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50Y1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Google Patents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250Y1 KR200457250Y1 KR2020090005447U KR20090005447U KR200457250Y1 KR 200457250 Y1 KR200457250 Y1 KR 200457250Y1 KR 2020090005447 U KR2020090005447 U KR 2020090005447U KR 20090005447 U KR20090005447 U KR 20090005447U KR 200457250 Y1 KR200457250 Y1 KR 2004572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inner cylinder
- burner body
- support
- fl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너바디의 청소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열효율이 높고, 내통에 버너지지대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한편, 버너지지대와 버너바디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는,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의 상판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과 공기유도링 및 외통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를 통해서 하부의 배기수단쪽으로 배출하되, 상기 외통(1110)의 외측면에서 끼워져 안쪽면이 내통(1200)에 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혼합기(1150)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와, 내통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됨과 더불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설치된 버너지지대(1300)와, 내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끼워지는 벤츄리관(1420)이 구비됨과 더불어, 버너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사방향으로 불꽃이 퍼지도록 된 버너바디(1400)를 포함한다.
직접착화식, 구이, 화덕장치, 벤츄리관, 버너지지대, 내통, 버너바디
Description
본 고안은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바디의 청소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열효율이 높고, 내통에 버너지지대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한편, 버너지지대와 버너바디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기는 대개 숯불통에 불이 피워진 숯을 담아 이 숯의 열기로써 고기를 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숯불고기구이기는 숯불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 가지로 구분되는 바, 예컨대 숯불통에 담긴 숯을 외부에서 별도의 착화장치를 사용하여 착화시킨 다음 실내로 가져와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 외부착화식과, 이 외부착화식에서 발전한 것이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두고, 숯불통에 숯을 담은 다음 숯불통 아래에서 가스불을 피워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키도록 하는 직접 착화식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에 따른 직접 착화식 고기구이기에서,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서 직접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숯불통 아래에 화 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착화식 고기구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의 숯을 자체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난도의 제조 기술을 요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의 점화장치로서 대개 사용과 설비가 다른 점화기구에 비해 편리한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즉, 도면 2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통(3) 아래에 가스버너(4)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자체점화식 숯불구이기의 점화장치인 바, 이와 같이 가스버너와 그 연료로서 가스를 사용하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컨대, 도 2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점화수단으로 가스와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자체점화식 숯불고기구이기는, 숯(7)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3) 아래에 가스버너(4)가 배치되고, 이 가스버너(4)에 근접하여 가스버너(4)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수단(9')이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KS 규격의 가스안전규정에 따라 가스버너(4)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가스버너(4)에서 화염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 가스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화염감지수단(9)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숯불통(3)의 숯이 가스버너(4)에서 전달되는 불꽃에 의해 빠른 속도로 착화되게 하기 위해 바람을 불어 주기 위한 송풍기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4)의 화염이 다른 곳으로 빠지지 않고 숯불통(3)으로만 전달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 역시 상기 숯불통(3)으로만 전달되게 하여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숯불통(3)이 안착되는 지지대(2)와 숯불통(3)사이가 밀착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3)과 가스버너(4) 사이 및 가스버너(4)의 주변에, 가스버너(4)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가스버너(4)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해주기 위한 내부공간(5)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고기구이기에서는 상기 점화수단(9')으로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소위, 이그나이터라 불리는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단 가스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켜 가스가 분출되게 한 상태에서 점화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같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가스버너(4)에서는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되게 되는데, 이때 연소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부공간(5)속에 정체하여 고이게 되고, 이렇게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5)속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점화시키기 위해 상기의 전기점화장치를 사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면 가스가 일순간에 연속적으로 연소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다른 경우로서, 가스가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가스버너(4)의 화염이 꺼지고, 상기 화염감지봉(9)이 가스버너(4)가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때, 이 화염감지봉(9)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개 화염이 꺼진 후 약 20 ~30 초 후에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작동 시키게 되는데, 그 동안에는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버 너(4)를 통하여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하게 된다. 