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165A - 훈연기 - Google Patents

훈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165A
KR20120019165A KR1020100082391A KR20100082391A KR20120019165A KR 20120019165 A KR20120019165 A KR 20120019165A KR 1020100082391 A KR1020100082391 A KR 1020100082391A KR 20100082391 A KR20100082391 A KR 20100082391A KR 20120019165 A KR20120019165 A KR 20120019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ir
smoker
opening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주
Original Assignee
한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주 filed Critical 한현주
Priority to KR102010008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165A/ko
Publication of KR2012001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5/00Bee-smokers; Bee-keepers' accessories, e.g. ve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꿀 채취시 꿀벌들이 접근함을 막아주기위하여 사용되는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봉업자가 벌꿀을 채취시 또는 벌통 내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관리를 할 때 꿀벌들이 사람을 공격하므로 이를 제지하기 위하여 꿀벌 들이 기피하는 연기를 피워 꿀벌들이 사람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방위하면서 벌꿀 채취이나 정기적인 관리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사용이 간편하면서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훈연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훈연재(1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 하단부에는 상기 훈연재(18)를 떠받치는 받침망(19)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망 하단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단 개구부(13)에 결합된 노즐(14)과,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몸체(12) 내부로 에어를 불어넣는 풀무(15)로 구성된 훈연기(50)에 있어서,
상기 몸체(12)하단의 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통시킨 관통구멍(20)과; 상기 관통구멍(20)하단으로 상기 관통구멍(20)을 통해 낙하하는 훈연재(18)의 불씨나 재를 받기 위한 재받이(22)가 부착되되
상기 재받이(22)는 측면 둘레벽에 상기 재받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20)에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외부공기가 드러오는 공기구멍(23)과; 상기 공기구멍(23)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판(24)과; 상기 몸체(12)하단의 외부 둘레벽에 끼워지거나 그 끼움상태에서 빠져 나오는 착탈방식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훈연기{a}
본 발명은 벌꿀 채취시 꿀벌들이 접근함을 막아주기위하여 사용되는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봉업자가 벌꿀을 채취시 또는 벌통 내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관리를 할 때 꿀벌들이 사람을 공격하므로 이를 제지하기 위하여 꿀벌 들이 기피하는 연기를 피워 꿀벌들이 사람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방위하면서 벌꿀 채취이나 정기적인 관리 등의 작업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사용이 간편하면서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훈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집 통이나 자연적인 서식지 등에서 꿀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를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연기를 꿀벌에게 분무하여 벌을 벌집으로부터 쫓아낸 후 벌꿀 내지 벌집을 채취하게 된다.
종래 사람이 벌통에 접근하기 위하여 적당하게 건조시킨 쑥 뭉치를 연소시키었는바, 그 연소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부채로 부쳐 벌통에 보내면서 꿀을 채취하거나 정기적인 점검 등 관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쑥 뭉치가 타는 시간이 짧으므로 쑥 뭉치를 자주 교체하여 착화시켜 사용하므로 연기가 발생하는 분량이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똥이 꿀벌들에게 튀어서 꿀벌들이 화상을 입는 폐단과 꿀에 연소된 재 내지 기타 이 물지이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원시적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훈연기의 몸체 속에 점화된 숯덩어리를 적당량의 넣은 후간 건조된 쑥 뭉치를 훈연기의 몸체 속에 넣고 노즐(뚜껑)을 덮으면 착화된 숯의 열기에 의해 쑥이 타면서 발생된 연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작업자가 손잡이를 한 손에 잡고 풀무를 펌핑시키면 관통공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하여 훈연 발생량이 증가됨과 동시에 먼 거리까지 연기가 분출 확산된다.
