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981A - 숯불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981A
KR20040094981A KR1020030028565A KR20030028565A KR20040094981A KR 20040094981 A KR20040094981 A KR 20040094981A KR 1020030028565 A KR1020030028565 A KR 1020030028565A KR 20030028565 A KR20030028565 A KR 20030028565A KR 20040094981 A KR20040094981 A KR 2004009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harcoal
exhaust pipe
blower
i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582B1 (ko
Inventor
유영환
Original Assignee
유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742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949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환 filed Critical 유영환
Priority to KR10-2003-002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5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숯불 착화장치(100)는, 숯(10)이 삽입되는 화로(20)와; 상기 화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중공의 착화통(110)과; 상기 착화통에 연통되게 구비된 배기관(120)과; 상기 배기관에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여과망(122)과; 상기 배기관상에 설치되어 착화통(11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120)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130);를 포함하여, 숯(10)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착화시킴과 아울러 숯의 착화시에 불꽃이나 불씨 및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착화장치(100)를 구이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숯불 착화장치{An Igniter For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을 용이하게 착화시키도록 한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오리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구울 때 육류의 냄새를 제거하고, 그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숯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기 위한 장치로는, 전기를 이용한 전기 구이장치와, 가스불을 이용한 가스 구이장치와, 숯불을 이용한 숯불 구이장치로 대분된다.
이러한 구이장치 중에서 숯불 구이장치에 구워진 고기가 전기 구이장치나, 가스 구이장치를 통해서 구워진 고기에 비해 그 맛이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숯불 구이장치의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숯불 구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숯을 착화시켜야 하는데, 숯을 착화시키기 위해서는 화로에 숯을 넣고, 이 숯에 가스토치 등을 사용하여 열원을 제공하면서 팬모터 등으로 화로에 바람을 불어 넣어서 숯을 착화시켜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숯을 착화시킬 때, 불꽃이나 불씨 및 숯의 재 등이 주변으로 비산되면서 날려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고, 이를 감안하여 폐쇄된 실내나 좁은 공간에서의 숯의 착화작업은 주변으로 비산되는 불꽃이나 불씨 및 숯의 재 등에 의해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숯의 착화가 극히 제한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쓸모없었던 입상, 판상의 숯을 흡입 또는 흡입과 송풍을 겸하는 착화장치로서 숯을 용이하게 착화시킴과 아울러 숯의 착화시에 불꽃이나 불씨 및 숯의 재 등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숯불 착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에 구비되는 화로의 평면, 정면, 저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주름진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환봉형 메시가 구비된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c는 박편형 돌기가 형성된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d는 사각형상의 허니컴구조를 갖는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e는 삼각형상의 허니컴구조를 갖는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f는 통기성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g는 주름형 통기성 화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착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1a의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송풍기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송풍기에의해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수의 착화통이 병렬로 연결된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숯 20 : 화로
21 : 삽입부 22 : 받침망
23 : 격벽 24 : 메시(Mesh)통체
25 : 박핀 26 : 통공
27 : 재받이부 28 : 포집부
29 : 통기망
30 : 덮개 31 : 통기망
32 : 손잡이부
40 : 덮개 41 : 손잡이부
100 : 착화장치 110 : 착화통
111 : 안내공 112 : 지지돌기
113 : 파지봉 114 : 폭기방지구
120 : 배기관 121 : 재받이통
122 : 여과망 130 : 송풍기
140 : 송풍관 141 : 배기공
142 : 배기댐퍼 143 : 핸들
150 : 송풍관 151 : 배기댐퍼
152 : 핸들
160 : 송풍기 161 : 송풍개폐기
162 : 고정판 162a : 구멍
163 : 회전판 163a : 구멍
164 : 힌지부 165 : 레버
170 : 배기관 171 : 흡입구
172 : 제 1 댐퍼 173 : 배기구
174 : 제 2 댐퍼
180 : 배기관 181 : 배기구
182 : 재받이부
200 : 착화장치 210 : 착화통
211 : 받침망 212 : 폭기방지구
213 : 재받이부 220 : 송풍기
220a : 공기흡입구 221 : 흡기댐퍼
222 : 스토퍼 223 : 송풍관
230 : 덮개 231 : 손잡이부
300 : 착화장치 310 : 착화통
311 : 안내공 312 : 지지돌기
313 : 파지봉 314 : 폭기방지구
320 : 배기관 321 : 여과망
330 : 송풍기 340 : 재받이부
350 : 물탱크 351 : 급수부
352 : 배수구 353 : 배수밸브
400 : 착화장치 410 : 착화통
411 : 상판 412 : 수납부
413 : 폭기방지구 414 : 하판
420 : 송풍기 420a : 공기흡입구
421 : 흡기댐퍼 422 : 스토퍼
423 : 배기관 424 : 배기댐퍼
425 : 스토퍼 426 : 연통관
430 : 연통관 440 : 내장연통관
441 : 외장연통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 착화장치는,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중공의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에 연통되게 구비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여과망과; 상기 배기관상에 설치되어 착화통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숯불 착화장치는,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삽입된 숯을 받치도록 된 메시형태의 받침망이 설치되어 있는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와; 상기 재받이부의 외주면에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천공된 다수의 폭기방지구와; 상기 착화통에 연통되게 연결된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착화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착화통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밀폐형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숯불 착화장치는,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관과; 상기 착화통내의 배기관상에 연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배기관내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장치(100)는 크게 화로(20)와 착화통(11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화로는 숯(10)이 삽입된 채로 착화 및 발화된다.