즉, 가스버너(4)에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한 화염감지봉(9)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기까지 가스버너(4)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누출된 가스는 상기의 내부공간(5)속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상기 내부공간(5)이 숯불통(3)과 송풍기등에 의해 외부와 대체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공간(5)속으로 퍼져 나간 가스가 이 공간(5)속에 정체되어 모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5)속에 가스가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숯불을 착화시키기 위해 점화장치(9')를 작동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면, 내부공간(S)속에 고여 있는 가스가 점화되면서 일순간에 많은 양의 가스가 급작스럽게 연소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폭발하게 되는 위험한 문제가 있는바, 상기 화염감지봉(9)이 손상되면 안전에 큰 단점이 있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화염감지봉(9)이 가스버너(4)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가스버너(4)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그 열기에 의해 화염감지봉(9)이 손상되어 그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번거러움 및 사후관리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3)의 숯(7)이 연소됨에 따라 그 부산물인 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송풍기의 송풍압력 및 중력의 영향으로 그 재가 지지대(2) 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는 위생상 및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를 자주 해줘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하는데, 상기 지지대(2)가 숯불통(3)을 감싸 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청소시 탈착이 불가능하여 청소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서 사용하는 가스버너점화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통의 타측면에 체결됨과 더불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혼합기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버너바디를 장착하고 분해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통에 설치된 버너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너바디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버너지지대의 수용부에는 버너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등각도로 복수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불꽃의 점화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수용부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버너바디안착부가 설치되어 버너바디의 하부로 돌출된 위치결정돌기와 조립이 매우 용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는,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의 상판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과 공기유도링 및 외통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를 통해서 하부의 배기수단쪽으로 배출하되, 상기 외통의 외측면에서 끼워져 안쪽면이 상기 내통에 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혼합기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와, 상기 내통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됨과 더불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설치된 버너지지대와, 상기 내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끼워지는 벤츄리관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버너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사방향으로 불꽃이 퍼지도록 구성된 버너바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방향은 상기 내통으로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타측방향은 외통의 밖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통과 밀착시켜 체결고정하기 위해 축방향에 세워져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부의 내통과 끼워지는 쪽에는 상기 버너바디 및 내통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더 돌출된 하부돌출부를 갖춘 구조로 됨은 물론, 상기 외통의 바깥쪽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에 의해 유입되되 상기 산소혼합기가 체결되는 나사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지지대는, 상기 내통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상부에 플랜지를 갖춘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버너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가 형성됨은 물론, 등각도로 복수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버너바디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너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버너지지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버 너바디위치결정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버너바디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으도록 버너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일측면에는 상기 버너바디의 벤츄리관을 수용하도록 벤츄리관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벤츄리관안내홈과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는 화염감지구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 상부에는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으로 화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화로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화로지지대의 관통부는,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의 조립시 위치가 결정되도록 끼워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의하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혼합기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버너바디를 장착하고 분해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통에 설치된 버너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니바디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의하면, 버너지지대의 수용부에는 개구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불꽃의 점화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수용부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에는 버너바디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는 도 1과 도 2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100)의 상판(110)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1200)과 공기유도링(1700) 및 외통(1110)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1110)과 내통(1200)의 사이를 통해서 하부의 배기수단(1170)쪽으로 냄새나 연기를 배출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1000)는, 테이블(100)의 상판(110)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외통(1110)을 갖춘 본체(1100)와, 내통(1200)과, 버너지지대(1300)와, 버너바디(1400)와, 버너헤드(1500)와, 화로지지대(1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0)는, 상기 외통(1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송풍모터(1121)와 송풍댐퍼(1122)로 이루어진 