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73B1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73B1
KR101835673B1 KR1020160178301A KR20160178301A KR101835673B1 KR 101835673 B1 KR101835673 B1 KR 101835673B1 KR 1020160178301 A KR1020160178301 A KR 1020160178301A KR 20160178301 A KR20160178301 A KR 20160178301A KR 101835673 B1 KR101835673 B1 KR 10183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me
heat sink
ga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각
Original Assignee
정현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각 filed Critical 정현각
Priority to KR102016017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3Flame diffusing means us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 별도로 숫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함 물론, 조립만 하면 불꽃감지가 용이하게 되는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1700)는, 가스를 이용하여 버너조립체로 불꽃을 토출하여 가열하되, 내통의 상부로 돌출된 위치결정핀으로 끼워지되, 하부면이 내통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중앙으로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방열판받침대(1710)와, 상기 방열판받침대의 상부에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가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방열판(1720)과, 상기 방열판의 돔부 내측에 밀착되도록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지는 나사못과 너트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복수개가 겹쳐져서 용접된 방열판망(17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ELECTRONIC MAT ASSEMBLY FOR ROAST}
본 발명은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를 구울 때 별도로 숫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만 하면 불꽃감지가 용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고기구이기는 대개 숯불통에 불이 피워진 숯을 담아 이 숯의 열기로써 고기를 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숯불고기구이기는 숯불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되는바, 예컨대 숯불통에 담긴 숯을 외부에서 별도의 착화장치를 사용하여 착화시킨 다음 실내로 가져와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 외부착화식과, 이 외부착화식에서 발전한 것이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두고, 숯불통에 숯을 담은 다음 숯불통 아래에서 가스불을 피워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키도록 하는 직접착화식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에 따른 직접착화식 고기구이기에서,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서 직접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숯불통 아래에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착화식 고기구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숯불통의 숯을 자체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난도의 제조 기술을 요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의 점화장치로서 대개 사용과 설비가 다른 점화기구에 비해 편리한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092687호 발명의 명칭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의 종래기술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숯불통 아래에 가스버너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자체점화식 숯불구이기의 점화장치인 바, 이와 같이 가스버너와 그 연료로서 가스를 사용하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점화수단으로 가스와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자체점화식 숯불고기구이기는, 숯을 담아 불을 피우는 숯불통 아래에 가스버너가 배치되고, 이 가스버너에 근접하여 가스버너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수단이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KS 규격의 가스안전규정에 따라 가스버너의 점화상태를 감지하여 가스버너에서 화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가스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화염감지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숯불통의 숯이 가스버너에서 전달되는 불꽃에 의해 빠른 속도로 착화되게 하기 위해 바람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기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의 화염이 다른 곳으로 빠지지 않고 숯불통으로만 전달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 역시 상기 숯불통으로만 전달되게 하여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숯불통이 안착되는 지지대와 숯불통사이가 밀착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과 가스버너 사이 및 가스버너의 주변에, 가스버너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가스버너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해주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고기구이기에서는 상기 점화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소위, 이그나이터라 불리는 전기스파크발생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단 가스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스공급밸브를 개방시켜 가스가 분출되게 한 상태에서 점화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같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가스버너에서는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되게 되는데, 이때 연소되지 않은 가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부공간속에 정체하여 고이게 되고, 이렇게 가스가 상기 내부공간속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점화시키기 위해 상기의 전기점화장치를 사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면 가스가 일순간에 연속적으로 연소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다른 경우로서, 가스가 계속하여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가스버너의 화염이 꺼지고, 상기 화염감지봉이 가스버너가 화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때, 이 화염감지봉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개 화염이 꺼진 후 약 20 ~30 초 후에 가스공급밸브를 차단 작동시키게 되는데, 그 동안에는 연소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스버너를 통하여 계속하여 가스가 분출하게 된다. 