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001B1 - 펠렛난로 - Google Patents

펠렛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001B1
KR101515001B1 KR1020140037373A KR20140037373A KR101515001B1 KR 101515001 B1 KR101515001 B1 KR 101515001B1 KR 1020140037373 A KR1020140037373 A KR 1020140037373A KR 20140037373 A KR20140037373 A KR 20140037373A KR 101515001 B1 KR101515001 B1 KR 10151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inner tube
amount adjusting
pellet amoun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욱
Original Assignee
임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욱 filed Critical 임재욱
Priority to KR102014003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8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난로에 공급되는 펠렛량을 조절하여 화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펠렛난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는, 난로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이 공급되는 펠렛공급부와,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화력조절을 위해 펠렛공급부를 통해 난로에 공급되는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부와,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펠렛량조절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을 연소시키는 본체연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펠렛난로{PELLET STOVE}
본 발명은 펠렛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친환경 목재펠렛(wood pellet)을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난로에 관한 것이다.
연료인 목재펠렛은 잡목이나 폐목 등을 재료로 하는 재생연료, 친환경 연료인데 난방 연료로서 화석연료나 전기에너지를 대체,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상대적으로 저렴해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펠렛을 연료로하는 무동력 펠렛난로는 대부분 불의 흐름 방향을 거슬르는 하향식 방법으로 연소가 되는데, 자연적으로 상향식으로 연소가 되는 화목난로와는 다르게 많은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펠렛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연소가 되는 구조로서 이는, 연료 펠렛이 난로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본체연소부 가까이에 있는 펠렛이 자체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는데, 상부의 펠렛이 하부에서 증발해 올라오는 수분으로 인해 연료로서의 기능이 상실 되는 것이다. 또한, 펠렛이 소진되면 펠렛 공급관로가 오히려 굴뚝이 되어 호퍼로 역화가 되므로 화재 발생의 위험도 있다. 또한, 펠렛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화력조절이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댐퍼 등으로 연도의 배기를 막아 화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원활한 연소에 방해를 주고 불완전 연소로 인한 연소가스의 역류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하향식으로 연소되는 무동력 펠렛난로는 대부분 난로 본체 상단에 펠렛공급부가 설치되므로 형상이 단순하고 난로 외의 기능을 추가하게 되면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사용이 불편하고 이동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하지 않는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난로에 공급되는 펠렛량을 조절하여 화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펠렛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소 중에 열기로 인해 증발하는 펠렛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펠렛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펠렛 소진 후 펠렛 공급관로의 굴뚝화 현상으로 발생되는 역화를 차단하는 펠렛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순차적 연소를 통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펠렛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피가 크고 단순한 형상에서 벗어나 연소가스배출부를 접이식 구조로 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펠렛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렛난로는, 난로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이 공급되는 펠렛공급부와, 상기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화력조절을 위해 상기 펠렛공급부를 통해 난로에 공급되는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부와, 상기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펠렛량조절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을 연소시키는 본체연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공급부는 상기 본체연소부의 열기로 인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펠렛 수분을 차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차단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차단배출부는,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펠렛의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수분차단칸막이와, 상기 펠렛공급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분차단칸막이에 의해 모아진 상기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차단칸막이는,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측면에 중앙 하부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측면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1 수분차단칸막이와,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중앙에 중간부위가 상향으로 절곡되고 양측면이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중앙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2 수분차단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이중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상단이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연소부의 상부에 하단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펠렛량조절외측관과,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펠렛공급부에서 상기 본체연소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내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은 하단에 적어도 일면 이상 안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좌,우의 폭을 좁게하여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미세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내측관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탄성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버튼이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상하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고정구들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과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일치되는 고정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돌기가 있는 탄성판이 타공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탄성판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판의 돌기가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설치되는 직선톱니(랙기어)와 치합하는 