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874B1 - 개량형 훈연기 - Google Patents

개량형 훈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874B1
KR101897874B1 KR1020160134674A KR20160134674A KR101897874B1 KR 101897874 B1 KR101897874 B1 KR 101897874B1 KR 1020160134674 A KR1020160134674 A KR 1020160134674A KR 20160134674 A KR20160134674 A KR 20160134674A KR 101897874 B1 KR101897874 B1 KR 10189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smoke
ai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65A (ko
Inventor
윤현호
Original Assignee
윤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호 filed Critical 윤현호
Priority to KR102016013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8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5/00Bee-smokers; Bee-keepers' accessories, e.g. ve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연기의 본체 내부 바닥에 쌓이는 재를 뚜껑부재를 열고 망체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이 형성되어 훈연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본체 내부의 훈연재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본체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훈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가능한 개폐구가 구비되는 개량형 훈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훈연기{Improved Sm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벌꿀을 채취하거나 또는 벌통 내부를 점검시 연기를 배출시켜 꿀벌이 작업자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개량형 훈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벌통이나 자연적인 벌집 등에서 꿀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켜 꿀벌을 벌집으로부터 쫓아낸 후 벌꿀 내지 벌집을 채취한다. 이 경우 벌통에 양봉업자 등의 작업자가 접근하기 위하여 적당히 건조시킨 쑥 뭉치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기를 부채로 부쳐 벌통에 보내면서 꿀을 채취하거나 정기적인 점검 등 관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연기 발생을 위해 사용되는 쑥 뭉치가 타는 시간이 짧아 쑥 뭉치를 자주 교체 및 착화시켜 사용함에 따라 연기가 발생하는 분량이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똥이 꿀벌들에게 튀어서 꿀벌들이 화상을 입는 폐단과 꿀에 연소된 재 내지 기타 이물질이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훈연기가 등록특허 제10-1038919호를 통해제안한 바 있다. 이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숯이 채워지고 상부에는 훈연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몸체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몸체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모터를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훈연기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숯과 훈연재를 차례대로 올려놓으며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망체가 구비됨에 따라 숯을 깔고 그 상부로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를 넣어서 태우면 몸체의 바닥면에 숯과 훈연재가 연소시 발생한 재가 망체의 통공을 통해 몸체의 내부 바닥에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몸체 하부에 쌓이는 재는 제거하지 않고 사용시에는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못해 연기 배출이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몸체 하부에 쌓이는 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몸체 상부의 뚜껑부재를 개방하고 망체를 들어올려야 함에 따라 재의 제거에 어려움이 있고, 아울러 훈연재가 연소중에는 몸체 바닥에 쌓인 재를 제거하기도 어려워 훈연중 송풍수단이 작동하면 재가 연기와 함께 배출되어 작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훈연기의 본체 내부 바닥에 쌓이는 재를 뚜껑부재를 열고 망체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개량형 훈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훈연기 내부의 숯과 훈연재가 연소시에도 본체 내부 바닥에 쌓이는 재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본체 내부로 공기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연기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개량형 훈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송풍수단의 작동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송풍량을 강하게 하는 터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개량형 훈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이 형성되어 훈연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본체 내부의 훈연재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본체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훈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가능한 개폐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훈연재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망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바닥에는 상기 망체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되 일단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망체의 가장자리 하부를 받쳐주는 복수의 받침편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구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내주면에 일체로 받침편이 고정되어 상기 망체의 가장자리 하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는 상기 배출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바닥 하부에 밀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이 배출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에 상기 개폐판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은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투입공로 강제로 투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풍제어부는 밧데리의 주전원 투입을 투입 및 차단하는 메인스위치와, 본체가 설정각도로 기울어지면 상기 밧데리의 주전원을 상기 송풍팬으로 투입되도록 턴온되는 틸트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의 주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송풍팬이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DC-DC컨버터의 승압전원을 상기 송풍팬으로 공급하는 터보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훈연기는 훈연재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재가 망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본체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내부공간 바닥면에 쌓이면 뚜껑부재를 개방하고 망체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개폐판을 회동시켜 간단히 재를 제거할 수 있는 징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훈연재가 다 연소되지 않더라도 재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훈연재가 상당부분 연소되더라도 뚜껑부재만 열고 훈연재를 투입하면 지속적으로 훈연기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수단이 본체를 기울이기만 하면 작동되어 공기를 공급하므로 훈연기의 사용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송풍량을 강하게 하는 터보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벌의 공격을 피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개폐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개량형 훈연기의 전원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개량형 훈연기(100)는 상단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1)이 형성되어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1)가 채워지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구부(110a)를 개폐하되 본체(110) 내부의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1)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121)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20)와, 상기 본체(110)의 공기투입공(111)에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에는 배출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가능한 개폐구(14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며,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투입공(111)에는 송풍수단(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으로 투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관(114)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배출공(113)이 형성되는 바닥(112a)이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사각, 육각 등의 다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에는 불을 붙인 훈연재(1)를 올려놓거나 연수중인 숯을 먼저 놓고 훈연재(1)를 차례대로 올려놓을 수 있으며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15a)이 형성되는 망체(115)가 구비된다. 