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0693A1 -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 Google Patents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0693A1
WO2016190693A1 PCT/KR2016/005607 KR2016005607W WO2016190693A1 WO 2016190693 A1 WO2016190693 A1 WO 2016190693A1 KR 2016005607 W KR2016005607 W KR 2016005607W WO 2016190693 A1 WO2016190693 A1 WO 20161906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llet fuel
air
housing
air circulation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6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성
이선영
Original Assignee
김진성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이선영 filed Critical 김진성
Publication of WO20161906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06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returning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the combustion z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cycle the smoke generated while being ignited in the pellet fuel by the heat source of the heater bar and reuse it as an air source, thereby minimizing the emission of smok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to improve fuel efficiency.
  • a combustion system using fossil fuels such as gas, briquettes or petroleum as a main fuel source is used as a means for baking food materials such as meats including meat and fish, but a combustion system using fossil fuels wastes energy and environment.
  • fossil fuels such as gas, briquettes or petroleum
  • a combustion system using fossil fuels wastes energy and environment.
  • the problem of causing pollution problems has been highlighted, and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replace the combustion system using a natural fuel source instead of fossil fuel.
  • the initial combustion of the pellet fuel 1 is carried out by stacking sawdust, paper, wood chips, etc. in the lower part of the fire box 30, and then lighting the user there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and the inconvenience for the initial ignition.
  • the pellet fuel 1 supplied tends to accumulate in only one place, and thus there is a drawback phenomenon during heat transfer or heat transfer is not performed smoothly.
  • the smoke generated by the ignition of the pellet fuel is blown out of the pellet fuel burning devic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ood ingredients, impairing the taste of the food and not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and when the pellet fuel burning device is used indoo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scomfort caus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install an air circulation device inside the housing of the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to generate smoke by sucking and circulating the smoke generated when the pellet fuel is ignited It is to provide an air-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that can minimize food consumption and to cook food comfortably in the room and maximize combus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circulation of air.
  • the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ellet fuel while the heating of the heater bar
  • a burner ignited by the air
  • an air circulator for sucking and circulating smoke generated when the pellet fuel contained in the burner is ignited and an oil containe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collect oil generated from meat It may include.
  • the air suction duc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 the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ellet fue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It may include an air circulation passage to allow the air to circulate with the ignited smoke.
  • the air suction duc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air dust collecting uni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air suction duct.
  • the air suction duct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ut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urner provided in the housing.
  • the circulation fan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 the air circulation passag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penetrate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air is circula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 the oi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 the pellet fuel contained in the pellet supply portion falls into the burner and the pellet fuel is ignited by the heat of the heater bar to ignite and ignited, the burner Inhaling the smoke generated by the pellet fuel ignition 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Discharging the smoke sucked by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the air circulation passage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Pell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Circulating smoke generated in the fuel within the housing to minimize emissions to the exterior of the housing.
  • the step of inhaling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ignition of the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when the pellet fuel is igni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bar and the pellet fuel is ignited to generate the smoke. Smoke may be sucked into the air intake duct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air circulation passage
  •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 it is discharged into the air suction duct again by the circulation fan to be circulated.
  • the air circulation device for circulating the air by the circulation fan in the housing in which the burner is installed so that the pellet fuel can be fired
  • the circulation fan By installing the circulation fan, the air is sucked into the pelletized fuel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ng fuel and the air is sucked into the air circulation system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and circulated, thereby minimizing the discharge of the smoke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ignition of the pellet fuel supplied to the burner is sucked 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and circulated so that the smok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od ingredients and thus deteriorate the taste of the foo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bus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ellet fuel.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mbustion system using a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rner of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mbustion method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pellet fuel 100 housing
  • blower 313 heater bar insert
  • air circulation passage 740 air dust collector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a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a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5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ir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nd
  •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irculating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mbustion method using pellet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irculation combustion system using pellet fuel includes a housing 100 constituting a body, a combustion chamber 20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The burner 300 moun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0 and the pellet fuel 1 is ignited, a pellet supply unit 400 for supplying the pellet fuel 1 to the burner 300, and the burner ( Heater bar 500 to ignite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300 and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burner 300 by the heater bar 500 to smoothly ignite the air Air blowing unit 600 for blowing the air, an air circulation device 700 for circulating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ignition of the pellet fuel (1)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0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fuel (1) to transfer the heat to cook food such as meat This part 800 and the oil container 900 to collect the oil flowing out of the meat during cooking by heat transfer as well as to be recycled as a fuel source.
