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669Y1 -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669Y1
KR200196669Y1 KR2020000006455U KR20000006455U KR200196669Y1 KR 200196669 Y1 KR200196669 Y1 KR 200196669Y1 KR 2020000006455 U KR2020000006455 U KR 2020000006455U KR 20000006455 U KR20000006455 U KR 20000006455U KR 200196669 Y1 KR200196669 Y1 KR 200196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harcoal
gas burner
flame
cerami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각
Original Assignee
정현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각 filed Critical 정현각
Priority to KR2020000006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숯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 아래에 가스버너가 설치되고, 이 가스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으로 가스버너의 위쪽에 설치된 숯불통의 숯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된 숯불고기구이기에서, 상기 가스버너의 화염구멍가까이에 전기에 의해 가열 발화하는 세라믹가열핀을 구비한 전기세라믹히터와 가스버너의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공급밸브를 차단하는 화염감지봉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히터는 지지몸체에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세라믹가열핀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몸체로 부터 세라믹가열핀의 선단까지 반쪽 면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보호커버가 씌워져, 충격에 취약한 상기 세라믹가열핀을 외부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 가스점화장치는 전기세라믹히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가스버너의 노즐에서 뿜어져 나오는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고온으로 가열된 전기세라믹히터에 의해 착화되게 되므로, 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의 누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를 이용하여 숯불을 점화시키도록 한 숯불고기구이기에서 가스의 미착화로 인한 폭발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An apparatus for igniting a gas burner in a roaster}
본 고안은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세라믹히터를 사용하여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착화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숯불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기는 대개 숯불통에 불이 피워진 숯을 담아 이 숯의 열기로써 고기를 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숯불고기구이기는 숯불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 가지로 구분 지워지는 바, 예컨대 숯불통에 담긴 숯을 외부에서 별도의 착화장치를 사용하여 착화시킨 다음 실내로 가져와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 외부착화식과, 이 외부착화식에서 발전한 것이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두고, 숯불통에 숯을 담은 다음 숯불통 아래에서 가스불을 피워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키도록 하는 직접 착화식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에 따른 직접 착화식 고기구이기에서,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 에서 직접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숯불통 아래에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착화식 고기구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의 숯을 자체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난도의 제조 기술을 요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의 점화장치로서 대개 사용과 설비가 다른 점화기구에 비해 편리한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즉, 도면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통(101) 아래에 가스버너(102)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자체점화식 숯불구이기의 점화장치인 바, 이와 같이 가스버너와 그 연료로서 가스를 사용하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컨대, 도면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점화수단으로 가스와 가스버를 사용하는 자체점화식 숯불고기구이기는, 숯(100)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101) 아래에 가스버너(102)가 배치되고, 이 가스버너(102)에 근접하여 가스버너(102)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수단(103)이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KS 규격의 가스안전규정에 따라 가스버너(102)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가스버너(102)에서 화염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 가스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화염감지봉(104)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숯불통(101)의 숯이 가스버너(102)에서 전달되는 불꽃에 의해 빠른 속도로 착화되게 하기 위해 바람을 불어 주기 위한 송풍기(105)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102)의 화염이 다른 곳으로 빠지지 않고 숯불통(101)으로만 전달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기(105)에서 송풍되는 바람 역시 상기 숯불통(101)으로만 전달되게 하여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숯불통(101)이 안착되는 지지대(106)와 숯불통(101)사이가 밀착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101)과 가스버너(101) 사이 및 가스버너(102)의 주변에, 가스버너(102)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가스버너(102)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해 주기 위한 내부공간(S)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고기구이기에서는 상기 점화수단(103)으로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소위, 이그나이터라 