이때 망체(115)를 내부공간(112) 바닥에서 받침구(116)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공간(112) 바닥에서 일정 높이(예를 들어 2 ~ 5㎝)를 유지하며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망체(115)는 금속재 원판 형상의 몸체 표면에 다수의 통공(115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112)의 바닥에는 상기 망체(115)를 받쳐주는 받침구(1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받침구(116)는 상기 망체(115)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되 본체(110) 하부의 배출공(113)을 막지 않도록 일단에 절개부(116b)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2 ~ 5㎝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116c)를 형성하고 몸체(116c)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망체(115)의 가장자리 하부를 받쳐주는 복수의 받침편(116a)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받침구(116)의 몸체(116c)는 본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절개부(116b)가 본체(110)의 내주면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1)에 위치하도록 하여 공기투입공(111)을 통해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받침편(116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폿 용접 등의 고정 방식으로 본체(110)의 내부공간(112) 내주면에 일체로 고정하여 받침편(116a)에 망체(115)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함도 가능하다.
즉 복수의 받침편(116a)에 망체(115)를 받치는 구조를 채택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망체(115)의 분리가 가능해 훈연 기능을 수행한 후 분리하여 본체(110)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망체(115) 위에 놓여지는 훈연재(1)의 연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가 본체(110)의 후측 하단에 형성된 공기투입공(111)을 통해 내부공간(112) 바닥으로 유입되면 망체(115)에 형성된 통공(115a)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훈연재(1)의 연소를 더욱 활성화시켜 연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에는 배출공(113)이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한 개폐구(140)의 조작에 따라 배출공(113)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구(140)는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 하부에 밀착되는 개폐판(142)과, 상기 개폐판(142)이 배출공(113)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에 상기 개폐판(142)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핀(1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42)에는 손잡이(145)가 일체로 구비되어 손잡이(145)를 잡고 힌지핀(143)을 중심으로 개폐판(142)을 회전시키면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배출공(113)은 원판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10)의 바닥(112a)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 하부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공(113)에 대응되는 노출공(141)이 형성되는 개폐판(142)을 밀착시키고, 개폐판(142)과 본체(110)의 바닥(112a)의 중앙을 힌지핀(143)으로 고정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45)를 잡고 힌지핀(143)을 중심으로 개폐판(142)을 회동시켜 개폐판(142)의 노출공(141)과 본체(110)의 바닥(112a)에 형성된 배출공(113)을 일치시키면 상기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이 노출되어 훈연작업으로 인한 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손잡이(145)를 잡고 힌지핀(143)을 중심으로 개폐판(142)을 더 회동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개폐판(142)의 노출공(141)과 본체(110)의 바닥(112a)에 형성된 배출공(113)이 어긋나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이 폐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부재(120)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단부에 연기배출공(122)이 형성되며, 그 연기배출공(122)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탈부착 가능한 연장관(미도시됨)이 체결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벌꿀을 채취시 연기배출공(122)으로 연기를 배출하게 되면 연기가 멀리 뻗어나가지 못하고 주변으로 퍼지게 되어 꿀벌의 접근을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120)는 몸체(121)의 일측에 힌지편(12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뚜껑부재(120)가 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분실우려가 없으며, 상기 뚜껑부재(120)의 표면에는 별도의 뚜껑손잡이(124)가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재(120)를 본체(110)의 개구부(110a)에서 개방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그 표면에 보호망(117)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호망(117)을 더 구비되어 훈연재(1)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본체(110) 가열로 인해 작업자가 양봉 등의 작업을 수행하던 중 본체(110)가 신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130)은 필요에 따라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풍수단(13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송풍수단(130)은 본체(110)에 고정되는 브라켓(131)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114) 방향으로 배출공(132a)이 형성되는 고정판(132)과, 상기 고정판(132)과 상측은 멀고 하부는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동판(133)과,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 사이에 공간부(130a)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의 테두리를 감싸는 마감커버(134)와,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판(132)과 가동판(133)이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3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은 상기 본체(110)에서 전달되는 열이 직접 전달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판이나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의 테두리를 감싸는 마감커버(134)는 고무나, 천연가죽, 인조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5)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동식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가동판(133)의 상측을 고정판(132) 방향으로 밀면 공간부(130a)의 공기가 배출공(132a)을 통해 배출된다. 물론 손을 놓으면 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판(133)의 상측이 원위치되며 배출공(132)을 통해 고정판(132) 주변의 외부공기가 공간부(130a)로 유입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송풍수단(130)은 자동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1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투입공(111)로 강제로 투입하는 송풍팬(136)과, 상기 송풍팬(136)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37)와, 상기 밧데리(137)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팬(1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제어부(138)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132)은 상측에 외부 공기가 상기 송풍팬(136)으로 유입되는 유입공(132b)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36)의 작동에 의해 공간부(130a)의 공기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투입공(111)을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송풍팬(136)은 고정판(1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공간부(130a)로 강제로 유입하여 공기투입공(111)을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강제 배출한다.
