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30B1 -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30B1
KR102265630B1 KR1020200114477A KR20200114477A KR102265630B1 KR 102265630 B1 KR102265630 B1 KR 102265630B1 KR 1020200114477 A KR1020200114477 A KR 1020200114477A KR 20200114477 A KR20200114477 A KR 20200114477A KR 102265630 B1 KR102265630 B1 KR 10226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ing unit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순
Original Assignee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30B1/ko
Priority to PCT/KR2021/011831 priority patent/WO20220551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별도의 배기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구이기 테이블에서 나오는 연기 또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가 제공됩니다. 이 집진장치는, 관형 집진부; 집진부 내부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의 대전부; 대전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전원부; 및 집진부 하부에 설치된 배연 유도부를 포함합니다.

Description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Dust precipitator for roaster tables}
본 발명은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구이기 테이블에서 발산되는 먼지입자, 기름연기 등을 포집할 수 있는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 전문 음식점은 테이블 중앙에 설치된 구이기 또는 로스터에서 숯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 하여 고기 등을 구워 먹게 하는 구이기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고기를 구워 먹는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되고 특히 고기의 기름이 연료에 떨어지면 연기와 먼지입자가 대량 발생하면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식사하는 동안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위해 구이기 테이블의 상부에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 또는 배기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구이기 테이블에서 나온 연기 또는 먼지는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그 과정에서 집진기를 통해 연기나 먼지는 제거된다. 헌데 배기덕트를 오랜 기간 사용하면 배기덕트 내부에 두껍고 진한 기름때가 쌓이게 되는데 위생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기덕트에 흡착된 기름때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주위를 오염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배기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구이기 테이블에서 나오는 연기 또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오염된 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관형 집진부; 상기 집진부 내부에 상기 집진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방전 부재를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상기 집진부와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방전 부재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전원부; 및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집진부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를 가지는 배연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의 종축을 따라 형성된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어 상기 집진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농형(squirrel cage)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대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링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전 부재의 둘레에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방전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전자기장이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될 수 있고,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는 상기 전기풍에 의해 상기 종축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집장부를 향해 가속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배연 유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염물 수거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을 감싸는 수거용기와, 상기 수거용기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집진부를 이격시켜 상기 먼지 오염물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헬리컬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로 제어부는 상기 집진부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의 타측과 인접하게 상기 집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첫째, 관형 집진부 및 그 안에 배치된 농형(squirrel-cage) 구조의 대전부는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을 형성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환형 방전 영역>은 집진부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부재 주변에 형성되고, <전기풍>은 인접한 방전 부재 사이에 집진부를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가 집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환형 방전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나가게 되고, 그 동안 대전된 먼지입자는 전기풍에 의해 집진부로 가속되어 포집될 수 있다. 특히 집진장치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대전 및 집진이 일어나기 때문에 대전입자가 다시 중성화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둘째, 집진부 내벽에 쌓인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먼지 오염물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 하부에 형성된 오염물 수거부에 수집되고, 오염물 수거부 내에 형성된 배출로, 흡착포 등을 통해 편리하게 먼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셋째, 집진부와 배연 유도부 사이에 설치된 헬리컬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 제어부는 집진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집진부 내에 체류시간을 늘려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공기유로 제어부는 유입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여 유증기 및 먼지입자 등의 이온화 및 전계장 통과 유로를 길게 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킨다.
넷째, 집진부 상부에 설치된 헬리컬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 제어부는 집진부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청정공기의 배출거리를 증가시켜 주변으로 잘 분산시킬 수 있다.
다섯째, 공기 유입구를 통해 집진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집진부 상단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가속시켜 주변으로 잘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코로나 방전에 의한 공기 내 오존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회오리류(vortex flow)를 형성하고, 회오리류는 발생한 오존의 농도를 희석하고 발생한 오존을 빨리 확산 및 환원시킴으로써 실내공기에 오존 영향이 없도록 한다.
