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221A - 우드 펠릿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우드 펠릿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221A
KR20220114221A KR1020210017460A KR20210017460A KR20220114221A KR 20220114221 A KR20220114221 A KR 20220114221A KR 1020210017460 A KR1020210017460 A KR 1020210017460A KR 20210017460 A KR20210017460 A KR 20210017460A KR 20220114221 A KR20220114221 A KR 2022011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llets
opening
closing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174B1 (ko
Inventor
정연희
고현춘
Original Assignee
정연희
고현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희, 고현춘 filed Critical 정연희
Priority to KR102021001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1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한 펠릿 연소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펠릿 난로의 연소장치는, 상부의 호퍼에서 펠릿을 공급받는 연소통의 내부에 개폐판(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판(20)은, 연소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소통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축(24)을 구비하는 힌지(H)에 의하여 지지되고, 호퍼에서 공급되는 펠릿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연소통을 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판(20)은, 웨이트(22) 또는 스프링(S)에 의하여 수평으로 복귀하여, 연소통을 막을 수 있다. 연소통의 하부에는 펠릿을 연소시키는 연소부(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소부는 다수의 연소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연소봉 상하열(32a) 및 제2연소봉 상하열(32b)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우드 펠릿 연소장치{A wood pellet burning device}
본 발명은 우드 펠릿을 사용하는 우드 펠릿난로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에 적재중이던 우드 펠릿의 소진시 외부에서 급격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나머지 펠릿의 정상적인 연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드 펠릿을 연소원으로 사용하는 우드 펠릿 난로(이하에서는 단순히 펠릿이라고 칭하기로 한다)는 호퍼에 적재된 펠릿이 공급되면서 연소됨으로써 필요로 하는 열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난로 본체의 내부 공기는 연통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난로 본체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펠릿 난로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3591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에 대응하는 공기가 펠릿 난로의 연소장치로 유입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펠릿의 연소를 위한 적절한 양이어야 한다. 그러나 선행 특허 문헌 등과 같이, 호퍼에 쌓인 펠릿이 소진되면, 연소장치에서는 호퍼를 통하여 공기가 충분히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연소장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난로 본체가 대기압에 근접하게 되어 연소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제기된다.
그리고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펠릿 난로에서는, 펠릿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가 펠릿을 완전하게 연소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 연소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기의 공급 조건 및 경로, 그리고 연소를 위한 펠릿의 공급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나, 종래의 펠릿 난로에서는 이와 같은 펠릿의 완전 연소에 대체로 부족한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에 적재된 펠릿이 소진되면 호퍼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난로 본체 내부의 압력 조건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나머지 펠릿의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펠릿의 충분한 연소를 제공할 수 있는 펠릿의 공급구조 및 외기의 공급구조를 가지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펠릿 난로의 연소장치는, 상부의 호퍼에서 펠릿을 공급받는 연소통의 내부에 개폐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판은, 연소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소통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축을 구비하는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고, 호퍼에서 공급되는 펠릿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연소통을 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판은, 그 상부의 팰릿이 제거되면, 개폐판을 수평상태로 복귀시켜 연소통의 내부를 막을 수 있는 연소통 밀폐수단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통 밀폐수단에 대한 실시례에 의하면, 개폐판을 연소통의 외부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연소통의 외부에서 연결부와 연결된 웨이트로 구성되고, 웨이트의 하중에 의하여 개폐판은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연소통 밀폐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개폐판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연소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소부는 다수의 연소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연소봉 상하열 및 제2연소봉 상하열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펠릿이 떨어지면 웨이트 또는 스프링에 의하여 개폐판이 자동으로 닫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호퍼를 통하여 난로본체의 내부로 과도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나머지 펠릿도 정상적인 연소 및 배기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개폐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소부는 한 쌍의 연소봉 상하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소봉으로 구성되는 연소부는 실질적으로 공기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어서, 펠릿의 연소에 상당히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소봉 상하열과 인접한 공기유도판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실질적으로 펠릿의 