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704Y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704Y1
KR200207704Y1 KR2019980007711U KR19980007711U KR200207704Y1 KR 200207704 Y1 KR200207704 Y1 KR 200207704Y1 KR 2019980007711 U KR2019980007711 U KR 2019980007711U KR 19980007711 U KR19980007711 U KR 19980007711U KR 200207704 Y1 KR200207704 Y1 KR 200207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discharge hol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007U (ko
Inventor
정종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7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7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704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 및 기기부품이 수용된 부품실을 포함하는 케이싱을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공기유동로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배출공과, 상기 공기배출공에 인접하게 부착된 방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리시 생성되는 음식물냄새가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로 향기가 방산되도록 한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기가 나도록 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 본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52), 및 각종 기기부품들이 수용된 부품실(6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57)과, 내부케이싱(57)과 소정의 공기유동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내부케이싱(57)의 상부면 및 양측면을 차단하며 공기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배출공(53a)이 형성된 외부케이싱(53)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저면판(59)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싱(57)은 조리실(52)을 형성하는 캐비티(54)와 캐비티(54)의 전방에 결합되며 조리실개구가 형성된 전면판(58)과, 캐비티(54)의 후방에 결합되며 복수의 공기유통공(56a)이 형성된 후면판(56)을 가진다.
조리실(52)은 내부케이싱(57)의 좌측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52)내에는 음식물이 안착되는 트레이(67)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실(52)의 부품실(60)을 향한 측벽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조리실(52)내로 유입되도록 조리실(52)과 부품실(60)을 관통하는 도시않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52)의 상부벽의 일측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습기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6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실(52)의 전면에는 조리실(52)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된 도어(5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실의 일측에 형성된 부품실(60)내에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HVT(61)와, HVT(61)로부터의 고전압을 충전하는 HVC(62)가 부품실(60)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품실(60)의 조리실(52)을 향한 측벽에는 HVC(62)로부터의 전압공급에 따라 전자파를 발생시켜 조리실(52)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65)이 부착되어 있고, 마그네트론(65)의 일측에는 조리실(52)내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덕트(70)가 공기유입구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품실(60)내의 후방벽에는 기기부품의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63)이 송풍팬케이싱(66)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부품실(60)의 전방에는 외부조작에 의해 전자렌지를 작동하는 다수의 조작버턴(76)이 형성된 조작패널(75)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패널(75)에는 음식물의 조리후 조리실(52)내에 잔존하는 음식물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버턴(7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렌지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한 다음, 탈취버턴(77)을 선택함으로써, 조리실(52)내에 잔존하는 음식물 냄새를 탈취할 수 있다. 탈취버턴(77)을 선택하면, 송풍팬(63)이 구동하여 외부공기가 부품실(60)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에어덕트(70)를 따라 안내되어 공기유입구를 통해 조리실(52)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조리실(52)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조리실(52)내의 공기가 배기구(68)를 통해 공기유동공간으로 유출되고, 공기유동공간으로 유출된 공기는 외부케이싱(53)의 배출공(53a)과 저면판(59)의 관통공 및 후면판(56)의 공기유통공(56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조리실(52)내의 공기가 실내의 공기와 교환됨에 따라 조리실(52)내의 음식물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 탈취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조리실(52)내의 음식물 냄새가 전자렌지가 설치된 실내로 배출될 경우, 실내에 음식물 냄새가 방산되어 실내를 환기시켜야 하며, 생선 등 냄새가 심한 음식물을 조리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로 음식물 냄새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판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전자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조리실 9 : 저면판
9a : 저면 9b : 절곡면
9c : 공기배출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 및 기기부품이 수용된 부품실을 포함하는 케이싱을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공기유동로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배출공과, 상기 공기배출공에 인접하게 부착된 방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케이싱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판에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은 전방 연부가 상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향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면판상에 상기 공기배출공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렌지 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2), 및 각종 기기부품들이 수용된 부품실(1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7)과, 내부케이싱(7)과 소정의 공기유동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내부케이싱(7)의 상부면 및 양측면을 차단하는 외부케이싱(3)과, 판상의 저면판(9)을 포함한다.
조리실(2)은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조리실(2)내에는 음식물이 안착되는 트레이(17)가 조리실(2)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실(2)의 측벽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조리실(2)과 부품실(10)을 관통하는 도시않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실(2)의 상부벽의 일측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습기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리실(2)의 전면에는 조리실(2)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된 도어(5)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실(10)내에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HVT(11)(High Voltage Transformer)와, HVT(11)로부터의 고전압을 충전하는 HVC(12)(High Voltage Capacitor)가 부품실(10)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품실의 조리실(2)을 향한 측벽에는 HVC(12)로부터의 전압공급에 따라 전자파를 발생시켜 조리실(2)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15)이 부착되어 있고, 부품실(10)의 조리실(2)을 향한 측벽에는 외부공기를 조리실(2)내로 안내하는 에어덕트(20)가 마그네트론(15)과 인접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부품실(10)내의 후방벽에는 기기부품의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13)이 송풍팬케이싱(16)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렌지의 저부에 결합되는 저면판(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상의 저면(9a)과, 본체의 전면을 향한 저면의 연부가 상향절곡된 절곡면(9b)을 포함한다. 절곡면(9b)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공기배출공(9c)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공기배출공(9c)은 가로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롯이 적층된 그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공기배출공(9c)으로 전자렌지의 구동시 송풍팬(13)에 의해 본체내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공기배출공(9c)에 인접한 저면(9a)에는 방향성분을 갖는 방향부재(30)가 부착되어 있으며, 방향부재(30)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공기배출공(9c)을 통해 전자렌지내의 공기가 배출될 때 함께 유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전자렌지의 조리실(2)에 음식물을 수용시킨 다음, 조작버턴(26)을 조작하면, 기기부품들이 작동하여 조리실(2)내로 전자파가 투사되고, 송풍팬(13)이 구동하여 외부공기가 부품실(10)내로 유입되게 된다.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부품실(10)내의 기기부품들을 냉각시키고, 일부는 에어덕트(20)를 따라 조리실(2)내로 유입되어 조리실(2)내의 습기 및 냄새와 함께 공기유동공간내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부품실(10)내의 공기와 공기유동공간내로 유출된 공기는 저면판(9)에 형성된 공기배출공(9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공기배출공(9c)에 인접하게 부착된 방향부재(3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방향성분이 배출되어 음식물냄새가 상쇄되며, 실내에 향기가 방산된다.
이에 따라, 공기배출공(9c)에 인접하게 방향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전자렌지의 사용시, 송풍팬(13)에 의해 본체(1)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방향성분을 방산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로 음식물냄새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에 향기가 방산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배출공(9c)에 인접하게 방향부재를 부착하였으나, 탈취부재를 설치하여 본체(1)내의 냄세를 탈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시 생성되는 음식물냄새가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로 향기가 방산되도록 한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Claims (3)