여섯째,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 방식을 이용한 집진장치의 경우 공기가 집진판에 대해 평행하기 흐르게 하는 직선류를 사용하여 집집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전기 집진 방식을 이용하지만 농형 대전부와 관형 집진부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하여 와류 공기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즉, 와류에 따른 원심력과, 대전부-집진부 사이의 전계장을 이용해 먼지입자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집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공기 유입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의 공기 유입구에 의해 형성된 회오리류를 개념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공기유로 제어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방전 부재는 집진부와의 전위차에 의해 주변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와이어, 스트링, 끈 또는 스트랩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이어 형상의 방전 부재, 즉 방전 와이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언급된 다양한 형상의 방전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100)는 주로 구이기 테이블을 구비한 음식점 등과 같이 실내 공기에서 연기 또는 먼지를 제거하거나 포집한 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진장치(100)는 구이기 테이블(2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이기 테이블(210)에서 발산되는 오염된 공기가 열기에 의해 상승하여 집진장치(100) 하부로 유입되면 집진장치(100)는 오염된 공기 중 먼지입자 등을 하전시켜 포집한 후 정화된 공기를 집진장치(100) 상부로 토출한다.
음식점 등의 실내 천장에는 길게 연장된 고정 채널(220)이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집진장치(100)가 전원 케이블(230) 등을 통해 고정 채널(220)에 걸릴 수 있다. 전원부는 전원 케이블(230)을 통해 집진장치(100)에 코로나 방전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집진장치(100)는 이러한 배기덕트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집진장치(100)는 구이기 테이블(210)에서 발생된 오염된 공기에서 먼지입자를 포집한 후 공기를 완전히 정화시킨 후 실내로 재분산시키기 때문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집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장치(100)는 오염된 공기(50)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장치로서, 집진부(10), 대전부(20), 전원부(V), 배연 유도부(30) 및 오염물 수거부(40)를 포함한다.
집진부(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50)가 이동하는 관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구이기 테이블(210)에서 발산된 연소 공기(50)는 집진부(1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먼지입자의 포집과정을 거쳐 집진부(1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집진부(10)는 정전기력에 의해 대전입자를 끌어들이도록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관형 집진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관형 집진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집진부의 단면은 다각형,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집진부(10)는 전기적으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집진부(10)는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인체 접촉에 의한 전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집진부(10)의 외면에 절연 판, 절연 필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20)는 집진부(10) 내부에서 집진부(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농형(squirrel cage)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대전부(20)는 집진부(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링(24, 25)과, 한 쌍의 고정링(24, 25)을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22)를 포함한다. 각 방전 부재(22)는 집진부(10)의 종축 또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방전 부재(22)는 집진부(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종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각 방전 부재(22)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방전 부재(22)는 기체 속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가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링(24, 25)은 전원부(V)의 전원을 방전 부재(22)에 전달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부(20)는 집진부(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집진부(10)의 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됨에 따라 대전부(20)도 이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단면(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10)가 원형 단면을 가짐에 따라 대전부(20)도 원형 단면을 가지게 된다.
하나 이상의 절연 지지부(26)는 고정링(24, 25)을 집진부(10)에 대해 고정시킨다. 절연 지지부(26)는 집진부(10)와 대전부(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연 지지부(26)는 볼트, 너트 등의 체결부를 통해 집진부(10)에 체결되며, 사용자가 체결부 해제를 통해 집진부(10)와 대전부(20)를 손쉽게 분리하여 각각을 세정할 수 있다.
전원부(V)는 집진부(10)와 대전부(2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방전 부재(22)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부(10)가 접지되고 대전부(20)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차가 집진부(10)와 대전부(20) 사이에 유지된다면 각 전극은 임의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집진부(10)가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일 때에도, 전원부(V)는 대전부(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부(10)와 대전부(2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집진장치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 및 전기풍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부(V)가 집진부(10)와 대전부(2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면 대전부(20)에서 굵기가 가는 방전 부재(22) 주변에 코로나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집진부(10)의 종축을 따라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50)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52)는 코로나 방전 영역을 통과하면서 하전된 후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부(1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오염된 공기(50) 중 유증기가 집진부(10) 내벽에 흡착되어 기름때를 형성하는데, 포집된 먼지입자, 기름때 등으로 이루어진 먼지 오염물(54)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10)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오염물 수거부(40)에 수거된다.