상기와 같이 숯이 삽입된 화로(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로가 중공의 착화통(110)내에 삽입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로만이 삽입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화로(20)는 착화통(110)의 상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화로는 착화통내에 구비된 다수의 지지돌기(112)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한 지지돌기는 착화통(1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는 착화통(110)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한 지지돌기(11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돌기에는 착화통(110)의 외부로 돌출된 파지봉(113)이 형성되고, 이 파지봉에 대응한 착화통(110)상에는 파지봉을 안내하도록 된 대략 "ㄱ"자 형상의 안내공(111)이 형성된다.
이는, 숯의 착화시 열에 의해서 화로(20)가 팽창하기 때문에, 팽창된 화로를 착화통(1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착화통(110)상에서 화로(20)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착화통의 하단부에는 배기관(120)이 연통되게 구비되고, 이 배기관의 일단부에는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및 불씨, 불꽃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12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여과망(1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여과망과 착화통 사이의 배기관(120)상에는 착화통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송풍기와 여과망 사이의 배기관(120)에는, 배기관내를 유동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도록 된 재받이통(121)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화로와 배기관 사이의 착화통(110)에는 압력상승으로 인한 착화통(110)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된 다수의 폭기방지구(114)가 천공된다.
한편, 상기한 착화통(110)에는 화로(20)를 덮을 수 있도록 된 덮개(30)가 구비되고, 화로에 대향되는 덮개의 일면은 메시형태의 통기망(31)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풍기(130)는 내열송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32"는 덮개(30)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1은 화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는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숯의 착화 및 발화에 의해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는 재받이부(27)와, 상기 재받이부와 삽입부 사이에 숯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통로를 확보하도록 된 받침망(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숯(10)은, 열매껍질이나 나무 부스러기를 입상(粒狀) 또는 편상(片狀)으로 탄화시킨 것을 숯으로서 사용한다.
상기한 입상 및 판상의 숯은 나무숯이나 성형숯에 비해 연소공기의 통기성이 불량하여 착화가 매우 어려워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흡입연소 구조의 착화장치(100)로 착화시킬때에는 역설적으로 입자의 비표면적이 커서 숯의 착화가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숯이 삽입되는 화로(20)의 재받이부(27)는, 그 하단부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요부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는 포집부(28)로 형성되고, 철부상에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의 배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통로를 확보하도록 한 메시형태의 통기망(29)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통기망(29)은 받침망(22)보다 작은 구멍을 갖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삽입부(21)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격벽(23)이 입설되되, 이 격벽(23)과 삽입부(21)의 내주면은 주름진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숯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Air Gap)을 형성한다.
또한, 도 1b는 격벽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도 1a의 격벽(23)의 외주면과, 삽입부(21)의 내주면 및 격벽(23)과 삽입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한 격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의 메시통체(24)가 방사상으로 입설되어, 숯(10)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c는 격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도 1a의 격벽(23)과 삽입부(21)의 내주면 사이에 판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벽(23)이 방사상으로 입설되고, 이 판상의 격벽(23)과, 삽입부(2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박핀(25)이 구비되어, 숯(10)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한다.