연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 연소장치가 포함된 펠릿 난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소장치의 외관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차단 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공기 차단 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연소장치의 하부 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로에서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을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발명이 적용되는 펠릿 난로는, 펠릿을 저장하고 있는 호퍼(2), 이러한 호퍼(2)에서 공급되는 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B), 그리고 연소장치(B)가 상부에 장착되는 난로본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호퍼(2) 및 난로본체(4) 자체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례에와 같이, 연소장치(B)는 공기의 공급 및 펠릿을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상부모듈(10)과 펠릿을 연소시키는 하부모듈(30)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30)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로 만들어져서, 서로 결합되거나 난로본체(4)의 상면(4a)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30)은 호퍼(2)에서의 펠릿을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관체(예를 들면 사각 관체)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상부모듈(10)은 펠릿의 공급 이외에도 공기를 하부모듈(30) 및 난로본체(4)로 공급하기 위한 안내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모듈(30)은 실질적인 펠릿의 연소가 일어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30)은, 공기가 내부로 공급됨과 같이, 호퍼(2)에서 펠릿이 공급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30)은, 상부의 호퍼에서 펠릿을 공급받고, 펠릿을 연소시키는 하나의 연소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필요에 따라서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30)을 총칭하여 관체상의 연소통이라고 칭하기도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연소통의 상부)은 난로본체(4)의 상면(4a)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부모듈(10)은 그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면(4a)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모듈(10)에는 연소를 위한 공기를 내부로 투입하는 공기공급판(12)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공급판(12)에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공기 조절부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공급공기 조절부(14)는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공급판(12)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공기공급판(12)은 힌지축(상부에 설치되는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모듈(10)을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판(12)을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그것을 열어서 내부를 수리하거나 펠릿의 착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소봉 열로 구성되는 연소부(32)로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경사안내판(16)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의 경사안내판(16)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있어서, 펠릿을 연소부(32)의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부모듈(10)의 내부에는 펠릿의 무게에 의하여 반응하는 개폐판(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판(20)은 상부모듈(10)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펠릿이 없는 경우 상부모듈(10)의 내부 통로를 막음으로써 불필요한 공기가 하부모듈(30) 속으로 과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개폐판(20)은 힌지축(22)을 가지는 힌지(H)에 의하여 상부모듈(10)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개폐판(20)은 상부모듈(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26)를 통하여 상부모듈(10) 외측의 웨이트(22)와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22)는 개폐판(20)보다 무거운 것이어서, 개폐판(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웨이트(22)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개폐판(20)은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개폐판(20)의 수평상태는 상부모듈(10)의 내부를 막는 상태임은 도 3의 (a)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호퍼(2)에서 펠릿이 하부로 떨어지면, 개폐판(20)은 펠릿의 무게 의하여 힌지축(22)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도 3의 (b)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판(20)이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 펠릿은 하부에 있는 연소부(32)로 공급되어 연소가 진행될 것이다. 이렇게 연소가 진행되면서 펠릿은 점점 줄어들게 되고, 호퍼(2)에 있는 모든 펠릿이 소진되면, 실질적으로 개폐판(20) 위에는 펠릿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펠릿이 없어지면, 웨이트(22)가 그 무게에 의하여 힌지축(24)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은 연결부(26)를 통하여 개폐판(20)을 수평 상태로 이동시키게 된다. 개폐판(20)이 수평상태로 되면 실질적으로 상부모듈(10)이 막히게 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연소부(32)에서 연소중인 펠릿에 대하여 호퍼(2) 및 상부모듈(10)에서 하방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퍼(2)를 통하여 별도의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난로본체(4) 내부의 압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호퍼(2)에 펠릿이 차 있는 상태와 같이, 호퍼 내부를 통하는 외기의 흡입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서 마지막 펠릿까지 정상적인 연소 및 배기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개폐판(20)이 열려 있으면, 호퍼에서 난로본체(4)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급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연통으로 배기되는 배기압이 약해지기 때문에 정상적인 연소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다음에는 도 4를 참고하면서 개폐판(20)에 대한 다른 실시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례는 상술한 웨이트(22)를 대신하여 스프링(S)을 이용하여 개폐판(20)을 동작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20)은 힌지(H)의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S)은 개폐판(20)을 상부로 잡아당기고 있으며, 이때 개폐판(20)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폐판(20)의 외측단부가 상부모듈(10) 내측의 스토퍼에 의하여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구성으로 스프링(S)에 의하여 상부로 당겨져서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4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펠릿이 개폐판(20)의 위에 쌓이게 되면, 펠릿의 하중에 의하여 개폐판(20)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된다. 