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384A -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384A
KR20210098384A KR1020210013244A KR20210013244A KR20210098384A KR 20210098384 A KR20210098384 A KR 20210098384A KR 1020210013244 A KR1020210013244 A KR 1020210013244A KR 20210013244 A KR20210013244 A KR 20210013244A KR 20210098384 A KR20210098384 A KR 20210098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tube
dust
airflow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235B1 (ko
Inventor
차동순
Original Assignee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앤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tub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9Collecting-electrodes tub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집진효율이 높고 관리가 용이한 음식점용 집진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집진시스템은, 배연관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배연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편류기; 및 집진관 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방전선을 구비하며 기류 편류기로부터 유입된 오염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점용 집진시스템{Dust collection system for restaurants}
본 발명은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구이기 테이블에서 발산되는 먼지입자, 기름, 연기 등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음식점용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 전문 음식점은 테이블 중앙에 설치된 구이기 또는 로스터에서 숯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 하여 고기 등을 구워 먹게 하는 구이기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고기를 구워 먹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되고 특히 고기의 기름이 연료에 떨어지면 연기, 기름, 먼지입자 등이 대량 발생하면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이기가 실내에 배치된 경우 내부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해야 한다.
종래에는 육류나 생선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이기 상부에 연통을 배치하고 연통은 천정에 마련된 덕트와 연결한 후 송풍기를 통해 외부로 연기를 유인하고 연기여과기를 통해 연기를 집진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구이기에서 발생된 연기는 덕트를 통해 모인 후 연기여과기를 거쳐 정화된 후 송풍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집진시스템의 경우, 연기여과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이에 들어가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진효율이 높고 관리가 용이한 음식점용 집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점용 집진시스템은, 배연관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배연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편류기; 및 상기 기류 편류기로부터 유입된 오염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내부에 상기 집진관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집진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방전선을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상기 집진관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방전선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전원부; 및 상기 집진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관의 내벽을 따라 세정액막을 형성하는 세정액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진관의 종축을 따라 상기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먼지입자가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어 상기 집진관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세정액막에 의해 포집된다.
상기 복수의 방전선은 상기 집진관 내에 동심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관은 각 방전선마다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방전선은 상기 관통홀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를 통해 상기 집진관 외부에 위치한 전원인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류 편류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배연관; 상기 배연관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복수의 기류 유도판을 구비하며 상기 배연관 내에 설치된 제1 편류부; 및 상기 배연관 내에 상기 제1 편류부 하부에 설치된 콘 형상의 제2 편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류부는 상기 오염공기의 나선형 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류부는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상기 배연관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연결되며 세정된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점용 집진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첫째, 집진관 및 그 안에 배치된 대전부는 집진관 내부에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을 형성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환형 방전 영역>은 집진관 내부에 동심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방전선 주변에 형성되고, <전기풍>은 인접한 방전선 사이에 집진관을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가 집진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환형 방전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나가게 되고, 그 동안 대전된 먼지입자는 전기풍에 의해 집진관으로 가속되어 포집될 수 있다. 특히 집진장치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대전 및 집진이 일어나기 때문에 대전입자가 다시 중성화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둘째, 전기집진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즉, 집진관과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상태), 세정액 공급부는 분사노즐을 통해 집진관 내벽에 세정액을 고압분사하여 집진관 내벽을 자동 세정할 수 있다. 즉, 세정액 공급부는 집진관 내벽을 따라 세정액막을 형성하고 집진관 내벽에 쌓인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오염물질은 세정액과 함께 중력에 의해 집진관 하부에 설치된 오수 수집부에 수집된다. 오염물질은 오수 수집부에서 유수 분리기로 보내져 물과 기름으로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다.
