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340B1 -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340B1
KR101443340B1 KR1020070108960A KR20070108960A KR101443340B1 KR 101443340 B1 KR101443340 B1 KR 101443340B1 KR 1020070108960 A KR1020070108960 A KR 1020070108960A KR 20070108960 A KR20070108960 A KR 20070108960A KR 101443340 B1 KR101443340 B1 KR 10144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s
dielectric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223A (ko
Inventor
최흥식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40B1/ko
Priority to PCT/KR2008/004355 priority patent/WO2009057881A1/en
Priority to US12/182,453 priority patent/US20090110610A1/en
Publication of KR2009004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한 조리기기는 제 1방전부와 제 2방전부 사이에 방전공간이 형성되고, 냄새물질을 포함한 모든 공기가 상기 방전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냄새물질은 상기 방전공간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공간내에서만 플라즈마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오존의 확산이 감소될 수 있다.
조리기기, 냄새, 탈취, 방전, 플라즈마

Description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 deodorization device of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odor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공간에서 발생된 냄새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조리된 음식물을 상기 조리기기 내부로부터 꺼낸 후에도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 냄새 물질이 남아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로부터 냄새물질이 외부로 나오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냄새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부와, 상기 제 1방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전부와의 사이에 방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공간을 거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방전부는 제 1방전 전극과, 상기 제 1방전 전극에서 상기 방전공간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1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은 상기 제 1방전 전극에 형성된 제 1전극 통공들과, 상기 제 1유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전극 통공들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1유전체 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극 통공들의 직경은 상기 제 1유전체 통공들의 직경보다 크게 형 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전부는 상기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방전부는 제 2방전 전극과, 상기 제 2방전 전극에서 상기 방전 공간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제 2유전체에 형성된 제 2유전체 통공들과, 상기 제 2방전 전극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2전극 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방전부는 제 2방전 전극과, 상기 제 2방전 전극에서 상기 방전 공간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제 2유전체에서 상기 제 2방전 전극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방전부는 상기 제 1방전 전극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과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전부는 상기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전부는 상기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 전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전 전극과 제 2방전 전극사이에는 서로 접하도록 유전체가 배치되고, 상기 방전공간은 상기 유전체에서 상기 제 1통공들과 제 2통공들에 연통되게 형성된 유전체 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한 조리기기는 제 1방전부와 제 2방전부 사이에 방전공간이 형성되고, 냄새물질을 포함한 모든 공기가 상기 방전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냄새물질은 상기 방전공간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공간내에서만 플라즈마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오존의 확산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조리기기로는 전자레인지, 오븐 등 다양한 기기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공간(미도시)과, 상기 조리 공간(미도시)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로(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로(2)에는 송풍기(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2)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부로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공기유로(2)를 통과하는 공기의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냄새제거장치(10)를 포함한다. 상기 냄새제거장치(10)는 상기 공기유로(2)상에서 상기 송풍기(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냄새제거장치(10)는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공기로부터 오존 및 이온을 생성하고, 상기 오존 및 이온이 상기 냄새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냄새제거장치(10)는 상기 공기유로(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제 1방전부(20)와, 상기 제 1방전부(2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전부(20)와의 사이에 방전공간(12)을 형성하는 제 2방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방전부(10)에는 상기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1통공(21)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방전부(30)에는 상기 방전공간(12)을 거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2통공들(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방전부(20)는 상기 공기유로(2)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방전부(30)는 상기 제 1방전부(2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방전부(20)는 제 1방전 전극(22)과, 상기 제 1방전 전극(22)에서 상기 방전공간(12)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1유전체(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유전체(24)는 상기 공기유로(2)의 내벽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1방전 전극(22)은 상기 제 1유전체(24)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방전 전극(22)은 상기 제 1유전체(24)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21)은 상기 제 1방전 전극(22)에 형성된 제 1전극통공들(26)과, 상기 제 1유전체(24)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전극 통공들(26)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1유전체 통공들(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유전체(24)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유전체 통공(28)들이 뚫어진 후, 굽는 작업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제 1전극 통공들(26)은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극 통공들(26)의 직경은 상기 제 1유전체 통공들(2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4)에서 송풍된 공기의 유입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제 2방전부(30)는 제 2방전 전극(32)과, 상기 제 2방전 전극(32)에서 상기 방전 공간(12)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유전체(34)는 상기 공기유로(2)의 내벽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2유전체(34)는 상기 제 1유전체(24)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유전체(24)(34)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유전체(24)와 상기 제 2유전체(34)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2유전체(24)(34)의 각 두께와 동일하거나 거의 비슷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방전 전극(32)은 상기 제 2유전체(34)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방전 전극(32)은 상기 제 2유전체(34)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방전 전극(22)과 상기 제 2방전 전극(32)은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안정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 다.
