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595A - 무동력 펠릿 난로 - Google Patents

무동력 펠릿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595A
KR20140099595A KR1020130012161A KR20130012161A KR20140099595A KR 20140099595 A KR20140099595 A KR 20140099595A KR 1020130012161 A KR1020130012161 A KR 1020130012161A KR 20130012161 A KR20130012161 A KR 20130012161A KR 20140099595 A KR20140099595 A KR 2014009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fuel
air tank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139B1 (ko
Inventor
이재학
조무송
Original Assignee
이재학
조무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학, 조무송 filed Critical 이재학
Priority to KR102013001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1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1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being fed to the combustion zone by free fall or by sliding along inclined surfaces, e.g. from a conveyor terminating above the fuel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8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료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연료실과, 두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유입구가 상기 연료실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연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고정되며, 두 개의 배출구와 한 개의 개폐문이 형성되고, 상기 한 개의 배출구로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방열실과, 파이프 형상의 에어관을 포함하고, 한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에어관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에어관 타단은 상기 연소실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방열실의 다른 한 개의 배출구에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방열실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는 에어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동력 펠릿 난로{NON-POWERED PELLET STOVE}
본 발명은 무동력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펠릿을 연소시킬 수 있어 별도의 송풍장치가 필요없고, 재를 제거하는 구성요소로 인해 지속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무동력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칩 또는 펠릿은 목재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연료화한 것으로, 근래에 들어 경유, 등유, 가솔린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 문제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써, 이를 연소시키는 보일러, 난로 등의 난방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8540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은 연료저장통의 하부에 스크류가 내장된 연료공급관과 호퍼로 연결되며, 하부에 점화부가 연결되는 공기유입관과 연결된 바람을 주입하는 팬이 형성되는 연료공급부와, 내부 연소실의 하부에 공기유입관의 일측이 연결되는 점화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격벽과 연통을 갖는 연소부 및 연료공급구에 조립되며 최적의 값으로 설정된 제어부와 이를 조절하는 여러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바람을 주입하는 팬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구동시키는데 전기 등의 별도의 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소되어 발생된 재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없어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85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펠릿을 연소시킬 수 있어 별도의 송풍장치가 필요없고, 재를 제거하는 구성요소로 인해 지속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무동력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는, 복수의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료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연료실과, 두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유입구가 상기 연료실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연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고정되며, 두 개의 배출구와 한 개의 개폐문이 형성되고, 상기 한 개의 배출구로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방열실과, 파이프 형상의 에어관을 포함하고, 한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에어관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에어관 타단은 상기 연소실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방열실의 다른 한 개의 배출구에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방열실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는 에어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에 있어서, 상기 연료실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료실의 측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연료실의 외벽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공을 가리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가 상기 방열실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가 상기 방열실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와 상기 방열실의 하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방열실의 접하는 면의 일부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의 내부로 회동되어 상기 방열실과 상기 에어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펠릿을 연소시킬 수 있어 별도의 송풍장치가 필요없고, 이로 인해 구동시키는 전기 등의 동력도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를 제거하는 에어탱크로 인해 지속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연료실과 연소실을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무동력 펠릿 난로의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회동판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방열실과 에어탱크의 접합면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무동? 펠릿 난로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연료"란 목재칩, 펠릿 등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표적으로 펠릿을 선택하여 설명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다른 연료 등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연료실과 연소실을 부분 절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난로(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실(110), 연소실(120), 방열실(130), 에어탱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료실(110)은 복수의 연료(10)를 수용하는 호퍼(H)와, 호퍼(H)에 결합되어 호퍼(H)로부터 복수의 연료(10)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배출시킨다. 호퍼(H)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상부를 통해 복수의 연료(10)가 호퍼(H) 내부로 투입되어 수용된다. 호퍼(H)는 복수의 연료(10)가 수용되는 양에 따라 용량을 선택적으로 정하여 연료실(110)에 결합이 가능하다. 호퍼(H)는 연료실(110)의 개방된 상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연료실(110)은 통 형상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고, 호퍼(H)로부터 복수의 연료(10)를 공급받는다. 연료실(110)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이유는 호퍼(H)로부터 공급받는 복수의 연료(10)가 연료실(110) 내부에서 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외관상에 미려함을 주기 위함이다. 연료실(110)은 예열되는 공간과 예열되지 않는 공간으로 나뉠 수 있는데, 예열되는 공간은 연소실(120)과 가까운 공간을 말하고, 예열되지 않는 공간은 연소실(120)로부터 멀어지는 공간을 말한다. 통기공(111)은 복수로, 연료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료실(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통기공(111)을 통해 연료실(1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연료실(110)에 수용된 복수의 연료(10) 입자 사이를 따라 유동되어 연료(10)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림판(112)은 복수로, 통기공(111)이 형성된 연료실(110)의 외벽에 각각 결합되어 통기공(111)을 가린다. 가림판(112)은 단면이 사각형이도록 절곡된 판재로, 복수의 통기공(111)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가림판(112)은 복수의 통기공(111)이 형성된 연료실(110)의 외관상 미려함을 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가림판(112)이 단면이 사각형이도록 절곡된 판재로, 통기공(111)이 형성된 연료실(110)의 외관상 미려함을 주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연료실(110)의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는 것이라면 단면이 원형이도록 절곡된 판재, 단면이 삼각형이도록 절곡된 판재 등은 물론 다른 형상의 절곡된 판재로도 변경될 수 있다.