원형톱니(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톱니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탄성버튼이 마련된 회전다이얼이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원형톱니와 축결합되며, 상기 회전다이얼을 통해 상기 원형톱니를 회전시키면 상기 원형톱니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직선톱니가 상하 운동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버튼이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세로방향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마련된 고정구에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세로회전기어와, 바 형상의 세로회동 걸림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세로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세로회동 걸림부재로 상기 세로회전기어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계단식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계단식 고정구를 관통하여 작동부재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계단식 고정구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외측면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고 외측면 하부에 세로톱니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내측면 상부에 내주연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가로방향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세로톱니 기어와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가로회전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로톱니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사 회전운동으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양측면에 상하로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양측면에 너트구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부에 일측 이상이 타공된 탄성판이 마련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너트구에 체결되는 미세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탄성판에 압력을 가해 좌우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공급부에서 내려오는 상기 펠렛이 소진되면 펠렛공급관로의 굴뚝화 현상으로 발생되는 역화를 차단하는 역화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화차단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펠렛의 낙하를 위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천공구가 형성되는 역화차단상판과, 상기 역화차단상판의 하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펠렛이 소진되면 무게중심추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역화차단상판의 천공구를 밀폐시키는 역화차단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하단에 결합되며 가느다란 망으로 천공된 형상으로 관찰창이 일면 이상에 마련된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연소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펠렛을 순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판은, 상기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펠렛이 걸릴 정도의 간격을 가진 제 1 연소판과, 상기 제 1 연소판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연소판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중앙이 천공된 제 2 연소판과, 상기 제 2 연소판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소판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중앙이 천공된 제 3 연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소판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낱개 교환식 환봉 형태로 장착되는 연소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펠렛난로는 상기 본체연소부의 일측에 접이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본체연소부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연소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도 역할을 하는 연소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펠렛난로에 따르면, 연료 펠렛의 수분을 차단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항상 건조한 연료로서의 펠렛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펠렛 소진시 자동으로 닫히는 역화차단부를 마련함으로써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펠렛의 공급량을 사용중에도 간단한 상하 조작만으로 조절해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연소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화력 조절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낱개 교환식 연소봉과 순차적 간격으로 천공된 연소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연소부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 보수가 되고 완전한 연소를 통해 재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듦으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대기오염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연소부의 일측에 접이식으로 장착된 연소가스배출부는 간단히 펼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유용하며 그 통로에서 잔여 연소가스도 완전하게 연소시킴으로써 난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었을때 부피도 현저히 줄어듦으로 이동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펠렛난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펠렛난로에서 펠렛량조절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 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펠렛난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펠렛난로에서 펠렛량조절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난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인 펠렛난로는 크게 펠렛공급부(100)와 펠렛공급부(100) 하부에 슬라이딩식 결합되는 펠렛량조절부(200)가 구비되고, 펠렛량조절부(200) 하부와 본체연소부(300) 상부가 탈착식 결합되고, 본체연소부(300) 일측에 접이식으로 장착되는 연소가스배출부(400)로 구성되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세부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펠렛공급부(100), 펠렛공급부(100)는 연료 펠렛의 투입구로서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의 펠렛공급부(103)가 마련되고 펠렛공급부(103) 상부에는 다량의 펠렛을 담을 수 있는 연장통(101)을 장착할 수 있다. 펠렛공급부(103) 내부에는 본체연소부(300)의 열기로 인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펠렛의 수분을 차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분차단칸막이가 마련되는데, 펠렛공급부(103)의 내측면 중앙 하부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내부 측면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1 수분차단칸막이이(105a, 105b)와, 펠렛공급부(103)의 내부 중앙에 중간부위가 상향으로 절곡되고 양측면이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내부 중앙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2 수분차단칸막이(105c)가 구비된다. 또한, 펠렛공급부(103)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수분차단칸막이에 의해 모아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107a,107b,107c,107d)가 마련 되어 펠렛공급부(100)를 구성하게 되고, 수분의 차단과 배출을 통해 펠렛공급부(100)는 항상 건조한 상태의 연료로서의 펠렛을 제공할 수 있는것이다.
