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29Y1 - 연막 훈증기 - Google Patents

연막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29Y1
KR200469929Y1 KR2020120000942U KR20120000942U KR200469929Y1 KR 200469929 Y1 KR200469929 Y1 KR 200469929Y1 KR 2020120000942 U KR2020120000942 U KR 2020120000942U KR 20120000942 U KR20120000942 U KR 20120000942U KR 200469929 Y1 KR200469929 Y1 KR 200469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moke
fume
op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908U (ko
Inventor
심병길
Original Assignee
심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7413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992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심병길 filed Critical 심병길
Priority to KR202012000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2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therm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기를 배출하는 연막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폐쇄하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상기 몸체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몸체 내측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으며 일단이 개방되고 열선이 연결되어 있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막 훈증기{SMO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연기를 배출하는 연막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집 통이나 자연적인 서식지 등에서 꿀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쑥이나 솔잎 등의 훈연재를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연기를 꿀벌에게 분무하여 벌을 벌집으로부터 쫓아낸 후 벌꿀 내지 벌집을 채취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시된 훈연기는 숯 등을 태우는 과정에서 몸체가 가열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4375 (훈연기) 2004.06.29.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훈연재료를 연소더라도 몸체가 가열되지 아니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연막 훈증기는, 일측이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폐쇄하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상기 몸체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몸체 내측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으며 일단이 개방되고 열선이 연결되어 있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일단의 일부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일단 또는 상기 배출구 내측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내측 둘레를 따라 절연부재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는 상기 몸체 일측에 연결된 풀무일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하측에 관통되어 상기 분사부와 연통되는 주입공, 그리고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송풍팬일 수 있다.
상기 몸체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에는 전원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가 몸체와 이격되어 있어 가열부 내부의 훈연재료가 연소되더라도 몸체는 저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사용자 신체가 몸체에 접하더라도 화상을 입지 아니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는 몸체(10), 커버(20), 분사부(30), 가열부(40), 그리고 전원부(5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옥살산 또는 쑥 등의 훈연재료를 가열하여 훈연제를 발생시키는 공간이다. 훈연재료는 명시한 재료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땔나무재, 톱밥 등 다양할 수 있다.
몸체(10) 내부에서 발생한 훈연제가 몸체(1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커버(20)는 개방된 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몸체(10)를 폐쇄한다.
커버(20)는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20)는 몸체(10)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끼움 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20)의 일측에는 배출구(21)가 형성되어 몸체(10) 내부에서 발생한 훈연제가 몸체(1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부(30)는 몸체(10)와 연통되어 있고 몸체(10) 내부에 공기를 분사한다.
분사부(30)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분사부(30)는 몸체(10)의 외측에 연결되어 몸체(10) 외측의 공기를 몸체(10) 내부로 공급한다.
분사부(30)는 구체적으로 몸체(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 하측에 관통된 주입공(11)을 통하여 분사부(30)의 공기가 몸체(1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분사부(30)에 의해 몸체(10)내부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분사되면 분사부(30)에서 공급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몸체(10) 하측의 공기가 몸체(1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분사부(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몸체(10) 내부의 훈연제가 몸체(10) 내부에서 순환하며 배출구(21)를 통해 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가열부(40)는 몸체(10) 내측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부(40)에는 열선(51)이 연결되어 있다.
열선(51)은 가열부(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가열부(40)의 둘레를 따라 가열부(40)에 감겨 있을 수 있다.
가열부(40) 내측의 수용공간(41)에는 옥살산, 쑥 또는 잡초 등의 훈연재료가 수용된다. 가열부(40) 내부에 훈연재료는 가열부(40)에 연결된 열선(51)에 의해 가열되어 훈연제를 발생시킨다.
가열부(40)는 열선(51)의 열기를 수용공간(41)에 수용된 훈연재료로 전달하기 위하여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가열부(40)는 일례로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40)는 몸체(10)와 이격되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40)는 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있는 가열몸체(42)와 가열몸체(42)를 몸체(10)와 연결하는 연결부(43)를 포함한다.
가열몸체(42)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통 이외에도 내부에 훈연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있고 훈연재료에서 발생하는 훈연제가 가열몸체(42) 외측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 가능하다.
