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53B1 - 숯불 로스터 - Google Patents

숯불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53B1
KR101442753B1 KR1020130041426A KR20130041426A KR101442753B1 KR 101442753 B1 KR101442753 B1 KR 101442753B1 KR 1020130041426 A KR1020130041426 A KR 1020130041426A KR 20130041426 A KR20130041426 A KR 20130041426A KR 101442753 B1 KR101442753 B1 KR 10144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rcoal
ionizer
hous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Priority to KR102013004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연기에 포함된 미세 연소재에 대한 제거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덕트부의 내벽면에 상기 연소재의 쌓임이나 기름성분의 쌓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덕트부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로스터로 재 순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숯불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부는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구비되면서 숯통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숯통 안착부; 조리물의 조리 영역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하우징의 저부 공간으로 재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공기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동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과 연기 및 기름 성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 중의 입자를 +극으로 하전하는 이오나이저와, 상기 이오나이저의 양측 또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이오나이저를 통과하면서 +극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도록 -극을 이루는 집진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로스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숯불 로스터{Roasting device using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숯불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덕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숯불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의 외부 배출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연기 및 냄새 성분을 제거한 후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숯불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 로스터라 함은 숯불의 연소를 위한 숯통이 수용되면서 해당 숯통 내로 외부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한 숯불 로스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숯통의 안착을 위한 숯통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는 연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덕트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내의 숯통 안착부에 숯통이 안착된 상태에서 숯불 구이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숯통 안착부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숯불 구이 도중 발생된 연기 및 냄새는 상기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숯불 로스터는 상기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연기에 다량의 냄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음식점을 지나는 보행자에게 많은 불쾌감을 제공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에는 상기 조리물로부터 발생된 기름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한 기름 성분이 상기 덕트의 내벽면에 쌓임으로써 관로의 막힘에 따른 우려가 존재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덕트 내벽면에 쌓인 기름 성분들로 인한 악취 발생이 우려된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0378209호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통로 상에는 연기나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수단을 구비하여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연기나 냄새가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순환하며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순환구조를 구비한 전기 로스터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로스터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숯불 로스터와 같이 숯불을 연소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는 구조가 아닌 전기 히터의 발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숯의 연소시 발생되는 미세한 연소재의 제거를 위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상기한 연소재로 인한 필터의 막힘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한 미세 연소재의 경우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탈취필터와 오존 발생기를 통과하더라도 순환되는 공기 내에 여전히 포함됨으로써 조리물에 상기 미세 연소재가 묻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필터 수단은 탈취제나 오존 발생기 및 음이온 발생기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미세 연소재의 제거에는 아무런 효과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숯불 로스터에의 적용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연기에 포함된 미세 연소재에 대한 제거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덕트부의 내벽면에 상기 연소재의 쌓임이나 기름성분의 쌓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덕트부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로스터로 재 순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숯불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 로스터에 따르면 외관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부는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구비되면서 숯통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숯통 안착부; 조리물의 조리 영역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하우징의 저부 공간으로 재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공기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동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과 연기 및 기름 성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 중의 입자를 +극으로 하전하는 이오나이저와, 상기 이오나이저의 양측 또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이오나이저를 통과하면서 +극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도록 -극을 이루는 집진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숯통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숯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숯통 안착부의 각 부위 중 상기 안착구가 형성된 부위의 둘레측 부위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저부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안착구에 안착되는 숯통을 통과하는 공기와는 구획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보조 공기 통과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공기 유입측 혹은, 상기 집진판의 공기 유출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면서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하니콤 형상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필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의 이오나이저와 집진판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숯불 로스터는 덕트부가 하우징 내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시 발생된 연소재 및 냄새 성분이 실외로 배출되어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켰던 종래의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덕트부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연소재와 냄새 성분은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된 필터링부에 의해 온전히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미세 연소재로 인한 덕트부의 막힘은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숯통 안착부에는 보조 공기 통과부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지속적인 순환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필터링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숯불 로스터를 이루는 송풍팬 어셈블리의 동작시 공기의 흐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숯불 로스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는 