다음, 펠렛량조절부(200), 펠렛량조절부(200)는 이중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펠렛공급부(100) 하부에 마련된 펠렛량조절부결합판(109)과 펠렛량조절부(200) 상부에 마련된 펠렛공급부결합구(250)와 슬라이딩방식으로 연통이 되도록 결합되고, 본체연소부(300)의 상부에 하단이 연통 되도록 결합되는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이 구비되고, 펠렛량조절외측관(26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운동으로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는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이 형성된다. 또한, 펠렛량조절내측관(210) 하단에는 적어도 일면 이상 안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좌우의 폭을 좁게하여 펠렛 공급량 조절을 더 미세하게 조절하게 되는 펠렛량조절미세촉부(220)가 마련된다. 이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연소판(301)과 간격이 가까울수록 공급량이 줄어 화력이 약해지고 펠렛량조절미세촉부(220)로 인해 더 미세하게 조절이 되는것이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연소판(301)과 간격이 이격 될수록 공급되는 펠렛량이 많아지므로 화력이 강해지는 것이다. 또한, 펠렛량조절부(200)는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270a, 270b)을 관통하는 볼트(240a, 240b)가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결합되고, 볼트(240a, 240b)를 통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볼트(240a, 240b)에 체결되는 너트(230a, 230b)로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조절 후 고정시키는 내측관고정부를 마련함으로서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의 펠렛량조절부(200)의 펠렛량조절외측관(260)과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상하 운동과, 조절 후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고정시키는 내측관고정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도면은 상술된 바 있으므로 생략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71a)가 형성되고, 고정구(271a)와 대향하는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측면에 탄성버튼(231)이 마련되며,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270a, 270b)을 관통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결합되는 작동부재(241a, 241b)를 통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탄성버튼(231)이 고정구(271a)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71a)가 형성되고,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고정구(271a)와 대향하는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측면에 상하로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고정구(271a)들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11)가 형성되며,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270a, 270b)을 관통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결합되는 작동부재(241a, 241b)를 통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펠렛량조절외측관(260)과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일치되는 고정구(211, 271a)에 고정핀(232)이 삽입되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71b, 271c)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71b, 271c)와 대향하는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측면에 돌기(233a, 233b)가 있는 탄성판(212a, 212b)이 타공 형성되며,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270c, 270d)을 관통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탄성판(212a, 212b)에 결합되는 작동부재(241c, 241d)를 통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탄성판(212a, 212b)의 돌기(233a, 233b)가 고정구(271b, 271c)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설치되는 직선톱니(213a, 213b)와 치합하는 원형톱니(214a, 214b)가 설치되고, 원형톱니(214a, 214b)와 대향하는 펠렛량조절외측관(260) 측면에 결합구(275a, 275b)와 결합구(275a, 275b)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74)가 형성되고, 탄성버튼(231)이 마련된 회전다이얼(235a, 235b)이 결합구(275a, 275b)를 통해 원형톱니(214a, 214b)와 축결합되며, 회전다이얼(235a, 235b)을 통해 원형톱니(214a, 214b)를 회전운동 시키면, 직선톱니(213a, 213b)가 상하 운동함에 따라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탄성버튼(231)이 고정구(274)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215a, 215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15a, 215b)와 대향하는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측면에 세로방향 슬릿(273a, 273b)이 형성되며, 슬릿(273a, 273b)을 통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마련된 고정구(215a, 215b)에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세로회전기어(244a, 244b)와, 바 형상의 세로회동 걸림부재(236)가 설치되며, 세로회전기어(244a, 244b)의 회전에 의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세로회동 걸림부재(236)로 세로회전기어(244a, 244b)를 고정함에 따라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g)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적어도 일측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계단식고정구(276a, 276b)가 형성되고, 계단식고정구(276a, 276b)를 관통하여 작동부재(241a, 241b)가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결합되며, 작동부재(241a, 241b)를 계단식고정구(276a, 276b)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h)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외측면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216a)가 형성되고 외측면 하부에 세로톱니기어(217)가 형성되며,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내측면 상부에 내주연을 따라 암나사(216b)가 형성되고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측면에 가로방향 슬릿(273c)이 형성되며 슬릿(273c)을 통해 세로톱니기어(217)와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가로회전기어(245)가 설치되고, 가로회전기어(245)의 회전에 의해 세로톱니기어(217)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나사(216a)와 암나사(216b)의 나사 회전운동으로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도 5의 (i)에 도시된 바와같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양측면에 상하로 장공(270a, 270b)이 형성되고, 다른 양측면에 너트구(282a, 282b)가 형성되며,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측면부에 일측 이상이 타공된 탄성판(221a, 221b)이 마련되고, 장공(270a, 270b)을 관통하는 볼트(240a, 240b)가 펠렛량조절내측관(210)에 결합되고, 볼트(240a, 240b)를 통해 펠렛량조절외측관(260)에 대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볼트(240a, 240b)에 체결되는 너트(230a, 230b)로 펠렛량조절외측관(26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너트구(282a, 282b)에 체결되는 미세조절볼트(280a, 280b)를 통해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탄성판(221a, 221b)에 압력을 가해 좌우폭을 좁힘으로써 펠렛의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량조절부(200).