셋째, 전기집진장치 상부에 설치된 기류 편류기는 집진관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집진관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함으로써 집진관 내의 체류시간을 늘려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기류 편류기는 집진관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에 대해 와류 또는 나선형 기류를 형성하여 유증기 및 먼지입자 등의 이온화 및 전계장 통과 유로를 길게 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기류 편류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기류 편류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6c의 전기집진장치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식점용 집진시스템(100)은 주로 구이기 테이블을 구비한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실내 오염공기(10)를 턱트 등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연기 또는 먼지입자를 제거하거나 포집한 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진시스템(100)은 덕트(200, 500), 기류 편류기(300), 전기집진장치(400), 송풍기(600), 오수 집수부(700), 유수 분리기(8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내 연기, 먼지입자 등으로 이루어진 오염공기(10)는 제1 덕트(200)를 통해 수집된다. 기류 편류기(300)는 제1 덕트(200)로부터 공급된 오염공기(10)의 기류를 조정한다. 전기집진장치(400)는 기류 편류기(300)로부터 공급된 오염공기(10)에서 연기, 먼지입자 등을 여과하고 포집한다. 전기집진장치(400)를 거쳐 여과된 여과공기(12)는 제2 덕트(500) 및 송풍기(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여과공기(12)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송풍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내외부 온도 및 기압차에 기인한 굴뚝효과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전기집진장치(400)는 세정액을 통해 집진관 내벽을 자동 세정하는 기능을 가지며, 세정액, 연기,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오수 또는 오염물질(14)은 중력에 의해 전기집진장치(400) 하부에 연결된 오수 수집부(700)에 수집된다. 수집된 오염물질(14)은 유수 분리기(800)로 보내지고 유수 분리기(800)는 이를 물(16)과 기름(15)으로 분리하여 기름(15)은 기름수집부(820)에 보관되고 물(16)은 생활하수로(810)를 통해 배출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기류 편류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기류 편류기(300)는 제1 덕트(200)로부터 공급되어 기류 편류기(300) 또는 배연관(310)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10)가 배연관(310)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한다. 기류 편류기(300)는 배연관(310), 제1 편류부(320) 및 제2 편류부(330)를 포함한다.
배연관(31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제1 덕트(200)와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된다. 제1 덕트(200)에서 공급된 오염공기(10)는 배연관(3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1 편류부(320)는 배연관(310)의 일측 또는 상측 내에 배치되어, 오염공기(10)의 나선형 기류를 유도한다. 제1 편류부(320)는 실린더 형상의 이송관(322)과, 이송관(322)의 하단에 연결된 확장부(324)와, 이송관(322) 내벽에 형성된 복수의 기류 유도판(326)을 포함한다. 확장부(324)는 이송관(322)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 예를 들어 콘(cone) 구조를 가진다. 기류 유도판(326)은 배연관(310)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2 편류부(330)는 배연관(310)의 타측 또는 하측 내에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10)가 배연관(310)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기류를 유도한다. 제2 편류부(330)는 배연관(310) 내에 제1 편류부(320) 하부에 설치된다. 제2 편류부(330)는 제1 편류부(320)에서 멀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 예를 들어 콘(cone) 구조를 가진다.
이송관(322)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10)는 기류 유도판(326)에 의해 나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10)는 제2 편류부(330)에 의해 배연관(310)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된다. 이와 같이 기류 편류기(300)를 거쳐 전기집진장치(400)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는 나선형 기류 또는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증기 및 먼지입자 등의 이온화 및 전계장 통과 유로가 길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기류 편류기의 변형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기류 편류기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이전 실시예의 도면(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기류 편류기(301)는 배연관(310), 제1 편류부(321) 및 제2 편류부(330)를 포함한다. 제1 편류부(321)의 경우, 이송관(322)의 외벽에 복수의 기류 유도판(32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관(322) 외부로 유입된 오염공기(10)는 기류 유도판(326)에 의해 나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10)는 제2 편류부(330)에 의해 배연관(310)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6c의 전기집진장치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전기집진장치(400)는 기류 편류기(300)로부터 유입된 오염공기(10)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장치로서, 집진관(410), 대전부, 전원부(V) 및 세정액 공급부(420)를 포함한다.