송풍수단(1120)에 의해 상기 외통의 축방향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내통지지대(1130)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내통지지대의 송풍수단이 설치된 쪽에 버너점화기(1140)가 장착되어 테이블의 상판에 설치된 조작부(120)의 점화신호가 테이블의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부(130)로 전달되어 불꽃을 점화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외통의 타측면에 체결된 산소혼합기(1150)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가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통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수단(1170)에 의해 공급된 가스와 공기에 의해 조리되면서 발생한 냄새와 연기가 배출되는 한편, 상기 외통(1110)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화염감지수단(140)이 상기 콘크롤부(130)에 불꽃을 감지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불꽃을 감지하지 못하면 송풍수단에 의한 공기의 공급과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0)는, 상기 외통(1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송풍모터(1121)와 송풍댐퍼(1122)로 이루어진 송풍수단(1120)에 의해 상기 외통의 축방향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내통지지대(1130)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댐퍼(1122)는 상기 외통(1110)의 상부에 돌출설치된 송풍레버(1122a)의 좌우측 조작으로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내통지지대(1130)의 송풍수단(1120)이 설치된 쪽에 파이럿버너와 파이럿홀더로 이루어진 버너점화기(1140)가 장착되어 테이블의 상판에 설치된 조작부(120)의 점화신호가 테이블(100)의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부(130)로 전달되어 가스가 공급되면서 불꽃으로 점화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외통(1110)의 타측면에 체결된 산소혼합기(1150)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가 설치되어 LPG 또는 LNG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1110)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수단(1170)에 의해 공급된 가스와 공기에 의해 조리되면서 발생한 냄새와 연기가 배출되는 한편, 상기 외통(1110) 의 관통구멍(1111)에 설치된 화염감지수단(140)이 상기 콘크롤부(130)에 불꽃을 감지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불꽃을 감지하지 못하면 송풍수단(1120)에 의한 공기의 공급과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통지지대(1130)는 도 1과 도 2 및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직경을 갖추면서 축방향 바닥에는 관통구멍(1131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면에는 플랜지(1131b)가 형성됨은 물론,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버너점화기(1140)에서 점화된 불꽃이 들어오도록 관통된 관통구멍(1131c)을 갖춘 수용부(1131)와, 상기 관통구멍(1131c)과 연통됨과 더불어 상기 버너점화기(11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131)의 외주면에 고정된 불꽃점화연결부(1132)와, 이 불꽃점화연결부(1132)가 설치된 수용부(1131)의 반대쪽 외주면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점화용 밸브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점화용 밸브장착부(11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통지지대(1130)의 관통구멍(1131a)을 통해서 도 6과 도 7의 상기 덮개(1800)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131a)을 통해서 상기 배기수단(1170)의 나비댐퍼(1171)와 휠터(1172)를 분해하여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상기 댐퍼(1173)의 청소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불꽃점화연결부(1132)에 상기 버너점화기(1140)가 설치되어 상기 버너점화기(1140)에서 점화된 불꽃이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개구(1320)를 통해서 수용부(1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는 도 1과 도 2 및 도 15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방향은 상기 내통(1200)으로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타측방향은 외통(1110)의 밖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부(1161)와, 상기 원통부(116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통(1110)과 밀착시켜 체결고정하기 위해 축방향에 세워져 돌출된 플랜지(1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1161)의 내통(1200)과 끼워지는 쪽에는 상기 버너바디(1400) 및 내통(1200)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더 돌출된 하부돌출부(1161a)를 갖춘 구조로 됨은 물론, 상기 외통(1110)의 바깥쪽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161c)에 의해 유입되되 상기 산소혼합기(1150)가 체결되는 나사부(1161b)가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의 일측방향은 상기 내통(1200)으로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타측방향은 외통(1110)의 밖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부(1161)와, 상기 원통부(116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통(1110)과 밀착시켜 체결고정하기 위해 축방향에 세워져 돌출된 플랜지(1162)가 일체로 성형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내통(1200)의 삽입부재안착부(1220)에 내측 일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플랜지(1162)가 외통(1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통부(1161)의 내통(1200)과 끼워지는 쪽에는 하부가 더 돌출된 하부돌출부(1161a)를 갖춘 구조로 되어서 상기 버너바디(1400) 및 내통(1200)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외통(1110)의 바깥쪽에 형성된 나사부(1161b)에는 상기 산소혼합기(1150)가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161c)에 의해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1170)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통(1110)의 하부에 원통관(1171a)의 절곡된 플랜지(1171b)가 안착되어 설치 됨과 더불어, 화로가 너무 고온이면 휴즈클립(1171c)이 절단되면서 비틀림스프링(1171d)에 의해 차단판(1171e)이 힌지축(1171f)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통로를 폐쇄하도록 된 나비댐퍼(1171)와, 상기 외통(1110)의 하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1800)의 하부에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휠터(1172)와, 상기 외통(1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된 댐퍼(117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나비댐퍼(1171)는 화로의 내부가 고온으로 올라가게 되면 휴즈클립(1171c)이 끊어지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171d)에 의해 차단판(1171e)이 힌지축(1171f)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통로를 폐쇄하게 되어 상기 화로지지대(1600)에 설치된 화로(2100)의 숯불이 점점 약해져 꺼지게 된다. 또한 상기 휠터(1172)는 연기와 기름 찌꺼기를 거르게 되며, 상기 댐퍼(1173)는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흡입력을 차단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휠터(1172)의 외주면 하부는 단면이 요홈형상으로 된 환형띠 모양의 이물질수집부(1172a)가 구비되어, 상기 휠터(1172)의 외주면으로 걸러진 먼지와 이물질 및 기름 찌꺼기가 상기 이물질수집부(1172a)로 모아져 화로의 하부 주위가 깨끗하게 된다.