즉, 가스버너에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한 화염감지봉이 가스공급밸브를 즉시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가스공급밸브를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가스공급밸브가 차단되기까지 가스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누출된 가스는 상기의 내부공간속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상기 내부공간이 숯불통과 송풍기등에 의해 외부와 대체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공간속으로 퍼져 나간 가스가 이 공간속에 정체되어 모여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속에 가스가 고여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숯불을 착화시키기 위해 점화장치를 작동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면, 내부공간속에 고여 있는 가스가 점화되면서 일순간에 많은 양의 가스가 급작스럽게 연소됨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폭발하게 되는 위험한 문제가 있는바, 상기 화염감지봉이 손상되면 안전에 큰 단점이 있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화염감지봉이 가스버너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가스버너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그 열기에 의해 화염감지봉이 손상되어 그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번거러움 및 사후관리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숯불통의 숯이 연소됨에 따라 그 부산물인 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송풍기의 송풍압력 및 중력의 영향으로 그 재가 지지대 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는 위생상 및 미관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를 자주 해줘야 하는 필요성이 발생하는데, 상기 지지대가 숯불통을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청소시 탈착이 불가능하여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092687호에서는, 외통의 일측면에 설치된 송풍모터와 송풍댐퍼로 이루어진 송풍수단에 의해 외통의 축방향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내통지지대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통지지대의 송풍수단이 설치된 쪽에 버너점화기가 장착되어 테이블의 상판에 설치된 조작부의 점화신호가 테이블의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부로 전달되어 불꽃을 점화할 수 있음은 물론, 외통의 타측면에 체결된 산소혼합기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가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통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필터수단에 의해 공급된 가스와 공기에 의해 조리되면서 발생한 냄새와 연기가 배출되는 한편, 외통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화염감지수단이 콘크롤부에 불꽃을 감지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불꽃을 감지하지 못하면 송풍수단에 의한 공기의 공급과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된 본체와, 외통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끼워져 내통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된 내통과, 내통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부로 삽입되어 내통의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착됨과 더불어 버너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설치된 버너지지대와, 버너지지대의 버너바디안착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내통의 삽입부재안착부와 본체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끼워지는 벤츄리관을 갖춘 버너바디와, 버너바디의 상부에 안착되어 불꽃이 방사방향으로 퍼지도록 된 버너헤드와, 버너바디와 버너헤드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으도록 버너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일측면에는 버너바디의 벤츄리관을 수용하도록 벤츄리관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벤츄리관안내홈과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는 화염감지구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 상부에는 화로 또는 강열받침링으로 화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화로지지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염감지수단이 화염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설치되어 안정성 있게 화염을 감지할 수 있고, 산소혼합기를 갖춘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에 버너바디와 버너헤드를 장착하고 분해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통의 내통지지대에 장착된 내통과 버너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너헤드와 버너바디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한편, 화로지지대에 의해 버너바디와 버너헤드를 수용하면서 불꽃을 중앙으로 모아서 화로의 불꽃 감지는 물론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배기필터수단이 외통의 하부에 계단진 플랜지를 갖춘 배기필터수단설치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외통의 제작이 간편하게 되는 한편, 외통과 배기필터수단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 배기필터수단을 구성하는 나비댐퍼의 상부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배기필터수단을 설치하기 용이함은 물론, 휠터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어 기름 찌꺼기등을 용이하게 걸러서 모을 수 있음으로 매우 위생적이고 오염이 적게 되는 한편, 내통에 버너지지대가 안착되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고 버너지지대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어 내통에 버너지지대를 매우 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버너지지대의 수용부에는 버너점화기에 의해 점화된 화염이 들어오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등각도로 복수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불꽃의 점화가 용이하게 되며, 수용부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버너바디안착부가 