  • the burner 300 As illustrated in FIGS. 6 to 7, the bur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outer container 310 to which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blowing unit 600, and inside the outer container 310.
  • the pellet fuel 1 i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400 to include an inner container 320 to ignite.
  • the burner 300 has an air circulation space 311 formed inside, that is, between the outer container 310 and the inner container 320.
  • An air outlet 312 is formed at a side of the outer container 310 so that the inlet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ner air of the housing 100 are circulated by the air blower 600 to be supplied to the air circulation space 311.
  • the heater bar insertion unit 31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310 so that the heater bar 500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circulation space 311.
  • the inner container 320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310, but the upper end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310, the outer air by the air blower 600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let pellets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air to circulate for smooth ignition of the fuel 1.
  • the burner 300 i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0, but the blower 31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blower 600, so that the external air blowe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er 600.
  • the 312 is introduced into the air circulation space 311 and circulated through the through-hole 321 it is possible to smoothly ignite the pellet fuel (1)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320,
  •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20 is formed with a heat supply unit 322 for supplying a heat source into the inner container 320 to ignite the pellet fuel (1).
  • the pedestal 3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20,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upply unit 322, but is installed in plural on both upper sides of the heat supply unit 322.
  • the heater bar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supply part 322 of the inner container 320 through the heater bar inserting portion 313 to ignite the pellet fuel 1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320. Will be installed.
  • the cover 340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ner container 320 to cover the heater bar 500.
  • the cover 34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eat supply unit 322 is mounted on the pedestal 330.
  • the cover 340 is installed on the pedestal 330,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340 is installed so that the space portion 341 is formed.
  • the height of the cover 340 is formed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 330 so that the space portion 34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320 and the cover 340.
  •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includes an air suction duct 710, a circulation fan 720, an air circulation passage 730, and air.
  • the dust collector 740 will be included.
  • the air suction duct 710 is installed above the housing 100, but is installed above the burner 300 provided in the housing 100.
  • the air suction duct 71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located above the burner 300 so that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burner 300 is the combustion chamber 200. As it spreads insid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 the circulation fan 7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fan 720.
  • the circulation fan 720 is sucked and circulated inside the air suction duct 710 when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is sprea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0 while being rotated by an electrical signal.
  •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0 to suck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in the air suction duct 710 to circulate combustion while discharging into the housing 100. Will be.
  •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allows the air to be circula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00 and reburn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 the circulation is repeated while the air is sucked into and discharg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suction duct 730 together with the smoke generated as the pellet fuel 1 is igni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And reburned.
  • the air dust collecting part 74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but the air suction duct 71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 the air dust collecting unit 740 is filled with water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moke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duct 710, and only the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 the oil container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housing 100, but is detachably installed for smooth discharge of oil.
  • the pellet fuel (1) is ignited to ignite (S100) and the pellet fuel (1) the step of inhaling the smoke generated by the ignition in the air circulation (700) (S200), the step of discharging the smoke sucked into the air circulation (700) (S300), and the air circulation (
  • the operation of 700 will include the step (S400) of circulat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pellet fuel (1).
  • the pellet fuel 1 accommodated in the pellet supply unit 400 falls into the burner 300, and the burner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100.
  • the pellet fuel 1 is ignited by the heat of the heater bar 500 installed in the 300 is ignited.
  • step (S200) of sucking the smoke generated by the ignition of the pellet fuel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the pellet fuel supplied to the burner 300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bar 500 ( 1) is ignited and ignited and pellet fuel (1) is ignited to generate smoke.
  •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is not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chamber 200 outside the air suction duct 710 is sucked into.
  • the suctioned duct 710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combustion chamber 200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burner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burner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 the air is sucked into the air intake duct 710 and discharged into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to circulate in the housing 100 to minimize the discharge of smok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the smoke generated in the pellet fuel 1 is discharged into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while being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and circulated (S400), the circulation fa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by the operation of the 720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and is discharg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again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As a result of being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and circulated.