한편 방전 부재(22) 주변에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방전 부재(22)는 농형 구조, 즉 집진부(10)의 종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부(10) 내에는 방전 부재(22)에 의한 환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집진장치(100)로 유입된 공기(50)는 집진장치(100)를 빠져나갈 때까지 연속적으로 환형 방전 영역을 거치게 되므로 하전된 먼지입자(52)가 집진부(10)로 이동하는 과정에 중성화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환형 방전 영역에 의해 하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마찬가지로 방전 부재(2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전자기장(23)이 형성된다. 방전 부재(22)는 집진부(10) 내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방전 부재(22) 사이에는 전자기장(23)이 서로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된다. 전기풍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때 근방의 공기가 배척되고 다른 공기가 밀려 들어오는 현상이 거듭됨으로써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는데, 전자기파의 간섭현상에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풍은 하전된 먼지입자(52)를 집진부(10)의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집진부(10)를 향해 가속시켜서 집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연 유도부(30)는 집진부(10)의 일측 또는 하부에 결합되며 집진부(10)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 예를 들어 콘(cone) 구조를 가진다. 배연 유도부(30)는 넓은 입구를 통해 구이기 테이블(210)에 발산된 오염된 공기를 수집하여 열기, 자연대류 등에 의해 집진부(10)로 이동시킨다.
오염물 수거부(40)는 집진부(10)와 배연 유도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집진부(10)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54)을 수거한다. 오염물 수거부(4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집진부(10)의 일측 또는 하부를 감싸는 수거용기(42)와, 수거용기(42) 내에 형성되어 수거용기(42)와 집진부(10)를 이격시켜 먼지 오염물(54)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44)를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 및 전기풍에 의해 집진부(10) 내벽에는 먼지입자, 기름때 등이 포집되어 먼지 오염물(54)이 흡착된다. 먼지 오염물(54)은 중력에 의해 집진부(10)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수거용기(42)에 수집되고, 스페이서(44)에 의해 형성된 배출로를 통해 집진부(10)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흡착포(46) 등을 이용해 집진부(10) 외부에서 수거용기(42)에 담긴 먼지 오염물(54)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공기 유입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의 공기 유입구에 의해 형성된 회오리류를 개념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전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102)에는 집진부(10)의 타측 또는 상부와 인접하게 집진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공기 유입구(12)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12)는 집진부(10)의 종축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공기(56)가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사선방향으로 집진부(10) 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외부공기(56)는 정화된 공기(50)의 흐름을 빠르게 가속하여 주변 실내로 잘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코로나 방전에 의한 공기(50) 내 오존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56)는 회오리류(vortex flow)를 형성하고, 회오리류는 발생한 오존의 농도를 희석하고 발생한 오존을 빨리 확산 및 환원시킴으로써 실내공기에 오존 영향이 없도록 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공기유로 제어부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전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104)에는 집진부(10)의 일측(또는 하부), 타측(또는 상부), 또는 양측에 공기유로 제어부(60, 62)가 형성된다. 공기유로 제어부(60, 62)는 헬리컬 블레이드(helical blade) 구조를 가짐으로써 집진부(10)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50)에 와류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집진부(10)와 배연 유도부(30) 사이에 설치된 공기유로 제어부(60)은 집진부(10)로 유입되는 공기(50)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집진부(10) 내에 체류시간을 늘려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코로나 방전 영역을 통과하게 하여 집진효율을 높인다. 다시 말해, 공기유로 제어부(60)는 유입되는 공기(50)에 와류를 형성하여 유입먼지(유증기 및 먼지입자)의 이온화 및 전계장 통과 유로를 길게 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킨다.
