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919B1 - 개량형 훈연기 - Google Patents

개량형 훈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919B1
KR101038919B1 KR1020080023601A KR20080023601A KR101038919B1 KR 101038919 B1 KR101038919 B1 KR 101038919B1 KR 1020080023601 A KR1020080023601 A KR 1020080023601A KR 20080023601 A KR20080023601 A KR 20080023601A KR 101038919 B1 KR101038919 B1 KR 10103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moker
hole
improved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313A (ko
Inventor
윤성의
Original Assignee
윤성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의 filed Critical 윤성의
Priority to KR102008002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9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5/00Bee-smokers; Bee-keepers' accessories, e.g. ve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숯이 채워지고 상부에는 훈연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몸체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몸체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모터를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외부공기를 불어넣는 경우 그 송풍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거나 벌통 내부의 소독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훈연기를 가지고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훈연기

Description

개량형 훈연기 { Improved smo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벌꿀 채취시 양봉업자에게 꿀벌들의 접근을 막아주기 위해 사용되는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양봉업자가 벌꿀을 채취하거나 또는 벌통 내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의 관리를 할 때 꿀벌들이 양봉업자를 공격하기 의해 접근하는 것을 제지하기 위하여 연기를 피워 꿀벌들이 사람에게 접근하지 못하게 방위하는 훈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통이나 자연적인 벌집 등에서 꿀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를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연기를 꿀벌에게 분무하여 벌을 벌집으로부터 쫓아낸 후 벌꿀 내지 벌집을 채취하게 된다.
이때, 벌통에 양봉업자가 접근하기 위하여 적당하게 건조시킨 쑥 뭉치를 연소시키었는바, 그 연소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부채로 부쳐 벌통에 보내면서 꿀을 채취하거나 정기적인 점검 등 관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쑥 뭉치가 타는 시간이 짧으므로 쑥 뭉치를 자주 교체하여 착화시켜 사용하므로 연기가 발생하는 분량이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똥이 꿀벌들에게 튀어서 꿀벌들이 화상을 입는 폐단과 꿀에 연소된 재 내지 기타 이물질 이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원시적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훈연기의 몸체 속에 점화된 숯덩어리를 적당량의 넣은 후 약간 건조된 쑥 뭉치를 훈연기의 몸체 속에 넣고 노즐(뚜껑)을 덮으면 착화된 숯의 열기에 의해 쑥이 타면서 발생된 연기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작업자가 손잡이를 한 손에 잡고 풀무를 펌핑시키면 관통공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하여 훈연 발생량이 증가됨과 동시에 먼 거리까지 연기가 분출 확산된다.
상기한 훈연재료인 쑥을 다량으로 구할 수 없는 애로와 계절에 따른 기후 등 환경적 요인으로 쑥의 확보 및 건조, 보관이 어렵고, 이미 건조된 쑥 뭉치는 습기 함유량에 따라 착화 불량과 연소 상태가 원활하지 못하여, 요즘에 쑥이나 기타의 잡초와 톱밥 등 물질을 주원료로 하여 화염이 일어나지 않고 연기만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방염제 및 벌이나 소초광에 기생하는 기생충들의 살충 효과가 있는 약제를 혼입한 훈연탄을 제공하고 있으나, 훈연탄의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아직도 대다수의 양봉업자들은 훈연기에 쑥과 잡초 등을 넣어 사용 사용하고 있으며, 풀무를 펌핑하여 숯에 의해 착화된 연기를 벌통주변에 분출하여 벌꿀채취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훈연기의 일 예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0354475호가 있다.
이는 훈연재(8)를 넣어서 태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벽하단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공(12)이 형성된 통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 개구부(14)에 결합된 노즐(2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몸체(10) 내부로 외부공기를 불어넣도록 모터(32)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30)과, 상기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몸체(10) 외부에 장착된 전원부(40)와, 상기 전원부(40)와 송풍팬(30) 사이에 연결되어 이 송풍팬(30)을 작동시키는 구동스위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훈연기는 몸체의 외부에 이 몸체 내부로 외부공기를 불어넣는 송풍팬과, 이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전원부 및 구동스위치가 마련되어, 상기 구동스위치를 간편하게 누르기만 하면 송풍팬이 작동되어 외부공기를 몸체 내부로 불어넣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송풍팬(30)이 작동되어 외부공기를 몸체(10) 내부로 불어넣게 되는 구조이지만 그 구조 특성상 송풍량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벌꿀을 채취하거나 또는 벌통 내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의 그 사용 상황에 따라 송풍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없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그 노즐(20)이 단순한 원뿔 형상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예를 들어 벌꿀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양봉업자에게 꿀벌이 접근하는 것을 방어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벌통 내부의 소독 등을 위해 벌통입구를 통해 연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벌통입구를 통해 노즐이 깊숙히 삽입될 수 없어 소독 효과가 저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특수제작된 훈연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숯이나 훈연재를 넣거나 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노즐(14)의 개폐가 용이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이 어려운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손잡이(60)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60)의 일측면에는 송풍팬(30)의 모터(3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42)가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60)의 일측에는 송풍팬(30)을 온오프 시키는 구동스위치(50)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구동스위치(50)는 손잡이의 후측에 구비되어 양봉업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구조적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내부에 외부공기를 불어넣는 경우 그 송풍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훈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꿀을 채취하거나 벌통 내부의 소독 등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훈연을 위해 몸체 내부에 숯이나 훈연재를 넣거나 재의 제거가 용이한 구조의 훈연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능의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훈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숯이 채워지고 상부에는 훈연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몸체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몸체의 공기투입공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수단과, 상기 모터를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외부공기를 불어넣는 경우 그 송풍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벌꿀을 채취하거나 벌통 내부의 소독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훈연기를 가지고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능의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부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뚜껑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100)는 상단에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4)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숯(1)을 