집진관(4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염공기(10)가 이동하는 관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집진관(410)의 상측에서 유입된 공기는 먼지입자의 포집과정을 거쳐 집진관(410)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집진관(410)는 정전기력에 의해 대전입자를 끌어들이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집진관(410)이 부도체로 이루어지더라도 세정액 공급부(420)에 의해 집진관(410) 내벽에 형성된 세정액막(424)이 집진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집진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집진관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관의 단면으로는 다각형,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집진관(410)는 전기적으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대전부는 집진관(410) 내부에서 집진관(41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집진관(410)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방전선(4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방전선(430)은 집진관(410)의 종축 또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방전선(430)은 집진관(41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종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방전선(430)은 서로 일정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방전선(430)은 기체 속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가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부 또는 방전선(430)은 부식되지 않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텅스테,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관(410)은 각 방전선(430)마다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각 방전선(430)은 관통홀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412)를 통해 집진관(410) 외부에 위치한 도전성 전원인가부(432)에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방전선(430)은 집진관(410)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방전선(430)은 하나의 전원인가부(4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부(V)는 집진관(410)과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방전선(430)을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관(410)이 접지되고 대전부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차가 집진관(410)과 대전부 사이에 유지된다면 각 전극은 임의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전원부(V)가 전원인가부(432)에 전압을 제공하면 복수의 방전선(430)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세정액 공급부(420)는 집진관(4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집진관(410)의 내벽을 따라 세정액을 공급하여 세정액막(42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세정액 공급부(420)는 집진관(41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된 환형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형 튜브의 저면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집진관(410)의 내벽에 세정액이 공급된다. 세정액 공급부(420)에는 펄스밸브(422)가 설치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액의 양, 분사시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도 6a의 전기집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전원부(V)가 집진관(410)과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면 대전부에서 굵기가 가는 방전선(430) 주변에 코로나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집진관(410)의 종축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오염공기(10)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11)는 코로나 방전 영역을 통과하면서 하전된 후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관(41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세정액 공급부(420)에 의해 집진관(410) 내벽에는 세정액막(424)이 형성되며, 세정액막(424)은 집진관(410)과 함께 동일한 전극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대전된 먼지입자(11)는 집진관(410)을 향해 이동하면서 세정액막(424)에 포집되고, 세정액막(424)은 중력에 의해 집진관(410)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세정된 오염물질은 오수 집수부(700)에 수집된다.
한편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복수의 방전선(430)은 집진관(410)의 종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관(410) 내에는 복수의 방전선(430)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공기(10)는 전기집진장치(400)의 입구로 들어와 출구로 빠져나갈 때까지 연속적으로 환형 방전 영역을 거치게 되므로 하전된 먼지입자(11)가 집진관(410)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성화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환형 방전 영역에 의해 하전됨으로써 하전효율 및 집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전자기파가 형성되는데, 마찬가지로 방전선(43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전자기파(30)가 형성된다. 복수의 방전선(430)은 집진관(410) 내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방전선(430) 사이에는 전자기파(30)가 서로 상쇄 또는 반발되는데, 이러한 상쇄영역 또는 반발영역을 통해 기류가 발생하며 이를 전기풍(또는 이온풍)이 생성된다. 전기풍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때 근방의 공기가 배척되고 다른 공기가 밀려 들어오는 현상이 거듭됨으로써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며, 전자기파의 간섭현상에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풍은 하전된 먼지입자(11)를 집진관(410)의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집진관(410)를 향해 가속시켜서 집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오염공기
11: 먼지입자
12: 여과공기
14: 오염물질
15: 기름
16: 물
30: 전자기파
100: 집진시스템
200: 제1 덕트
300, 301: 기류 편류기
310: 배연관