연소실(120)은 두 개의 유입구(121, 122)와 한 개의 배출구(123)가 형성되며, 한 개의 유입구(121)가 연료실(110)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연료실(11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10)를 연소시킨다. 연료실(110)로부터 배출된 연료(10)는 연소실(120)에 적층된 상태에서 가스토치 등과 같은 점화장비를 이용하여 점화된다. 연소실(120)에 형성된 두 개의 유입구(121, 122) 중 한 개의 유입구(121)는 연료실(110)과 연통되어 복수의 연료(10)가 유입되는 연료유입구(121)이고, 나머지 다른 한 개의 유입구(122)는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2)이다. 연소실(120)에 형성된 한 개의 배출구(123)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방열실(130)과 연통된다. 연소실(120)은 한 개의 개폐문(124)이 형성되는데,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은 공기유입구(122)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은 유입공(124a)이 형성된다. 유입공(124a)은 연소실(120)의 내부로 연료(10)의 연소에 도움을 주는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본 발명은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에 형성된 한 개의 유입공(124a)을 통해 연소실(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연소실(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이라면 유입공(124a)이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에 두 개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은 공기유입구(122)로부터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소실(120)의 내부에 적층된 복수의 연료(10)를 점화한 후 다시 공기유입구(122)를 폐쇄한다. 연소실(120)은 연소판(125)을 기준으로 위를 예열공간, 아래를 연소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연소판(125)은 ㄷ형 판재로, 길쭉하게 형성되어 연료실(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료유입구(121) 하부에 고정된다. 연소판(125)은 연료(10)의 연소를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이는 연소판(125)으로 인해 유동공간이 확보되므로 공기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이다. 연소판(125)은 폭 방향의 양단과 길이 방향의 일단이 연소실(120)에 고정되어 연료실(110)로부터 배출되는 복수의 연료(10)가 폭 방향의 양단과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각각 적층되는데, 복수의 연료(10) 중 일부는 연소판(125)을 통과하여 연소실(120)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연소실(120)의 바닥에 떨어진 연료(10)는 연소로 인해 고운 입자의 재(10a)로 바뀌게 된다. 본 발명은 연소판(125)이 ㄷ형 판재로 이루어져 연소를 원활하게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연소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E형 판재, T형 판재, H형 판재, 메쉬망 등은 물론 다른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방열실(130)은 연소실(120)의 배출구(123)와 연통되게 고정되며, 두 개의 배출구(131, 132)와 한 개의 개폐문(133)이 형성되고, 한 개의 배출구(131)로 연소실(120)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방열실(130)은 연소실(120)로부터 배출되는 재(10a)가 하부에 적층된다. 방열실(130)에 형성된 두 개의 배출구(131, 132) 중 한 개의 배출구(131)는 방열실(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연소실(12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가스배출구(131)이고, 나머지 다른 한 개의 배출구(132)는 방열실(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연소실(120)로부터 배출되는 재(10a)를 배출시키는 재배출구(132)이다. 배기가스배출구(131)는 파이프 형상의 연통(141a)이 별도로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재배출구(132)는 적층되는 재(10a)를 지지하는 접합면(134)에 형성되어 방열실(130)에 적층된 재(10a)의 일부를 에어탱크(140)로 배출시킨다. 방열실(130)에 형성된 한 개의 개폐문(133)은 방열실(130)의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원형 형상의 유리판(133a)이 형성된다. 유리판(133a)은 방열실(13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다. 본 발명은 유리판(133a)이 원형 형상으로, 방열실(13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방열실(13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유리판(133a)이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등은 물론 다른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방열실(130)의 개폐문(133)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방열실(130)에 적층된 재(10a)를 제거할 경우에는 개방된다. 방열실(130)에 적층된 재(10a)는 별도의 재 제거장비를 이용하여 개방된 방열실(130)의 개폐문(134)을 반복적으로 출입하여 제거된다. 방열실(130)은 재 제거장비를 이용하여 재(10a)의 제거가 완료되면 방열실(130)의 개폐문(134)을 폐쇄시킨다.