집진부(10) 상부에 설치된 공기유로 제어부(62)는 집진부(1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50)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청정공기의 배출거리를 증가시켜 주변으로 잘 분산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한 집진 후 정화된 공기의 분산 및 확산을 강화하기 위해 집진부(10)의 상부에 팬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공기 청정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집진부
12: 공기 유입구
20: 대전부
22: 방전 부재
23: 전자기장
24, 25: 고정링
26: 절연 지지부
30: 배연 유도부
40: 오염물 수거부
42: 수거용기
44: 스페이서
46: 흡착포
50: 공기
52: 먼지입자
54: 먼지 오염물
56: 외부공기
60, 62: 공기유로 제어부
100, 102, 104: 집진장치
210: 구이기 테이블
220: 고정 채널
230: 전원 케이블

Claims (6)

  1. 오염된 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관형 집진부;
    상기 집진부 내부에 상기 집진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 방전 부재를 복수 개 구비한 대전부;
    상기 집진부와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방전 부재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전원부; 및
    상기 집진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집진부에서 멀어질수록 내경이 커지는 구조를 가지는 배연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부 내부에 배치된 상기 대전부는 복수의 방전 부재가 동심원 상에 배치된 농형(squirrel cage)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부 내에는 상기 복수의 방전 부재에 의해 환형 방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의 종축을 따라 형성된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한 상기 환형 방전 영역을 통과하면서 하전되어 상기 집진부 내벽에 집진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방전 부재 사이에는 방전 부재 주변의 전자기장 상쇄로 인한 전기풍이 생성되고,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는 상기 전기풍에 의해 상기 집진부를 향해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링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을 연결하는 복수의 방전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와 상기 배연 유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 내벽에 집진된 먼지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 수거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을 감싸는 수거용기와, 상기 수거용기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집진부를 이격시켜 상기 먼지 오염물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헬리컬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로 제어부는 상기 집진부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타측과 인접하게 상기 집진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KR1020200114477A 2020-09-08 2020-09-08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KR10226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77A KR102265630B1 (ko) 2020-09-08 2020-09-08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PCT/KR2021/011831 WO2022055175A1 (ko) 2020-09-08 2021-09-02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77A KR102265630B1 (ko) 2020-09-08 2020-09-08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30B1 true KR102265630B1 (ko) 2021-06-16

Family

ID=7660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477A KR102265630B1 (ko) 2020-09-08 2020-09-08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630B1 (ko)
WO (1) WO20220551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75A1 (ko) * 2020-09-08 2022-03-17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KR20230041192A (ko) * 2021-09-17 2023-03-24 이앤엠 주식회사 레인지 후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51Y1 (ko) * 2002-03-29 2002-06-20 이용호 실내공기 배출용 후드
KR20160003022U (ko) * 2015-02-25 2016-09-02 류희범 주방용 배기후드
JP2018048598A (ja) * 2016-09-22 2018-03-29 畠山 昭弘 吸引装置
KR101970531B1 (ko) * 2017-10-23 2019-04-19 김효수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340B1 (ko) * 2007-10-29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KR102265630B1 (ko) * 2020-09-08 2021-06-16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51Y1 (ko) * 2002-03-29 2002-06-20 이용호 실내공기 배출용 후드
KR20160003022U (ko) * 2015-02-25 2016-09-02 류희범 주방용 배기후드
JP2018048598A (ja) * 2016-09-22 2018-03-29 畠山 昭弘 吸引装置
KR101970531B1 (ko) * 2017-10-23 2019-04-19 김효수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75A1 (ko) * 2020-09-08 2022-03-17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KR20230041192A (ko) * 2021-09-17 2023-03-24 이앤엠 주식회사 레인지 후드 장치
KR102557163B1 (ko) * 2021-09-17 2023-07-19 이앤엠 주식회사 레인지 후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175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630B1 (ko)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JPH02501688A (ja) 空気処理システム
US6926758B2 (en) Electrostatic filter
KR101678237B1 (ko) 공기 정화 장치
JP4803393B2 (ja) 接地電極の汚染物質を除去する静電集塵器
US8268058B2 (en) High-performance labyrinth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CN107635667A (zh) 用于室内空气的净化的装置
US201400205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from a gas
CN107435964B (zh) 一种防止油烟逃逸的风幕系统
JP2014024017A (ja) 空気処理装置
WO1992005875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cleaning an air flow
CN204911788U (zh) 一种静电净化器
US3201620A (en) Triboelectric generator for ionizing air
KR102557163B1 (ko) 레인지 후드 장치
KR20240005334A (ko) 원주상 배열된 방전부재들을 이용한 집진장치
KR101134541B1 (ko) 고성능 래비린스형 공기처리장치
JP2000084435A (ja) 無煙ロースター
KR102490235B1 (ko) 음식점용 집진시스템
CN107435960B (zh) 厨房空气净化系统
KR20220002716U (ko) 집진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KR20230173346A (ko) 배기덕트 없이 미세먼지 및 악취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장치
CN209577023U (zh) 一种能高效净化油烟的家用抽油烟机
CN108480048B (zh) 一种线放电技术的油烟净化装置
JP6788881B2 (ja) 空気浄化機
CN111940139A (zh) 自生风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