깔고 그 상부로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2)가 채워지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112)를 개폐하되 몸체(110)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122)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132)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134)이 하우징(136)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후측에는 손잡이(140)가 구비되며, 그 손잡이(140)의 하부에 상기 송풍수단(130)이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140)에는 상기 송풍수단(130)의 모터(132)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원인 밧데리(142)와, 상기 밧데리(142)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스위치(144)가 구비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송풍수단(130)은 송풍팬(134)과, 상기 송풍팬(134)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과 연통되는 공기배출부(136a)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136b)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136)과, 상기 송풍팬(134)을 회전시키는 모터(1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36)의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핀(137a)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기유입공 (136b)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37)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37)를 힌지핀(137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통해 하우징(136)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에는 수평상태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는 공기안내판(115)이 더 돌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안내판(115)의 하부에 공기투입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투입공(1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안내판(115)에 의해 수평 안내됨은 물론, 숯(1)이나 훈연재(2)가 연소 후 발생되는 재가 상기 공기투입공(114)을 통해 상기 하우징(136) 내부로 역류되어 송풍팬(134) 및 모터(132)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숯(1)과 훈연재(2)를 차례대로 올려놓으며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52)이 형성되는 망체(1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망체(150)는 하부에 다수의 다리(154)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숯(1)과 훈연재(2)의 연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가 상기 통공(152)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숯(1)의 연소반응을 더욱 활성화시켜 훈연재(2)를 함께 태워 연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부재(120)는 일측으로 기울어진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단부에 연기배출공(122)이 형성되며, 그 연기배출공(122)에는 중앙에 관 통공(124a)이 형성되는 원형의 연결구(124)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기배출공(122)에 고정되는 연결구(124)의 전방 외주연에는 걸림돌기(124b)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124)의 전방에는 연장관(160)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160)은 그 후단부에 상기 걸림돌기(124b)가 체결될 수 있는 'ㄴ'자형 걸림홈(162)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연기가 배출되는 '-'자형 배출공(16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벌꿀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관(160)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기를 배출하게 되면 연기가 멀리 뻗어나가지 못하고 주변으로 퍼지게 되어 꿀벌의 접근을 방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벌꿀을 채취하지 않고 벌통 내부를 연기로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관(160)의 후단부에 형성된 'ㄴ'자형 걸림홈(162)을 연결구(124)의 전방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124b)에 끼우고 연장관(160)을 비틀게 되면 연장관(160)이 연결구(124)에서 이탈되지 않고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재(120)는 몸체(110)의 일측에 힌지편(129)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뚜껑부재(120)가 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그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상기 뚜껑부재(120)의 표면에는 별도의 뚜껑손잡이(125)가 구비되어 상기 뚜껑부재(120)를 몸체(110)의 개구부(112)에서 개방시키는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설 치되는 손잡이(14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열에 약해 상기 손잡이(1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40)의 전방은 상기 몸체(110)에 고정시에 단열부재(141)를 중간매개로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14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140)의 상단에 작동스위치(144)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40)의 측면 내측에 밧데리(142)를 삽입할 수 있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그 소켓부의 표면에 커버(147)가 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훈연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40)의 상단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144)를 누를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외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그 표면에 보호망(119)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호망(119)을 더 구비함으로서, 숯(1)과 훈연재(2)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몸체(110)가 가열되고 그로 인해 양봉 등의 작업을 수행하던 중 몸체(110)가 신체(身體)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송풍수단(130)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와 같은 송풍수단(130)의 하우징(136)의 공기배출부(136a)에는 상기 공기배출부(136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공(17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172)에는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으로의 공기투입량을 조정할 수 있는 공기조절부재(17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절부재(174)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몸체(110) 내부로 투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완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부재(174)를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을 개폐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서, 송풍팬(134)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공기투입공(114)을 통해 연기가 역류하여 송풍팬(134)에 타르 등의 이물질이 들러붙게 됨으로 인한 고장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송풍수단(130)은 하우징(136)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안내유로(139)가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안내유로(139)를 통해 몸체(110)의 바닥 하부에서 상방으로 공기를 투입함으로서, 연소효율을 고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기가 하우징(136)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110)의 바닥 상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숯(1)이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안내유로(13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공(177)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숯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몸체의 바닥을 통해 연장유로를 통해 역류되지 못해 송풍기나 모터(132)의 고장 등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뚜껑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량형 훈연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숯 2: 훈연재
100: 훈연기 110: 몸체
115: 공기안내판 119: 보호망
120: 뚜껑부재 130: 송풍수단
132: 모터 134: 송풍팬
136: 하우징 137: 개폐부재
142: 밧데리 144: 작동스위치
150: 망체 160: 연장관