또한, 펠렛량조절부(200)는 펠렛공급부(100)에서 내려오는 펠렛이 소진되면 외부 연통이 급격하게 식어, 온기가 있는 펠렛공급관로의 굴뚝화 현상으로 발생되는 역화를 차단하는 장치가 마련되는데, 펠렛량조절내측관(210)의 내부 상단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펠렛의 낙하를 위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천공구(201a)가 형성되는 역화차단상판(201)과, 역화차단상판(201)의 하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205) 결합되며 펠렛이 소진되면 무게중심추(204)에 의해 회동하면서 역화차단상판(201)의 천공구(201a)를 밀폐시키는 역화차단하판(203)이 구비된다. 또한, 펠렛량조절외측관(260)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공기공급부(290)는 하향 연소방식 특성상 많은양의 공기 공급을 위해 조절기능 없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다만, 옹이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펠렛이 연소중 튀어오르는 현상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가느다란 망 형상으로 천공되며, 초기 점화와 연소중인 펠렛의 관찰 등을 위해 관찰창(292a, 292b)이 일면 이상에 마련된다.
다음, 본체연소부(300), 본체(313)의 내부에 마련되고, 펠렛량조절부(200)의 하부와 탈착식 결합되는 관 형상의 연소부(311)에 연소판을 삽입하는 구조로, 펠렛량조절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펠렛을 순차적으로 연소 시키는데, 펠렛량조절부(20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펠렛이 걸릴정도의 간격을 가진 제 1 연소판(301)이 마련되고, 제 1 연소판(301)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제 1 연소판(301)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원활한 공기 흐름과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해 중앙천공구(309a)가 마련된 제 2 연소판(305)과, 제 2 연소판(305)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소판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중앙천공구(309b)가 마련된 제 3 연소판이 구비되는데, 특히, 제 1 연소판(301)은 펠렛이 집중 연소되는 중앙부분의 열변형이 가장심해 자주 교환해야 하는 소모품으로 이를 낱개 교환식 환봉 형상의 연소봉(303)을 구비함으로서 수리나 교환이 용이해 유지 비용이 저렴해 진다. 따라서, 순차적 간격의 단계식 연소를하는 연소부(311)는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어 재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듦으로 관리가 용이하고 에너지 효율도 높임과 동시에 대기오염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연소가스배출부(400), 연소가스배출부(400)는 본체연소부(300) 일측에 양면이 관통된 원통형 형상의 회전결합부(315a, 315b)와 연소가스배출부(400)일측에 양면이 원형으로 천공된 회전결합부(403a, 403b)와 연통되어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접이식몸체부(401)로 장착된다. 이는 간단히 접었다 펼쳐서 사용하면 되므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접었을때 펠렛난로의 부피가 줄어듦으로 수납과 보관, 이동 등 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소가스가 양면이 관통된 형상의 오븐(409)의 상하로 통과하게 되는데 통로 양측면에 공기공급구(407)를 다수 개 천공해서 잔여 연소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킨 후 연소가스배기구(405)로 내보냄으로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중앙이 관통된 형상의 접이식몸체부(401)에 마련된 오븐(409)은 펠렛난로의 난방기능 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난방효율과 함께 사용효율도 높은것이다. 또한, 도 7의 펠렛난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펠렛공급부(100)와 펠렛량조절부(200), 본체연소부(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유닛으로 구비하게 되면 펠렛량 조절 뿐만 아니라, 연소칸의 칸수로도 화력 조절이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수 있다는것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한정적인것이 아닌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펠렛공급부
101 : 연장통
103 : 펠렛공급부
105a, 105b : 제 1 수분차단칸막이
105c : 제 2 수분차단칸막이
107a, 107b, 107c, 107d : 수분배출구
109 : 펠렛량조절부결합판
200 : 펠렛량조절부
201 : 역화차단상판
201a : 천공구
203 : 역화차단하판
204 : 무게중심추
205 : 힌지
210 : 펠렛량조절내측관
211 : 고정구
212a, 212b : 탄성판
213a, 213b : 직선톱니
214a, 214b : 원형톱니
215a, 215b : 고정구
216a : 수나사
216b : 암나사
217 : 세로톱니기어
220 : 펠렛량조절미세촉부
221a, 221b : 탄성판
230a, 230b : 너트
231 : 탄성버튼
232 : 고정핀
233a, 233b : 돌기
235a, 235b : 회전다이얼
236 : 걸림부재
240a, 240b : 볼트
241a, 241b, 241c, 241d : 작동부재
244a, 244b : 세로회전기어
245 : 가로회전기어
250 : 펠렛공급부결합구
260 : 펠렛량조절외측관
270a, 270b, 270c, 270d : 장공
271a, 271b, 271c : 고정구
273a, 273b, 273c : 슬릿
274 : 고정구
275a, 275b : 결합구
276a, 276b : 계단식고정구
280a, 280b : 미세조절볼트
282a, 282b : 너트구
290 : 공기공급부
292a, 292b : 관찰창
300 : 본체연소부
301 : 제 1 연소판
303 : 연소봉
305 : 제 2 연소판
307 : 제 3 연소판
309a, 309b : 중앙천공구
311 : 연소부
313 : 본체
315a, 315b : 회전결합부
400 : 연소가스배출부
401 : 접이식몸체부
403a, 403b : 회전결합부
405 : 연소가스배기구
407 : 공기공급구
409 : 오븐

Claims (21)

  1. 삭제
  2. 난로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이 공급되는 펠렛공급부;
    상기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화력조절을 위해 상기 펠렛공급부를 통해 난로에 공급되는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부; 및 상기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펠렛량조절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을 연소시키는 본체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펠렛공급부는 상기 본체연소부의 열기로 인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펠렛의 수분을 차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차단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차단배출부는,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펠렛의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수분차단칸막이; 및
