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통부의 중앙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갖으며, 상기 가이드링의 상부 선단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그 외부측으로 이물질 안착단을 갖도록 형성된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중앙측 내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숯불통 안착부와, 상기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감지부는 상기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근방이 아닌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 되어 있어서, 가스버너부의 화염에 의하여 상기 화염감지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에서 상기 외통부의 상기 가스버너부와 동일한 수평면에는 상기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염감지부는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도록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는 구멍을 갖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염감지부가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며, 상기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해 외통부 및 브라켓에 구멍을 형성하되 상호 통하도록 하여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는 상기 외통부의 바닥면의 일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과 가스버너를 잇는 수평면을 감싸도록 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화염감지부는 빛(적외선, 자외선) 종류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덮개를 통해 외부의 간섭을 최소화 하여 감지성능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링에는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과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는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링의 구멍의 외부주변에는 상기 덮개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외부 지지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링 또한 가스버너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과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멍을 통해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함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멍의 외부주변에 외부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안착이 좀 더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이용 화덕장치에 의하면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근방이 아닌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가스버너부의 화염에 의하여 상기 화염감지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내통부, 가이드링, 지지 가이드 등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청소등의 사후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화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덕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개시된 구이용 화덕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구이용 화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이용 화덕장치는 테이블등에 안착되는 외통부(100)와, 상기 외통부(100)의 내부 중앙측에 설치되는 가스버너(40)와, 외부에서 내부측으로 연장되게 가스버너(40)에서 화염이 발생되게 하는 점화부(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버너(40)와 점화부(90)를 감싸도록 상기 외통부(100)의 내부 중앙측에 원통형상의 가이드링(1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링(10)은 상기 외통부(100) 내부의 바닥면에 나사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고 바닥면의 구조를 적절히 성형하여 끼움식으로 설치함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링(10)의 상부에는 가이드링(10)의 상부 선단에 걸쳐지도록 안착되며,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갖고 기름등의 이물질이 취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통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내통부(20)의 중앙측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숯불통 안착부(30)가 얹혀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외통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가스버너(40)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부(60)가 설치된다. 상기 화염감지부(60)는 통상의 빛 감지센서로서 적외선 감지센서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염감지부(60)가 외통부(100)의 외면에 설치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5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61)이 설치된 외통부(100)의 외면에는 상기 화염감지부(60)가 외통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버너(40)의 화염을 감지하도록 관통구멍(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50)에도 상기 관통구멍(110)과 통하도록 하는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50)을 통해 화염감지부(60)가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브라켓(61)의 구멍(51)은 필수요소는 아니다. 즉, 화염감지부(60)가 직접 외통부(100)의 구멍(110)을 통해 가스버너(40)의 화염을 감지함이 가능하도록 브라켓(50)을 적절히 변형하여 설치함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통부(100)의 바닥면의 일부에 설치되되, 상기 외통부(100)의 관통구멍(110)과 가스버너(40)를 잇는 가상의 수평선과, 점화부(90)를 감싸도록 하는 덮개(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화부(90)는 체결 브라켓(91)을 통해 외통부(10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체결 브라켓(91)은 필수요소는 아니다. 