  • the burner 300 and the heater bar 500 ar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00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pellet fuel 1 supplied to the burner 300 through the pellet supply unit 400 is the heater bar 500. It will ignite by ignition.
  • the pellet fuel (1) accommodated in the pellet supply unit 400 is supplied into the burner 300, the heater bar 500 is heated by the power supply to heat the pellet fuel (1) accommodated in the burner 300 This is delivered and the pellet fuel 1 is ignited.
  • the smoke sucked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is discharged back to the combustion chamber 200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air circulation cylinder 710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700 is sucked back into the air suction duct 7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720 and passes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730. The discharge process is repeated.
  •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pellet fuel 1 is operated by the circulation fan 720.
  • the ignition smoke of the pellet fuel 1 is circulated in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Emissions can be minimiz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바의 열원에 의해 펠릿연료에서 발화되면서 발생된 연기를 재순환시켜 공기공급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연기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펠릿연료가 수용되면서 히터바의 발열에 의해 발화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수용되는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빨아들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은, 펠릿공급부에 수용된 펠릿연료가 버너로 떨어지면서 히터바의 발열에 의해 펠릿연료가 점화되어 발화되는 단계와, 상기 버너에 공급된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된 연기를 순환팬의 작동으로 공기순환통로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기순환장치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에서 발생된 연기를 하우징 내에서 순환시켜 하우징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본 발명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바의 열원에 의해 펠릿연료에서 발화되면서 발생된 연기를 재순환시켜 공기공급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연기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어류를 포함한 육류 등과 같은 음식재료를 굽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 연탄 또는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연소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사용한 연소시스템은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문제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어 최근에는 화석연료 대신에 자연 친화적인 연료원을 사용한 연소시스템으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펠릿연료 버닝장치(pellet fuel burning device)에 관한 "미국등록특허 US6,223,737호에서는 모터(78) 및 기어(79)에 의해 회전하는 오거장치(70)에 호퍼(68)를 통해 옥수수 낱알과 같은 펠릿연료(1)가 투입되면, 오거장치(70)가 파이어 박스(30) 내에 장치된 펠릿버너장치(50)로 펠릿연료(1)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압력박스(82)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펠릿버너장치(5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펠릿연료(1)를 발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펠릿연료 버너장치는 톱밥, 종이 및 목재조각 등을 파이어 박스(30)의 하부에 쌓은 뒤 거기에 사용자가 불을 붙이는 등 수작업에 의해 펠릿연료(1)의 초기발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서 당해 초기발화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버너장치(50)가 커짐에 따라 공급된 펠릿연료(1)가 한곳에만 쌓이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열 전달시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펠릿연료(1)가 오거장치(70)를 통해 펠릿버너장치(50)로 투입되면서 발화되어질 때 펠릿연료(1)가 발화 시 불꽃과 함께 연기가 발생된다.