설치되어 버너바디의 하부로 돌출된 위치결정돌기와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통지지대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내통지지대수납용 덮개를 들어올리면 외통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하부의 배기필터수단을 구성하는 나비댐퍼와 휠터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등록 제10-1092687호는, 고기를 구울때 흘러내리는 기름에 의해 버너의 화염출구가 막혀서 매우 지저분하게 되어 청소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고기를 구울때 흘러내린 기름을 청소하려면 화로지지대와 버너헤드, 버너바디 및 버너지지대를 분해해서 제거해야만 내통을 들어올려 청소할 수 있어서 청소시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통을 외통에 조립할 때 외통에 조립된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와 내통의 삽입부재안착부와 일치시켜 조립하게 되는바, 이때 버너바디벤츄리관용 삽입부재와 삽입부재안착부의 간극이 발생해서 공기가 유입됨과 더불어 가스가 유출되어 화재가 발생하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 외통에 설치된 화염감지수단과 내통의 투시경 및 화로지지대의 화염감지구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해야 하지만 조립시 각각의 위치가 틀어져서 화염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조립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2687호 발명의 명칭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기를 구울 때 별도로 숫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만 하면 불꽃감지가 용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는, 가스를 이용하여 버너조립체로 불꽃을 토출하여 가열하되, 상기 내통의 상부로 돌출된 위치결정핀으로 끼워지되, 하부면이 내통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중앙으로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방열판받침대와, 상기 방열판받침대의 상부에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가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돔부 내측에 밀착되도록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지는 나사못과 너트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복수개가 겹쳐져서 용접된 방열판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는, 상기 방열판받침대는, 환원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관통구멍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관통형성된 불꽃감지구멍과,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변 바닥면에 형성되어 버너연결유니트의 위치결정핀이 끼워지면 상기 불꽃감지구멍과 내통의 투시부가 외통의 불꽃감지수단과 함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는, 상기 돔의 상부 일측에 취부걸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에 의하면, 고기를 구울 때 별도로 숫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함 물론, 조립만 하면 불꽃감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점화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4는 도 1의 방열판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외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1의 버너배기관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의 평면도,
도 12는 도 8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버너배기관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평면도,
도 18은 도 15의 좌측면도,
도 19는 도 14의 버너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당의 테이블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 소정위치에 내부를 감지하도록 불꽃감지수단(1110)이 설치될 뿐만 아니라, 축중심 하부에는 나비댐퍼(1120)가 설치된 외통(1100)과, 이 외통의 일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공기조절수단(1210)과 가스조절수단(1220) 및 점화수단(12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콘트롤부(1200)와, 이 콘트롤부와 연결되어 콘트롤부를 제어 조작하도록 되면서 테이블본체에 설치된 조작부(1300)와,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200)로부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도록 된 버너연결유니트(1400)와, 이 버너연결유니트에 끼워져 가스가 공급되면 점화부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도록 된 버너조립체(1500)와, 상기 외통(1100)의 축중심에 설치됨과 더불어 불꽃감지수단(1110)과 동일선상에 투시부(1610)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내통(1600)과, 이 내통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열판조립체(1700)와, 상기 콘트롤부(1200)로부터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본체(10)의 상판(11)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1600)과 배기링(20) 및 외통(1100)과 나비댐퍼(1120)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테이블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필터수단(18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300)를 조작하여 콘트롤부(1200)에서 점화하게 되면 버너연결유니트(1400)로 조립된 버너조립체(1500)로 분출되는 가스에도 점화되어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를 가열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통(1600)의 상부에 거치한 석쇠(30)를 가열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석쇠(30)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등은 배기링(20)을 통해 상기 외통(1100)과 내통(1600)의 사이로 형성된 유로와 외통(1100)과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사이로 형성된 유로 및 나비댐퍼(1120)를 통해 배기필터수단(18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1100)은, 상기 콘트롤부(1200)가 설치쪽이면서 외통과 연통되도록 용접된 4각브라켓(1130)의 일측면에 절취부(1131)가 형성되고, 이 절취부의 주변에는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1132)이 형성되며, 외통의 내벽면에 축방향과 평행하게 핀부재(1141)와 브라켓(1142)로 이루어진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부(1131)에는 점화수단(1230)을 구성하는 브라켓(1231)이 4각브라켓(1130)의 측면에서 나사못으로 고정되어 점화수단(1230)에 이상이 있을 때 나사못을 제거하여 상기 브라켓(1231)에 고정된 점화부재(1232)를 간단히 점검할 수 있다.