상기 배기수단(1170)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통(1110)의 하부에 계단진 플랜지(1910)를 갖춘 배기수단설치부재(1900)를 매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수단(1170)이 외통(1110)의 하부에 계단진 플랜지(1910)를 갖춘 배기수단설치부재(1900)를 매개로 설치되어 외통(1110)의 제작이 간편하게 되 는 한편, 외통(1110)과 배기수단(1170)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통(1200)은 도 1과 도 2 및 도 15와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통(1110)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끼워져 상기 내통지지대(1130)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송풍수단(11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공급되면서 상기 버너점화기(1140)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1210)가 형성됨은 물론, 타측면으로는 개구되어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가 끼워져 안착되는 삽입부재안착부(122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삽입부재안착부(1220)와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화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경(1230)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에는 다단으로 계단진 단부(1240)가 구비되어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버너지지대(1300)가 안착되는 면에는 돌출된 위치결정돌기(12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내통(1200)에 위치결정돌기(125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지지대(1300)에는 위치결정홈(1350)이 형성되어 내통(1200)에 버너지지대(1300)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구(1210)를 통해 상기 내통지지대(1130)의 관통구멍(1131c)으로 들어온 화염의 유입이 용이하고, 상기 삽입부재안착부(1220)가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에 안착되어 설치가 용이하며, 상기 투시경(1230)은 밀폐된 상태로 되어 내부의 화염을 관찰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 유로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단으로 계단진 단부(1240)에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로(2100)에 숯받침대(2110)가 안착된 상태로 숯(2120)을 채우고 상기 화로(2100)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석쇠(2200)를 올려 놓게 되면 고기와 같 은 구이물(2210)을 구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도 2 및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발이(2400)와 냄비(2500)를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면 전골이나 샤브요리를 즐길 수 있게 되며, 상기 내통(1200)에 강열받침링(2600)과 강열판(2700) 및 불고기판(2800)을 설치하게 되면 불고기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로(2100)의 상부에 화로덮게(2130)를 덮게 되면 상기 화로(2100)에 넣은 숯이 타지 않게 되어 소화가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링(1700)에 화로뚜껑(2300)을 안착시키면 상기 화로뚜껑(2300)의 공기통로(2310)로 공기가 들어가서 상기 화로(2100)의 내부에 공급된 숯이 재차 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900은 크린링으로 상기 내통(1200)의 상부에 걸치도록 설치하고, 교체하여 사용하므로서 상기 내통(1200)의 상부가 오염되는 것을 수시로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버너지지대(1300)는 도 1과 도 2,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통(1200)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버너점화기(1140)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너지지대(130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통(1200)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상부에 플랜지(1311)를 갖춘 수용부(1310)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310)의 일측면에 는 상기 버너점화기(1140)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1320)가 형성됨은 물론, 등각도로 복수개의 공기유입구(133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1311)에는 상기 버너바디(14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관통구멍(1341)이 형성된 버너바디안착부(1340)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1200)의 위치결정돌기(1250)가 끼워지는 위치결정홈(13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플랜지(1311)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350)이 내통(1200)의 위치결정돌기(1250)에 끼워지면서 계단진 면에 안착되므로, 상기 수용부(1310)의 개구(1320)로 유입된 화염이 공기유입구(1330)로 들어오는 공기의 산소를 받아 점화가 쉽게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1311)에 설치된 버너바디안착부(1340)의 관통구멍(1341)에 상기 버너바디(1400)의 위치를 결정하는 버너바디위치결정돌기(1410)가 끼워져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버너바디(1400)는 도 1과 도 2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버너바디안착부(1340)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1200)의 삽입부재안착부(1220)와 상기 본체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에 끼워지는 벤츄리관(1420)을 갖춤은 물론, 하부에는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관통구멍(1341)에 끼워지는 버너바디위치결정돌기(14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바디(1400)의 벤츄리관(1420)에 의해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에서 가스와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청소가 간편하며, 상기 버너바디(1400)의 버너바디위치결정돌기(1410)에 의해 상기 버너지지대(1300)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1500)는 도 1과 도 2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너바디(1400)의 상부에 안착되어 불꽃이 방사방향으로 퍼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화로지지대(1600)는 도 1과 도 2 및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너바디(1400)와 버너헤드(1500)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으도록 버너지지대(1300)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일측면에는 상기 버너바디(1400)의 벤츄리관(1420)을 수용하도록 벤츄리관안내홈(1610)이 형성되고, 이 벤츄리관안내홈(1610)과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는 화염감지구(1620)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 상부에는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으로 화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1630)가 형성된 화로지지대(16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벤츄리관안내홈(1610)에 의해 상기 버너바디(1400)의 벤츄리관(1420)을 수용하면서 설치할 수 있고, 또 상기 화염감지구(1620)에 의해 버너바디(1400)의 화염을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관통부(1630)에 의해 상기 버너바디(1400)와 버너헤드(1500)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화로(2100) 또는 강열받침링(2600)과 강열판(2700)으로 화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로지지대(1600)의 관통부(1630)는,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의 조립시 위치가 결정되도록 끼워져 조립된다.