상기 제 1방전 전극(22)에는 전압 인가부(미도시)에 의하여 방전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방전 전극(32)은 접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방전 전극(22)에는 상기 전압 인가부(미도시)와 전선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2복수개의 통공들(31)은 상기 제 2유전체(34)에 형성된 제 2유전체 통공들(38)과, 상기 제 2방전 전극(32)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38)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2전극 통공들(36)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유전체(34)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38)이 뚫어진 후, 굽는 작업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제 2전극 통공들(36)은 에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극 통공들(36)의 직경은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3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방전공간(12)에서 방전된 공기의 유출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로(12)에서 상기 냄새제거장치(10)의 후방에는 오존제거장치(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존제거장치(16)는 상기 방전공간(12)에서 발생되고 남은 오존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오존제거장치(16)는 상기 냄새제거장치(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오존을 파괴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존제거장치(16)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오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의 작동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조리공간(미도시)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면, 냄새 물질이 생성된다. 상기 조리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4)가 작동된다. 상기 송풍기(4)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조리공간내의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송풍기(4)에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제 1전극통공들(26)과 제 1유전체 통공들(28)을 통해 상기 방전공간(12)내로 유입된다.
상기 냄새제거장치(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1방전 전극(22)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방전공간(12)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된다. 상기 플라즈마 방전시, 상기 방전공간(12)내의 공기로부터 오존과 이온이 생성된다. 상기 이온은 다양한 종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수산화 이온(OH-) 등의 음이온이 생성된다. 상기 이온과 오존은 상기 방전공간(12)내로 유입된 냄새물질과 반응하고, 냄새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한다. 상기 제 1방전부(20)와 제 2방전부(30)에 의해 상기 방전공간(12)이 한정되기 때문에, 냄새를 포함한 공기는 모두 상기 방전공간(12)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로(2)를 통과하는 모든 공기의 냄새물질이 상기 방전 공간(12)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전공간(12)내에서 냄새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38)과 상기 제 2전극 통공들36)을 통해 상기 방전공간(12)으로부터 유출된다.
냄새물질이 제거된 공기중에는 오존이 잔재할 수 있다. 상기 냄새제거장치(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존제거장치(16)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오존제거장치(16)에서 오존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40)는 공기유로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1통공들(51)이 형성된 제 1방전부(50)와, 상기 제 1방전부(5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전부(50)와의 사이에 방전공간(12)을 형성하는 제 2방전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방전부(60)에는 상기 방전공간(12)을 거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2통공들(61)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통공들(61)은 상기 제 1통공들(51)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게 형성된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와 동일,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C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D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방전부(50)는 제 1방전 전극(52)과, 상기 제 1방전 전극(52)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1유전체(5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51)은 상기 제 1방전 전극(52)에 형성된 제 1전극 통공들(56)과, 상기 제 1유전체(54)에 형성된 제 1유전체 통공들(58)을 포함한다.
상기 제 2방전부(60)는 제 2방전 전극(62)과, 상기 제 2방전 전극(62)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6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61)은 상기 제 2유전체(64)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통공들(61)은 상기 제 2유전체(64)에서 상기 제 2방전 전극(62)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통공들(61)은 상기 제 2유전체(64)에서 상기 제 1통공들(51)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2통공들(61)은 상기 제 1통공들(51)로부터 대각선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제 2방전 전극(62)과 상기 제 2유전체(64)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40)는 상기 제 1통공들(51)과 상기 제 2통공들(61)이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방전공간(12)내에서 공기가 음이온이나 오존과 접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냄새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70)는 공기유로(2)상에 배치된 제 1방전부(80)와, 상기 제 1방전부(80)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방전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방전부(80)와 제 2방전부 (90)중 어느 하나는 방전 전극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방전 전극과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와 동일,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 1방전부(80)는 상기 제 1통공들(81)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80)이다. 상기 공기유로(2)에는 상기 제 1방전 전극(80)을 지지하도록 지지대(82)가 배치된다.