또한, 도 1d와 1e는 격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벽(23)이 서로 교차하도록 입설된 다각형상의 허니컴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도 1d는 다수의 격벽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사각형상의 허니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e는 다수의 격벽이 삼각형상의 허니컴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f와 1g는 격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f는 상기한 화로(20)의 삽입부(21) 중앙부에는 콘형상으로 이루어진 격벽(23)이 내장되어 입설되고, 이 격벽(23)과 삽입부(21)를 이루는 화로(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26)이 천공된다. 도 1g는 도 1f의 삽입부(21)와, 콘형상의 격벽(23)이 도 1a에서와 같이 주름지게 형성되어, 숯(10)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화로(20)의 삽입부(21)와 격벽(23)에 의해서 삽입부(21)내에 삽입된 숯(10)과 삽입부(21) 및 격벽(23)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숯(10)의 착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숯불 착화장치의 사용시는, 먼저 화로(20)내에 열매껍질이나 나무 부스러기를 입상(粒狀) 또는 편상(片狀)으로 탄화시킨 숯을 담는다.
그러면, 상기한 화로(20)의 주름진 모서리 내지는 메시형태의 격벽(23), 메시통체(24), 박핀(25), 허니컴형태의 격벽 등과 숯(10)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원활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숯이 담아져 있는 화로(20)를 착화통(110)내로 삽입시키면, 착화통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돌기(112)에 화로가 걸림되면서 이의 삽입이 정지되고, 이때의 화로(20)는 그 상부가 착화통(110)의 외측으로 소정량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한 화로(20)에 메시형태의 통기망(31)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30)를 덮은 후, 송풍기(130)를 가동시키면서 덮개의 통기망(31)을 통해 부탄가스 토치로서 화로(20)내의 숯(10)을 점화시키면, 숯은 수분내로 신속하게 착화된다.
이때, 상기한 숯의 착화는 착화통(110)내를 원활하게 흐르는 공기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공기흐름은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의해서 덮개의 통기망(31)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화로(20)내의 공극을 지나 화로내의 받침망(22)과 통기망(29)을 통해 착화통(110)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착화통(110) 하부의 배기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이때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의해서 배기관(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폭기방지구(114)에는 부압이 작용하여 외부의 공기가 폭기방지구를 통해서 착화통(110)내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배기관(120)을 통해 배기된다.
따라서, 상기한 폭기방지구에 의해서 착화통(110)내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급격한 공기팽창으로 인한 착화통의 폭발 및 과열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착화된 화로(20)내의 숯은 지속적으로 발화하면서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을 생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은 화로의 받침망(22)을 통해서 재받이부(27)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재받이부로 떨어진 대부분의 재는 포집부(28)내로 유입되고, 포집부 사이의 통기망(29)을 통과한 재는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의해서 배기관(12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배기관내를 유동하는 재는 배기관(120)의 단부에 구비된 여과망(122)에 의해서 모두 걸러지면서 배기관상에 구비된 또 다른 재받이통(121)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숯이 완전히 착화된 후에는 화로(20)를 착화통(110)으로부터 분리시켜 빼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화로(20)는 이의 부피가 팽창되어 지지돌기(112)에 압입된 상태가 됨으로써 착화통(110)으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 작업자는 지지돌기(112) 중에서 착화통(110)의 외부로 돌출된 파지봉(113)을 잡고, 착화통(110)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안내공(111)을 따라 수평이동시킨 다음, 하방으로 수직이동시키면, 상기한 화로(20)는 나머지의 지지돌기(112)만으로 지지된 상태가 됨으로써 하나의 빈 지지돌기만큼 간극이 발생되어 화로(20)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된 화로(20)를 구이장치에 설치하면 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부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기관(120)에 구비된 송풍기(130)는 엘보우형 송풍관(140)을 매개로 연결된다.