불리는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이용한 점화수단(103)은 전기적으로 발생되는 불씨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가스버너(102)의 노즐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대개 한번의 불꽃발생으로는 착화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사용하여 가스버너(102)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여러 번의 불꽃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야 할뿐만 아니라, 통상 이러한 작동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야 겨우 점화시킬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점화수단(103)은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기름이나 기타 이물질이 떨어져 묻게 되면, 원천적으로 불꽃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 점화수단(103)이 다른 이물질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게 주의를 기울여야 함은 물론, 일단 이물질에 오염이 되고 나면 청소도 쉽게 잘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단 가스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켜 가스가 분출되게 한 상태에서 점화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가스버너(102)에서는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되게 되는데, 이때 연소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부공간(S)속에 정체하여 고이게 되고, 이렇게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S)속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점화시키기 위해 상기의 전기점화장치를 사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면 가스가 일순간에 연속적으로 연소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102)에서 분출되면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내부공간(S)속에 모여 정체하게 되는 이유는, 이 내부공간(S)의 윗부분은 숯이 조밀하게 담겨져 있는 숯불통(101)에 의해 차단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지 못하게 상태로 차단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S)과 연결된 공기덕트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105)가 공기덕트의 입구를 대체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102)가 점화된 후 이 화염이 숯불통(101)의 숯으로 쉽게 전파되게 하기 위해 송풍기(105)를 가동시키면, 송풍기(105)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가스버너(102)의 화염이 출렁이게 되는데, 이렇게 가스버너(102)의 화염이 흔들리거나 바람에 의해 한쪽으로 쏠려 점화감지봉(104)에 가스버너(102)의 화염이 닿지 않게 되면, 가스버너(102)의 점화상태를 화염으로 감지하는 점화감지봉(104)이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잘못 감지하여, 가스버너(102)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가스버너(102)가 작동하는 도중에도 점화감지봉(104)의 단순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가스공급이 차단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가스버너(102)로 불을 피우는 도중에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숯불통의 숯이 착화되기 이전에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다시 가스버너(102)를 되풀이하여 착화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다른 경우로서, 가스가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가스버너(102)의 화염이 꺼지고, 상기 화염감지봉(104)이 가스버너(102)가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때, 이 화염감지봉(104)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개 화염이 꺼진 후 약 20 ∼ 30 초 후에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작동 시키게 되는데, 그 동안에는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버너(102)를 통하여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하게 된다.
즉, 가스버너(102)에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한 화염감지봉(104)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기까지 가스버너(102)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누출된 가스는 상기의 내부공간(S)속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상기 내부공간(S)이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101)과 송풍기(105)등에 의해 외부와 대체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공간(S)속으로 퍼져 나간 가스가 이 공간(S)속에 정체되어 모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속에 가스가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숯불을 착화시키기 위해 점화장치(103)를 작동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면, 내부공간(S)속에 고여 있는 가스가 점화되면서 일순간에 많은 양의 가스가 급작스럽게 연소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폭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스파크식 점화장치(103)를 사용하는 숯불고기구이기에서는 이 점화장치(103) 자체의 점화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문제와, 그 기본적인 구조상의 문제 및, 작동상의 예측치 못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가스의 폭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숯불의 점화장치로서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종래의 숯불고기구이기에서 가스폭발이 발생하는 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구이기에서 사용하는 점화장치는 단 한번의 작동으로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정확하게 점화시킬 수 없고, 구조 및 작동상의 문제로 인하여 가스버너에서 가스가 누출되어도 이 누출가스가 즉시 연소되지 못하고 가스버너가 설치된 내부공간속에 정체되어 모여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숯불구기이에서 사용하는 가스버너점화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숯불통아래에 배치된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분출 즉시 정확하게 점화시킬 수 있고, 