즉, 점화부재(1232)가 고장났을 때 상기 외통(1100)을 테이블본체(10)에서 분해하지 않고서도 상기 점화부재(1232)가 고정된 브라켓(1231)을 브라켓(1231)에서 분해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점검 및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는, 상부면에는 중심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위치결정핀(1413)이 구비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버너조립체안착부(1414)를 갖춘 내통안착부재(1410)와, 이 내통안착부재와 연통됨과 더불어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맞춰지면서 외통(1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은 하지 못하고 외통(1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외통조립부(1423)를 갖춘 4각관 형태의 가스공급연결부재(14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공급연결부재(1420)의 단부에 형성된 외통조립부(1423)가 외통(1100)의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져 외통의 축방향으로는 착탈가능하면서 외통에 조립된 상태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위치결정핀(1413)에 의해 상기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가 일정한 위치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외통(1100)에 설치된 불꽃감지수단(1110)이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통해서 버너조립체(1500)에서 토출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위치결정핀(1413)에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끼워야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위치결정핀(1413)에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조립는 자체가 불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정렬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내통안착부재(1410)는, 원통형의 수용부(1411a)와 바닥면에 연통구멍(1411b)를 갖는 수용부재(1411)와, 이 수용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주연부(1412)와, 이 주연부의 상부에 중심축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위치결정핀(1413)과,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버너조립체(1500)의 버너바디(1510)를 안착시키도록 된 버너조립체안착부(14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주연부(1412)에 내통(1600)이 안착됨과 더불어 위치결정핀(1413)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끼워져 조립되게 된다.
상기 버너조립체안착부(1414)는 버너바디(1510)가 회전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복수개의 안착구멍(1414a)과 정지홈(141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조립체(1500)를 구성하는 버너바디(1510)의 하부로 돌출된 안착돌기(1511)가 안착구멍(1414a)과 정지홈(1414b)에 안착된다.
또 상기 가스공급연결부재(1420)는, 상기 연통구멍(1411b)을 형성한 수용부재(1411)와 연통되도록 조립된 ㄷ자 형상의 상부브라켓(1421)과, 이 상부브라켓과 하부에서 조립되어 4각형상의 관부재를 이루도록 된 ㄷ자 형상의 하부브라켓(1422)과, 상기 상부브라켓 또는 하부브라켓의 단부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맞춰지면서 외통(1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은 하지 못하고 외통(1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외통조립부(1423)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외통(1100)에 걸려 지지되도록 된 스톱퍼(1424)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단부에 설치되어 버너바디(1510)의 벤츄리 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벤츄리지지부(1425)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양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브라켓에 떨어진 기름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된 넘침방지부재(142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브라켓(1421)에 설치된 외통조립부(1423)와 스톱퍼(1424)에 의해 외통(1100)의 일정한 위치에 가스공급연결부재(1420)가 안착되어 내통안착부재(1410)의 위치결정핀(1413)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버너조립체(1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이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내통안착부재(1410)를 통해 가스공급연결부재(1420)로 돌출되도록 벤츄리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타단은 원형부로 이루어진 버너바디(1510)와, 이 버너바디의 원형부에 안착되어 버너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부와 외주면을 통해 환형으로 분출되도록 된 버너헤드(15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형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1511)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바디(1510)의 안착돌기(1511)가 버너조립체(1500)에 구비된 내통안착부재(1410)에 형성된 안착구멍(1414a)과 정지홈(1414b)에 안착되어 조립된 상태로, 상기 버너바디(1510)의 벤츄리형상으로 가스가 공급되어 버너헤드(1520)를 통해 가스가 원형으로 분출되면서 상기 콘트롤부(1200)의 점화수단(1230)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면 버너헤드(1520)를 통해서 원형의 불꽃이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1600)은, 외주면 소정위치에 투시경이 조립된 투시부(161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내통안착부재(1410)에 안착되는 안착부(1620)가 구비되며, 이 안착부(1620)에는 상기 