상기 제 2방전부(90)는 상기 제 2방전 전극(92)과, 상기 제 2방전 전극(92)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9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방전 전극(92)에는 제 2전극 통공들(9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유전체(94)에는 제 2유전체 통공들(9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통공들(81)과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98)은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98)이 상기 제 1통공들(81)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100)는 제 1통공들(111)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110)과, 제 2통공(121)들이 형성된 제 2방전 전극(120)과, 상기 제 1방전 전극(110)과 제 2방전 전극(120)사이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유전체(130)를 포함하는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와 동일,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전체(130)의 일측면은 상기 제 1방전 전극(110)에 접하고, 타측면은 상기 제 2방전 전극(12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유전체(130)에는 상기 제 1통공들(111)과 제 2통공들(121)에 연통되는 유전체 통공들(131)이 형성된다. 상기 유전체 통공들(131)이 방전공간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방전 전극(110)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유전체 통공들(131)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이루어진다.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유전체 통공들(131)을 거치면서, 상기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발생된 음이온과 오존과 반응하여 냄새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140)(150)는 복수개가 공기유로에서 직렬로 배치되는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냄새제거장치는 상기 송풍기(4)의 후방에 배치된 제 1냄새제거장치(140)와, 상기 제 1냄새제거장치(140)의 후방에 배치된 제 2냄새제거장치(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4)에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제 1냄새제거장치(140)를 통과하면서, 냄새물질이 1차로 걸러진다. 이후, 상기 제 1냄새제거장치(1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냄새제거장치(150)로 유입되어, 잔존한 냄새물질이 2차로 걸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한 조리기기는 제 1방전부와 제 2방전부 사이에 방전공간이 형성되고, 냄새물질을 포함한 모든 공기가 상기 방전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냄새물질은 상기 방전공간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공간내에서만 플라즈마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오존의 확산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D방향에서 본 냄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배치된 조리기기의 공기유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공기유로 4: 송풍기
10,40,70,100: 냄새제거장치 20,50,80,110: 제 1방전부
22,52: 제 1방전 전극 24,54: 제 1유전체
30,60,90,120: 제 2방전부 32,62,92: 제 2방전 전극
34,64,94: 제 2방전전극

Claims (11)

  1. 냄새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부와;
    상기 제 1방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전부와의 사이에 방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공간을 거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방전부는 제 2방전 전극과, 상기 제 2방전 전극에서 상기 방전 공간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2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제 2유전체에서 상기 제 2방전 전극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전부는 제 1방전 전극과, 상기 제 1방전 전극에서 상기 방전공간을 향한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 1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은 상기 제 1방전 전극에 형성된 제 1전극 통공들과, 상기 제 1유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전극 통공들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1유전체 통공들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 통공들의 직경은 상기 제 1유전체 통공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전부는 상기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제 2유전체에 형성된 제 2유전체 통공들과, 상기 제 2방전 전극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전체 통공들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 2전극 통공들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방전부는 상기 제 1방전 전극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 전극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과 일렬로 배치되게 형성된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통공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 1통공들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게 형성된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전부는 상기 제 1통공들이 형성된 제 1방전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전부는 상기 제 2통공들이 형성된 제 2방전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전 전극과 제 2방전 전극사이에는 서로 접하도록 유전체가 배치되고,
    상기 방전공간은 상기 유전체에서 상기 제 1통공들과 제 2통공들에 연통되게 형성된 유전체 통공들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70108960A 2007-10-29 2007-10-29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KR10144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60A KR101443340B1 (ko) 2007-10-29 2007-10-29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PCT/KR2008/004355 WO2009057881A1 (en) 2007-10-29 2008-07-25 Deodorization device of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deodorization device