상기의 펠릿연료의 발화에 따라 발생된 연기는 펠릿연료 버닝장치 외부로 날아가면서 음식재료에 접촉되어 음식의 맛을 해치고 음식의 조리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펠릿연료 버닝장치를 실내에서 사용시 연기에 의해 불쾌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하우징 내부에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하게 되어 펠릿연료가 발화시 발생되는 연기를 빨아들여 순환시킴으로써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실내에서도 편안하게 음식을 구울 수 있으며 공기의 재순환에 따라 연소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펠릿연료가 수용되면서 히터바의 발열에 의해 발화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수용되는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빨아들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덕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연소챔버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순환팬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에서 발화된 연기와 함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흡입덕트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공기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덕트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버너의 상측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연소챔버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면서 순환팬의 작동으로 공기가 연소챔버 내로 순환될 수 있도록 연소챔버를 관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름수거통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양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방법에 있어서, 펠릿공급부에 수용된 펠릿연료가 버너로 떨어지면서 히터바의 발열에 의해 펠릿연료가 점화되어 발화되는 단계와, 상기 버너에 공급된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된 연기를 순환팬의 작동으로 공기순환통로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기순환장치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에서 발생된 연기를 하우징 내에서 순환시켜 하우징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연료의 발화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하는 단계는, 히터바의 발열로 펠릿연료가 점화되면서 발화되고 펠릿연료가 발화되어 연기가 발생되어질 때 순환팬의 작동으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연료에서 발생된 연기가 흡입되면서 공기순환통로로 배출되고 순환되는 단계는, 순환팬의 작동으로 펠릿연료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되고 공기순환통로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되면서 다시 순환팬에 의해 공기흡입덕트 내부로 흡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에 따르면, 펠릿연료가 공급되면서 발화될 수 있도록 하는 버너가 설치된하우징 내부에 순환팬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순환팬의 작동으로 펠릿연료에서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함께 공기가 공기순환장치 내부로 흡입되면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의 연기 배출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에 공급된 펠릿연료의 발화시 발생된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빨아들여 순환시키게 되어 음식재료에 연기가 접촉되지 않아 음식의 맛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펠릿연료 100 : 하우징
200 : 연소챔버 300 : 버너
310 : 외부용기 311 : 공기순환공간
312 : 송풍구 313 : 히터바삽입부
320 : 내부용기 321 : 통공
322 : 열공급부 330 : 받침대
340 : 덮개 341 : 공간부
400 : 펠릿공급부 500 : 히터바
600 : 공기송풍구 700 : 공기순환장치
710 : 공기흡입덕트 720 : 순환팬
730 : 공기순환통로 740 : 공기집진부
800 : 구이부 900 : 기름수거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챔버(200)와, 상기 연소챔버(200) 내에 장착되며 펠릿연료(1)의 발화가 이루어지는 버너(300)와, 상기 버너(300)에 펠릿연료(1)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공급부(400)와, 상기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바(500)와, 상기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를 히터바(500)에 의해 발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송풍부(6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펠릿연료(1)의 발화시 발생되는 연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장치(700)와, 상기 연소챔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펠릿연료(1)의 열을 전달받아 육류 등 음식물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구이부(800) 및 열 전달에 의한 조리시 육류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을 수거함은 물론 연료원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름수거통(900)을 포함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너(300)는, 공기송풍부(60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외부용기(310)와, 상기 외부용기(3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펠릿공급부(400)로부터 펠릿연료(1)가 공급되어 점화되는 내부용기(3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버너(300)는 내측 즉 외부용기(310)와 내부용기(320) 사이에 공기순환공간(3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용기(310)의 측면에는 공기송풍부(600)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 및 하우징(1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순환공간(31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구(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310)의 후면에는 히터바(500)가 공기순환공간(31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313)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320)는 외부용기(310) 내측에 설치되되 상단부가 외부용기(310)의 상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외주면과 하단면에 공기송풍부(600)에 의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펠릿연료(1)의 원활한 점화를 위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통공(32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소챔버(200)에 버너(300)가 설치되되 공기송풍부(600)에 송풍구(312)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기송풍부(600)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송풍구(312)를 통해 공기순환공간(311)으로 유입되고 통공(321)을 통해 순환되어 내부용기(320)로 수용되는 펠릿연료(1)의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320)의 내부 바닥면에는 펠릿연료(1)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용기(320) 내로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부(32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320)의 바닥면 상부 즉 열공급부(322)의 상부에 받침대(330)가 설치되되 열공급부(322)의 양쪽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히터바(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용기(320)에 수용되는 펠릿연료(1)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히터바삽입부(313)를 통해 내부용기(320)의 열공급부(322)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내부용기(320)의 내부 바닥에는 히터바(50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34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덮개(340)는 열공급부(322)의 상부에 설치되되 받침대(330)에 장착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340)는 받침대(330)에 설치되되 내부용기(320)의 바닥면과 덮개(340)의 하부면이 떨어지게 설치되어 공간부(34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330)의 높이 보다 덮개(340)의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내부용기(320)와 덮개(340) 사이에 공간부(341)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700)는, 공기흡입덕트(710)와, 순환팬(720)과, 공기순환통로(730)와, 공기집진부(74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덕트(710)는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버너(30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공기흡입덕트(7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연통되고 버너(300)의 상측에 위치되어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연소챔버(200) 내로 퍼지면서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빨아들이게 된다.