이렇게 개폐판(20)이 열린 상태에서, 펠릿은 호퍼에서 하부의 연소부(32)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펠릿이 소진되면(펠릿이 전부 밑으로 떨어지고 나면), 실질적으로 개폐판(20)을 밑으로 향하도록 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판(20)은 스프링(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개폐판(20)이 수평상태로 되면, 실질적으로 상부모듈(10)의 상하가 막힌 상태로 된다. 관체상의 상하모듈(10)이 개폐판(20)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실질적으로 호퍼(2)에서 하부모듈(30)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펠릿이 호퍼에 차 있는 상태와 같은 상태로 되어 정상적인 내부 압력이 유지되면서 나머지 펠릿이 연소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례에 있어서는 개폐판(20)의 상부에서 펠릿이 스프링(S) 주변(특히 스프링의 하부와 개폐판 사이)에 끼이는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프링(S) 주변을 감싸는 차단판(28)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28)은 펠릿이 스프링 주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개폐판(20)이 상부로 회전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실질적인 연소가 일어나는 하부모듈(30)(연소통의 하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부모듈(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소부(32)는 상부에서 공급되는 펠릿을 그 내부에서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소부(32)는, 경사안내판(16)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연소봉(제1연소봉 상하열)과, 상부모듈(10)의 내측면(19)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연소봉(제2연소봉 상하열)으로 구성된다. 즉,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 제2연소봉 상하열(32b)은 그 사이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부(32)를 형성하는 것이고, 다수 개의 연소봉으로 구성되는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 제2연소봉 상하열(32b)은 모두 유사한 간격을 가지고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의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 내의 제2연소봉 상하열(32b)은, 각각 다수 개의 연소봉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사이를 통하여 공기가 연소부(32) 내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 제2연소봉 상하열(32b)의 하단부는, 다수의 연소봉이 U자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연소봉 상하열(32a)의 외측에는, 하단부가 연소부(32)을 향하도록 경사진 공기유도판(3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유도판(34)과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는데, 공기유도판(34)이 경사를 가지고 있어서, 상부에서는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의 틈새가 크고, 하부에는 제2연소봉 상하열(32a)과의 틈새가 작게 성형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의 공기공급판(12)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는, 공기유도판(34)의 내측을 따라 흐르게 되면서 제1연소봉 상하열(32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공기유도판(34)의 내측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제1연소봉 상하열(32a)의 하단부에서, 공기유도판(34)과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때문에 그 부분에서 가장 유속이 빠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도판(34)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공기는 연소부(32)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제1연소봉 상하열(32a)과 제2연소봉 상하열(32b) 사이에서 펠릿의 연소가 일어나도록 한다. 즉, 공기유도판(34)과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의 공기는 일부는 하방으로 흐르고, 다른 일부는 연소부(32) 내부로 흡입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도판(34)과 제1연소봉 상하열(32a)의 하단부에서 유속이 가장 빨라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펠릿의 연소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펠릿의 연소가 가장 활발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펠릿이 연소되면서 크기가 작아져서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를 통하여 가장 많이 떨어지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된 펠릿이 연소부(32)의 하방으로 원활하게 떨어진다는 것은,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함과 동시에 펠릿의 배출에 의하여 펠릿이 상부에서 하부로 정상적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도 5에서 공기의 통로를 표시하고 있는 화살표를 통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음에는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난로에서 전체적인 연소 및 공기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의 공기공급판(12)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공기유도판(34)에 의하여 하방으로 흐르는데, 여기서 일부 공기는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를 통하여 연소부(32)의 내부에 이르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렇게 하여 연소부(32) 내에서는 1차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모듈(10)의 내측면(19)과 난로본체(4)의 상면(4a)이 만나는 부분에는 외기를 난로본체(4)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2차 공기공급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1차 공기공급부인 공기공급판(12)과 같이 연소를 위한 외부 공기를 난로본체(4)의 내부로 안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차공기공급부인 공기공급판(12)을 통하여, 그리고 2차공기공급부(4c)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난로본체(4)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판(1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도판(34)과 제1연소봉 상하열(32a) 사이를 통하여 난로본체의 하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하면에 부딪힌 공기는 다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이 2차 공기공급부(4c)을 통하여 하부로 들어오는 공기, 그리고 연소부(32)에서 제2연소봉 상하열(32b)를 나온 공기들이 서로 합류하면서, 연소부(32)의 내측 앞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펠릿의 연소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킨 후, 내부의 공기는 연소부(3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연통으로, 그리고 외부로 배기된다. 