이 경우 상기 송풍팬(136)의 작동시 상기 유입공(132b)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중의 먼지 등을 걸러내어 상기 송풍팬(136)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132c)이 상기 유입공(132b)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36)은 모터(M)가 일체로 구비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132)과 가동판(133)에 의해 공간부(130a)가 형성되는 구조는 하나의 하우징 또는 손잡이 형태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137)를 삽입할 수 있는 소켓이 가동판(133)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제어부(138)는 밧데리(137)의 주전원 투입을 투입 및 차단하는 메인스위치(138a)와, 본체(110)가 설정각도로 기울어지면 상기 밧데리(137)의 주전원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투입되도록 턴온되는 틸트스위치(138b)와, 상기 밧데리(137)의 주전원을 승압하는 DC-DC 컨버터(138c)와, 상기 송풍팬(136)이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DC-DC컨버터(138c)의 승압전원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공급하는 터보용 스위치(138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틸트스위치(138b)는 일 예로 파츠키츠 HDX 계열의 기울기센서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서 본체(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설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턴온되어 밧데리(137)의 주전원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터보용 스위치(138d)는 상기 틸트스위치(138b)과 DC-DC컨버터(138c)의 출력전원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선택 공급하는 토글스위치(toggle switch)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셀렉터 스위치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밧데리(137)의 주전원은 일 예로 4.5V일 수 있고, DC-DC컨버터(138c)는 일 예로 주전원 4.5V를 9V로 승압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송풍팬(136)의 모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틸트스위치(138b)는 상기 밧데리(137)의 주전원을 송풍팬(136)으로 공급하여 정상속도인 설정 속도로 송풍팬(136)이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터보용 스위치(138d)를 구동하면 DC-DC컨버터(138c)의 승압전원이 송풍팬(136)으로 공급되어 설정 속도를 초과하여 고속으로 송풍팬(136)이 구동된다.
특히 훈연기(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동판(133)의 외측에 손잡이(139)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139)에 메인스위치(138a) 및 터보용 스위치(138d)를 구비하거나 가동판(133)의 외측면에 구비함도 가능하다.
특히 훈연기(100)의 송풍수단(130)을 전동식으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록특허 제10-1038919호에서와 같이 통상의 손잡이 형상으로 제작하고 송풍팬과 배터리 및 각종 스위치를 구비함도 가능하며, 모두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훈연기(100)의 본체(110) 내부공간(112)에 망체(115)를 삽입하여 받침구(116)에 지지한 상태에서 망체(115) 상부에 점화된 훈연재(1)로서 건조된 쑥 뭉치를 넣고 뚜껑(120)을 덮으면 쑥이 타면서 발생된 연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뚜껑부재(120)의 연기배출공(122)으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판(142)을 회동시켜 개폐판(142)의 노출공(141)과 본체(110)의 바닥(112a)에 형성된 배출공(113)이 어긋나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훈연재(1)를 직접 연소시키지 않고 열원으로서 숯이나 그 이외에도 발화가능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송풍수단(130)을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면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망체(115)의 하측으로 공기가 강제 주입되어 훈연 발생량이 증가됨과 동시에 먼 거리까지 연기가 분출 확산된다.
송풍수단(130)은 수동으로 하는 경우 통상의 풀무와 마찬가지로 가동판(133)을 고정판(132)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 조절을 통해 망체(115)의 하측으로 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메인스위치(138a)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면 예를 들어 5V의 전원이 송풍팬(136)의 모터(M)에 투입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체(110)를 기울이면 틸트스위치(138b)가 턴온되며 밧데리(137)의 주전원(예를 들어 4.5V)이 송풍팬(136)으로 투입되어 정속으로 회전하면서 망체(115)의 하측으로 공기를 일정하게 투입함으로서 벌꿀을 채취하거나 또는 벌통 내부를 점검할 수 있다. 물론 본체(110)를 원래대로 세우면 틸트스위치(138)가 턴오프되며 송풍팬(136)으로 투입되던 밧데리(137)의 주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벌이 작업자를 공격하는 등의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에 터보용 스위치(138d)를 누르면 DC-DC컨버터(138c)에 의해 승압된 출력전원(예를 들어 9V)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공급하여 회전속도를 높여 망체(115)의 하측으로 공기 투입량을 증가시켜 투입함으로서 연기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터보용 스위치(138d)는 모터(M)의 과열로 인한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 내지 수십초 정도 사용후 오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훈연기를 사용하면 훈연재(1)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재가 망체(115)에 형성된 통공(115a)을 통해 본체(110)의 하측으로 낙하하며 내부공간(112) 바닥에 쌓이게 된다. 이후 훈연기를 이용한 작업이 마무리 된 후에는 개폐판(142)을 회동시켜 개폐판(142)의 노출공(141)과 본체(110)의 바닥(112a)에 형성된 배출공(113)을 일치시킨 후 본체(110)의 내부공간(112) 바닥 상부에 쌓인 재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저야 할 것이다.