위치결정핀(1413)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위치결정핀끼움구멍(16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내통의 내부면 사이에 안착부(1620)보다 하부로 파여진 기름수용부(16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핀끼움구멍(1621)이 버너연결유니트(1400) 위치결정핀(1413)에 끼워져 조립되므로 상기 투시부(1610)가 상기 외통(1100)의 외주면에 설치된 불꽃감지수단(1110)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불꽃의 감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기름수용부(1630)에 모임 기름은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만을 제거하고 곧 바로 내통(1600)의 기름수용부(1630)에 모임 기름을 청소를 할 수 있어서 사용 후에 청소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통(1600)의 상부로 돌출된 위치결정핀(1413)으로 끼워지되, 하부면이 상기 내통의 안착부(1620)에 안착되어 중앙으로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방열판받침대(1710)와, 이 방열판받침대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가 돔(1721)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172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돔(1721)의 일측에 취부걸이(1723)가 구비된 방열판(1720)과, 상기 방열판의 돔부 내측에 밀착되도록 나사못(1741)과 와셔(1742) 및 너트(1743)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복수장이 겹쳐져서 용접된 방열판망(17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받침대(1710)는, 원형의 수용부(1711)와, 이 수용부의 바닥중앙에 형성되어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관통구멍(1712)과, 상기 수용부(1711)의 외측면에 관통형성된 불꽃감지구멍(1713)과, 상기 수용부(1711)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변 바닥면에 등간격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위치결정핀(1413)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위치결정구멍(17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판받침대(1710)의 위치결정구멍(1714)을 내통(1600)의 상부로 끼워진 버너연결유니트(1400)의 위치결정핀(1413)에 맞추어 조립만하게 되면 상기 불꽃감지구멍(1713)이 내통(1600)의 투시부(1610)와 외통(1100)의 불꽃감지수단(111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불꽃의 감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를 도 13 내지 도 20를 참조로 설명하고, 1실시예와 중복되는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1000)는, 식당의 테이블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 소정위치에 내부를 감지하도록 불꽃감지수단(1110)이 설치될 뿐만 아니라, 축중심 하부에는 나비댐퍼(1120)가 설치된 외통(1100)과, 이 외통의 일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공기조절수단(1210)과 가스조절수단(1220) 및 점화수단(12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콘트롤부(1200)와, 이 콘트롤부와 연결되어 콘트롤부를 제어 조작하도록 되면서 테이블본체에 설치된 조작부(1300-1)와,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콘트롤부(1200)로부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도록 된 버너연결유니트(1400-1)와, 이 버너연결유니트에 끼워져 가스가 공급되면 점화부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도록 된 버너조립체(1500-1)와, 상기 외통(1100)의 축중심에 설치됨과 더불어 불꽃감지수단(1110)과 동일선상에 투시부(1610)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내통(1600)과, 이 내통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열판조립체(1700)와, 상기 콘트롤부(1200)로부터 공기와 가스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테이블본체(10)의 상판(11)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내통(1600)과 배기링(20) 및 외통(1100)과 나비댐퍼(1120)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의 사이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테이블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필터수단(18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300-1)를 조작하여 콘트롤부(1200)에서 점화하게 되면 버너연결유니트(1400-1)로 조립된 버너조립체(1500-1)로 분출되는 가스에도 점화되어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를 가열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통(1600)의 상부에 거치한 석쇠(30)를 가열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석쇠(30)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등은 배기링(20)을 통해 상기 외통(1100)과 내통(1600)의 사이로 형성된 유로와 외통(1100)과 버너연결유니트(1400-1)의 사이로 형성된 유로 및 나비댐퍼(1120)를 통해 배기필터수단(18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2실시예의 요부인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면에는 중심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위치결정핀(1413-1)이 구비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버너조립체안착부(1414-1)를 갖춘 내통안착부재(1410-1)와, 이 내통안착부재와 연통됨과 더불어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맞춰지면서 외통(1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은 하지 못하고 외통(1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외통조립부(1422-1)를 갖춘 4각관 형태의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의 단부에 형성된 외통조립부(1422-1)가 