즉, 상기한 송풍관(140)은 역 "ㄱ"자 형상으로서, 그 상단부가 배기관(120)내에 내장되어 여과망(122)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송풍기(130)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한 송풍기(130)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열송풍기가 아닌 일반송풍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관(140)의 토출구측 직경은 배기관(120) 직경의 1/2 정도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송풍기(130)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송풍관(140)으로 유입되어 배기관(120)의 여과망(122)측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배기관(120) 및 착화통(110)내에는 부압이 작용하여 숯(10)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배기흐름을 갖게 되어 신속한 착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로서, 엘보우형 송풍관(140)의 토출구측에 공기 및 연소가스의 흐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기공(141)이 천공되어 연소가스의 흐름을 신속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관(140)과 재받이통(121) 사이의 배기관(120)상에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142)가 구비되고, 이 배기댐퍼에는 배기댐퍼(142)를 회전시키도록 된 핸들(143)이 배기관(12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는, 숯(10)의 착화시에는 배기댐퍼(142)를 개방시켜서 송풍기(130)의 송풍력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한 것이고, 착화가 완전히 끝난 후에는 배기댐퍼(142)를 닫아서 송풍기(130)의 송풍력이 화로(20)측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연소가스를 역화시킴으로써 화로(20)내의 숯을 상향 연소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착화장치(100)를 구이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배기댐퍼(142)의 개폐각도를 조절하여서 화로(20)에 작용하는 송풍기(130)의 송풍력을 조절함으로써 숯(10)의 연소시간 및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기관(120)과 송풍기(130) 사이에 설치되는 송풍관(150)을 여과망(122)을 향하도록 한 직선형태로 설치하고, 이 송풍관(150)과 배기관(120)이 이루는 각(θ)은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같은 목적과 작용을 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엘보우형 송풍관(140)을 직선형 송풍관(150)으로 설치함으로서 송풍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송풍관(150)과 재받이통(121) 사이의 배기관(120)상에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151)가 구비되고, 이 배기댐퍼에는 배기댐퍼(151)를 회전시키도록 된 핸들(152)이 배기관(120)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배기댐퍼(151)는,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배기댐퍼(151)와 같은 목적과 작용을 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착화장치(100)도 구이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화로(20)와 배기관(120) 사이의 착화통(110)내에는 송풍개폐기(161)가 구성되고, 배기관(120)에 구비되어 있던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재받이통(121)과 여과망(122)은 배제된다.
상기한 송풍개폐기는, 그 일측면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162a)을 갖는 고정판(162)과, 이 고정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64)되고, 고정판의 구멍에 대응한 구멍(163a)이 방사상으로 천공되어 있는 회전판(163)과, 이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도록 된 레버(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기(160)는 흡입 또는 송풍작동을 행하도록 된 정.역회전 송풍기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도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같은 목적과 작용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화로(20)내의 숯(10)을 착화시키고자 할 시는, 송풍기(160)를 흡입식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착화후에는 송풍식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 착화장치(100)와 구이장치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서 두 기능을 모두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개폐기(161)는 숯의 착화시에는 레버(165)를 회전시켜 회전판(163)의 구멍(163a)을 고정판(162)의 구멍(162a)에 일치시켜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착화시키고, 착화후에는 레버(165)를 역회전시키면서 고정판의 구멍에 회전판의 구멍을 부분적으로 일치시켜 개방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화로(20)에 작용하는 송풍기(160)의 송풍력을 조절하여 숯(10)의 연소시간 및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배기관(170)은 1사이클의 유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착화통(110) 외부로 돌출된 배기관(170)은 1사이클의 유로를 갖되, 그 일측에는 배기관에 연통된 흡입구(171)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이격된 타측에는 배기관에 연통된 배기구(1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기구(173)와 흡입구(171) 사이의 배기관(170)에는 송풍기(160)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기관에는 흡입구(171)와 배기관(170) 및 배기구(173)와 배기관(170)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된 제 1,2 댐퍼(172)(174)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풍기(160)는 흡입 또는 송풍작동을 행하도록 된 정.역회전 송풍기로 구성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식 송풍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도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와 같은 목적과 작용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숯(10)의 착화시에는 흡입구(171)측의 제 1 댐퍼(172)를 작동시켜흡입구(171)의 관로를 폐쇄시키고, 배기구(173)측의 제 2 댐퍼(174)를 작동시켜 배기관(170)의 관로를 차단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송풍기(160)의 흡입력이 화로(20)에 작용하여 외부의 공기나 숯의 착화시에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착화통(110)과 배기관(170)을 통해 배기구(173)로 배기된다.