가스버너에서 가스가 누출되어도 이 누출가스를 누출 즉시 연소시키므로 써 정체되어 고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가스의 순간적인 점화로 인하여 폭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하고 이물질이 묻는 즉시 연소되어 버리게 함으로써 이물질의 오염에 의한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숯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 아래에 가스버너가 설치되고, 이 가스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으로 가스버너의 위쪽에 설치된 숯불통의 숯을 점화시키고, 가스버너와 숯불통에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덕트의 선단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이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숯불통의 숯이 착화되는 것을 도와주도록 한 숯불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의 화염구멍가까이에 전기의 의해 발열되는 세라믹가열핀이 구비된 전기세라믹히터와 가스버너의 화염을 감지하여 그 화염의 유무에 따라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는 화염감지봉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세라믹히터는 지지몸체에 세라믹가열핀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본체로 부터 세라믹가열핀의 선단까지 반쪽면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보호커버가 씌워져, 충격에 취약한 상기 세라믹가열핀을 외부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세라믹히터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보호커버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가스버너의 노즐에서 방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 가스점화장치는 전기세라믹히터의 세라믹가열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가스버너의 노즐에서 뿜어져 나오는 가스를 분출 즉시 점화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항상 정확하게 착화시킬 수가 있어, 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의 분출이나 누출로 인한 폭발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를 이용하여 숯불을 점화시키도록 한 숯불고기구이기에서 가스의 미착화로 인한 폭발 등의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전기세라믹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숯불고기구이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전기세라믹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숯불고기구기의 부분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의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의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고기 구이기 2 - 지지대
3 - 숯불통 4 - 가스버너
5 - 내부공간 6 - 바닥면
7 - 숯 8 - 공기 및 화염소통구멍
9 - 공기덕트 10 - 송풍기
11 - 가스노즐 12 - 전기세라믹히터
13 - 화염감지봉 14 - 전선
15 - 지지몸체 16 - 세라믹가열핀
17 - 개방구 18 - 보호커버
19 - 수직관통홈 20 - 수평관통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가 설치된 숯불구이기의 수직종단면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숯불을 이용한 고기구이기(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2)에 숯불통(3)이 긴밀하게 안착되고, 상기 숯불통(3)의 아래쪽 중심에 가스버너(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가스버너(4)와 상기 숯불통(3)사이에 공기가 소통할 수 있게 하면서 가스버너(4)에서 화염이 발생하게 하는 내부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숯불통(3)의 바닥면(6)에는 이 숯불통(3)에 담겨진 숯(7)에 공기를 공급해 줌과 더불어 상기 가스버너(4)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숯불통(6)의 숯(7)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공기 및 화염소통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5)은 상기 가스버너(4)와 숯불통(3)에 공기를 공급해 주는 공기덕트(9)와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기덕트(9)의 선단에 상기 가스버너(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9)의 입구쪽 선단에 외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숯불통(3)과 가스버너(4)에 공급해 주기 위한 송풍기(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가스버너(4)에 마련되어 있는 가스노즐(11) 가까이에 전기세라믹히터(12)와 가스버너(4)의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감지봉(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는 세라믹 카본히터를 사용하는데, 이 세라믹 카본히터는 전원이 인가되어 10초가 경과하면 약 1100℃의 고온으로 가열되게 되고, 30초가 경과하면 약 1300℃의 고온으로 가열되는 특성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정도의 고열에 가스버너(4)의 노즐(11)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노출되면, 착화점이 100℃ 이하로 낮은 상기 가스가 거의 예외 없이 점화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12)를 사용하면 가스버너(4)에서 가스가 분출됨과 동시에 점화됨과 더불어, 상기 가스버너(4)가 설치된 내부공간(5)속에 소량의 가스성분만 있어도 이 가스가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점화되게 되므로 상기 내부공간(5)속에 가스가 고여져 폭발을 일으키는 등의 위험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전기세라믹히터(12)는 그 자체가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기름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이 떨어져 닿게 되면, 이 히터(12)의 고열에 의해 연소되어 버리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고기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오염에 의해 정상적인 발열 작동에 문제가 생기는 등의 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는 도면 2 에서 부터 도면 4 에 까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선(14)과 연결된 지지몸체(15)에 세라믹가열핀(16)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몸체(15)로 부터 세라믹가열핀(16)의 선단까지 반쪽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구(17)를 구비한 반원통형의 보호커버(18)가 씌워져 있는데, 도면 2 와 도면 4 