상기 순환팬(72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순환팬(72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되면서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가 연소챔버(200) 내에 퍼질 때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연기를 흡입 및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순환통로(730)는 연소챔버(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를 공기흡입덕트(710)에서 흡입하면 하우징(100) 내부로 배출하면서 순환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통로(730)는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가 연소챔버(200) 내로 순환되고 재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순환팬(720)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1)가 발화되면서 발생된 연기와 함께 공기가 공기흡입덕트(7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순환 및 재연소되어지게 된다.
상기 공기집진부(7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흡입덕트(710)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집진부(740)는 내부에 물이 채워져 공기흡입덕트(710)를 통해 흡입되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고 정화된 공기만 공기순환통로(73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름수거통(9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되 기름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방법에 있어서, 펠릿연료(1)가 점화되어 발화되는 단계(S100)와, 상기 펠릿연료(1)가 발화되면서 발생된 연기를 공기순환장치(700)에서 흡입하는 단계(S200)와,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에 흡입된 연기를 배출시키는 단계(S300)와,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의 작동으로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를 순환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연료(1)가 점화되어 발화되는 단계(S100)는, 펠릿공급부(400)에 수용된 펠릿연료(1)가 버너(300)로 떨어지면서 하우징(100) 내부 바닥의 버너(300)에 설치된 히터바(500)의 발열에 의해 펠릿연료(1)가 점화되어 발화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연료(1)의 발화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700)에서 흡입하는 단계(S200)는, 히터바(500)의 발열로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가 점화되면서 발화되고 펠릿연료(1)가 발화되어 연기가 발생되는데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의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연기가 연소챔버(2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흡입덕트(710) 내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장치(700)에 흡입된 연기를 배출시키는 단계(S300)는,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를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순환장치(700)의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며 흡입된 연기를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순환통로(730)를 통해 연소챔버(200)로 다시 배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를 순환시키는 단계(S400)는,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의 작동에 따라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를 공기흡입덕트(710)로 흡입되고 공기순환통로(730)로 배출시키면서 하우징(100) 내에서 순환시켜 하우징(100) 외부로 연기의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펠릿연료(1)에서 발생된 연기가 공기흡입덕트(710)로 흡입되면서 공기순환통로(730)로 배출되고 순환되는 단계(S400)는,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의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펠릿연료(1)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공기흡입덕트(710)로 흡입되고 상기 공기순환통로(7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배출되면서 다시 순환팬(720)의 작동에 의해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어 순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하우징(100)의 연소챔버(200) 내에 버너(300)와 히터바(500)를 설치하여 펠릿공급부(400)를 통해 버너(300)로 공급되는 펠릿연료(1)가 히터바(500)에 의해 점화되면서 발화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펠릿공급부(400)에 수용된 펠릿연료(1)가 버너(300)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바(500)가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면서 버너(300)에 수용된 펠릿연료(1)에 열이 전달되어 펠릿연료(1)가 점화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히터바(500)의 발열에 따라 펠릿연료(1)가 점화되면서 발열되어질 때 펠릿연료(1)로부터 연기가 발생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가 발화되어질 때 상기 순환팬(720)이 작동되어짐에 따라 펠릿연료(1)의 발화로 발생된 연기가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는 연기는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순환통로(730)를 통해 연소챔버(200)로 다시 배출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장치(700)의 공기순환통(710) 내부를 통과한 연기가 순환팬(720)의 작동에 따라 다시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고 공기순환통로(730)를 거쳐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버너(300)에 공급된 펠릿연료(1)가 히터바(500)의 발열에 의해 점화되고 발화되어질 때 펠릿연료(1)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순환팬(720)의 작동으로 공기흡입덕트(710) 내부로 흡입되고 공기순환통로(73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펠릿연료(1)의 발화 연기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순환되어 하우징(100)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펠릿연료가 수용되면서 히터바의 발화에 의해 발화되는 버너;
    상기 버너에 수용되는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빨아들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모여지는 기름수거통;