그리고, 숯의 착화후에는 흡입구(171)측의 제 1 댐퍼(172)를 역작동시켜 배기관(170)의 관로를 차단시키고, 배기구(173)측의 제 2 댐퍼(174)를 역작동시켜 배기구(173)의 관로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송풍기(160)의 흡입력이 배기관(170)과 화로(20)에 송풍력으로서 작용하여 연소가스를 역화시킴으로써 숯을 상향 연소시켜 착화장치(100)를 구이장치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폐되는 제 2 댐퍼(174)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면, 화로(20)에 작용하는 송풍기(160)의 송풍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숯(10)의 연소시간 및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착화통(110)이 병렬로 연결된 착화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착화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은 착화통(110)이 여러개로 구비되고, 이 착화통에는 배기관(180)의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한 배기관의 일단은 착화통(110)의 갯수에 대응되게 분기되고, 타단은하나의 배기구(181)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배기관의 배기구(181)에는 착화통(11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착화통(110)의 하부에는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재받이부(182)가 형성되고, 착화통에 연결된 배기관(180)의 일단부에는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여과망(12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함으로써 생략하기로 하고, 사용하지 않는 착화통(110)상에는 밀폐형 덮개(40)를 덮어 폐쇄시킨다.
미설명부호 "41"은 덮개(40)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화장치(200)는, 숯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삽입된 숯을 받치도록 된 메시형태의 받침망(211)이 설치되어 있는 착화통(210)과, 상기한 착화통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213)와, 상기한 재받이부의 외주면에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천공된 다수의 폭기방지구(212)와, 상기한 착화통에 연통되게 연결된 송풍관(223)과, 상기한 송풍관에 설치된 송풍기(220)와, 상기한 착화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착화통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밀폐형 덮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송풍기(220)에는 작동시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공기흡입구(220a)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는 송풍기(2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흡기댐퍼(221)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송풍기의 일측에는 흡기댐퍼(22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된 스토퍼(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흡기댐퍼(221)는 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공기흡입구(220a)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231"은 덮개(230)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착화장치(200)의 사용시는, 착화통(210)내에 숯을 장입하고 부탄가스토치로서 점화한다.
그리고, 밀폐형 덮개(230)를 착화통(210)의 상부에 덮은 후, 송풍기(220)를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한 송풍기의 흡기댐퍼(221)는 회전되어 공기흡입구(220a)를 개방시킨 상태가 되고, 송풍기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는 송풍관(223)을 통해 착화통(210)내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그리고, 연소가스는 받침망(211)과 재받이부(213) 사이의 착화통(210)에 형성된 폭기방지구(212)를 통해 배기되고,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은 받침망(211)을 통해 재받이부(213)내로 떨어져 저장된다.
한편, 착화통(210)내의 숯이 완전히 착화되면, 송풍기의 흡기댐퍼(221)를 스토퍼(222)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역회전시켜 공기흡입구(220a)를 폐쇄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소모를 방지하여 연료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흡기댐퍼(221)는 이의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공기흡입구(220a)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화된 숯(10)의 불씨를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불씨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송풍기의 흡기댐퍼(221)를 완전히 닫아 공기흡입구(220a)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밀폐형 덮개(230)를 열고 부삽으로 불씨를 퍼서 사용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화장치(300)는, 전술한 도 2의 변형예로서 하나의 착화통(310)에 여러개의 화로(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한 착화장치(300)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20)와, 상기한 화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중공의 착화통(310)과, 상기한 화로와 하향 이격된 착화통에 천공된 다수의 폭기방지구(314)와, 상기한 폭기방지구 하부의 착화통(310)내에 구비된 물탱크(350)와, 상기한 물탱크 하부의 착화통(310)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기관(320)과, 상기한 착화통(3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되는 재받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배기관(320)은 그 일단 즉, 착화통(310)에 연결된 일단에는 연소 부산물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망(32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3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화로(20)가 삽입되는 착화통(310)내에는 한쌍의 지지돌기(312)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이 한쌍의 지지돌기(3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착화통(310)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한 지지돌기(312) 중 어느 하나의 지지돌기에는 착화통(310)의 외부로 돌출된 파지봉(313)이 형성되고, 이 파지봉에 대응한 착화통(310)상에는 파지봉을 안내하도록 된 대략 "ㄱ"자 형상의 안내공(3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물탱크(350)는 착화통(310)내를 순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 물탱크의 일단에는 착화통(3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된 급수부(35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물탱크내의 물을 착화통(310)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된 배수밸브(353)를 갖는 배수구(352)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착화작동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함으로써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한 