Claims (13)

  1. 상단에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둘레벽 후측 하단에 공기투입공(114)이 형성되어 바닥에 숯(1)이 채워지고 상기 숯(1)의 상부에는 훈연재(2)가 채워지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112)를 개폐하되 몸체(110)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공(122)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터(132)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134)이 하우징(136)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수단(130)과, 상기 모터(132)를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42)와, 상기 밧데리(142)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스위치(144)로 구성되는 개량형 훈연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120)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단부에 연기배출공(122)이 형성되며, 그 연기배출공(122)에는 중앙에 관통공(124a)이 형성되는 원형의 연결구(124)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130)은 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4)과, 상기 송풍팬(134)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과 연통되는 공기배출부(136a)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136b)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136)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36)의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핀(137a)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조정하기 위해 회동되는 개폐부재(13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6)의 공기배출부(136a)에는 상기 공기배출부(136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공(17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172)에는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으로의 공기투입량을 조정할 수 있는 공기조절부재(17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에는 수평상태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송풍수단(130)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판(115)이 더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숯(1)과 훈연재(2)가 놓여지며 표면에는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52)이 형성되는 망체(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24)의 전방에는 연장관(160)이 체결되되,
    상기 연결구(124)의 전방 외주연에는 걸림돌기(124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160)은 그 후단부에 상기 연결구(124)의 걸림돌기(124b)가 체결되는 'ㄴ'자형 걸림홈(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160)의 전단에는 연기가 배출되는 '-'자형 배출공(1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120)의 표면에는 개방이 용이하도록 뚜껑손잡이(1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144)는 손잡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40)의 측면 내측에 상기 밧데리(142)를 삽입할 수 있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그 소켓부의 표면에 커버(147)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그 표면에 보호망(11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130)은 모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4)과, 상기 송풍팬(134)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110)의 공기투입공(114)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하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유로(139)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136b)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13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36)의 일측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핀(137a)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외기유입공(136b)을 조정하기 위해 회동되는 개폐부재(13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바닥 상측에는 상기 안내유로(13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공(177)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훈연기.
  13. 삭제
KR1020080023601A 2008-03-14 2008-03-14 개량형 훈연기 KR10103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01A KR101038919B1 (ko) 2008-03-14 2008-03-14 개량형 훈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01A KR101038919B1 (ko) 2008-03-14 2008-03-14 개량형 훈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13A KR20090098313A (ko) 2009-09-17
KR101038919B1 true KR101038919B1 (ko) 2011-06-03