    을 포함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흡입덕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 및
    상기 연소챔버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순환팬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에서 발화된 연기와 함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통로;
    를 포함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덕트는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되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버너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연소챔버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면서 순환팬의 작동으로 공기가 연소챔버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연소챔버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흡입덕트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공기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수거통은 하우징 내부의 양쪽에 설치되되 기름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8.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방법에 있어서,
    펠릿공급부에 수용된 펠릿연료가 버너로 떨어지면서 히터바의 발열에 의해 펠릿연료가 점화되어 발화되는 단계;
    상기 버너에 공급된 펠릿연료가 발화되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하는 단계;
    상기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된 연기를 순환팬의 작동으로 공기순환통로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공기순환장치의 작동에 따라 펠릿연료에서 발생된 연기를 하우징 내에서 순환시켜 하우징 외부로의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연료의 발화시 발생되는 연기를 공기순환장치에서 흡입하는 단계는, 히터바의 발열로 펠릿연료가 점화되면서 발화되고 펠릿연료가 발화되어 연기가 발생되어질 때 순환팬의 작동으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연료에서 발생된 연기가 흡입되면서 공기순환통로로 배출되고 순환되는 단계는, 순환팬의 작동으로 펠릿연료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공기흡입덕트로 흡입되고 공기순환통로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되면서 다시 순환팬에 의해 공기흡입덕트 내부로 흡입되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방법.
PCT/KR2016/005607 2015-05-27 2016-05-27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WO20161906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57 2015-05-27
KR1020150073957A KR101823535B1 (ko) 2015-05-27 2015-05-27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693A1 true WO2016190693A1 (ko) 2016-12-01

Family

ID=5739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607 WO2016190693A1 (ko) 2015-05-27 2016-05-27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3535B1 (ko)
WO (1) WO2016190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79B1 (ko) * 2017-12-27 2018-06-22 (주)크린바이오 음식물 탄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041A (ko) * 2003-01-04 2004-07-12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100752761B1 (ko) * 2006-12-19 2007-08-29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20100052584A (ko) * 2008-11-11 2010-05-20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101151174B1 (ko) * 2011-05-31 2012-06-01 주식회사 상천 펠릿보일러용 연소기
KR101170386B1 (ko) *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71B1 (ko) 2007-12-28 2008-11-18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442753B1 (ko) * 2013-04-16 2014-09-23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숯불 로스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041A (ko) * 2003-01-04 2004-07-12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100752761B1 (ko) * 2006-12-19 2007-08-29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20100052584A (ko) * 2008-11-11 2010-05-20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KR101151174B1 (ko) * 2011-05-31 2012-06-01 주식회사 상천 펠릿보일러용 연소기
KR101170386B1 (ko) *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535B1 (ko) 2018-01-30
KR2016013931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82922A1 (ko) 캠핑용 화목
WO2013127067A1 (zh) 一种不易扬灰的炉具
JP5903182B1 (ja) 無煙焼却炉及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
CN106839039A (zh) 灶具环保复合新风系统
WO2016190693A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CN206803262U (zh) 灶具环保复合新风系统
WO2016190692A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WO2015102267A1 (ko) 축열식 벽난로 보일러
WO2010002203A1 (en) Roaster
WO2015068938A1 (ko) 고체연료 보일러
WO2021251605A1 (ko) 가연성 물질 연소기
CN212377982U (zh) 一种高温燃烧的垃圾焚烧炉
CN209116341U (zh) 一种火化机助燃装置
CN218936353U (zh) 一种燃烧充分的焚烧炉
CN212390349U (zh) 侧面下排烟的生物质燃烧炉
WO2013111929A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CN219494120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15909057U (zh) 一种垃圾焚烧锅炉炉体
CN216898406U (zh) 一种陶瓷窑炉预热循环机构
CN219756347U (zh) 一种燃气燃烧室内腔结构
CN213746699U (zh) 一种节能环保型生物质颗粒炉
CN108548189A (zh) 一种新型节能环保垃圾焚烧炉
CN105444153B (zh) 一种燃烧炉
CN216079769U (zh) 基于气化内胆的节能型生物质颗粒燃烧炉
CN210128369U (zh) 一种取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03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003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