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8)의 위쪽 선단이 세라믹가열핀(16)의 선단을 완전하게 감싸안은 상태로 구부려진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기세라믹히터(12)를 고기구이기(1)에 세팅할 때는 상기 개방구(17)가 가스버너(4)쪽을 향하게 하여 세팅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의 세라믹가열핀(16)은 가스버너(4)쪽을 향하여서만 노출되어 있고 뒤쪽과 윗면은 보호커버(18)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므로, 본 고안의 전기세라믹히터(12)는 상기 보호커버(18)가 외부충격에 취약한 상기 세라믹가열핀(16)을 외부로 부터 보호해 줄 수 있게 하면서, 이 보호커버(18)의 반원통 형상으로 개방된 개방구(18)를 통하여 세라믹가열핀(16)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가스버너(4)의 노즐(11)에서 방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7)에는 도면 4의 단면도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원주방향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라믹가열핀(16)의 길이에 해당하는 크기와 작은 이물질이 빠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스릿형태의 수직관통홈(19)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지지몸체(15)와 보호커버(17)가 만나는 지점에도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관통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의 수직관통홈(19)과 수평관통홈(20)은 상기 보호커버(17)속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본 고안의 전기세라믹히터(12)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보호커버(17)가 반원통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과정중에 또는 제작과정중도 작은 이물질이 보호커버(17)속으로 떨어질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전기세라믹히터(12)를 고기구이기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도중에도 고기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보호커버(17)속으로 떨어질 수가 있는 바, 이러한 이물질들이 상기 수직관통홈(19)과 수평관통홈(20)을 통하여 보호커버(17)의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평상시 고기구이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 혹은 숯불통(3)에 숯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숯(7)을 채워 보충한 다음,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먼저 전기세라믹히터(12)를 가동시키고, 그 다음 가스버너(4)에 가스가 공급되게 하면,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가 극히 짧은 시간 안에 1100℃ 이상의 고온을 발열하게 되므로, 이 전기세라믹히터(12)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상기 가스버너(4)의 노즐(11)에서는 분출되는 가스가 점화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버너(4)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쉽게 점화되지 않아 가스의 누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한편, 가스의 점화를 위해 점화장치를 반복적으로 여러 번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스버너(4)가 점화되어 노즐(11)에서 분사되는 화염이 숯불통(3)의 화염관통구멍(8)을 통하여 숯불통(3)으로 전달되면 숯불통(3)에 담겨져 있는 숯에 불이 붙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점화장치는, 전기 불꽃을 발생시켜 가스를 점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기세라믹히터(12)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버너(4)에서 가스가 분출되기만 하면 이 가스가 즉시 점화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점화장치는 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가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가스의 누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폭발 등의 문제가 근원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숯불통(3)의 숯(7)에 가스버너(4)의 화염이 전달되어 불이 붙게 한 다음, 이 불이 숯(7)전체에 잘 전파되도록 하기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송풍기(10)를 작동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송풍기(10)에서 발생하는 바람 역시 상기한 바의 공기 및 화염소통구멍(8)을 통하여 숯불통(3)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0)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거의 전부가 상기 공기 및 화염소통구멍(8)을 통하여 숯불통(3)으로만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숯불통(3)에 담겨져 있는 숯(7)의 밀집상태에 따라 공기의 흐름상태가 달라지게 되는 바, 숯불통(3)에 숯(7)이 조밀한 상태로 담겨져 공기의 흐름이 좋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송풍기(10)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숯불통(3)을 통해 순탄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송풍기(10)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내부공간(5)속에서 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가스버너(4)의 불꽃을 꺼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버너(4)의 불꽃이 꺼지면 상기 화염감지봉(13)이 가스버너(4)의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켜 가스버너(4)에 더 이상의 가스가 공급되지 못하게 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스버너(4)의 화염이 순간적으로 흔들리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상기 화염감지봉(13)에 일순간 화염이 닿지 않는 경우 등에도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화염감지봉(13)이 가스버너(4)가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점과, 화염감지봉(13)이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는 시점사이에 약 20∼30초 정도의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있는 바, 따라서 실제로 상기 가스버너(4)에 불꽃이 꺼지게 되면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기까지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누출되게 되고, 이렇게 누출된 가스는 상기 내부공간(5)속에 고여져 정체되게 된다.
