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033Y1 -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033Y1
KR200276033Y1 KR2020020004918U KR20020004918U KR200276033Y1 KR 200276033 Y1 KR200276033 Y1 KR 200276033Y1 KR 2020020004918 U KR2020020004918 U KR 2020020004918U KR 20020004918 U KR20020004918 U KR 20020004918U KR 200276033 Y1 KR200276033 Y1 KR 200276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ombustion chamber
stall
force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웍스
Priority to KR2020020004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03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소실로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기가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배기관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여 연소실로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로스톨 수납실(102)의 일측에 기름버너(20)를 구비하고, 연소실(101)의 일측벽에 연료공급구(104)가 형성된 석탄류 보일러에 있어서; 배기관(103)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고, 기름버너(20)의 연소가 상기 강제배기수단에 의하여 로스톨 수납실(102)에서 연소실(10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게 상기 기름버너(20)를 연료조즐(31)과 점화플러그(32)로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기관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연소실로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출이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져 도어와 연료공급구를 통한 화염과 배기가스의 분출이 방지되고, 상기 화염이 배기관로상의 물집에 집중작용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A exhaust of coal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로의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기가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배기관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여 연소실로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등과 같은 석탄류를 연료로 사용하는 석탄류 보일러는 로스톨의 하부에 구비된 송풍장치(20)에 의하여 연소실(101)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서 연소실의 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배기가스가 배기관(10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석탄류 보일러는 로스톨 수납실(102)에 기름버너(20) 등과 같은 점화장치를 구비하여 연료의 점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로스톨 하부에 송풍장치(20)를 구비한 종래의 석탄류 보일러는 송풍과정에 있어 공기압에 의하여 화염이 배기관로상의 물집에 충분히 작용되지 않고 도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연료공급구(104)를 통하여 역류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장치(20)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압에 의하여 로스톨 하부로 낙하되는 석탄재와 같은 분진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고 배기가스와 함께 공기중을 과다 배출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기관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여 도어 등을 통하여 화염의 분출을 방지하고, 연료공급구를 통하여 화염의 역류를 방지하며 석탄재에 의한 분진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일 실시예를 보인 석탄류 보일러.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석탄류 보일러.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배기관의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로수톨 수납실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배기팬 12 : 송풍기
20 : 송풍장치
30 : 기름버너
31 : 연료노즐 32 : 점화플러그
101 : 연소실 102 : 로스톨 수납실
103 : 배기관 104 : 연료공급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소실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 배출이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로스톨 수납실(102)의 일측에 기름버너(20)를 구비하고, 연소실(101)의 일측벽에 연료공급구(104)가 형성된 석탄류 보일러에 있어서; 배기관(103)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고, 기름버너(20)의 연소가 상기 강제배기수단에 의하여 로스톨 수납실(102)에서 연소실(10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게 상기 기름버너(20)를 연료조즐(31)과 점화플러그(32)로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강제배기수단은 통상의 구동모터와 블로워팬으로 이루어진 배기팬(11)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강제배기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배기가스가 공기와의 점성유동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게 배기관(103)의 일측에서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1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이 적용된 석탄류 보일러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배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실(101)에 부압을 발생시켜 로스톨 하부에서 연소실(101)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고 배기가스가 공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관(103)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한 본 고안이 적용된 석탄류 보일러에 있어서 연소실(101)의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기름버너(20)의 연료조즐(31)에서 연료를 분무함과 더불어 점화플러그(32)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면, 연소실(101)에 형성된 부압에 의하여 로스톨 하부에서 연소실(101)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료조즐(31)에서 분무된 연료가 점화되어 연소가 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소실(101)의 부압에 의하여 기름버너(20)에 의하여 발생된 화염이 연소실(101)의 연료에 고르게 작용되어 연료의 점호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가 점화된 상태에서 연소실(101)에서 발생한 배기가스와 화염은 배기관(103)에 구비된 강제배기수단에 의한 부압에 의하여 연료공급구(104)나 도어측으로 향하지 않고 상측의 물집을 가열하며 배기관(103)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연소실(101)의 연소과정에 발생한 재는 연소실(101)로의 공기공급과배기가스의 배기가 로스톨 하부에서의 송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날리지 않고 자유 낙하운동 되어서 별도구비되는 분진 배출장치에 의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기관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연소실로의 공기공급과 배기가스의 배출이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져 도어와 연료공급구를 통한 화염과 배기가스의 분출이 방지되고, 상기 화염이 배기관로상의 물집에 집중작용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석탄재와 같은 분진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낙하되므로 별도 구비되는 분진 배출장치에 의한 분진의 회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로스톨 수납실(102)의 일측에 기름버너(20)를 구비하고, 연소실(101)의 일측벽에 연료공급구(104)가 형성된 석탄류 보일러에 있어서;
    배기관(103)에 강제배기수단을 구비하고, 기름버너(20)의 연소가 상기 강제배기수단에 의하여 로스톨 수납실(102)에서 연소실(101)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게 상기 기름버너(20)를 연료조즐(31)과 점화플러그(32)로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기수단은 통상의 구동모터와 블로워팬으로 이루어진 배기팬(1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기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배기가스가 공기와의 점성유동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게 배기관(103)의 일측에서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KR2020020004918U 2002-02-19 2002-02-19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KR200276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18U KR200276033Y1 (ko) 2002-02-19 2002-02-19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918U KR200276033Y1 (ko) 2002-02-19 2002-02-19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033Y1 true KR200276033Y1 (ko) 2002-05-18

Family

ID=7307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918U KR200276033Y1 (ko) 2002-02-19 2002-02-19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0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71A (ko) * 2002-08-12 2004-02-18 이인용 코우크스보일러
KR101027544B1 (ko) 2009-05-22 2011-04-07 (주)록원 펠렛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71A (ko) * 2002-08-12 2004-02-18 이인용 코우크스보일러
KR101027544B1 (ko) 2009-05-22 2011-04-07 (주)록원 펠렛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6033Y1 (ko)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EP2738459A1 (en) Combustion device
JP6551927B2 (ja) 燃焼炉の燃えカス、及び灰の処理とクリンカ対策方法
KR100247294B1 (ko) 폐기물 소각로용 폐타이어 연소장치
JP4670516B2 (ja) 石油給湯機の着火制御装置
JP2803970B2 (ja) 焼却炉
KR940008393B1 (ko) 난연성 폐기물의 소각로
KR100846963B1 (ko) 자동 다목적 보일러
JP3817513B2 (ja) 焼却炉及び焼却炉用助燃装置
KR200291896Y1 (ko) 코크스 보일러의 소화장치
JPS5741515A (en) Incinerator
JP2541706B2 (ja) 廃プラスチック専焼炉
KR19980011648U (ko) 싸이클론 방식의 소각로에 있어서 오일버너의 장착구조
JP2779145B2 (ja) 無煙無臭焼却炉
JP2006046867A (ja) 燃焼システムの着火方法
JP2006002947A (ja) バーナー装置
KR100535861B1 (ko) 연소로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원심분리 버너
JPH0327802B2 (ko)
JPS5838272Y2 (ja) 塵芥焼却炉
RU2096689C1 (ru) Топка теплотехн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2057896A (ja) 廃棄物焼却装置
JP2005345002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H10318512A (ja) 燃焼装置
ATE466238T1 (de) Staubgefeuerter flammrohrkessel
JPH03170702A (ja) 固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