착화통(310)의 외부로 돌출된 물탱크(350)의 급수부(351)를 통해 물탱크내로 물을 충전시키고, 충전된 물은 착화되어 발화된 숯(10)의 열에 의해서 가열되며, 가열된 온수는 물탱크(350) 타단의 배수밸브(353)와 배수구(352)를 통해서 공급받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물탱크(350)의 구성은, 본 실시예 뿐만 아니라, 전 실시예에 걸쳐 각기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 착화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화장치(400)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20)와, 상기한 화로가 삽입되는 수납부(4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판(411)을 갖는 중공의 착화통(410)과, 상기한 착화통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관(423)과, 상기한 착화통(410)내의 배기관(423)상에 연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관(426)(430)과, 상기한 배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배기관내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비된 송풍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착화통(410)은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이 착화통의 상판에 형성된 다수의 수납부(412)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이 수납부의 하단의 하판(414)은 금속판으로서 착화통의 내주면과, 연통관(426)(430)의 외주면상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판과 하판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착화통(410)의 중앙에는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대기압과 외기가 작용하는 폭기방지구(413)가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기관(423)의 양단부에는 각각 송풍기(420)와 배기댐퍼(424)가 구비된다.
상기한 송풍기는 그 일측에 이의 작동시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공기흡입구(420a)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는 송풍기(4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흡기댐퍼(421)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송풍기(420)의 일측과 배기관(423)의 일측에는 각각 흡기댐퍼(421)와 배기댐퍼(4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된 스토퍼(422)(425)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흡기댐퍼(421)와 배기댐퍼(424)는 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공기흡입구(420a) 및 배기관(423)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착화장치(400)의 사용시는, 먼저 숯이 충전된 화로(20)를 착화통(410)의 수납부(412)에 수납시킨 후, 송풍기(420)를 가동시키면서 부탄가스 토치로서 화로내의 숯(10)을 점화시킨다.
이때, 상기한 송풍기(420)의 흡기댐퍼(421)와, 배기관(423)상의 배기댐퍼(424)는 개방된 상태이고, 송풍기에 의해서 공기흡입구(420a)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배기관(423)내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관내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배기관상에 연통되게 형성된 연통관(426)(430)에는 부압이 작용하게 되고, 그로 인해 착화통(410)내의 공기가 연통관(426)(430)으로 빨려 들어가게 됨과 아울러 상판(411)의 폭기방지구(413)를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착화통(410)내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서 연통관(426)(430)과 착화통(410)내에 부압이 작용하여 착화통 외부의 공기는 상판의 폭기방지구(413)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와 연소가스는 연통관(426)(430)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서 배기관(423)내로 유입되어 배기된다.
그리고, 숯의 착화후에는 개방된 배기댐퍼(424)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면서 배기관(423)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면, 배기관(423)내를 유동하는 송풍기(420)의 송풍력이 배기댐퍼(424)에 의해서 연소가스와 같이 화로(20)측으로 역화되어 화로내의 숯(10)을 상향 연소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착화장치(400)를 구이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기관(423)을 개폐시키는 배기댐퍼(424)를 스토퍼(425)에 접할 때까지 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화로(20)에 작용하는 송풍기(420)의 송풍력을 조절함으로써 숯의 연소시간 및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송풍기(420)의 흡기댐퍼(421)를 스토퍼(422)에 접할 때까지 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공기흡입구(420a)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면, 불필요한 연료소모를 방지하여 숯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관(440)(441)이 다수개로 구비된 착화통(41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착화통내에는 대략 "T"자 형상의 외입연통관(441)이 내장되고, 이 외입연통관의 일단부는 착화통(41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외입연통관에는 그 일단에 송풍기(420)가 구비된 직선형의 배기관(423) 타단이 삽입되어 내장되고, 이 배기관(423)에는 대략 "ㄴ"자 형상의 내입연통관(440) 일단이 삽입되어 내장되고, 타단은 외입연통관(441)내에 삽입되어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한 수납부의 하단의 하판(414)은 착화통의 내주면과, 외입연통관(441)의 외주면상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판과 하판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외입연통관의 일단 즉, 착화통(410)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외입연통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4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실시예는 도 1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상기한 송풍기(420)의 흡기댐퍼(421)와, 외입연통관(441)상의 배기댐퍼(42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송풍기(420)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개방된 송풍기의 공기흡입구(420a)로 유입되어 배기관(423)내를 흐르면서 외입연통관(44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흐르는 공기에 의해서 배기관(423)과 내입연통관(440) 및 배기관(423)과 외입연통관(441) 사이의 관로에는 부압이 작용하여, 착화통(410) 외부의 공기가 폭기방지구(413)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연소가스와 같이 외입 및 내입연통관(441)(440)을 통해서 착화통(410) 외부로 배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 착화장치는, 입상 또는 판상의숯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착화시킴과 아울러 숯의 착화시에 불꽃이나 불씨 및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착화장치를 구이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1.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중공의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에 연통되게 구비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여과망과;