상기한 훈연재료인 쑥을 다량으로 구할 수 없는 애로와 계절에 따른 기후 등 환경적 요인으로 쑥의 확보 및 건조, 보관이 어렵고, 이미 건조된 쑥 뭉치는 습기 함유량에 따라 착화 불량과 연소 상태가 원활하지 못하여, 요즘에 쑥이나 기타의 잡초와 톱밥 등 물질을 주원료로 하여 화염이 일어나지 않고 연기만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방염제 및 벌
이나 소초광에 기생하는 기생충들의 살충 효과가 있는 약제를 혼입한 훈연탄을 제공하고 있으나, 훈연탄의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아직도 대다수의 양봉업자들은 훈연기에 쑥과 잡초 등을 넣어 사용 사용하고 있으며, 풀무를 펌핑하여 숯에 의해 착화된 연기를 벌통주변에 분출하여 벌꿀채취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 사용되고 있는 훈연기를 첨부도면 도 6를 참고하여 간단하게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훈연재를 연소시켜서 연기를 분무할 수 있는 훈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훈연기는 훈연재(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 하단부에는 상기 훈연재(8)를 떠받치는 받침망(9)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망 하단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이 형성된 몸체(2)와, 이 몸체(2)의 상단 개구부(3)에 결합된 노즐(4)과, 상기 몸체(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을 통해 몸체(2) 내부로 에어를 불어넣는 풀무(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2) 내부에 숯(7)과 훈연재(8)를 순차적으로 넣은 다음, 상기 풀무(5)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 풀무(5)를 눌렀다 놓았다 반복적으로 펌핑하여 상기 몸체(2)의 관통공(1)으로 외부의 공기를 불어넣으면 받침망(9) 하단으로 유입된 공기가 받침망(9) 상부로 불어넣어서 받침망(9)에 떠받처진 훈연재(8)를 태우게 된다 그렀게 태워지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노즐(4)을 통해 몸체(2)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훈연기는 다른 작업을 위해 펌핑 작업을 멈추면 잠시 후 물씨가 커저버린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시 불을 연소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풀무(15)에 의한 펌핑 중에는 외부공기가 몸체(12)내부로 유입되므로 훈연재(18)가 태워지나 풀무(15)의 동작을 멎추면 외부공기가 유입되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훈연기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은 풀무에 펌핑을 중단하더라도 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커지지 않도록하는 과제이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되고 실시된다
몸체(12)하단의 저면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통구멍(20)을 형성하고, 관통구멍(20)으로 낙하하는 재나 불씨를 받아내는 재받이를 갖도록 한다 그 재받이(22)는 재받이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구멍(23)을 형성한다
이렸게 구성함으로서 풀무(15)에 펌핑을 중단하더라도 분원에서는 재받이(22)에 형성된 공기구멍(23)과 몸체(12)저면에 형성한 관통구멍(20)으로 공기가 유입됨므로 타고있는 훈연재(18)는 커지지 않는다
훈연재(1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 하단부에는 상기 훈연재(18)를 떠받치는 받침망(19)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망 하단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단 개구부(13)에 결합된 노즐(14)과,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몸체(12) 내부로 에어를 불어넣는 풀무(15)로 구성된 훈연기(50)에 있어서,
상기 몸체(12)하단의 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통시킨 관통구멍(20)과; 상기 관통구멍(20)하단으로 상기 관통구멍(20)을 통해 낙하하는 훈연재(18)의 불씨나 재를 받기 위한 재받이(22)가 부착되되
상기 재받이(22)는 측면 둘레벽에 상기 재받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20)에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외부공기가 드러오는 공기구멍(23)과; 상기 공기구멍(23)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판(24)과; 상기 몸체(12)하단의 외부 둘레벽에 끼워지거나 그 끼움상태에서 빠져 나오는 착탈방식으로 구성된다
부호중 100은 훈연재(18)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훈연재(18)내부가 커지지않도록 받침망(19)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망(19)하단부와 연통되어 관통구멍(20)이나 관통공(1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훈연재(18)내부로 고르게 유입되도록 원호벽 둘레에 수게의 구멍(101)이 있는 수직관(10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2)저면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통구멍(20)을 연통시키고, 그 관통구멍(20)하단으로 상기 관통구멍(20)을 통해 낙하 하는 훈연재(18)의 불씨나 재를 받기 위한 재받이(22)가 착탈되도록 부착하였다
그 재받이(22)는 측면 둘레벽에 상기 재받이(22)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20)에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공기가 드러오는 공기구멍(23)이 있으며, 상기 공기구멍(23)에는 공기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판(24)이 있다
이렸게 구성함으로서 다른 작업을 위해 풀무(15)에 펌핑을 중단하더라도 분원에서는 재받이(22)에 형성된 공기구멍(23)과 몸체(12)저면에 형성한 관통구멍(23)으로 공기가 유입됨므로 타고있는 훈연재(18)는 커지지않는다
그리고 공기개폐판이 관통구멍을 개폐함므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이용자가 원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훈연기의 전체 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훈연기의 재받이가 훈연기 하단에서 착탈되는 모습을 보인 훈연기 하단부 발취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분해사시도,
제 4도는 제 2도의 B-B 단면도로서
가)는 공기개폐판에 의해 관통구멍이 열린상태이고,
나)는 공기개폐판에 의해 관통구멍이 밀폐가 진행되는 상태이다.