크게 하우징(100)과, 숯통 안착부(300)와, 덕트부(400)와, 송풍팬 어셈블리(500)와, 필터링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0)의 상단 둘레에는 테이블(탁자)(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테두리부(110)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테이블(1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내측에는 상부 덮개(2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덮개(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하는 부위임과 더불어 구이판(20)이 안착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상부 덮개(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둘레에 얹히는 테두리부(210)와, 중앙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220)의 중앙측 부위는 개구되게 형성됨으로써 숯통(30)이 상기 개구 부위를 통과하여 후술될 숯통 안착부(300)에 안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함몰부(220)의 상면 둘레측 부위는 구이판(20)이 안착되는 영역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숯통 안착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간에 구비되면서 숯통(30)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숯통 안착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숯통 안착부(300)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숯통(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숯통(30)은 상기 숯통 안착부(300)의 안착구(310)를 관통하여 그 일부가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를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숯통(30)의 저면 혹은,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공기의 통과를 위한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부(400)와 송풍팬 어셈블리(500) 및 필터링부(600)는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된 연기 및 연소재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다시금 상기 하우징(100) 내로 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부(400)는 조리물의 조리시 발생된 연기 및 연소재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관로(410) 및 상기 유동관로(410)의 공기 유입측인 상기 하우징(100)의 직상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유동관로(410)에 비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된 확장단(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0)는 상기 덕트부(400)를 이루는 유동관로(410)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공기 송풍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송풍팬(510) 및 팬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600)는 상기 덕트부(400)를 이루는 유동관로(410)의 관로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동관로(41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과 연기 및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부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링부(600)가 이오나이저(610) 및 집진판(62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 중의 연소재 및 기름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 이오나이저(610)는 상기 유동관로(41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각종 입자(연소재 혹은, 기름 성분)을 +극으로 하전하는 구성이고, 상기 집진판(620)은 상기 이오나이저(610)의 양측 또는, 상기 이오나이저(61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이오나이저(610)를 통과하여 +극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극을 이루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600)는 조리시 발생된 미세한 연소재와 냄새 성분 등을 최대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공기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오나이저(610)와 집진판(6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기에 함유된 미세 연소재의 더욱 원활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600)는 상기 이오나이저(610)의 공기 유입측 혹은, 상기 집진판(620)의 공기 유출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면서 하니콤(honeycomb) 형상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필터(6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필터(630)는 상기 순환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숯통 안착부(300)에 보조 공기 통과부(320)가 더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 보조 공기 통과부(320)는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양에 비해 숯통(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극히 작기 때문에 야기될 수 있는 공기 순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숯통 안착부(300)의 각 부위 중 상기 안착구(310)가 형성된 부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숯통(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과는 구획된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조 공기 통과부(320)의 추가적인 구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안착구(310)에 안착되는 숯통(30)을 통과하는 공기와는 구획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 내의 상부 공간으로 별도의 공기 유동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기 순환 불량이 야기될 우려가 해소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연소 상태의 숯이 담겨진 숯통(10)을 숯통 안착부(300)에 안착시킨 후 상부 덮개(200)의 함몰부(220)에 구이판(20)을 얹고 조리물의 조리를 시작하면 상기 구이판(20)에 얹힌 조리물은 상기 숯통(30) 내에서 연소되는 숯의 열기로 인해 조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상태에서는 숯불 로스터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송풍팬 어셈블리(500)가 구동되고, 이러한 송풍팬 어셈블리(500)의 구동에 따른 공기 송풍력에 의해 상기 조리시 발생된 연기는 그 주변의 공기와 함께 덕트부(400)를 이루는 확장단(420)을 통과하여 유동관로(41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유동관로(410)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제공되는 반복적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재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숯통 안착부(300)에 안착된 숯통(30)의 각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숯통(30) 내로 제공되면서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사용되고,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재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숯통 안착부(300)에 형성된 보조 공기 통과부(320)를 통해 하우징(100)의 상측 공간으로 곧장 유동됨으로써, 상기 과도 공기에 의한 공기 순환의 불량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과 덕트부(400)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공기는 그의 유동 도중 상기 덕트부(400)를 이루는 유동관로(410) 내의 필터링부(600)를 통과하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필터링부(600)에 의해 상기 공기 내에 함유된 연기와 미세 연소재와 냄새 성분 및 기름 성분이 각각 제거된다.
즉, 상기 공기가 필터링부(600)를 이루는 세라믹 필터(6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 내에 함유된 각종 냄새 성분 및 기름 성분이 제거되고, 필터링부(600)를 이루는 이오나이저(6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기를 이루는 수분 및 미세 연소재는 +극으로 하전된 후 접지 상태(-극의 상태)의 집진판(620)에 포집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과 덕트부(400) 내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연기와 미세 연소재와 냄새 성분 및 기름 성분은 필터링부(6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거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는 항상 깨끗한 상태의 공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숯불 로스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통 안착부(300)가 숯통(30)의 주위를 감싸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덕트부(400)의 유동관로(410) 끝단은 하우징(100)의 저부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통 형상의 숯통 안착부(300)의 저부 공간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막힘 없이 보조 공기 통로부(32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숯불 로스터의 필터링부(600)는 이오나이저(610)를 통한 하전에 의해 해당 필터링부(60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연기와 미세 연소재가 집진판(620)에 원활히 포집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미세 연소재로 인한 덕트부(400)의 관로 막힘은 방지된다.