에어탱크(140)는 파이프 형상의 에어관(143)을 포함하고, 한 개의 유입구(141)와 한 개의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에어탱크(140)의 유입구(141)는 하부에 형성되고, 에어탱크(140)의 배출구(142)는 에어탱크(140)의 유입구(141)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에어탱크(140)의 배출구(142)와 에어관(143) 일단이 연통되고, 에어관(143) 타단은 연소실(120) 내부로 관통되어 연소실(120)에 공기를 공급하며, 방열실(130)의 다른 한 개의 배출구(132)에 연통되게 고정되고, 방열실(130)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가열된다. 에어탱크(140)는 연소실(120)의 내부에 적층된 재(10a)를 방열실(130) 방향으로 날려보내 연소실(120) 내부의 연소과정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탱크(140)의 작동원리는 자연대류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에어탱크(140)는 유입구(141)를 통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고, 에어탱크(140)는 배출구(142)를 통해 에어탱크(140) 내에 있던 뜨거운 공기가 배출된다.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는 에어탱크(140)의 배출구(142)와 연통되는 에어관(143)을 통해 연소실(120) 내부로 유동된다. 뜨거운 공기는 방열실(130)에 고정된 에어탱크(140)가 방열실(130)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차가운 공기가 가열된 것이다. 연소실(120)의 내부로 관통되는 에어관(143)의 일단부는 연소실(120)의 개폐문(124)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어 재(10a)를 원활하게 제거한다. 에어탱크(140)의 내부는 뜨거운 공기가 에어관(143)을 통해 연소실(120)에 유동된 만큼 차가운 공기가 유입구(141)를 통해 채워지게 된다. 에어탱크(140)는 한 개의 개폐문(144)이 외벽에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에어탱크(140)의 개폐문(144)은 방열실(130)의 개폐문(133)과 같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에어탱크(140)에 적층된 재(10a)를 제거할 경우에는 개방된다. 에어탱크(140)는 재 제거장비를 이용하여 재(10a)의 제거가 완료되면 에어탱크(140)의 개폐문(144)을 폐쇄시켜 다시 연소실(120)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시킨다. 방열실(130)의 접합면(134)과 밀착되는 에어탱크(140)의 접합면(145)에 회동판(146)이 형성되고, 회동판(146)은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힌지(S)에 의해 에어탱크(140)의 내부로 회동되어 방열실(130)과 에어탱크(14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손잡이(150)는 스프링힌지(S)에 결합되어 스프링힌지(S)를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회동된다. 손잡이(150)는 물방울 형상으로 파지하기가 원활하고, 파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회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150)를 파지하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물방울 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파지하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면 막대기, 원기둥 등은 물론 다른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스프링힌지(S)는 에어탱크(14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힌지(S)은 방열실(130)의 재배출구(132)에 밀착되는 회동판(146)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판(146)은 판재 형상으로, 회동되는 스프링힌지(S)에 고정되어 배출대상인 재(10a)를 지지한다. 평상시에 회동판(146)은 스프링힌지(S)의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인해 방열실(130)의 재배출구(132)에 밀착되어 방열실(130)에 적층된 재(10a)를 지지한다. 방열실(130)의 적층된 재(10a) 일부는 에어탱크(140)의 외벽에 설치된 손잡이(150)의 회동으로 회동판(146)이 방열실(130)의 재배출구(132)로부터 이탈되면서 에어탱크(140)의 상부와 방열실(130)의 재배출구(132)가 연통되어 에어탱크(140)로 배출되어 적층된다. 방열실(130)의 적층된 재(10a)를 에어탱크(140)로 배출시킨 후, 회동판(146)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150)를 놓게 되면 스프링힌지(S)의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힘으로 인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방열실(130)과 에어탱크(140)의 접합면(134, 145)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방열실(130)의 접합면(134)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는 연소실(120)의 배출구(123)로부터 배출되는 재(10a)가 연소실(120)의 배출구(123) 인근에 적층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에어탱크(140)의 접합면(145)은 방열실(130)의 접합면(134)과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에어탱크(140)의 접합면(145)이 위에서 설명된 수평하게 형성된 접합면보다 에어탱크(140)의 배출구(142)방향으로 차가운 공기 유동을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조리대(160)는 연소실(1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연료실(110)과 방열실(130)의 사이에 형성된다. 조리대(160)는 연료(10)의 연소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뜨거워지는 공간으로 조리대상을 직접 올려놓거나 조리기구를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연료 10a : 재