외통(1100)의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져 외통의 축방향으로는 착탈가능하면서 외통에 조립된 상태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위치결정핀(1413-1)에 의해 상기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가 일정한 위치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외통(1100)에 설치된 불꽃감지수단(1110)이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통해서 버너조립체(1500-1)에서 토출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1)의 위치결정핀(1413-1)에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끼워야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1)의 위치결정핀(1413-1)에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를 조립는 자체가 불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정렬하여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통안착부재(1410-1)는, 원통형의 수용부(1411a-1)를 갖으면서 바닥면은 밀폐된 수용부재(1411-1)와, 이 수용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주연부(1412-1)와, 이 주연부의 상부에 중심축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위치결정핀(1413-1)과, 상기 수용부재의 수용부 내주면에 설치되어 버너조립체(1500-1)의 버너바디(1510-1)를 안착시키도록 된 버너조립체안착부(1414-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주연부(1412-1)에 내통(1600)의 안착부(1620)이 안착됨과 더불어 위치결정핀(1413-1)에 내통(1600)의 위치결정핀끼움구멍(1621)이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 내통(1600)이 조립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는, 상기 내통안착부재(1410-1)의 외주면 양측에서 내통안착부재의 축방향에 4각관 형태로 수직하게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안착부재(1410-1)의 폐쇄된 바닥면과 버너조립체안착부(1414-1)가 설치된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1411a-1)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4각관부재(1421-1)와, 이 4각관부재의 단부 양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1140)에 끼워맞춰지면서 외통(1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은 하지 못하고 외통(1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외통조립부(1422-1)와, 상기 4각관부재(1421-1)의 단부 상측에서 돌출되어 외통(1100)에 걸려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되는 스톱퍼(1423-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가 내통안착부재(1410-1)의 외주면이면서 중간부분에 연통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내통안착부재(1410-1)의 수용부로 유입된 기름이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로 누출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영업중에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1)를 청소해야 하는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되고, 구조도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4각관부재(1421-1)에 설치된 외통조립부(1422-1)와 스톱퍼(1423-1)에 의해 외통(1100)의 일정한 위치에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가 안착되어 내통안착부재(1410-1)의 위치결정핀(1413-1)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내통(1600)과 방열판조립체(1700)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므로 조립이 잘못되는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버너조립체(1500-1)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너연결유니트(1400-1)의 가스공급연결부재(1420-1)로 일단이 돌출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버너연결유니트(1400-1)의 내통안착부재(1410-1)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벤츄리관(1511-1)과, 상기 벤츄리관의 상부에 가스켓(1512-1)과 체결수단(1514-1)을 매개로 밀착고정된 원형바디링(1513-1)으로 이루어진 버너바디(1510-1)와, 상기 원형바디링의 상부를 감싸도록 조립되어 벤츄리관(1511-1)으로 공급된 가스에 의해 불꽃이 원형바디링(1513-1)의 축중심으로 토출되도록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불꽃토출구멍(1522a-1)이 형성된 버너헤드(1520-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벤츄리관(1511-1)과 원형바디링(1513-1) 및 버너헤드(1520-1)에 의해 환형으로 공급된 가스가 상기 불꽃토출구멍(1522a-1)에 의해 원형바디링(1513-1) 및 버너헤드(1520-1)의 축중심으로 토출되게 되므로, 상기 방열판조립체(1700)를 통해 떨어진 기름이 불꽃토출구멍(1522a-1)을 막지 못하고 그대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화력이 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지속적인 사용에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바디링(1513-1)은, 소정위치에 벤츄리관(15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스유입구멍(1513a-1)과, 상부로 돌출된 외경부와 내경부에는 각각 계단진 걸림턱(1513b-1,1513c-1)이 형성되고,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된 상기 버너헤드(1520-1)의 외,내측림(1521-1,1522-1)이 상기 걸림턱(1513b-1,1513c-1)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헤드(1520-1)의 외,내측림(1521-1,1522-1)이 버너바디(1510-1)의 걸림턱(1513b-1,1513c-1)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고 조립되면서, 상기 내측림(1522-1)이 길게 하부로 내려와 상기 불꽃토출구멍(1522a-1)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불꽃이 버너헤드(1520-1)의 축중심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 상기 원형바디링(1513-1)의 하부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고, 이 돌기가 버너조립체안착부(1414-1)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끼워지게 되면, 상기 버너조립체(1500-1)가 버너조립체안착부(1414-1)에 안착될 때 회전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1100: 외통