또 도 6과 도 7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통지지대(1130)를 구성하는 수용부(1131)의 축방향 바닥에는 관통구멍(1131a)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131a)에 착탈가능하도록 걸리는 플랜지(1820)를 갖춘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 (18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통지지대(1130)의 관통구멍(1131a)에 설치된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1800)를 들어올리면 외통(1110)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하부의 배기수단(1170)을 구성하는 나비댐퍼(1171)와 휠터(1172)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18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관통구멍(1131a)에 끼워지는 일정깊이의 수용부(1810)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축방향에 세워져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1131a)의 상부에 안착되는 플랜지(1820)와, 상기 수용부(181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손잡이부(1830)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820)가 상기 관통구멍(1131a)의 상부에 안착되어 밀폐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부(1830)를 잡고 상기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1800)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1830)는, 상기 수용부(1810)의 일정 위치에 관통형성된 관통구멍(1831)과, 상기 관통구멍(1831)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된 손잡이(1832)와, 상기 관통구멍(1831)의 하부와 손잡이(1832)를 감싸면서 밀폐되도록 설치된 하부캡(18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830)가 하부로 구성되어 도 1 및 도 2에서와는 달리 상기 내통(1200)의 하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2와 도 23은 본 고안의 상기 조작부(120)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120)의 작동램프하부에 위치한 전원보턴(121)을 2초간 터치하면 전원이 들 어오고 재차 전원보턴을 2초간 터치하면 전원이 OFF되게 된다. 또 점화버튼(122)을 1초가 터치하면 점화가 이루어지며 반대로 점화버튼을 1초간 터치하면 소화가 이루어진다. 또 강 또는 약 램프의 하부에 위치한 화력조절보턴(123)을 누르면 강과 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송풍조절은 강, 중, 약 램프의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강, 중, 약 보턴(124,125,126)을 누르게 되면 숯불이 피워지게 되고 필요에 따라 숯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우측에는 배기버튼(127)이 있어 배기를 하면서 작동시켜야 실내가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숯불도 잘 피워지게 된다.
상기 콘트롤부(130)는 콘트롤케이스와 인쇄회로기판, 솔레노이드밸브, 가스분배기, 고압트랜스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덕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가 테이블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나비댐퍼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나비댐퍼가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배면도,
도 11은 도 8의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지지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로지지대의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통지지대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우측면도,
도 21은 도 2의 삼발이와 냄비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본 고안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
도 24는 종래 화덕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120 조작부 130 콘트롤부
1400 화염감지수단 1000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1100 본체 1110 외통
1120 송풍수단 1130 내통지지대
1140 버너점화기 1150 산소혼합기
1160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 1170 배기수단
1200 내통 1300 버너지지대
1400 버너바디 1500 버너헤드
1600 화로지지대 1700 크린링
1800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 1900 배기수단설치부재
Claims (6)
-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의 상판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과 공기유도링 및 외통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를 통해서 하부의 배기수단쪽으로 배출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에 있어서,상기 외통(1110)의 외측면에서 끼워져 안쪽면이 상기 내통(1200)에 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산소혼합기(1150)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와,상기 내통(1200)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됨과 더불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설치된 버너지지대(1300)와,상기 내통(12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에 끼워지는 벤츄리관(1420)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사방향으로 불꽃이 퍼지도록 구성된 버너바디(1400)를 포함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116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방향은 상기 내통(1200)으로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타측방향은 외통(1110)의 밖으 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원통부(1161)와,상기 원통부(116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통(1110)과 밀착시켜 체결고정하기 위해 축방향에 세워져 돌출된 플랜지(1162)를 포함하되,상기 원통부(1161)의 내통(1200)과 끼워지는 쪽에는 상기 버너바디(1400) 및 내통(1200)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더 