일례로, 가열몸체(42)는 일단이 개방된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열몸체(42)의 개방된 일단의 일부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가열몸체(42)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개방된 일단은 원형이 아닌 반원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가열몸체(42)의 일단이 전부 개방되지 아니하고 가열몸체(42) 일단의 일부는 폐쇄되고 일부만 개방되어 가열몸체(42) 내부에서 발생한 훈연제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몸체(42) 일단의 일부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훈연제가 이동하는 통로는 좁게 형성되나 가열몸체(42) 내부의 재 등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쑥 또는 톱밥 등이 가열하는 경우 훈연제 외에도 훈연재료가 연소된 이후 재 등이 남게 되는데 재 또한 훈연제와 같이 가열부(40) 외측으로 비산되어 가열부(40) 주변 또는 연막 훈증기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몸체(42)의 일단을 전부 개방하지 아니하고 일부를 폐쇄하면 재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좁으므로 가열부(40) 외측으로 배출되는 재의 양이 감소하여 오염되는 정도가 미약하게 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40)는 지지판(12)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12)은 몸체(10)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판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2)은 주입공(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어, 분사부(30)의 공기가 관통공(121)을 통하여 몸체(10)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가열부(40)가 몸체(10)의 하측에 직접적으로 닿지 아니하고 지지판(1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열부(40)의 열기가 몸체(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동시에 지지판(12)에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부(30)의 공기는 관통공(121)을 통하여 몸체(10)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판(12)은 생략 가능하다.
가열부(40)의 일단에는 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필터(14)에 의해 훈연재료가 연소하고 남은 재가 가열부(40)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몸체(10) 내측이 재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아니하여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연막 훈증기 외측으로 재 등이 비산되지 아니하므로 연막 훈증기 외부의 오염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에는 필터(14)가 가열부(40)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필터(14)는 배출구(21) 내측의 커버(2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필터(14)는 생략 가능한 부재이다.
열선(51)은 가열몸체(4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몸체(42)는 몸체(10)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열선(51)에 의해 가열몸체(42)가 가열되더라도 가열몸체(42)의 열이 몸체(10)로 곧바로 전도되지 아니한다.
또한, 가열몸체(42)와 몸체(10) 사이에 고온의 훈연제가 분포되어 있더라도 훈연제는 가열몸체(42)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으므로 몸체(10)는 가열몸체(42)에 비해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옥살산 또는 쑥 등의 훈연재료가 수용되는 가열부(40)가 몸체(1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열선(51)에 의해 가열몸체(42)가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몸체(10)는 가열부(40)에 비하여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몸체(10)를 직접적으로 만지더라도 몸체(10)는 저온을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게 된다.
그러나 열선(51)이 가열부(40) 내측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훈연재료가 열선(51)으로부터 열기를 곧바로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가열부(40)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에는 절연부재(도시하지 아니함)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절연부재는 몸체(10) 내측 둘레를 따라 몸체(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0) 내부의 훈연제의 열기 또는 가열부(40)의 열기가 몸체(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가열부(40)가 몸체(10)와 이격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절연부재가 몸체(10)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어 몸체(10)가 가열부(40)에 비하여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막 훈증기 사용 중에 몸체(10)를 만지더라도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아니하게 된다.
전원부(50)는 열선(51)에 연결되어 열선(51)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50)는 전선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으로 몸체(10) 외부의 전력을 열선(51)에 공급한다.
이때 전원부(50)는 분사부(30)에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분사부(30)는 전원부(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선(51)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한편, 몸체(10) 일측에는 손잡이(60)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손잡이(60)를 이용하여 몸체(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 내부에 열선(51) 및 훈연제로 인하여 몸체(10)가 가열된 경우, 손잡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60)는 생략 가능한 부재이다.
손잡이(60)에는 전원스위치(13)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스위치(13)는 전원부(50)의 전력이 분사부(30) 또는 가열부(40)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한다. 즉, 전원스위치(13)가 버튼형인 경우, 전원부의 콘센트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고, 전원스위치(13)를 누르면 분사부(30) 및 가열부(40)의 열선(51)이 동작하고, 전원스위치(13)를 다시 누르면 전류가 분사부(30) 및 열선(51)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원스위치(13)는 버튼 형상이나 이와 달리 전원스위치(13)는 on-off또는 타이머가 구비된 공지의 회전형 손잡이일 수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13)는 손잡이가 아닌 몸체(1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는 몸체, 커버, 가열부, 전원부 및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커버 및 가열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몸체, 커버 및 가열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20)에 형성된 배출구(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특정 장소에 훈연제를 살포하기 용이하다. 다시 말하면, 훈연제를 살포하여야 하는 공간의 입구가 좁거나, 특정 공간의 내측 깊이 훈연제를 살포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구(21)가 노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노즐을 삽입하여 훈연제를 살포할 수 있게 되어 훈연제의 사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분사부(30)는 몸체(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30)가 몸체(10) 외측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몸체(10) 내측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원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배터리가 수납되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60) 또는 몸체(10)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를 삽입하여 배터리에 의해 열선(51) 또는 분사부(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막 훈증기 외측으로 전력선이 연결되지 아니하므로 연막 훈증기의 휴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막 훈증기는 몸체, 커버, 가열부, 전원부 및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커버, 가열부 및 전원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몸체, 커버 및 가열부 및 전원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분사부(30)는 몸체(10)의 일측에 연결된 풀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분사부(30)를 펌핑하여 훈연제를 살포할 수 있다. 분사부(30)가 풀무로 형성되어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몸체
11 : 주입공
12 : 지지판 121 : 관통공
13 : 전원스위치 14 : 필터
20 : 커버
21 : 배출구
30 : 분사부
40 : 가열부
41 : 수용공간 42 : 가열몸체
43 : 연결부
50 : 전원부
51 : 열선
60 : 손잡이