1: 훈연재 100: 훈연기
110: 본체 115: 망체
120: 뚜껑부재 130: 송풍수단
136: 송풍팬 137: 밧데리
138: 송풍제어부 138a: 메인스위치
138b: 틸트스위치 138c: DC-DC 컨버터
138d: 터보용 스위치 140: 개폐구
142: 개폐판 143: 힌지핀
145: 손잡이

Claims (9)

  1. 상단에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1)이 형성되어 훈연재(1)가 채워지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개구부(110a)를 개폐하되 본체(110) 내부의 훈연재(1)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121)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20)와, 상기 본체(110)의 공기투입공(111)에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수단(130)으로 이루어지는 훈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에는 배출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가능한 개폐구(14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140)는 상기 배출공(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 하부에 밀착되되 손잡이(145)가 일체로 구비되는 개폐판(142)과, 상기 개폐판(142)이 배출공(113)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바닥(112a)에 상기 개폐판(142)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힌지핀(143)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공간(112)에는 훈연재(1)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15a)이 형성되는 망체(115)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130)은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투입공(111)로 강제로 투입하는 송풍팬(136)과, 상기 송풍팬(136)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37)와, 상기 밧데리(137)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팬(1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제어부(138)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제어부(138)는 밧데리(137)의 주전원 투입을 투입 및 차단하는 메인스위치(138a)와, 본체(110)가 설정각도로 기울어지면 상기 밧데리(137)의 주전원을 상기 송풍팬(136)으로 투입되도록 턴온되는 틸트스위치(13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134674A 2016-10-17 2016-10-17 개량형 훈연기 KR10189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74A KR101897874B1 (ko) 2016-10-17 2016-10-17 개량형 훈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74A KR101897874B1 (ko) 2016-10-17 2016-10-17 개량형 훈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65A KR20180042065A (ko) 2018-04-25
KR101897874B1 true KR101897874B1 (ko) 2018-09-12

Family

ID=6208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674A KR101897874B1 (ko) 2016-10-17 2016-10-17 개량형 훈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50A (ko) * 2019-05-21 2020-12-01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19B1 (ko) * 2008-03-14 2011-06-03 윤성의 개량형 훈연기
KR20120019165A (ko) * 2010-08-25 2012-03-06 한현주 훈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50A (ko) * 2019-05-21 2020-12-01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KR102218778B1 (ko) * 2019-05-21 2021-02-22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65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8977A1 (en) Portable Charcoal Grill With Incorporated Fan
US9301543B2 (en) Smokeless coffee roaster
KR101038919B1 (ko) 개량형 훈연기
KR101897874B1 (ko) 개량형 훈연기
KR101590067B1 (ko)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US202203236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tructive Removal Of Odors From An Animal Litter Box
CN106386738A (zh) 一种灭蚊器
KR101443519B1 (ko) 훈연기
KR101442753B1 (ko) 숯불 로스터
KR102218778B1 (ko) 개량형 훈연기
US4414904A (en) Waste-burning furnace
US6745673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and enclosure for an outdoor cooking device
US4307704A (en) Stove ash retaining apparatus
CN110081443B (zh) 一种生活垃圾处理用干湿分离处理的焚烧装置
KR100765810B1 (ko) 다목적 보일러
KR101520010B1 (ko) 벽난로 개폐도어 유리용 클린장치
AU2017379141B2 (en) A combi stove and use of a combi stove
KR20130133958A (ko) 괴탄을 연료로 하는 구이기
KR200367548Y1 (ko) 석쇠 회전식 구이기
KR200483709Y1 (ko) 펠릿 난방 장치
KR200400020Y1 (ko) 연탄 착화기가 부설된 연탄보일러
KR101888753B1 (ko)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200483782Y1 (ko) 훈연기
KR200435114Y1 (ko) 숯점화기
US4300529A (en) Cleanable woodburning stove g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