    상기 배기관상에 설치되어 착화통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에는 화로를 덮을 수 있도록 된 덮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에 대향되는 덮개의 일면은 메시형태의 통기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내에는 화로를 지지하여 받치도록 된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는 착화통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돌기는 그 일측에 착화통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봉이 형성되고, 이 파지봉에 대응한 착화통의 외주면에는 파지봉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공이 하향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와 배기관 사이의 착화통 외주면에는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된 다수의 폭기방지구가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여과망 사이의 배기관에는 배기관내를 유동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도록 된 재받이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의 하부에는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도록 된 재받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 엘보우형의 송풍관 일단이 여과망을 향하도록 내입.설치되고, 이 송풍관의 타단에는 송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 내입.설치된 엘보우형의 송풍관 일측에는 연소가스가 배기관내를 신속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 배기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에는 송풍관이 여과망을 향하도록 배기관상에 예각으로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송풍관의 단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과 재받이통 사이의 배기관상에는 배기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가 구비되고, 이 배기댐퍼에는 배기댐퍼를 회전시키도록 된 핸들이 배기관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와 배기관 사이의 착화통내에는 송풍개폐기가 구성되되,
    상기 송풍개폐기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상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고정판의 구멍에 대응한 구멍을 갖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도록 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으로부터 돌출된 배기관은 1사이클의 유로를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배기관에 연통된 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이격된 타측에는 배기관에 연통된 배기구가 형성되며, 이 배기구와 흡입구 사이의 배기관에는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흡입구와 배기관 및 배기구와 배기관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된 댐퍼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흡입 내지는 송풍작동을 행하도록 된 정.역회전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가 삽입되는 중공의 착화통이 다수개로 구비되고, 이 착화통에 각각 그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하나의 배기구를 갖도록 형성된 배기관이 구비되고, 이 배기관의 배기구에는 착화통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된 송풍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의 하부에 재받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과 연결된 배기관상에는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배기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여과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19.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삽입된 숯을 받치도록 된 메시형태의 받침망이 설치되어 있는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와;
    상기 재받이부의 외주면에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천공된 다수의 폭기방지구와;
    상기 착화통에 연통되게 연결된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착화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숯의 착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착화통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밀폐형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는 작동시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는 송풍기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흡기댐퍼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1. 숯불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는, 숯이 삽입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판을 갖는 중공의 착화통과;
    상기 착화통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관과;
    상기 착화통내의 배기관상에 연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배기관내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의 수납부 하단의 하판은 착화통의 내주면과, 연통관의 외주면상에 기밀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의 상면 중앙에는 착화통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된 폭기방지구가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는 작동시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는 송풍기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흡기댐퍼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반대편의 배기관에는 배기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내에 "T"자 형상의 외입연통관이 내장되고, 이 외입연통관에는 배기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내장되며, 이 배기관에는 그 일단이 삽입되어 내장되고, 타단은 외입연통관내에 설치된 "ㄴ"자 형상의 내입연통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입연통관의 일단 즉, 착화통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외입연통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배기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8. 제 1 항, 제 16 항,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통내에는 물탱크가 구성되되, 이 물탱크는 그 일단에 착화통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된 급수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물탱크내의 물을 착화통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된 배수밸브를 갖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숯불 착화장치.