상기 화염감지부(60)가 통상적으로 빛(적외선, 자외선) 종류의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덮개(80)가 상기 화염감지부(60)의 감지동작 때 외부의 간섭을 최소화 하여 감지성능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점화부(90)에 이물질 등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덮개(80)는 외통부(100)의 바닥면에 체결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후관리가 필요할 때는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링(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11)의 외부 및 내부 주변에는 별도의 가이드(12,1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링(10)이 외통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때 상기 구멍(11)은 상기 외통부(100)의 관통구멍(110)과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11)을 통해 외통부(100)의 외부에 위치 한 화염감지부(60)가 상기 구멍(11)을 통해 가스버너(40)의 화염을 감지함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링(10)의 가이드(12,13)는 상기 가이드 링(10)이 외통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때 좀 더 견고하고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 링(10)의 외부 가이드(12)는 상기 덮개(8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내부 가이드(13)는 상기 점화부(90)가 접하도록 되어 있어 그 안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링(10)의 설치시에 먼저, 상기 구멍(11)을 통하여 점화부(90)를 삽입시키고, 내부 가이드(13)가 상기 점화부(90)를 삽입 체결하는 형상으로 설치하면, 상기 외부 가이드(12)는 덮개(80)의 상면에 정확히 접하게 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숯불통 안착부(30) 및 내통부(20), 가이드 링(10), 덮개(80)가 모두 쉽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서 사후관리를 위한 분해,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화덕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구이용 화덕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구이용 화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구이용 화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Claims (4)
- 테이블등에 설치되는 외통부와,상기 외통부의 저면의 중앙에 설치된 가스버너부와, 상기 가스버너부에 착화를 하기 위한 점화부와,상기 가스버너부 및 점화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통부의 중앙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링과,상기 가이드링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갖으며, 상기 가이드링의 상부 선단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그 외부측으로 이물질 안착단을 갖도록 형성된 내통부와,상기 내통부의 중앙측 내부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숯불통 안착부와,상기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부를 포함하고,상기 화염감지부는 상기 외통부의 외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통부의 상기 가스버너부와 동일한 수평면에는 상기 화염감지부가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화염감지부는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가스버너부의 화염을 감지하도록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는 구멍을 갖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외통부의 바닥면의 일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과 가스버너를 잇는 수평면을 감싸도록 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링에는 외통부의 바닥면에 설치될 때 상기 외통부의 관통구멍과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는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가이드링의 구멍의 외부주변에는 상기 덮개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외부 지지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969A KR20100104512A (ko) | 2009-03-18 | 2009-03-18 | 구이용 화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969A KR20100104512A (ko) | 2009-03-18 | 2009-03-18 | 구이용 화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4512A true KR20100104512A (ko) | 2010-09-29 |
Family
ID=4300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2969A KR20100104512A (ko) | 2009-03-18 | 2009-03-18 | 구이용 화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451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661A (ko) | 2018-01-09 | 2019-07-17 | 유승방 | 조리용 화덕 |
KR20210114843A (ko) * | 2020-03-10 | 2021-09-24 | 윤기용 | 구이용 로스터 |
-
2009
- 2009-03-18 KR KR1020090022969A patent/KR201001045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661A (ko) | 2018-01-09 | 2019-07-17 | 유승방 | 조리용 화덕 |
KR20210114843A (ko) * | 2020-03-10 | 2021-09-24 | 윤기용 | 구이용 로스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9370B1 (ko) | 고기구이장치 | |
US20180368617A1 (en) | Charcoal Grilling Insert for Pellet Barbecues | |
US7703450B2 (en) | Quick drawer change system | |
US5752497A (en) | Portable outdoor solid fueled cooking assembly | |
KR20150000117A (ko) |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 |
KR101132309B1 (ko) | 구이용 로스터 | |
KR101153703B1 (ko)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 |
KR100462938B1 (ko) |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 |
KR101036899B1 (ko) | 구이기 | |
KR20100104512A (ko) | 구이용 화덕장치 | |
JP6519072B2 (ja) | ガスグリル | |
KR200457245Y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20120028172A (ko) |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 |
KR101664456B1 (ko) |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 |
US10893777B2 (en) | Cooking grill ignition system | |
KR101092687B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200457250Y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20200001279A (ko) | 가스 로스터 | |
KR200169831Y1 (ko) |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 |
KR200196669Y1 (ko) |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 |
KR101909093B1 (ko)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버너조립체 | |
KR20150000302U (ko) | 로스터의 숯통 | |
KR101835673B1 (ko)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 |
KR101688177B1 (ko) | 휴대용 가스렌지 | |
KR102390179B1 (ko) |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