US12/182,453 US20090110610A1 (en) 2007-10-29 2008-07-30 Deodorization device of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deodor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960A KR101443340B1 (ko) 2007-10-29 2007-10-29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223A KR20090043223A (ko) 2009-05-06
KR101443340B1 true KR101443340B1 (ko) 2014-09-19

Family

ID=4058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960A KR101443340B1 (ko) 2007-10-29 2007-10-29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10610A1 (ko)
KR (1) KR101443340B1 (ko)
WO (1) WO2009057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2661A1 (en) * 2010-07-02 201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 functional subunit of a household appliance and/or reducing odours
CN102151466A (zh) * 2011-01-28 2011-08-17 四川帝宴电器科技有限公司 油烟空气净化器
KR101878074B1 (ko) 2016-11-09 2018-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 습기분해 장치
CN111156552B (zh) * 2020-01-03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厨房废气处理方法及装置
KR20200087099A (ko) 2020-06-29 2020-07-20 주식회사 이엠아이 조리 기기용 에어 커튼 장치 및 이를 가진 조리 기기
KR102265630B1 (ko) * 2020-09-08 2021-06-16 이앤엠 주식회사 구이기 테이블용 집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554A (en) 1971-12-01 1973-06-19 Gen Electric Air filter utiliz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fields
JPH07293902A (ja) * 1994-04-19 1995-11-10 Sanyo Electric Co Ltd 脱臭機能付き加熱調理器
US20060115391A1 (en) 2002-12-13 2006-06-01 Kim Kyung W Plasma reactor and and electrode plate used tin the same
US20060119278A1 (en) 2004-12-07 2006-06-08 Canon Kabushiki Kaisha Gas decomposition apparatus and gas treatment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545A (ja) * 1988-12-23 1990-07-04 Hiroaki Kanazawa 空気清浄機
KR20000056758A (ko) * 1999-02-25 2000-09-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유연 제거장치
KR20000056754A (ko) * 1999-02-25 2000-09-15 구자홍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필터장치
US6451252B1 (en) * 2000-01-20 2002-09-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Odor removal system and method having ozone and non-thermal plasma treatment
JP2006281077A (ja) * 2005-03-31 2006-10-19 Shizen Club:Kk 暖房器用排煙濾過装置
KR20060125261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50266B1 (ko) * 2005-12-19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조리기 시스템
KR101270617B1 (ko) * 2006-11-01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100858721B1 (ko) * 2006-11-17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554A (en) 1971-12-01 1973-06-19 Gen Electric Air filter utiliz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fields
JPH07293902A (ja) * 1994-04-19 1995-11-10 Sanyo Electric Co Ltd 脱臭機能付き加熱調理器
US20060115391A1 (en) 2002-12-13 2006-06-01 Kim Kyung W Plasma reactor and and electrode plate used tin the same
US20060119278A1 (en) 2004-12-07 2006-06-08 Canon Kabushiki Kaisha Gas decomposition apparatus and gas treatment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881A1 (en) 2009-05-07
US20090110610A1 (en) 2009-04-30
KR20090043223A (ko)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340B1 (ko)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KR101450551B1 (ko) 조리기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상기 냄새제거장치를 포함하는조리기기.
JP6535141B2 (ja) 表面を処理するための低温プラズマ装置
EP2413443B1 (en) Ion generation apparatus
EP3466453A1 (en) Deodorization module and storage device including deodorization module
KR102637740B1 (ko) 탈취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101581043B1 (ko) 조리기기
KR20140109367A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036471A (ja) 電気集塵装置及び空気処理装置
KR20170068232A (ko) 플라즈마 전극장치, 그 제조방법 및 공기조화기
CN103857167A (zh) 等离子体发生装置
EP1355515A1 (en) Microwave Oven with Humidity Sensor
KR101954850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US6433324B1 (en) Hood apparatus of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KR20090105417A (ko) 냄새 제거 장치,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공기정화기
JP5928229B2 (ja) 脱臭機
JP2001204805A (ja) 脱臭装置
JP2006228513A (ja) イオン発生素子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イオン発生装置
KR200207704Y1 (ko) 전자렌지
JP4488836B2 (ja) 空気調節装置
JP6044201B2 (ja) 脱臭機
JP5540725B2 (ja) 送風装置
JP6044173B2 (ja) 脱臭機
JP2014120312A (ja) プラズマ発生装置
KR19990017495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