또한, 덕트부(400)는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리시 발생된 연소재 및 냄새 성분이 실외로 배출되어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켰던 종래의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숯불 로스터를 이루는 필터링부(600)에는 하니콤 구조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필터(630)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과 덕트부(400)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과 기름기 성분이 원활히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을 추가적으로 가진다.
10. 테이블 20. 구이판
30. 숯통
100. 하우징 110. 테두리부
200. 상부 덮개 210. 테두리부
220. 함몰부 300. 숯통 안착부
310. 안착구 320. 보조 공기 통과부
400. 덕트부 410. 유동관로
420. 확장단 500. 송풍팬 어셈블리
510. 송풍팬 520. 팬모터
600. 필터링부 610. 이오나이저
620. 집진판 630. 세라믹 필터

Claims (6)

  1. 외관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부는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구비되면서 숯통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숯통 안착부;
    조리물의 조리 영역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하우징의 저부 공간으로 재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공기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덕트부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과 연기 및 기름 성분을 제거하도록 공기 중의 입자를 +극으로 하전하는 이오나이저와, 상기 이오나이저의 양측 또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되면서 이오나이저를 통과하면서 +극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도록 -극을 이루는 집진판을 구비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숯통 안착부의 안착구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하우징 내의 저부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가 숯통을 통과하는 공기와는 별도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보조 공기 통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 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숯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로스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공기 유입측 혹은, 상기 집진판의 공기 유출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면서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하니콤 형상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세라믹 필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로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의 이오나이저와 집진판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로스터.
  6. 삭제
KR1020130041426A 2013-04-16 2013-04-16 숯불 로스터 KR10144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26A KR101442753B1 (ko) 2013-04-16 2013-04-16 숯불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26A KR101442753B1 (ko) 2013-04-16 2013-04-16 숯불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53B1 true KR101442753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426A KR101442753B1 (ko) 2013-04-16 2013-04-16 숯불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35B1 (ko) * 2015-05-27 2018-01-30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KR101841760B1 (ko) * 2016-04-11 2018-03-23 임영웅 테이블형 숯불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210098384A (ko) * 2020-01-31 2021-08-10 이앤엠 주식회사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692Y2 (ja) * 1992-06-08 1995-08-30 近藤工業株式会社 イオナイザーおよびクリーンエアーによる塵埃除去装置
KR200192544Y1 (ko) * 2000-03-03 2000-08-16 권삼노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KR200410245Y1 (ko) 2005-12-22 2006-03-07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KR20060131460A (ko) * 2005-06-16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692Y2 (ja) * 1992-06-08 1995-08-30 近藤工業株式会社 イオナイザーおよびクリーンエアーによる塵埃除去装置
KR200192544Y1 (ko) * 2000-03-03 2000-08-16 권삼노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KR20060131460A (ko) * 2005-06-16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410245Y1 (ko) 2005-12-22 2006-03-07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35B1 (ko) * 2015-05-27 2018-01-30 김진성 펠릿연료를 이용한 공기순환식 연소시스템 및 연소방법
KR101841760B1 (ko) * 2016-04-11 2018-03-23 임영웅 테이블형 숯불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210098384A (ko) * 2020-01-31 2021-08-10 이앤엠 주식회사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KR102490235B1 (ko) * 2020-01-31 2023-01-19 이앤엠 주식회사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107B2 (en) Smokeless cooker
KR100956804B1 (ko) 전열식 무연 로스터
JP4095663B2 (ja) 作業場用空気排出装置
JP2008307217A (ja) 無煙ロースター
KR101442753B1 (ko) 숯불 로스터
BRPI0923353A2 (pt) exaustor de sucção
JP2007289649A (ja) ロースターの空気循環システムおよびロースター
US3582051A (en) Smoke cleaning apparatus
JP2016529003A (ja) 消臭消煙装置付きブース
KR101841760B1 (ko) 테이블형 숯불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2012808B1 (ko) 원두로스터용 제연장치
KR101578162B1 (ko)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WO2019179115A1 (zh) 一种可净化油烟的烧烤炉
KR101642369B1 (ko) 주방용 후드의 미세 기름 및 냄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2842B1 (ko) 실내용 숯불구이의 유체불순물 제거장치
KR0138631Y1 (ko) 육류 구이용 숯불 로스터
JP2003114041A (ja) 空気清浄器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DE202020104229U1 (de) Vorrichtung zum Erhitzen und/oder Garen von Lebensmitteln
CN114945778A (zh) 具有气压室和扩散器的移动再循环烤架
KR101897874B1 (ko) 개량형 훈연기
JP3805328B2 (ja) 排煙機能付ロースター
KR102480162B1 (ko) 연기발생이 저감되는 피쉬오븐 장치
KR20200059851A (ko) 제연기
JPH0625797Y2 (ja) 石油燃焼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