제 5도는 제 2도의 A-A 단면도,
제 6도는 종래의 훈연기의 전체 단면도.
제 1도는 본 발명의 훈연기의 전체 단면도이고, 제 2도는 본 발명의 훈연기의 재받이가 훈연기 하단에서 착탈되는 모습을 보인 훈연기 하단부 발취사시도이며
제 3도는 제 2도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제 4도는 제 2도의 B-B 단면도이다.
제 5도는 제 2도의 A-A 단면도
상기 도시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훈연기(1)는 훈연재(1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 하단부에는 상기 훈연재(18)를 떠받치는 받침망(19)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망 하단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몸체(12)이다 이 몸체(12)의 상단 개구부(13)에 결합된 노즐(14)이으며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몸체(12) 내부로 에어를 불어넣는 풀무(15)가 있다
상기 몸체(12)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통구멍(20)을 연통시켰다
그리고 관통구멍(20)하단으로 상기 관통구멍(20)을 통해 낙하하는 훈연재(18)의 불씨나 재를 받기 위한 재받이(22)가 착탈되도록 부착된다
상기 재받이(22)는 측면 둘레벽에 상기 재받이(22)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20)에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공기가 드러오는 공기구멍(23)이 있으며, 상기 공기구멍(23)에는 공기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판(24)있다
이상태에서 몸체(12) 내부에 숯(17)과 훈연재(18)를 순차적으로 넣은 다음, 상기 풀무(15)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 풀무(15)를 눌렀다 놓았다 반복적으로 펌핑하여 상기 몸체(12)의 관통공(11)으로 외부의 공기를 불어넣으면 훈연재(18)가 태워지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노즐(14)을 통해 몸체(12)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펌핑 도중 다른 작업을 위해 펌핑을 중단하더라도 분원에서는 재받이(22)에 형성된 공기구멍(23)과 몸체(12)저면에 형성한 관통구멍(20)으로 공기가 유입됨므로 타고있는 훈연재(18)는 커지지않는다
다음은 공기구멍(23)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도시한 도 2, 3도에 의거 조절하고자 한다.