    상기 펠렛공급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분차단칸막이에 의해 모아진 상기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차단칸막이는,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측면에 중앙 하부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측면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1 수분차단칸막이; 및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중앙에 중간부위가 상향으로 절곡되고 양측면이 절곡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는 판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내부 중앙을 통해 상부로 증발하는 상기 수분을 차단하고 모으는 제 2 수분차단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4. 난로 연료로 사용하는 펠렛이 공급되는 펠렛공급부;
    상기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화력조절을 위해 상기 펠렛공급부를 통해 난로에 공급되는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부; 및 상기 펠렛량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펠렛량조절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을 연소시키는 본체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이중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펠렛공급부의 하부에 상단이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연소부의 상부에 하단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펠렛량조절외측관; 및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펠렛공급부에서 상기 본체연소부로 공급되는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내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은 하단에 적어도 일면 이상 안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좌,우의 폭을 좁게하여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펠렛량조절미세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내측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탄성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버튼이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상하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고정구들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과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일치되는 고정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에 돌기가 있는 탄성판이 타공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탄성판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판의 돌기가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설치되는 직선톱니(랙기어)와 치합하는 원형톱니(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톱니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탄성버튼이 마련된 회전다이얼이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원형톱니와 축결합되며, 상기 회전다이얼을 통해 상기 원형톱니를 회전시키면 상기 원형톱니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직선톱니가 상하 운동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버튼이 상기 고정구에 탄성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세로방향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마련된 고정구에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세로회전기어와, 바 형상의 세로회동 걸림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세로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세로회동 걸림부재로 상기 세로회전기어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적어도 일측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계단식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계단식고정구를 관통하여 작동부재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계단식고정구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외측면 상부에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가 형성되고 외측면 하부에 세로톱니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내측면 상부에 내주연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측면에 가로방향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세로톱니 기어와 맞물리도록 원형톱니바퀴 형상의 가로회전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로톱니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사 회전운동으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고정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양측면에 상하로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양측면에 너트구가 형성되며,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측면부에 일측 이상이 타공된 탄성판이 마련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에 대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너트구에 체결되는 미세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탄성판에 압력을 가해 좌우폭을 좁힘으로써 상기 펠렛의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공급부의 상기 펠렛이 소진되면 펠렛공급관로의 굴뚝화 현상으로 발생되는 역화를 차단하는 역화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역화차단부는,
    상기 펠렛량조절내측관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펠렛의 낙하를 위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천공구가 형성되는 역화차단상판; 및