Family

ID=4135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601A KR101038919B1 (ko) 2008-03-14 2008-03-14 개량형 훈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50A (ko) 2019-05-21 2020-12-01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29Y1 (ko) * 2012-02-08 2013-11-20 심병길 연막 훈증기
KR101443519B1 (ko) * 2013-04-24 2014-09-23 윤현호 훈연기
KR101298351B1 (ko) * 2013-05-23 2013-08-20 윤현호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101513428B1 (ko) * 2014-10-07 2015-04-21 윤현호 개량형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KR200483782Y1 (ko) * 2015-09-14 2017-06-26 박만수 훈연기
KR101897874B1 (ko) * 2016-10-17 2018-09-12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WO2018129592A1 (en) * 2017-01-13 2018-07-19 Beesmoker Pty Ltd Smoker
AT17749U1 (de) * 2021-11-05 2023-01-15 Aberer Eugen Elektronisches Tabakrauch-Handgerä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138A (en) 1984-11-16 1986-10-07 Dadant & Sons, Inc. Bee smoker
KR200277942Y1 (ko) 2002-03-26 2002-06-20 남순중 피자 조리기
KR20020077942A (ko) * 2001-04-03 2002-10-18 에스피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매매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30054475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내 편류방지를 위한 장치
KR200354475Y1 (ko) * 2004-03-19 2004-06-29 윤성의 훈연기
KR20040094981A (ko) * 2003-05-06 2004-11-12 유영환 숯불 착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138A (en) 1984-11-16 1986-10-07 Dadant & Sons, Inc. Bee smoker
KR20020077942A (ko) * 2001-04-03 2002-10-18 에스피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매매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30054475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내 편류방지를 위한 장치
KR200277942Y1 (ko) 2002-03-26 2002-06-20 남순중 피자 조리기
KR20040094981A (ko) * 2003-05-06 2004-11-12 유영환 숯불 착화장치
KR200354475Y1 (ko) * 2004-03-19 2004-06-29 윤성의 훈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50A (ko) 2019-05-21 2020-12-01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KR102218778B1 (ko) * 2019-05-21 2021-02-22 윤현호 개량형 훈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13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919B1 (ko) 개량형 훈연기
CA2634023A1 (en) Pellet-fired smoke generator
KR20120019165A (ko) 훈연기
KR101615428B1 (ko) 비닐하우스용 온풍 공급장치
JP4465013B2 (ja) 無煙燃焼装置
KR101443519B1 (ko) 훈연기
CN117121666A (zh) 一种秸秆可控焚烧还田机
KR200404704Y1 (ko) 화목보일러
KR100827932B1 (ko) 동물사체 처리기
CN203167857U (zh) 一种飞行昆虫诱捕装置
KR200354475Y1 (ko) 훈연기
KR102218778B1 (ko) 개량형 훈연기
KR101897874B1 (ko) 개량형 훈연기
KR100765810B1 (ko) 다목적 보일러
US6740135B2 (en) Fire log system
KR200469929Y1 (ko) 연막 훈증기
KR0140710Y1 (ko) 훈증기
KR102329657B1 (ko) 양봉용 응애방제장치
KR200400020Y1 (ko) 연탄 착화기가 부설된 연탄보일러
KR20100138527A (ko) 담배를 이용한 살충·기피방법 및 그 장치
CN219328201U (zh) 一种养殖育雏热风炉
CN217791199U (zh) 一种有害生物防治用熏烟装置
CN219373610U (zh) 一种肉牛养殖用驱蚊装置
KR100961275B1 (ko)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
JP2005022371A (ja) 木材の燻煙処理装置および燻煙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