320, 321: 제1 편류부
322: 이송관
324: 확장부
326: 기류 유도판
330: 제2 편류부
400: 전기집진장치
410: 집진관
412: 절연 애자
420: 세정액 공급부
422: 펄스밸브
424: 세정액막
430: 방전선
432: 전원인가부
500: 제2 덕트
600: 송풍기
700: 오수 집수부
800: 유수 분리기
810: 생활하수로
820: 기름수집부

Claims (4)

  1. 배연관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배연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편류기; 및
    상기 기류 편류기로부터 유입된 오염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내부에 상기 집진관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집진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방전선을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상기 집진관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방전선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전원부; 및
    상기 집진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관의 내벽을 따라 세정액막을 형성하는 세정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관의 종축을 따라 상기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먼지입자가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어 상기 집진관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세정액막에 의해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전선은 상기 집진관 내에 동심원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집진관은 각 방전선마다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각 방전선은 상기 관통홀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를 통해 상기 집진관 외부에 위치한 전원인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편류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염공기가 이동하는 배연관; 상기 배연관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복수의 기류 유도판을 구비하며 상기 배연관 내에 설치된 제1 편류부; 및 상기 배연관 내에 상기 제1 편류부 하부에 설치된 콘 형상의 제2 편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편류부는 상기 오염공기의 나선형 기류를 유도하고,
    상기 제2 편류부는 나선형으로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상기 배연관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연결되며 세정된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KR1020210013244A 2020-01-31 2021-01-29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KR102490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2114 2020-01-31
KR1020200012114 2020-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384A true KR20210098384A (ko) 2021-08-10
KR102490235B1 KR102490235B1 (ko) 2023-01-19

Family

ID=7731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44A KR102490235B1 (ko) 2020-01-31 2021-01-29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089A (en) * 1981-06-04 1983-06-14 Santek, Inc. Self-cleaning electro-inertial precipitator unit
KR101442753B1 (ko) * 2013-04-16 2014-09-23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숯불 로스터
JP2019011888A (ja) * 2017-06-29 2019-01-24 坪田 章男 油煙浄化装置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089A (en) * 1981-06-04 1983-06-14 Santek, Inc. Self-cleaning electro-inertial precipitator unit
KR101442753B1 (ko) * 2013-04-16 2014-09-23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숯불 로스터
JP2019011888A (ja) * 2017-06-29 2019-01-24 坪田 章男 油煙浄化装置
KR20190075404A (ko) * 2017-12-21 2019-07-01 이선재 식품가공기계의 수증기 회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235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2738C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and incinerator
US6858064B2 (en) Apparatus for the electrostatic cleaning of gases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US539543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ssembly
US6926758B2 (en) Electrostatic filter
US7517394B2 (en) Wet electrostatic Ionising step in an electrostatic deposition device
TWI739177B (zh) 空氣電場除塵方法
CN100998969A (zh) 具有放电电极的旋风灰尘分离设备
FI124675B (fi) Menetelmä pienhiukkasten keräämiseksi savukaasuista sekä vastaava sovitelma
KR0150707B1 (ko) 전기싸이클론집진장치
KR20140001532U (ko)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제거 가능한 사이클론형 전기집진장치
US2740493A (en) Gas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65630B1 (ko)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KR102490235B1 (ko)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KR102448562B1 (ko) 환형 방전 영역을 이용해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US20080302241A1 (en) Structural Principle of an Exhaust Gas Purification Installation, and Associated Method For Purifying an Exhaust Gas
JP7414819B2 (ja) 粒子を含有するガス状媒体の浄化装置
WO2000062936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flowing gas
JP6788881B2 (ja) 空気浄化機
CN105032616A (zh) 旋电式除烟尘方法与装置
RU2333041C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JP3202338B2 (ja) ダクト型電気集じん装置
KR20240005334A (ko) 원주상 배열된 방전부재들을 이용한 집진장치
KR20220002716U (ko) 집진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AU2002218064B2 (en) Electrostatic filter
KR20230173349A (ko) 다단형 집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