Claims (9)

  1. 일측이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으며, 훈연제가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열선이 연결되어 있는 가열몸체,
    상기 몸체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그리고
    상기 열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연막 훈증기.
  2. 제1항에서,
    상기 가열몸체의 개방된 상부 중 일부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훈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가열몸체는, 훈연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열몸체의 수용공간은 상기 가열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만 상기 몸체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는 연막 훈증기.
  4. 제3항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가열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연막 훈증기.
  5. 제1항에서,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를 폐쇄하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연막 훈증기.
  6. 제5항에서,
    상기 가열몸체의 상부측 또는 상기 배출구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연막 훈증기.
  7. 제1항에서,
    상기 몸체 내측 둘레를 따라 부착되어 있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막 훈증기.
  8. 제1항에서,
    상기 분사부는 주입공과 연결된 풀무인 연막 훈증기.
  9. 제1항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송풍팬인 연막 훈증기.
KR2020120000942U 2012-02-08 2012-02-08 연막 훈증기 KR200469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42U KR200469929Y1 (ko) 2012-02-08 2012-02-08 연막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942U KR200469929Y1 (ko) 2012-02-08 2012-02-08 연막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08U KR20130004908U (ko) 2013-08-19
KR200469929Y1 true KR200469929Y1 (ko) 2013-11-20

Family

ID=5074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942U KR200469929Y1 (ko) 2012-02-08 2012-02-08 연막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21B1 (ko) 2015-10-30 2017-03-06 심병길 수냉식 연막 훈증기
KR102133803B1 (ko) 2019-02-19 2020-07-14 이충한 양봉용 훈증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710Y1 (ko) * 1996-11-04 1999-03-20 안병권 훈증기
KR100746147B1 (ko) * 2005-08-08 2007-08-03 주식회사 에이치엠벨 습식, 건식 및 훈연이 가능한 훈증기
KR20090098313A (ko) * 2008-03-14 2009-09-17 윤성의 개량형 훈연기
KR20100138527A (ko) * 2009-06-25 2010-12-31 김용수 담배를 이용한 살충·기피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710Y1 (ko) * 1996-11-04 1999-03-20 안병권 훈증기
KR100746147B1 (ko) * 2005-08-08 2007-08-03 주식회사 에이치엠벨 습식, 건식 및 훈연이 가능한 훈증기
KR20090098313A (ko) * 2008-03-14 2009-09-17 윤성의 개량형 훈연기
KR20100138527A (ko) * 2009-06-25 2010-12-31 김용수 담배를 이용한 살충·기피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21B1 (ko) 2015-10-30 2017-03-06 심병길 수냉식 연막 훈증기
KR102133803B1 (ko) 2019-02-19 2020-07-14 이충한 양봉용 훈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08U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0341B (zh) 一种香烟用具及其工作方法
CN106659236B (zh) 电子烟
KR20180014026A (ko) 흡연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WO2015196331A1 (zh) 一种电子烟
RU26858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табакосодержащей курительной смеси в чаше кальяна
KR20180099855A (ko) 전자 흡연기
KR101298351B1 (ko)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기
WO2015196332A1 (zh) 一种电子烟
JP2006320286A (ja) 擬似タバコ用加熱装置および擬似タバコ
CN109965351B (zh) 外围电加热吸烟装置及加热控制方法
KR101038919B1 (ko) 개량형 훈연기
CN105231489A (zh) 双加热式烟具
KR200469929Y1 (ko) 연막 훈증기
JP3240171U (ja) タバコ加熱装置
KR100966187B1 (ko) 연막 소독기
KR102442049B1 (ko) 서로 다른 상을 갖는 재료들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1521621B1 (ko) 연기저감기가 구비된 쑥뜸장치
CN206197014U (zh) 电子烟具
US20160348909A1 (en) Hookah Electric Charcoal Burner
KR101443519B1 (ko) 훈연기
KR102389826B1 (ko) 분리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4962651U (zh) 一种用于加热卷烟的加热组件及加热卷烟烟具
CN110081443B (zh) 一种生活垃圾处理用干湿分离处理的焚烧装置
CN208080531U (zh) 一种烟草加热装置
KR20110000701A (ko) 숯불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428

Effective date: 201410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17

Effective date: 2015082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06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5

Effective date: 201803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