펠릿 난로에서는, 이와 같이 배기되는 공기흐름에 기초하여 상술한 공기공급판(12) 및 1차 공기공급부(4c)를 통하여 난로본체(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부는 다수의 연소봉으로 구성되는 것임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소부(32)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공기유도판(34)과의 일정한 간격을 통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과 같이, 일정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연소봉으로 구성되어 연소부(32) 내부로 공기가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모듈에서, 호퍼에서 공급되는 펠릿이 소진되었을 경우, 개폐판(20)이 상부모듈의 상하를 구획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호퍼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펠릿이 쌓여 있는 경우와 같이 호퍼를 통하여 난로본체(4)의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연소 및 공기 순환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 호퍼
4 ..... 난로본체
10 ..... 상부모듈
12 ..... 공기공급판
20 ..... 개폐판
22 ..... 웨이트
24 ..... 힌지축
26 ..... 연결부
30 ..... 하부모듈
32 ..... 연소부
32a ..... 제1연소봉 상하열
32b ..... 제2연소봉 상하열
34 ..... 공기유도판

Claims (4)

  1. 상부의 호퍼에서 펠릿을 공급받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소통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축을 구비하는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고, 호퍼에서 공급되는 펠릿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연소통을 여는 개폐판; 그리고
    상기 개폐판 상부의 팰릿이 제거되면, 개폐판을 수평상태로 복귀시켜 연소통의 내부를 막을 수 있는 연소통 밀폐수단으로 구성되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 밀폐수단은, 개폐판을 연소통의 외부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연소통의 외부에서 연결부와 연결된 웨이트로 구성되고, 웨이트의 하중에 의하여 개폐판은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 밀폐수단은, 개폐판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소부는 다수의 연소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연소봉 상하열 및 제2연소봉 상하열로 구성되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1020210017460A 2021-02-08 2021-02-08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10243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60A KR102438174B1 (ko) 2021-02-08 2021-02-08 우드 펠릿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60A KR102438174B1 (ko) 2021-02-08 2021-02-08 우드 펠릿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21A true KR20220114221A (ko) 2022-08-17
KR102438174B1 KR102438174B1 (ko) 2022-08-29

Family

ID=831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460A KR102438174B1 (ko) 2021-02-08 2021-02-08 우드 펠릿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595A (ko) * 2013-02-04 2014-08-13 이재학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486050B1 (ko) * 2014-04-24 2015-01-29 임재욱 펠렛난로
KR101515001B1 (ko) * 2014-03-31 2015-05-04 임재욱 펠렛난로
KR20190037854A (ko) * 2017-09-29 2019-04-08 피지에스기기(주) 펠릿 난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595A (ko) * 2013-02-04 2014-08-13 이재학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515001B1 (ko) * 2014-03-31 2015-05-04 임재욱 펠렛난로
KR101486050B1 (ko) * 2014-04-24 2015-01-29 임재욱 펠렛난로
KR20190037854A (ko) * 2017-09-29 2019-04-08 피지에스기기(주) 펠릿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174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974B2 (ja) 薪ボイラー
JP4903752B2 (ja) 重力駆動流量制御器を具備した安全注入タンク
NO162887B (no) Stoetstraalekjoelt overgangskanal.
KR20170116950A (ko) 플레어가스 배출 조절장치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2438174B1 (ko) 우드 펠릿 연소장치
JP2012073012A (ja) ペレット燃焼装置
KR102064058B1 (ko) 화목난로
US6758149B2 (en) Refuse incinerator
JP2009103082A (ja) セパレータ
KR101193737B1 (ko) 가스연소장치
EP2307799B1 (en) Steering funnel for bed material in fluidized bed boiler, fluidized bed boiler and method in fluidized bed boiler
KR101201352B1 (ko) 대용량 버너
KR101268930B1 (ko) 소각로용 고형연료 투입장치
JPH06221525A (ja) 燃焼装置
KR101940670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역류 방지 공기 분사 시스템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KR101555851B1 (ko) 버너
KR101770283B1 (ko) 하향 연소식 난로 겸용 보일러
FI128149B (en) METHOD FOR SUPPLYING PRIMARY FLUID GAS INTO THE FLAME BED BOILER FIRE
CN111780104A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
JP5840318B1 (ja) 加圧式燃焼装置
KR20240142853A (ko) 역화방지 기능을 가지는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102190363B1 (ko) 하이브리드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