재받이(22)의 측면 둘레벽에 밀착된 공기개폐판(24)은 공기개폐판(24)과 일체된 손잡이(24')를 이동하면 공기개폐판(24)이 이동하여 공기구멍(23)을 조금식 닦거나 열리게 하여 공기량을 조절한다
다음은 재받이가 몸체(12)하단부로부터 착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2, 5도에 의거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2) 하단 외측 돌레벽에 걸림홈(50)이고, 재받이(22)상단 내측 돌레벽에 상기 걸림홈(50)에 걸릴 수 있는 돌기(51)가 있다
그러므로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22') 재받이(22)를 몸체(12)하단에서 몸체 하단부
를 향에 삽입하면 돌기(51)는 걸림홈(50)으로 걸리게된다 반대로 재받이(22)를 몸체(12)하단부로부터 약간 힘을 주어 빼내면 재받이(22)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11 ; 관통공 12 ; 몸체
13 ; 개구부 14 ; 노즐
15 ; 풀무 17 ; 숯
18 ; 훈연재 19 ; 받침망
20 ; 관통구멍 22 ; 재받이
23 ; 공기구멍 24 ; 공기개폐판

Claims (1)

  1. 훈연재(1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 하단부에는 상기 훈연재(18)를 떠받치는 받침망(19)이 수용되고 상기 받침망 하단으로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단 개구부(13)에 결합된 노즐(14)과,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몸체(12) 내부로 에어를 불어넣는 풀무(15)로 구성된 훈연기(50)에 있어서,

    상기 몸체(12)하단의 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통시킨 관통구멍(20)과; 상기 관통구멍(20)하단으로 상기 관통구멍(20)을 통해 낙하하는 훈연재(18)의 불씨나 재를 받기 위한 재받이(22)가 부착되되
    상기 재받이(22)는 측면 둘레벽에 상기 재받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구멍(20)에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외부공기가 드러오는 공기구멍(23)과; 상기 공기구멍(23)을 개폐할 수 있는 공기개폐판(24)과; 상기 몸체(12)하단의 외부 둘레벽에 끼워지거나 그 끼움상태에서 빠져 나오는 착탈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KR1020100082391A 2010-08-25 2010-08-25 훈연기 KR20120019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91A KR20120019165A (ko) 2010-08-25 2010-08-25 훈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391A KR20120019165A (ko) 2010-08-25 2010-08-25 훈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165A true KR20120019165A (ko) 2012-03-06

Family

ID=461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91A KR20120019165A (ko) 2010-08-25 2010-08-25 훈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1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19B1 (ko) * 2013-04-24 2014-09-23 윤현호 훈연기
CN105165497A (zh) * 2015-10-12 2015-12-23 陈雪琴 一种造烟除虫设备
KR20170001063U (ko) 2015-09-14 2017-03-22 박만수 훈연기
KR20180042065A (ko) * 2016-10-17 2018-04-25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CN115053835A (zh) * 2022-07-26 2022-09-16 郑州康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收割蜂蜜的方法
KR20230111339A (ko) 2022-01-18 2023-07-25 농업회사법인 리얼허니 주식회사 양봉용 훈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19B1 (ko) * 2013-04-24 2014-09-23 윤현호 훈연기
KR20170001063U (ko) 2015-09-14 2017-03-22 박만수 훈연기
CN105165497A (zh) * 2015-10-12 2015-12-23 陈雪琴 一种造烟除虫设备
KR20180042065A (ko) * 2016-10-17 2018-04-25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KR20230111339A (ko) 2022-01-18 2023-07-25 농업회사법인 리얼허니 주식회사 양봉용 훈연기
CN115053835A (zh) * 2022-07-26 2022-09-16 郑州康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收割蜂蜜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165A (ko) 훈연기
US4648410A (en) Nargile - oriental tobacco water pipe for smoking cured tobaccos
KR101038919B1 (ko) 개량형 훈연기
RU2159067C2 (ru) Узел для сгорания сигареты, ру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боковой струи дыма, ресивер и их комбинация
US3827444A (en) Combined cigarette holder and ash receptacle
MXPA02008441A (es) Difusor.
KR200391747Y1 (ko) 숯불 바베큐통
CN207653305U (zh) 带防灼伤型喷烟机构的蜂箱
CN112220113A (zh) 一种自动灭烟的烟灰缸
CN102893974A (zh) 一种蚊香盒
CN213911360U (zh) 一种新型艾灸盒
US5678573A (en) Smoking pipe
CN213311657U (zh) 一种方便排烟的膝关节用艾灸盒
KR200354475Y1 (ko) 훈연기
US6740135B2 (en) Fire log system
CN207821085U (zh) 一种多功能烟灰缸
KR20170126110A (ko)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개폐형 착탈식 산업현장용 화재방지 재털이
CN208064472U (zh) 一种可拆卸的烟灰缸
CN218515183U (zh) 一种电动烟具
CN209436258U (zh) 一种实时烟灰收纳管
CN210841313U (zh) 一种组合式蚊香盒
CN220831907U (zh) 一种香烟过滤及灰尘收集器
CN209484612U (zh) 一种艾草焚烧回收炉
CN211214369U (zh) 一种新型艾灸盒
KR100326844B1 (ko) 담뱃재 비산 방지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