    상기 역화차단상판의 하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펠렛이 소진되면 무게중심추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역화차단상판의 천공구를 밀폐시키는 역화차단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량조절부는 상기 펠렛량조절외측관의 하단에 결합되며, 가느다란 망으로 천공된 형상으로 관찰창이 일면 이상에 마련된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난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037373A 2014-03-31 2014-03-31 펠렛난로 KR10151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373A KR101515001B1 (ko) 2014-03-31 2014-03-31 펠렛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373A KR101515001B1 (ko) 2014-03-31 2014-03-31 펠렛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001B1 true KR101515001B1 (ko) 2015-05-04

Family

ID=5339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373A KR101515001B1 (ko) 2014-03-31 2014-03-31 펠렛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00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889B1 (ko) * 2015-11-20 2016-12-28 방형기 펠렛난로용 화력조절장치
WO2017164530A3 (ko) * 2016-03-21 2018-08-02 김성우 다종 고체연료 연소기
WO2019222209A1 (en) * 2018-05-14 2019-11-21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WO2020231458A1 (en) * 2019-05-14 2020-11-19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US11162684B2 (en) 2018-02-13 2021-11-02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KR102372097B1 (ko) * 2021-12-15 2022-03-10 주식회사 엠엠씨 펠릿 연소기
KR20220114221A (ko) * 2021-02-08 2022-08-17 정연희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20230064835A (ko) * 2021-11-04 2023-05-11 임준일 펠릿 난로용 역류 방지장치
US11708975B2 (en) 2018-02-13 2023-07-25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13A (ko) * 2005-03-09 2006-09-14 최광호 완전연소가 가능한 세라믹 버너
KR101270293B1 (ko) * 2013-04-05 2013-05-31 권현 회전식 펠릿 난로
KR101291402B1 (ko) * 2013-04-18 2013-07-30 이광구 무동력 펠릿 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13A (ko) * 2005-03-09 2006-09-14 최광호 완전연소가 가능한 세라믹 버너
KR101270293B1 (ko) * 2013-04-05 2013-05-31 권현 회전식 펠릿 난로
KR101291402B1 (ko) * 2013-04-18 2013-07-30 이광구 무동력 펠릿 난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889B1 (ko) * 2015-11-20 2016-12-28 방형기 펠렛난로용 화력조절장치
WO2017164530A3 (ko) * 2016-03-21 2018-08-02 김성우 다종 고체연료 연소기
US10890321B2 (en) 2016-03-21 2021-01-12 Seong Woo Kim Combustor for various types of solid fuels
US11708975B2 (en) 2018-02-13 2023-07-25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US11162684B2 (en) 2018-02-13 2021-11-02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WO2019222209A1 (en) * 2018-05-14 2019-11-21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CN112136004A (zh) * 2018-05-14 2020-12-25 特雷格佩列特烤架有限公司 颗粒料斗衬件
WO2020231458A1 (en) * 2019-05-14 2020-11-19 Traeger Pellet Grills, Llc Pellet hopper liner
CN114041028A (zh) * 2019-05-14 2022-02-11 特雷格佩列特烤架有限公司 颗粒料斗衬件
KR20220114221A (ko) * 2021-02-08 2022-08-17 정연희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102438174B1 (ko) * 2021-02-08 2022-08-29 정연희 우드 펠릿 연소장치
KR20230064835A (ko) * 2021-11-04 2023-05-11 임준일 펠릿 난로용 역류 방지장치
KR102595925B1 (ko) 2021-11-04 2023-11-01 임준일 펠릿 난로용 역류 방지장치
KR102372097B1 (ko) * 2021-12-15 2022-03-10 주식회사 엠엠씨 펠릿 연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001B1 (ko) 펠렛난로
US4989521A (en) Gravity fed pellet burner
US200702150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on
JP2009047350A (ja) 固形燃料ストーブ
KR101392216B1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열장치
KR20120030254A (ko) 무동력 우드 펠릿 목재 버너
KR101039119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RU2417341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101504984B1 (ko) 역화방지와 난방 안전성을 갖는 펠릿난로
CN202647841U (zh) 一种锅炉
KR20180010457A (ko)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KR101273480B1 (ko) 이중난로
KR101188901B1 (ko) 펠릿 보일러용 연소기
KR101597122B1 (ko) 기름 점화용 펠릿 보일러
CN102705813B (zh) 生物质燃料的锅炉燃烧方法及其锅炉
JP6324482B1 (ja) 焼却炉
KR20140129646A (ko) 펠릿 연소 장치
RU2448304C1 (ru) Печь
RU2446358C1 (ru) Печь
RU2446359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а в печи
EP2216602A2 (en) Stove comprising a firebox
RU2503889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в печи и печь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KR20130077345A (ko) 다목적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190030448A (ko) 펠릿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