1110: 불꽃감지수단 1130: 4각브라켓
1131: 절취부 1132: 체결구멍
1140: 버너연결유니트가이드부 1120: 나비댐퍼
1200: 콘트롤부 1210: 공기조절수단
1220: 가스조절수단 1230: 점화수단
1231: 브라켓 1232: 점화부재
1300,1300-1: 조작부 1400,1400-1: 버너연결유니트
1410,1410-1: 내통안착부재 1413,1413-1: 위치결정핀
1420,1420-1: 가스공급연결부재 1423,1422-1: 외통조립부
1500,1500-1: 버너조립체 1510,1510-1: 버너바디
1520,1520-1: 버너헤드 1522a-1: 불꽃토출구멍
1600: 내통 1610: 투시부
1620: 안착부 1621: 위치결정핀끼움구멍
1630: 기름수용부 1700: 방열판조립체
1710: 방열판받침대 1720: 방열판
1730: 방열판망 1800: 배기필터수단

Claims (3)

  1. 가스를 이용하여 내통의 중심에 설치된 버너조립체로 불꽃을 토출하여 가열하도록 된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중심상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위치결정핀으로 끼워져, 하부면이 내통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중앙으로 불꽃이 올라오도록 조립되되, 환원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중앙에 형성되어 불꽃이 올라오도록 된 관통구멍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서 관통형성된 불꽃감지구멍과,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변 바닥면에 등간격이 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에 설치된 버너연결유니트의 위치결정핀에 맞추어 내통이 상부로 끼워진 상태로 위치결정핀에 위치결정구멍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불꽃감지구멍과 내통의 투시부가 외통의 불꽃감지수단과 함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된 방열판받침대와,
    상기 방열판받침대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져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가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돔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축방향 중심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복수장으로 겹쳐져서 용접된 방열판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의 상부 일측에 취부걸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KR1020160178301A 2016-12-23 2016-12-23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KR10183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01A KR101835673B1 (ko) 2016-12-23 2016-12-23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01A KR101835673B1 (ko) 2016-12-23 2016-12-23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673B1 true KR101835673B1 (ko) 2018-03-07

Family

ID=6168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01A KR101835673B1 (ko) 2016-12-23 2016-12-23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214A (ja) 2000-05-25 2001-11-30 Tokyo Gas Co Ltd 輻射間接加熱バーナ
KR200339807Y1 (ko) * 2003-11-12 2004-01-31 우종찬 조리용 가스버너
JP2005291666A (ja) 2004-04-05 2005-10-20 Rinnai Corp 燃焼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214A (ja) 2000-05-25 2001-11-30 Tokyo Gas Co Ltd 輻射間接加熱バーナ
KR200339807Y1 (ko) * 2003-11-12 2004-01-31 우종찬 조리용 가스버너
JP2005291666A (ja) 2004-04-05 2005-10-20 Rinnai Corp 燃焼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2508C (en) Gas burner
KR101459370B1 (ko) 고기구이장치
KR101064050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909093B1 (ko)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버너조립체
KR101835673B1 (ko)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방열판조립체
KR200457245Y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101831144B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92687B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200457250Y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64456B1 (ko)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KR101815533B1 (ko)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JP2011133118A (ja) 廃油燃焼装置
TW201440707A (zh) 加熱調理器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JPH0956601A (ja) 調理器
JP3686904B2 (ja) ガス炊飯器
KR0134085Y1 (ko) 가스겸용 숯불구이 화덕용 버너
KR20100104512A (ko) 구이용 화덕장치
JP2002089844A (ja) 炭起こし器
JP5940000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2496218B1 (ko) 가스 버너
WO2008025783A2 (en) Stand-alone, low nox and low co, fvir, heating appliance with an easy maintenance
KR200392768Y1 (ko) 업소용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