100 : 무동력 펠릿 난로 110 : 연료실
111 : 통기공 112 : 가림판
120 : 연소실 121 : 연료유입구
122 : 공기유입구 123 : 배출구
124 : 개폐문 124a : 유입공
125 : 연소판 130 : 방열실
131 : 배기가스배출구 131a : 연통
132 : 재배출구 133 : 개폐문
133a : 유리판 134 : 접합면
140 : 에어탱크 141 : 유입구
142 : 배출구 143 : 에어관
144 : 개폐문 145 : 접합면
146 : 회동판 150 : 손잡이
160 : 조리대 H : 호퍼
S : 스프링힌지

Claims (6)

  1. 복수의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료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연료실과,
    두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개의 유입구가 상기 연료실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연료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고정되며, 두 개의 배출구와 한 개의 개폐문이 형성되고, 상기 한 개의 배출구로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방열실과,
    파이프 형상의 에어관을 포함하고, 한 개의 유입구와 한 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에어관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에어관 타단은 상기 연소실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방열실의 다른 한 개의 배출구에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방열실로부터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는 에어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실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료실의 측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연료실의 외벽에 결합되어 상기 통기공을 가리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가 상기 방열실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가 상기 방열실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에어탱크의 상면 일부와 상기 방열실의 하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방열실의 접하는 면의 일부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의 내부로 회동되어 상기 방열실과 상기 에어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
KR1020130012161A 2013-02-04 2013-02-04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43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61A KR101431139B1 (ko) 2013-02-04 2013-02-04 무동력 펠릿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61A KR101431139B1 (ko) 2013-02-04 2013-02-04 무동력 펠릿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95A true KR20140099595A (ko) 2014-08-13
KR101431139B1 KR101431139B1 (ko) 2014-08-18

Family

ID=5174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161A KR101431139B1 (ko) 2013-02-04 2013-02-04 무동력 펠릿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47A (ko) 2014-08-12 2016-02-22 박정원 나무난로
KR20220114221A (ko) * 2021-02-08 2022-08-17 정연희 우드 펠릿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257B1 (ko) 2020-08-21 2022-02-21 이조복 콘크리트 양생용 펠릿난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248A (ja) 2004-08-25 2006-03-09 Obata Yoshimori 木質ペレットストーブの温風送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47A (ko) 2014-08-12 2016-02-22 박정원 나무난로
KR20220114221A (ko) * 2021-02-08 2022-08-17 정연희 우드 펠릿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139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705B2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CN107726365B (zh) 火炉
JP2007229193A (ja) 炭火ロースター
KR101250617B1 (ko) 장작 스토브
CN105121964B (zh) 除尽残留气体式便携式燃气灶
KR200441449Y1 (ko) 석탄가스 보일러
KR10143112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JP3175791U (ja) 加熱装置
CN1240910A (zh) 具有红外气体烧烤器的电烹调炉
KR101431134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CN203068569U (zh) 一种节能烤箱气化炉
KR101510763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431135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KR102080993B1 (ko)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20160125217A (ko) 화덕 난로
KR20160001617U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US20080295824A1 (en) Woodburner Insert
JP2000186817A (ja) ストーブ
KR101727556B1 (ko) 다목적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