  1.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 및 기기부품이 수용된 부품실을 포함하는 케이싱을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판에 마련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배출공과,
    상기 공기배출공에 인접하게 부착된 방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은 전방 연부가 상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면판상에 상기 공기배출공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2019980007711U 1998-05-12 1998-05-12 전자렌지 KR200207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711U KR200207704Y1 (ko) 1998-05-12 1998-05-12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711U KR200207704Y1 (ko) 1998-05-12 1998-05-12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07U KR19990041007U (ko) 1999-12-06
KR200207704Y1 true KR200207704Y1 (ko) 2001-02-01

Family

ID=6951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711U KR200207704Y1 (ko) 1998-05-12 1998-05-12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7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66B1 (ko) * 2002-04-04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CN111012209A (zh) * 2019-12-31 2020-04-17 郭鑫 空气炸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07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5257B2 (ja) 電子レンジ
JP2004226058A (ja) 電子レンジ
EP1221827B1 (en) Hood apparatus of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EP1437922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otor mounting unit therefore
JP3209963B2 (ja) 電子レンジ
KR200207704Y1 (ko) 전자렌지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EP1649220B1 (en) Air flow system in an oven
KR20040019624A (ko) 전자레인지 도어 냉각장치
KR100560206B1 (ko) 전자레인지
KR19990041012U (ko) 전자렌지
KR19990084863A (ko) 전자렌지
KR19990084866A (ko) 전자렌지 및 그 탈취방법
KR19990041008U (ko) 전자렌지
EP1680623B1 (en) A microwave oven and a base cover thereof
KR100609850B1 (ko) 전자렌지
KR980008922U (ko) 전자레인지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19990017492A (ko) 전자렌지
KR20000051361A (ko) 전자렌지
KR200143553Y1 (ko) 전자렌지용 미니메뉴얼의 고정장치
KR19990017495A (ko) 전자렌지
KR200258814Y1 (ko) 전자렌지
KR200226753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가스 배출구조
KR100234099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