한편, 누출된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5)속에 고여져 정체되는 이유는 이 내부공간(5)위에 숯(7)이 가득 담긴 숯불통(5)이 얹혀져 있으므로 가스버너(4)에서 누출된 가스가 위쪽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됨과 더불어, 공기덕트(9)의 입구에는 송풍기(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자연적인 순환이 어려운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내부공간(5)속에 가스가 모여져 고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5)속에 가스가 모여져 있는 상태에서 다시 가스버너(4)를 점화시키기 위해 불꽃을 발생시키면 순간적인 점화에 의해 폭발의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세라믹히터(12)가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4)에서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가스가 누출되어도 누출되는 즉시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는 전기세라믹히터(12)에 의해 연소되게 되므로, 가스의 누출과 정체로 인한 폭발의 위험성이 전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가스점화장치는 숯이 채워진 숯불통아래에 가스버너가 배치되고, 숯불통에 숯이 가득 채워져 가스버너가 외부와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숯불구이기에서, 상기 가스버너를 점화시키는 점화기구로서 전기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는 전기세라믹히터를 이루어진 전기점화기구를 사용하므로써, 가스버너에서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가 배출되어도 이 가스가 누출되는 즉시 상기 전기세라믹히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화기에 의해 즉시 점화 연소되게 함으로써, 가스의 누출과 정체로 인하여 폭발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전기세라믹히터는 그 자체가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기에서 떨어지는 고기기름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이 떨어져 닿게 되면 고열에 의해 연소되어 버리게 되므로, 이 전기세라믹히터가 고기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오염에 의해 정상적인 발열 작동에 문제가 생기는 등의 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스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전기세라믹히터는 세라믹가열핀이 보호커버에 의해 씌워진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충격에 취약한 세라믹핀이 상기 보호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에 수직관통홈과 수평관통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보호커버속에 이물질이 떨어져도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항상 본 고안에 따른 전기세라믹히터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가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숯(7)이 담겨져 불이 피워지는 숯불통(3) 아래에 가스버너(4)가 설치되고, 이 가스버너(4)에서 발생하는 화염으로 가스버너의 위쪽에 설치된 숯불통(3)의 숯을 점화시키도록 이루어진 숯불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4)의 화염구멍가까이에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세라믹가열핀(16)을 구비한 전기세라믹히터(12)와 가스버너(4)의 화염을 감지하여 가스공급밸브를 차단하는 화염감지봉(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세라믹히터(12)가 전선(14)과 연결된 지지몸체(15)에 세라믹가열핀(16)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몸체(15)로 부터 세라믹가열핀(16)의 선단까지 반쪽면이 절개되어 형성하는 개방구(17)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보호커버(18)가 씌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8)에 그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을 따라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수직관통홈(19)과 수평관통홈(2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KR2020000006455U 2000-03-08 2000-03-08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KR200196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55U KR200196669Y1 (ko) 2000-03-08 2000-03-08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55U KR200196669Y1 (ko) 2000-03-08 2000-03-08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669Y1 true KR200196669Y1 (ko) 2000-09-15

Family

ID=1964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55U KR200196669Y1 (ko) 2000-03-08 2000-03-08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6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00B1 (ko) 2015-04-08 2016-09-12 이기봉 숯불 겸용 가스 버너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KR102314605B1 (ko) 2021-06-24 2021-10-19 박흥수 숯불 점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00B1 (ko) 2015-04-08 2016-09-12 이기봉 숯불 겸용 가스 버너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KR102314605B1 (ko) 2021-06-24 2021-10-19 박흥수 숯불 점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550B1 (ko) 고압 에어 선회식 가스화 버너
JP4588628B2 (ja) バイオマス燃料給湯器
JP2010270988A (ja) 燃焼装置
KR101153703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200196669Y1 (ko) 숯불고기구이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JP2007132634A (ja) 燃焼装置
KR100840539B1 (ko) 점화와 연소가 용이한 액체연료용 버너
KR20100104512A (ko) 구이용 화덕장치
US3339617A (en) Burner
KR200192769Y1 (ko) 다수개의 화구를 갖춘 자동솥밥조리기의 가스버너 점화장치
KR100846963B1 (ko) 자동 다목적 보일러
KR200276033Y1 (ko)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JP5297095B2 (ja) 廃油燃焼装置
KR950006173Y1 (ko) 보일러용 기름연소기
KR200442203Y1 (ko) 보일러의 공기송풍장치
JP3579774B2 (ja) バーナー加熱式高分子焼却機
JP2008064358A (ja) 燃焼装置
KR0134084Y1 (ko) 가스겸용 숯불구이화로
KR19980065558U (ko) 가스레인지의 그릴버너 점화장치
KR200146185Y1 (ko) 가스오븐렌지
JP2631184B2 (ja) ガスバーナの固定構造
KR0124474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파이롯버너 구조
KR2003005990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버너 점화장치
JP2670957B2 (ja) 熱板加熱式ガスバーナを用いたガス燃焼装置
KR0124700Y1 (ko) 연결점화가 신속한 개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