돌출된 하부돌출부(1161a)를 갖춘 구조로 됨은 물론, 상기 외통(1110)의 바깥쪽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161c)에 의해 유입되되 상기 산소혼합기(1150)가 체결되는 나사부(1161b)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버너지지대(1300)는, 상기 내통(1200)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상부에 플랜지(1311)를 갖춘 수용부(1310)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310)의 일측면에는 버너점화기(1140)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1320)가 형성됨은 물론, 등각도로 복수개의 공기유입구(133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1311)에는 관통구멍(1341)이 형성된 버너바디안착부(13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버너바디(1400)의 하부에는 상기 버너지지대(1300)의 관통구멍(1341)에 끼워지는 버너바디위치결정돌기(14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버너바디(1400)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으도록 버너지지대(1300)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일측면에는 상기 버너바디(1400)의 벤츄리관(1420)을 수용하도록 벤츄리관안내홈(1610)이 형성되고, 이 벤츄리관안내홈(1610)과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는 화염감지구(1620)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 상부에는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2600)으로 화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1630)가 형성된 화로지지대(1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화로지지대(1600)의 관통부(1630)는,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2600)의 조립시 위치가 결정되도록 끼워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447U KR200457250Y1 (ko) | 2009-05-06 | 2009-05-06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447U KR200457250Y1 (ko) | 2009-05-06 | 2009-05-06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133U KR20100011133U (ko) | 2010-11-16 |
KR200457250Y1 true KR200457250Y1 (ko) | 2011-12-09 |
Family
ID=4420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5447U KR200457250Y1 (ko) | 2009-05-06 | 2009-05-06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25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696B1 (ko) * | 2014-11-28 | 2016-08-04 | 김종학 | 가스레인지 |
CN109965726B (zh) * | 2019-05-17 | 2024-09-27 | 安徽科力达电气设备有限公司 | 一种炭烤炉嵌入式点火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30Y1 (ko) | 1999-08-24 | 2000-02-15 | 정현각 |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
KR100473374B1 (ko) | 2004-06-30 | 2005-03-14 | 추성남 | 구이판 온도 자동 조절이 가능한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
KR100579091B1 (ko) | 2003-11-10 | 2006-05-12 | 추성남 | 숯불 화력의 온도 자동 조절장치를 적용한 숯불 구이기 |
-
2009
- 2009-05-06 KR KR2020090005447U patent/KR2004572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830Y1 (ko) | 1999-08-24 | 2000-02-15 | 정현각 |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
KR100579091B1 (ko) | 2003-11-10 | 2006-05-12 | 추성남 | 숯불 화력의 온도 자동 조절장치를 적용한 숯불 구이기 |
KR100473374B1 (ko) | 2004-06-30 | 2005-03-14 | 추성남 | 구이판 온도 자동 조절이 가능한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133U (ko) | 2010-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9370B1 (ko) | 고기구이장치 | |
CA2485752A1 (en) | Removable gas burner unit for barbecue grill | |
US4838244A (en) | Deep-fat frying apparatus | |
KR101064050B1 (ko) |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457245Y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200457250Y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101092687B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KR20100052584A (ko) |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 |
KR200169830Y1 (ko) |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 |
CN107339688A (zh) | 颗粒燃料燃烧用烘烤机 | |
KR101815533B1 (ko) |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 |
KR101909093B1 (ko)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버너조립체 | |
KR101664456B1 (ko) |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 |
CN113028399B (zh) | 燃烧器系统及燃气炉 | |
KR101835673B1 (ko)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 |
KR200169831Y1 (ko) |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 |
KR20100104512A (ko) | 구이용 화덕장치 | |
KR101831144B1 (ko) |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 |
WO2008025783A2 (en) | Stand-alone, low nox and low co, fvir, heating appliance with an easy maintenance | |
CN212307608U (zh) | 具有万用口罩盒的万用瓦斯炉结构 | |
KR0134084Y1 (ko) | 가스겸용 숯불구이화로 | |
KR0134085Y1 (ko) | 가스겸용 숯불구이 화덕용 버너 | |
CN112762484B (zh) | 燃气炉 | |
CN215175237U (zh) | 柴火炉 | |
KR101688177B1 (ko) | 휴대용 가스렌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