  29. 제 1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는, 숯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숯의 착화 및 발화에 의해서 발생되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도록 구비된 재받이부와;
    상기 재받이부와 삽입부 사이에는 숯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통로를 확보하도록 형성된 받침망;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부는 그 하단부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요부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이 유입되는 포집부로 형성되고, 철부상에는 재 등과 같은 연소 부산물의 배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통로를 확보하도록 한 메시형태의 통기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원통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격벽이 입설되되, 이 격벽과 삽입부의 내주면은 숯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원통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격벽이 입설되되, 이 격벽의 외주면과, 삽입부의 내주면 및 격벽과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숯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하도록 된 다수의 메시통체가 입설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원통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격벽이 입설되고, 이 격벽과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판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벽이 방사상으로 입설되되, 이 판상의 격벽과,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숯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하도록 된 다수의 박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판상의 메시로 이루어진 다수의 격벽이 교차되도록 입설되어다각형상의 허니컴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콘형상의 격벽이 입설되되, 이 격벽과 삽입부상에는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콘형상의 격벽은, 숯과의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KR10-2003-0028565A 2003-05-06 2003-05-06 숯불 착화장치 KR10049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565A KR100495582B1 (ko) 2003-05-06 2003-05-06 숯불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565A KR100495582B1 (ko) 2003-05-06 2003-05-06 숯불 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981A true KR20040094981A (ko) 2004-11-12
KR100495582B1 KR100495582B1 (ko) 2005-06-14

Family

ID=3737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565A KR100495582B1 (ko) 2003-05-06 2003-05-06 숯불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5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63B1 (ko) * 2006-02-28 2007-05-04 이성구 숯 점화장치
KR101038919B1 (ko) * 2008-03-14 2011-06-03 윤성의 개량형 훈연기
KR101222260B1 (ko) * 2009-11-30 2013-01-16 김석원 분진없이 구이집에서 사용되는 불원을 피우는 장치.
KR101327641B1 (ko) * 2013-02-04 2013-11-13 양완석 뜸구 점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43B1 (ko) 2007-10-11 2008-09-12 노부영 숯불 발화기용 분진 집진장치
KR101133206B1 (ko) * 2011-08-08 2012-04-09 유명선 유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숯 발화장치
KR101405636B1 (ko) 2013-04-19 2014-06-10 강우길 가스 숯불 점화기
KR20220100811A (ko) 2022-06-29 2022-07-18 한정남 화로 배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63B1 (ko) * 2006-02-28 2007-05-04 이성구 숯 점화장치
KR101038919B1 (ko) * 2008-03-14 2011-06-03 윤성의 개량형 훈연기
KR101222260B1 (ko) * 2009-11-30 2013-01-16 김석원 분진없이 구이집에서 사용되는 불원을 피우는 장치.
KR101327641B1 (ko) * 2013-02-04 2013-11-13 양완석 뜸구 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582B1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16B1 (ko) 숯 점화장치
CN106090927A (zh) 无害化垃圾焚烧炉
KR100495582B1 (ko) 숯불 착화장치
JP2007229193A (ja) 炭火ロースター
US4844051A (en) Fuel burning appliance incorporating catalytic combustor
KR20140099595A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207280Y1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US10202555B2 (en) Gasification stove
KR200238367Y1 (ko) 장어구이용 매연제거장치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CN205090424U (zh) 家用燃煤炉具
CN218899205U (zh) 一种无烟烤箱及炉具
KR200452565Y1 (ko)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KR101479841B1 (ko) 보일러
KR200207260Y1 (ko) 무연 숯불 구이기의 공기 유입구조
KR102056488B1 (ko) 목재 겸용 펠렛 화덕난로
CN208566689U (zh) 一种便于通风燃气燃烧器
JP2002253429A (ja) 炭火ロースター用火起こし蓋及びそれを用いた炭火ロースター
CN209782975U (zh) 一种间接式加热室结构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KR20100102261A (ko) 숯 점화 및 처리장치
KR200382612Y1 (ko)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KR200385124Y1 (ko) 옥수수를 이용한 육류구이용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225

Effective date: 2013062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408

Effective date: 201308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711

Effective date: 201310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813

Effective date: 201311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1223

Effective date: 2014062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718

Effective date: 201410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